KR101521194B1 - 조립식 블록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194B1
KR101521194B1 KR1020130141075A KR20130141075A KR101521194B1 KR 101521194 B1 KR101521194 B1 KR 101521194B1 KR 1020130141075 A KR1020130141075 A KR 1020130141075A KR 20130141075 A KR20130141075 A KR 20130141075A KR 101521194 B1 KR101521194 B1 KR 10152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cylindrical
contact
reinforcing
polyhedron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석 filed Critical 장문석
Priority to KR102013014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어린이의 지능, 창의력 등의 지적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다면체로 형성되되, 상기 다면체의 상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와, 상기 다면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복수개의 중공형 원통돌기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는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 및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측에는 접촉보강요철부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완구{assembling toy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어린이의 지능, 창의력 등의 지적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립식 블록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완구는 장방형, 원통형 등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립체들을 상호 조립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조립에 의해 어린이들에게 각종 교육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각종 모형을 조립함으로써 지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완구는 일반적으로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개구와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본체는 다양한 크기와 색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블록본체를 자유롭게 결합시키고 쌓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블록완구는 단순히 블록본체를 결합시키고 쌓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아동의 창의력을 개발하고, 창의력 개발을 통해 지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그 모양이 단순하고 결합할 수 있는 위치도 한정되어 있다. 더욱이, 어린이들은 단지 블록완구를 결합시키고 쌓는 일만 할 수 있을 뿐, 손으로 직접 힘을 가하여 변형시킨다든지 하는 조작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블록완구 외에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놀이 중 대표적인 것이 찰흙놀이와 퍼즐이다. 상기 찰흙놀이의 경우 어린이들이 손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찰흙놀이의 경우 어린이들이 찰흙을 부주의하게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오물로 인해 집안이 더러워질 수 있으며, 찰흙은 일단 말라버리면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소모성 물품이므로, 찰흙놀이를 할 때마다 찰흙을 새로 사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상기 퍼즐의 경우에는 어린이의 나이나 수준에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그 크기나 개수가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퍼즐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조각들의 위치를 맞추는 놀이이기 때문에, 상기 퍼즐의 과정 자체가 지루하다. 뿐만 아니라 같은 퍼즐을 반복하여 맞출 경우, 횟수가 반복될수록 퍼즐을 맞추는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몇 번만 맞추어보면 흥미가 떨어지므로 새로운 퍼즐을 사야한다. 즉, 퍼즐에 흥미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새로운 퍼즐을 구매해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블록완구, 찰흙놀이, 퍼즐 등 종래의 놀이는 어린이가 놀이에 참여하였을 때 있는 것들을 결합, 배치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이루어져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지시키지 못하거나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어린이가 마음껏 기구를 변화시켜 창의성 발달을 극대화하고, 어린이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장난감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41459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면체로 형성되되, 상기 다면체의 상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와, 상기 다면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복수개의 중공형 원통돌기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는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 및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측에는 원주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접촉보강요철부가 구비되며, 양단부에 상기 접촉보강요철부와 형합되어 끼움 결합되되, 상기 접촉돌기의 외면과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주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접촉보강고정부를 포함하는 조인트 유닛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면체의 하구는 개구되며,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는 상기 다면체의 개구된 하측 내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다면체의 측면부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내측에 접촉보강요철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부브라켓을 포함하는 측면부 중공형 홈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접촉돌기에는 종방향으로 개구된 슬롯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욱이,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와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경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이한 내경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의 외주면은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조인트유닛을 이용함으로써 다면체 형상의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의 전면을 활용하여 연속적인 조립이 가능하므로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구현이 가능하여 어린이의 흥미가 배가되고 지적능력 및 창의력 발달에 현저히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접촉보강요철부와 접촉보강고정부가 상호 요철 결합을 통하여 착탈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접촉보강고정부의 외측면이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주면과도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접촉면적이 증가되므로 결합강도가 개선되고 블록간의 결합 밸런스를 유지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조인트유닛의 외경이 기출시된 다면체 블록과도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호환성이 개선됨으로써 기존에 소지중인 다면체 블록과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완구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내경이 상이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를 아울러 호환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의 외주가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조립을 위한 별도의 보조부재를 구입하는 등의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C-C에서 본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의 저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b는 도 3a의 E-E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F-F에서 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에 적용가능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G-G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에 적용가능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유닛이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10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100)는 다면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면체라 함은 도면에서와 같이 육면체형상 외에도 삼각기둥, 다각기둥, 원기둥,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된 기둥형상 등 다양한 형태의 입체도형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다면체의 상면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설되는 복수개의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설되는 복수개의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가 구비된다. 