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998B1 -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998B1
KR101520998B1 KR1020120110032A KR20120110032A KR101520998B1 KR 101520998 B1 KR101520998 B1 KR 101520998B1 KR 1020120110032 A KR1020120110032 A KR 1020120110032A KR 20120110032 A KR20120110032 A KR 20120110032A KR 101520998 B1 KR101520998 B1 KR 10152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display
display
light
operation pan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6166A (en
Inventor
사다오 기타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과제)
특히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 수단)
본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는, 투광성의 제 1 조작 표시부 (15) 및 비투광성의 프레임체 (20) 를 구비하고, 표면이 조작면 (2a) 으로 되어 있는 조작 패널 (2) 과, 조작 패널 (2) 의 이면측에 배치된 액정 디스플레이 (3) 와, 프레임체 (20) 의 일부에 형성된 투광성의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와, 입력 조작을 검지 가능한 투광성의 센서 부재 (4) 를 갖는다. 제 1 조작 표시부 (15) 는 유리 부재 (11) 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체 (20) 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체 (20) 는 착색되어 비투광성으로 되어 있고,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도광체가 상기 공간부 내에 유지되어 있다.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서는, 도광체, 센서부 및 액정 디스플레이가 대향하고 있다.
(assignme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Solution)
The inpu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2 having a light-transmitting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and a non-transmissive frame 20, the surface of which is an operation surface 2a, 2, a light-transmissiv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16 to 19 formed on a part of the frame body 20, and a light-transmitting sensor member 4 capable of detecting an input operation .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is formed of a glass member 11, and the frame body 20 is made of resin. The frame body 20 is colored and non-transmissive,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and the light guide body is held in the space portion.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the light guide, the sensor par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face each other.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Input devic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조작 패널과, 조작 패널의 이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와, 조작 위치를 검지 가능한 센서부를 갖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having an operation panel, a display devic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operation panel, and a sensor portion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position.

특허문헌 1 에는 도광로가 형성된 표시 패널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는, 패널의 이면에 도광로와 도광로에 대한 광원을 구비한 표시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도광로는 평면 방향으로 복수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각 도광로로 유도되어 각 표시부를 조광 (照光) 할 수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invention of a display panel in which a light guide passage is formed. This patent document discloses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light guide for a light guide passage and a light guide passage on the back surface of a panel. A plurality of light guide paths are formed in a planar direction, and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guided to each of the light guide paths to illuminate each display section.

또 특허문헌 2 에는, 휴대 단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서는, 중앙부에 큰 표시부와, 표시부 주위의 위치에 형성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조작부의 이면에는 위치 검지가 가능한 패드부 및 유기 EL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n invention of an input device used in a portable terminal device or the like. In Patent Document 2, a large display portion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and an operation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around the display portion, and a pad portion and an organic EL element capable of position detection ar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operation portion.

그러나 특허문헌 2 에서는, 상기 표시부 및 조작부 (명시부) 가 형성된 조작 패널이 어떠한 재질 구성에 의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2, it is not clear what kind of material constitutes the operation panel on which the display portion and the operation portion (specification portion) are formed.

예를 들어 고급감을 내기 위해 조작 패널 전체를 유리 부재로 한 구성으로 하면, 조작부 (명시부) 의 가공이나 가식 (加飾) 등의 각종 비용이 가산되어, 제조 비용이 대폭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For example, if the entire operation panel is made of a glass member to give a sense of quality, various costs such as machining and decoration of the operation unit (the clear unit) are added,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16044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1604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02124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02124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종래에 비해 화면 시인성의 향상과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screen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는,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투광성의 제 1 조작 표시부 및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비투광성의 측부를 구비하고, 표면이 조작면으로 된 조작 패널과,A light-transmissiv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and a non-transmissive side portion positioned on a side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the operation panel having a surface as an operation surface,

상기 조작 패널의 상기 조작면과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이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와,A display device disposed on a back side of the operation panel opposite to the operation surface in a height direction;

상기 측부의 일부에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조작면을 향하여 광을 투과시키는 도광체가 형성되어 구성된 투광성의 제 2 조작 표시부와,A light-transmitting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formed on a part of the side portion and formed with a light guide for transmitting light from the back surface toward the operation surface;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 및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대한 입력 조작을 검지 가능한 투광성의 센서 부재를 갖고,And a light-transmitting sensor member capable of detecting an input operation to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의 광원으로 되어 있고,The display device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o extend to a position opposed to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serve as a light source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는 유리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는 착색되어 비투광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측부의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광체가 상기 공간부 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서는, 상기 도광체,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표시 장치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Wherein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formed of a glass member, the side portion is made of resin, the side portion is colored and non-transparent, a spac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of the side portion, And the light guide, the sensor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unit.