한편, 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100)의 하면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가 구비되도록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의 전면이 막힌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세히, 본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돌설된 외주면(2a)이 상기 복수개의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돌설된 외주면(1a) 사이(A)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외주면(1a)이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외주면(2a)과 개구된 하부의 내측면 사이(B)에 끼움 결합되면서 다양한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개구된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가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100) 자체의 내구력이 개선되도록 다수개의 보강브라켓(6)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100)의 조립성이 개선되도록 개구된 내측면을 따라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100)는 상부 및 개구된 하부 내측면에 각각의 중공형 원통돌기(1,2)가 형성되는바, 수직방향으로의 결합은 용이하나 수평방향으로의 연결이 어려워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100)를 쌓아 만들 수 있는 모양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C-C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200)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측에 접촉보강요철부(3,4)가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4)는 후술되는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내측에 형성된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를 설명하면, 복수개의 접촉돌기(3a)가 상호 교호되어 반복되도록 돌설되되 중심부에 상기 복수개의 접촉돌기(3a)를 연결하도록 결속돌기(3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돌기(3b)가 상기 복수개의 접촉돌기(3a)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내구력이 개선되어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를 반복하여 조립하더라도 변형 또는 파손이 최소화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돌기(3b)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접촉돌기(3a)와 동일한 높이로 돌설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3a)의 하단부를 결속하도록 상기 접촉돌기(3a)보다 짧게 기설정된 높이로 돌설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접촉돌기(3a)에는 종방향으로 개구된 슬롯부(3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롯부(3d)는 상기 접촉돌기(3a)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 협소한 간격의 홈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조인트유닛(10)과의 체결시 상기 접촉돌기(3a)의 부피가 상기 슬롯부(3d)의 간격과 대응되어 좁아지게 되므로 체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롯부(3d)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체결된 후 다시 원상태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손쉽게 체결되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부(3d)는 상기 접촉돌기(3a)의 외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3a)의 내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는 내측이 투영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LED조명 등과 같은 발광체를 부착하여 조립을 통한 재미뿐만 아니라 반짝거리는 시각적인 재미를 부여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는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내는 야광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의 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E-E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측면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부 중공형 홈부(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측면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부 중공형 홈부(5)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부 중공형 홈부(5)의 내측으로도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1,2)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상기 접촉보강요철부(7)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보강요철부(7)는 복수개의 접촉돌기(7a)가 상호 교호되어 반복되도록 돌설되되 중심부에 상기 복수개의 접촉돌기(7a)를 연결하도록 결속돌기(7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돌기(7b)가 상기 복수개의 접촉돌기(7a)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돌기(7b)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접촉돌기(7a)와 동일한 높이로 돌설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7a)의 하단부를 결속하도록 상기 접촉돌기(7a)의 돌출된 높이보다 짧게 기설정된 높이로 돌설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 중공형 홈부(5)의 개방부 형태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측이 반원형태의 개방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불어, 하부가 개구된 다면체로 구비되는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내측에는 상기 접촉돌기(7a)의 깊이를 제한하도록 측면부브라켓(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브라켓(8)은 상기 측면부 중공형 홈부(5)가 형성되는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측면의 내측 즉,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와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개구된 내측면 사이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7a)는 상기 측면부브라켓(8)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그 위치는 상기 측면부 중공형 홈부(5)의 개방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브라켓(8)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 사이에 장방형의 프레임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와 대응되도록 원형의 프레임 형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브라켓(8)은 상기 접촉보강요철부(7)의 일단이 연장되되,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이웃한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의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와 간섭되지 않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측면부 내측에 상기 측면부 중공형 홈부(5)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를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브라켓(8)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측면부 중공형 홈부(5) 내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7)의 형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측면부브라켓(8)이 보강용 브라켓 역할을 동시에 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4)와 요철 결합되도록 조인트유닛(1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유닛(10)은 양단부에 접촉보강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조인트유닛(10)의 양단부에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원기둥형태(11)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원기둥형태(11)의 외측부는 라운드진 형태의 형합면(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형합면(13)은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1,2)의 내주면(1b,2b)과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1,2)의 내주면(1b,2b)과 상호 대응되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되어 끼움 결합된다는 것은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1,2)의 내주면과 상기 조인트유닛의 원기둥형태(11)의 외주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호 형합됨을 의미한다.
즉,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1,2)의 내주면(1b,2b)과 상기 조인트유닛(10)의 외주가 상호 형합되도록 밀착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1,2)가 상기 조인트유닛(10)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어느 일측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유닛(1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와 요철 결합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철 결합이라 하면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돌기(3a) 및 홈부(3c)와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의 양단부 프로파일이 상호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됨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의 홈부(3c)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보강돌기(14a)와, 상기 접촉돌기(3a)가 삽입되는 보강홈부(14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보강돌기(14a)를 연결하도록 보강결속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결속돌기(미도시)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에 형성되는 결속돌기(3b)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결속돌기(3b)의 돌출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보강결속돌기(미도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보강돌기(14a)에는 종방향으로 개구된 보강슬롯부(14d)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슬롯부(14d)는 상기 보강돌기(14a)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 협소한 간격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4,7)와의 끼움 결합시 상기 보강돌기(14a)의 부피가 상기 보강슬롯부(14d)의 간격과 대응되어 좁아지게 되므로 체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슬롯부(14d)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체결된 후 다시 원상태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손쉽게 체결되면서도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슬롯부(14d)는 상기 보강돌기(14a)의 외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보강돌기(14a)의 내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의 접촉돌기(3a)가 원주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 예컨대 각각 60° 또는 120°등으로 분할되어 돌설되고,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인트유닛(10)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를 연결시 다양한 각도를 이루어 연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를 이용하여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의 창의력 개발에 현저히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즉, 다면체 형상의 조립식 블록완구에 상기 조인트유닛(10)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4)와 접촉보강고정부(14)가 상호 요철 결합을 통하여 착탈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의 외측면이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1,2)의 내주면(1b,2b)과도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결합강도가 개선될 뿐만 아니라 블록간의 결합 밸런스를 유지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 사이에는 외력에 따라 변형되도록 내측에 철사와 같은 플랙시블한 심재가 구비된 상기 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 사이(11a)에는 회전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미도시)는 양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접촉보강고정부(14)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조인트유닛(10)을 사용하여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를 다양한 각도 및 형태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미도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맞닿는 부분에는 원주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분할된 요철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F-F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인트유닛(20)의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와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경이 상호 상이할 경우, 상기 상이한 내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25)가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상부 및 개구된 하부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는 그 내경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서로 상이한 내경에 상관없이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와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를 아울러 상기 조인트유닛(20)이 호환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25)에는 상기 제1형합면(23)과 상기 제2형합면(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형합면(23)은 내경이 작은 원통돌기의 내주면과 형합되도록 형성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내주면(1b)과 형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형합면(24)은 내경이 큰 원통돌기의 내주면과 형합되도록 형성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주면(2b)과 형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형합면(23)과 제2형합면(24)은 그 외경이 서로 상이하므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비연속적인 단차부(26)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26)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돌출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인트유닛(20)을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상부에 연결할 경우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내측에 