본 발명에서는, 제 1 조작 표시부를 유리 부재로 하고, 제 1 조작 표시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를 수지로 형성하였다. 측부를 착색하여 비투광성으로 하고, 상기 측부의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 내에 도광체를 유지하여 제 2 조작 표시부를 구성하였다.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서는, 도광체, 센서 부재 및 표시 장치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를 제 2 조작 표시부에 대한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made of glass and the side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made of resin. And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space portion in a part of the side portion and holding the light guide in the space portion.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the light guide, the sensor member, and the display device face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is used as a light source for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section.

본 발명에서는 제 1 조작 표시부의 부분만 유리 부재로 하고, 측부를 수지로 함으로써, 양호한 화면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어 고급감을 낼 수 있음과 함께, 측부의 위치에 간단하고 적절하게 제 2 조작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광원으로서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 2 조작 표시부의 조광 형태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ood visibility of the screen can be maintained by using only a portion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as a glass member and a side portion made of resin, and a high-quality feeling can be obtained, and a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display device is used as the light sourc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dimming form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가 복수 형성되고, 투광성 기재 상에 각 제 2 조작 표시부에 위치하는 각 도광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광성 기재와 각 도광체가 일체로 되어 성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각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 도광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are provided, and respective light guides dispos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are provided on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nd the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and each light guide are integrally molded have. As a result, the light guide can be formed at the position of each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with a simple structure.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형성된 상기 도광체의 평면 형상은,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와 거의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혹은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보다 크게 형성된다. 특히 도광체의 평면 형상을 제 2 조작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의 전환에 맞추어, 제 2 조작 표시부에서 여러 가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shape of the light guide form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same shape as the display form display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or the display form . In particular, since the planar shape of the light guide is formed larger than the display form display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section, various displays can be realized i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change in the display apparatus.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조작 패널과 상기 표시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on panel and the display devi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member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 부재는, 정전 용량식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member is a capacitive sensor.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member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extend to a position opposed to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센서부와,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센서부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member is formed separately from a first sensor portion facing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portion facing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측부가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panel and the side portion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an adhesive memb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부는 프레임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조작 표시부를 유리 부재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 부재의 주위를 수지의 프레임체로 지지할 수 있어 조작 패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portion is formed in a frame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operation indicator is formed of a glass member, the periphery of the glass member can be supported by the frame of the resin, which is suitable because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panel can be improved.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 패널이 평판상으로 형성되는 구성, 혹은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 (外周部) 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 등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anel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or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may be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또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혹은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device is preferably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EL display.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조작 표시부의 부분만 유리 부재로 하고, 측부를 수지로 함으로써, 양호한 화면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어 고급감을 낼 수 있음과 함께, 측부의 위치에 간단하고 적절하게 제 2 조작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광원으로서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 2 조작 표시부의 조광 형태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a portion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made of a glass member and the side portion is made of resin, good screen visibility can be maintained and a high-quality feeling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Further, since the display device is used as the light sourc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dimming form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can be increased.

도 1(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력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c) 는, 도 1(b) 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2 는, 도광체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와는 상이한 도광체의 사시도.
도 4 는, 도 1(c) 와 상이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5 는, 도 1(b) 와 상이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의 종단면도.
도 6 은, 도 1(a) 와 상이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의 평면도.
도 7 은, 도 1(b) 의 변형예인 입력 장치의 종단면도.
도 8(a), 8(b), 8(c) 는, 도 1(c) 의 변형예인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1 (a) is a plan view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c)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b).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guid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guide different from Fig. 2; Fig.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device in the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 1 (c). Fig.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put device in the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 1 (b). Fig.
Fig. 6 is a plan view of an input device in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 1 (a).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device, which is a modification of Fig. 1 (b). Fig.
8 (a), 8 (b), and 8 (c) are partially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input device, which is a variation of FIG. 1 (c).

도 1(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력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c) 는, 도 1(b) 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1 (a) is a plan view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c)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b). Fig.

도 1 에 나타내는 X 방향 및 Y 방향은 평면 내에서 직교하는 2 방향을 가리킨다. Z 방향은 평면에 직교하는 높이 방향이다.The X and Y directions shown in Fig. 1 indicate two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plane. The Z direction is a heigh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 (1) 는 휴대 전화나 휴대 게임기 등의 조작 입력 장치를 구성하고, 케이스체의 조작면측에 위치하는 것이다.The input devic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tes an operation input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portable game machine and is located on the operation surface side of the case body.

도 1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 (1) 는, 조작 패널 (2) 과,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측에 배치된 액정 디스플레이 (LCD) (표시 장치) (3) 와, 조작 패널 (2) 과 액정 디스플레이 (3) 사이에 배치된 센서 부재 (4) 를 갖고 구성된다.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3) 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로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40) 를 사용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1 shown in Fig. 1 includes an operation panel 2,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isplay device) 3 disposed on the back side 2b side of the operation panel 2, And a sensor member 4 dispos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The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For example, the organic EL display 40 can be used as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도 1(a), 1(b), 1(c) 에 나타내는 조작 패널 (2) 의 표면 (2a) 이 조작면 (이하, 조작면 (2a) 이라고 칭한다) 이다.The surface 2a of the operation panel 2 shown in Figs. 1 (a), 1 (b) and 1 (c) is the operation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surface 2a).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패널 (2) 은, 중앙부의 사각형의 영역이 평판상의 유리 부재 (11) 이고, 유리 부재 (11) 를 둘러싸는 주위의 영역이 프레임체 (측부) (20) 이다. 유리 부재 (11) 는 프레임체 (20) 에 접착 부재 (30) (도 1(c) 참조) 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평판상의 유리 부재 (11) 는 투광성이고, 표시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투광성이란, 투명 또는 반투명 등 광을 투과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있고, 투과율이 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tangular area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2 is a flat glass member 11, and the surrounding region surrounding the glass member 11 is a frame member (side member) 20. The glass member 11 is fixed to the frame body 20 via an adhesive member 30 (see Fig. 1 (c)). The flat glass member 11 is transparent and can transmit display ligh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ranslucency means a state in which light such as transparent or translucent is transmittable, and means that the transmittance is 50% or more, preferably 80% or more.

한편, 프레임체 (20) 는 투광성 부재에 착색제 등을 혼합하여 비투광성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체 (20) 는 금형에 열가소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한 것이다. 또한 프레임체 (20) 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화구나 송화구 등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체 (20) 에는 열가소성 수지 이외에,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body 20 is made non-transmissive by mixing a light-diffusing member with a coloring agent or the like. The frame body 20 is formed by filling a mold with a thermoplastic resin. In addition, the frame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openings such as hydration openings and sounding openings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thermoplastic resin, a thermosetting resin can be used for the frame body 20.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부재 (11) 의 표면 (11a) (조작면 (2a)) 은, 평면으로 형성되지만, 프레임체 (20) 의 표면 (20a) 은 외주 가장자리 (20b) 로부터 내주 (內周) 에 걸쳐서 완만하게 패여 있고, 이 때문에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11) 의 표면 (11a) 은, 프레임체 (20) 의 외주 가장자리 (20b) 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 도 1 에 나타내는 표면 형태는 일례이고, 예를 들어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20) 의 표면 (20a) 이 유리 부재 (11) 의 표면 (11a) 과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surface 11a of the glass member 11 is formed into a flat surface while the surface 20a of the frame member 20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20b to the inner periphery The surface 11a of the glass member 11 is positioned slightly below the outer peripheral edge 20b of the frame body 20 as shown in Fig. 1 (b). The surface shape shown in Fig. 1 is just an examp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 the surface 20a of the frame body 20 is continuous with the surface 11a of the glass member 11 As shown in FIG.