돌설된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와, 그와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접촉보강고정부(25)가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내주면(1b)과 상기 제1형합면(23)이 형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인트유닛(2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형합면(23)의 일단에 상기 제2형합면(24)이 연결되되, 상기 제2형합면(24)은 상기 제1형합면(23)과 비연속적인 단차부(26)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차부(23)에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단부가 걸림 구속되면서 상기 조인트유닛(20)과의 결합 깊이가 제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유닛(20)을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하부에 연결할 경우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 내측에 돌설된 상기 접촉보강요철부(4)와, 그와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접촉보강고정부(25)가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형합면(24)은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주면(2b)과 대응되어 형합될 수 있는 외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인트유닛(2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인트유닛(20)은 내경이 상이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와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를 아울러 호환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25)에 상기 제1형합면(23)과 상기 제2형합면(24)이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조립을 위한 별도의 보조부재를 구입하는 등의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3a)와 홈부(3c)가 교호되어 형성되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4)와 상기 접촉보강고정부(25)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형합면(23) 및 제2형합면이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주면(1b,2b)와 실질적인 형합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와 조인트유닛(20)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조립된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인트유닛(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200)과 기출시된 다면체 블록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형합면(23) 또는 제2형합면(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경이 기설정된 사이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200)에 형성된 중공형 원통돌기(1,2)의 외경은 기출시된 다면체 블록에 형성된 원통돌기와 내경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상이한 원통돌기가 형성된 블록간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형합면(23) 또는 제2형합면(24) 중 어느 하나의 외경을 기출시된 다면체 블록에 형성된 원통돌기의 내경과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조인트유닛(20)을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기존에 소지중인 다면체 블록과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완구(200)를 호환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다른 완구를 사기 위한 비용이 절감되므로 경제적이다.
한편, 도 6a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에 적용가능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G-G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보강가이드돌기(37)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유닛(30)에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외주면(1a)을 감싸도록 형합되는 상기 보강가이드돌기(3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조인트유닛(30)에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측에 돌설된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35)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조인트유닛(30)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또는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주면(1b,2b)과 상호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와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경이 상이할 경우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내주면(1b)에 대응되는 제1형합면(33)과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주면(2b)에 대응되는 제2형합면(34)이 비연속적인 단차부(36)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상부에 상기 조인트유닛(30)을 연결할 경우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내주면(1b)과 상기 제1형합면(33)이 상호 형합되도록 결합되며, 이때 상기 제1형합면(33)와 상기 제2형합면(34)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부(36)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돌출높이와 상호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외주면(1a)을 감싸도록 상기 단차부(36)의 테두리를 따라 기설정된 폭으로 상기 보강가이드돌기(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가이드돌기(37)가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를 감싸면서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가이드돌기(37)의 외경은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형합면(3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유닛(30)과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 사이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원통돌기(1,2)의 내경이 동일할 경우에도 상기 조인트유닛(30)에 상기 보강가이드돌기(3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강가이드돌기(37)의 내주면은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외주면(1a,2a)과 상호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보강가이드돌기(37)의 돌설된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의 돌설된 높이와 동일하거나 짧도록 형성되며, 그리하여 상기 조인트유닛(30)을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에 끼움 결합되더라도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와 상기 접촉보강고정부(35) 사이의 결합력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완구에 적용가능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8) 및 접촉보강고정부(9)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보강요철부(8) 및 접촉보강고정부(9)는 상술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는 그 일례로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측 하면 또는 조인트유닛(4) 중 어느 일측에는 방사형 또는 비연속적인 돌기 형태의 상기 접촉보강요철부(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타측에는 상기 접촉보강요철부(8)의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합되도록 접촉보강고정부(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보강요철부(8)와 접촉보강고정부(9)는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면과 상기 조인트유닛(40)의 단부가 상호 형합되는 프로파일이라면 연속적인 원형 또는 점상의 복수개의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촉보강요철부(8)와 상기 접촉보강고정부(9)가 상호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또는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주면(1b,2b)과 상기 조인트유닛(30)의 형합면(43,44)이 상호 형합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300)와 상기 조인트유닛(40) 간의 결합력이 개선되도록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1) 및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2)의 내주면 또는 상기 조인트유닛(40)의 형합면(43,44)의 외주면 중 어느 일면에는 원주를 따라 링형상의 걸림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의 타측으로 상기 링형상의 걸림단턱이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걸림단턱이 상기 걸림홈에 후크 체결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조립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유닛이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조인트유닛(50)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보강요철부(7)가 형성된 측면부 중공형 홈부(5)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한 구름동작 되도록 일단부에 상기 측면부 중공형 홈부(5)의 내주면과 상호 형합되는 접촉보강회전부(51)와 타단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바퀴부재(52)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유닛(5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보강회전부(51)는 상기 회전조인트유닛(50)이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의 측면에 연결되어 결속되도록 상기 접촉보강요철부(3)와 상호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바퀴부재(52)는 베어링과 같은 회전부재(53)에 의해 연결되어 자동차 모양 등의 구조물에 체결하여 밀고 당김에 따라 회전하여 구름동작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전기적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바퀴부재(52)에 동력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촉보강회전부(51)는 본 도면에서는 상기 바퀴부재(52)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바퀴부재(52)의 양측면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접촉보강회전부(51)는 상기 바퀴부재(52)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바퀴부재(52)가 구비된 상기 회전조인트유닛(50)이 더 연결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블록완구(200)를 이용하여 단지 조립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움직이면서 즐길 수 있는 등 다방면으로 유익하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응용놀이를 통한 어린이들의 지적, 창의력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 2 :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
3,4,7 : 접촉보강요철부 5 : 측면부 중공형 홈부
6 : 보강브라켓 8 : 측면부브라켓
10,20,30,40 : 조인트유닛 13 : 형합면
14,25,35,45 : 접촉보강고정부 23,33,43 : 제1형합면
24,34,44 : 제2형합면 26,36,46 : 단차부
37 : 보강가이드돌기 50 : 회전조인트유닛
51 : 접촉보강회전부 52 : 바퀴부재
53 : 회전부재 100,200,300 : 조립식 블록완구

Claims (5)

  1. 다면체로 형성되되, 상기 다면체의 상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와, 상기 다면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복수개의 중공형 원통돌기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는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를 포함하는 조립식 블록완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 및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측에는 원주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접촉보강요철부가 구비되며,
    양단부에 상기 접촉보강요철부와 형합되어 끼움 결합되되, 상기 접촉돌기의 외면과 상기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주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접촉보강고정부를 포함하는 조인트 유닛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하구는 개구되며,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는 상기 다면체의 개구된 하측 내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다면체의 측면부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내측에 접촉보강요철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부브라켓을 포함하는 측면부 중공형 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돌기에는 종방향으로 개구된 슬롯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공형 원통돌기와 상기 하부 중공형 원통돌기의 내경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이한 내경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접촉보강고정부의 외주면은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완구.