혹은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20) 표면 (20a) 의 외주 가장자리 (20b) 가 모따기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도 8(c) 과 같이 외주 가장자리 (20b) 로부터 유리 부재 (11) 의 표면 (11a) 방향을 향하여 프레임체 (20) 의 두께 치수가 늘어나도록 표면 (20a) 이 경사져 있고, 이 경사가 제 2 조작 표시부 (16) 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조작 표시부 (16) 의 표면도 경사져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b), the outer peripheral edge 20b of the surface 20a of the frame body 20 may be chamfered. The surface 20a is inclined such that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frame body 20 is increased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20b toward the surface 11a of the glass member 11 as shown in Fig. 8 (c) 2 operation display section 16 (the surface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section 16 is also inclined).

이와 같이 유리 부재 (11) 의 표면 (11a) 으로부터 그 주위에 위치하는 프레임체 (20) 의 표면 (20a) 에 걸쳐서, 평판형이나 곡면형 (오목형이나 볼록형 등) 으로 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make a flat plate shape or a curved shape (concave, convex, or the like) from the front surface 11a of the glass member 11 to the front surface 20a of the frame body 20 located therearound.

유리 부재 (11) 는 투광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조작 표시부 (15) 를 구성한다. 한편, 비투광성의 프레임체 (20) 의 일부에는 투광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표시 형태가 각각, 숫자 1, 2, 3, 4 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고, 예를 들어 특정한 아이콘 표시 등, 상이한 표시 형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The glass member 11 constitutes a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made of translucent material are formed on a part of the non-transmissive frame 20.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forms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are numerals 1, 2, 3 and 4, respectively.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for example, .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표시부 (15) 의 표면은 조작 패널 (2) 의 중앙에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나타난다. 제 1 조작 표시부 (15) 는, 조작 패널 (2) 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 (3) 의 화면 표시를 제 1 조작 표시부 (15) 를 통해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the surface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appears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operation panel 2. [ The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occupies most of the operation panel 2 and the screen displa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can be viewed through the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표시부 (15) 의 주위에 수지 (플라스틱) 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20)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체 (20) 의 X 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체 후단부 (後端部) (20c) 에 투광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또 프레임체 후단부 (20c) 의 반대측의 프레임체 전단부 (前端部) (20d) 에는 도시하지 않은 로고 타입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A frame body 20 made of resin (plastic) is formed around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as shown in Fig. 1 (a). A plurality of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made of translucent material are formed on the frame body rear end portion 20c located in the X direction of the frame body 20, for example. For example,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is arranged in a line with an interval in the Y direction. A logo type or the lik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front end portion 20d of the frame body opposite to the frame rear end portion 20c.

도 1(b),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20) 와 유리 부재 (11) 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간격 내에 접착 부재 (30) 가 충전되어 있고, 이로써,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의 측면끼리가 접착 부재 (30) 를 개재하여 접합된다. 또한, 접착 부재 (30) 자체는 응력을 흡수 완화하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변화에 의해 프레임체 (20) 와 유리 부재 (11) 가 팽창 수축되더라도, 상기 유리 부재 (11) 로부터 프레임체 (20) 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화된다.As shown in Figs. 1 (b) and 1 (c), the frame member 20 and the glass member 11 are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adhesive member 30 is filled in the gap,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ember 11 and the frame body 20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the adhesive member 30. Further, the bonding member 30 itself acts as a buffer layer for absorbing and absorbing stress.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stress applied to the frame body 20 from the glass member 11 is alleviated even if the frame body 20 and the glass member 11 are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temperature change.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11) 의 외측 측면 (11c) 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20) 의 내측 측면 (20e) 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11) 의 외측 측면 (11c) 의 경사각 θ1 은, 프레임체 (20) 의 내측 측면 (20e) 의 경사각 θ2 보다 크다. 여기서 경사각 θ1, θ2 는 유리 부재 (11) 의 이면 (11b) 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로 나타난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11) 의 종단면은 사다리꼴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c), the outer side surface 11c of the glass member 11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Fig. 1 (c), the inner side surface 20e of the frame body 2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ation angle? 1 of the outer side surface 11c of the glass member 11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2 of the inner side surface 20e of the frame body 20 as shown in Fig. 1 (c). Here, the inclination angles? 1 and? 2 appear as inclination angles from the back surface 11b of the glass member 11. As shown in Fig. 1 (b),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glass member 11 has a trapezoidal shape.