KR1020130141075A 2013-11-20 2013-11-20 조립식 블록완구 KR10152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75A KR101521194B1 (ko) 2013-11-20 2013-11-20 조립식 블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75A KR101521194B1 (ko) 2013-11-20 2013-11-20 조립식 블록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194B1 true KR101521194B1 (ko) 2015-05-18

Family

ID=5339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075A KR101521194B1 (ko) 2013-11-20 2013-11-20 조립식 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19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746A1 (ko) * 2015-07-10 2017-01-19 (주)앤스브릭 코리아 조립식 블록
KR20170042850A (ko) 2015-10-12 2017-04-20 장문석 조립식 완구블럭
KR101923086B1 (ko) 2017-04-21 2018-11-28 권용진 유아용 기능성 변형결합완구
KR101915939B1 (ko) 2018-08-23 2019-01-07 주식회사 끄레블코리아 유아용 스마트 블록
KR102054074B1 (ko) 2018-06-27 2019-12-09 이재희 Iot 통합형 입체 퍼즐 블록
CN111712310A (zh) * 2018-01-30 2020-09-25 沙尔有限责任公司 用于建设套装的积木
KR102213369B1 (ko) * 2019-11-06 2021-02-09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조립식 완구블럭
KR20220050397A (ko)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끄레블 색상 인식을 이용한 영유아용 코딩 블록완구
KR20220056940A (ko) 2020-10-29 2022-05-09 (주)나비북스 콘형 조립식 블록완구
KR200495487Y1 (ko) 2021-07-27 2022-06-03 강수은 놀이용 이음블럭
KR102450381B1 (ko) 2021-09-13 2022-09-30 손주호 다방면으로 조립이 가능한 놀이블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536A (ko) * 1999-01-15 2001-11-14 브라이언 쏘렌센 / 스텐 쥬울 피터슨 테넌에 의하여 스냅으로 상호 연결되는 완구 조립 세트
US20070123137A1 (en) * 2005-11-29 2007-05-31 Michael Marzetta Construction system
US20080160875A1 (en) * 2005-08-15 2008-07-03 Boaz Leicht Interconnectible Building Elements For Intellectual Challenge Games
WO2013118238A1 (ja) * 2012-02-06 2013-08-15 株式会社アーテック 連結可能な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536A (ko) * 1999-01-15 2001-11-14 브라이언 쏘렌센 / 스텐 쥬울 피터슨 테넌에 의하여 스냅으로 상호 연결되는 완구 조립 세트
US20080160875A1 (en) * 2005-08-15 2008-07-03 Boaz Leicht Interconnectible Building Elements For Intellectual Challenge Games
US20070123137A1 (en) * 2005-11-29 2007-05-31 Michael Marzetta Construction system
WO2013118238A1 (ja) * 2012-02-06 2013-08-15 株式会社アーテック 連結可能なブロック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746A1 (ko) * 2015-07-10 2017-01-19 (주)앤스브릭 코리아 조립식 블록
CN107073343B (zh) * 2015-10-12 2020-01-17 科睿博韩国株式会社 组装式玩具块
KR20170042850A (ko) 2015-10-12 2017-04-20 장문석 조립식 완구블럭
WO2017065402A1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끄레블코리아 조립식 완구블럭
CN107073343A (zh) * 2015-10-12 2017-08-18 科睿博韩国株式会社 组装式玩具块
KR101896144B1 (ko) * 2015-10-12 2018-09-07 장문석 조립식 완구블럭
US10343080B2 (en) 2015-10-12 2019-07-09 Crevel Korea Co., Ltd. Assembling toy block
KR101923086B1 (ko) 2017-04-21 2018-11-28 권용진 유아용 기능성 변형결합완구
CN111712310A (zh) * 2018-01-30 2020-09-25 沙尔有限责任公司 用于建设套装的积木
KR102054074B1 (ko) 2018-06-27 2019-12-09 이재희 Iot 통합형 입체 퍼즐 블록
KR101915939B1 (ko) 2018-08-23 2019-01-07 주식회사 끄레블코리아 유아용 스마트 블록
KR102213369B1 (ko) * 2019-11-06 2021-02-09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조립식 완구블럭
KR20220050397A (ko)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끄레블 색상 인식을 이용한 영유아용 코딩 블록완구
KR20220056940A (ko) 2020-10-29 2022-05-09 (주)나비북스 콘형 조립식 블록완구
KR200495487Y1 (ko) 2021-07-27 2022-06-03 강수은 놀이용 이음블럭
KR102450381B1 (ko) 2021-09-13 2022-09-30 손주호 다방면으로 조립이 가능한 놀이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194B1 (ko) 조립식 블록완구
KR100695293B1 (ko) 자석식 블록 완구
JP7100621B2 (ja) 玩具組立要素
JP4740410B2 (ja) 組立式ジャングルジム
KR101377026B1 (ko) 조립식 완구
AU2004204560A1 (en) Joining apparatus with rotatable magnet therein and built-up type toy with the same
WO2013118238A1 (ja) 連結可能なブロック
KR10107950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44767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101673471B1 (ko)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기구
KR101851749B1 (ko) 바퀴모형 조립형 연결부재
KR20170065212A (ko)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KR200434337Y1 (ko) 자석식 블록 완구
KR101714642B1 (ko) 조립 유닛
JP3210884U (ja) チェーンブロック組立玩具用輪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KR20140100714A (ko) 완구용 블럭
KR101389927B1 (ko)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블록 커넥터
KR20110028698A (ko) 조립 완구
KR20130040967A (ko) 두뇌 개발과 창의력 향상을 위한 유아 및 어린이용 블록완구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0995722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468907B1 (ko) 조립완구용 자석모듈
KR20120035058A (ko) 입체구조물 조립용 블록 및 이의 이용방법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