이와 같이, 유리 부재 (11) 의 외측 측면 (11c) 의 경사각 θ1 쪽이, 프레임체 (20) 의 내측 측면 (20e) 의 경사각 θ2 보다 크기 때문에, 유리 부재 (11) 를 프레임체 (20) 내에 무리 없이 삽입할 수 있다.Since the inclination angle? 1 of the outer side surface 11c of the glass member 11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2 of the inner side surface 20e of the frame member 20, the glass member 11 is placed in the frame member 20 It can be inserted without difficulty.

또한 유리 부재 (11) 를 프레임체 (20) 에 끼워 넣기 전에, 접착 부재 (30) 를, 미리 유리 부재 (11) 의 외측 측면 (11c) (혹은 프레임체 (20) 의 내측 측면 (20e)) 에 도포해 두어도 되고, 또는 유리 부재 (11) 를 프레임체 (20) 에 끼워 넣은 후, 유리 부재 (11) 의 외측 측면 (11c) 과 프레임체 (20) 의 내측 측면 (20e) 사이의 간극 내에 접착 부재 (30) 를 충전해도 된다.Before the glass member 11 is fitted into the frame body 20, the adhesive member 30 is preliminarily placed on the outer side surface 11c of the glass member 11 (or the inner side surface 20e of the frame member 20) Or after the glass member 11 is sandwiched in the frame body 20 and then the glass member 11 is placed in the gap between the outer side face 11c of the glass member 11 and the inner side face 20e of the frame body 20 The adhesive member 30 may be filled.

도 1(b),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은, 유리 부재 (11) 및 프레임체 (20) 의 각 이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면 (2b) 은 평면으로 형성된다.The back surface 2b of the operation panel 2 is composed of the back surfaces of the glass member 11 and the frame body 20 as shown in Figs. 1 (b) and 1 (c) Plane.

도 1(b),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에 투광성의 센서 부재 (4) 가 아크릴계 점착제 등의 투광성의 점착층을 개재하여 첩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b) and 1 (c), the light-transmitting sensor member 4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2b of the operation panel 2 via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such a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예를 들어 센서 부재 (4) 는, 기재를 개재하여 상부 전극층과 하부 전극층 (도시하지 않음) 이 대향하고, 손가락이 접근했을 때에 전극층과 손가락 사이의 정전 용량에 의한 신호의 변화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이다. 또한 정전 용량식 센서의 구조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전극층은 ITO 등의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고, 각 전극층을 지지하는 기재는 투명 기재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sensor member 4 has a structure in which an upper electrode layer and a lower electrode layer (not shown)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substr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capacitance for detecting a change in signal due to the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 layer and the finger It is an expression sensor. The structure of the capacitive sensor is not limited. Each of the electrode layers is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such as ITO, and the substrate supporting each of the electrode layers is formed of a transparent substrate.

이와 같이 센서 부재 (4) 를 구비함으로써, 손가락 등으로 조작면 (2a) 상을 조작했을 때에 그 조작 위치 좌표를 센서 부재 (4) 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sensor member 4 in this manner, the operation position coordinates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4 when the operation surface 2a is operated with a finger or the like.

센서 부재 (4) 를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측이 아닌 조작면 (2a) 측에 배치할 수도 있지만,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으로 하는 편이 센서 부재 (4) 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센서 부재 (4) 를 조작 패널 (2) 의 조작면 (2a) 측에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센서 부재 (4) 로서는 정전 용량식 센서뿐만 아니라 저항막식 센서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The sensor member 4 may be disposed on the operation surface 2a side of the operation panel 2 but not on the back surface 2b side of the operation panel 2, The degree of freedom of placement is high.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nsor member 4 is disposed on the operation surface 2a side of the operation panel 2, not only the capacitive sensor but also a resistive film sensor can be used as the sensor member 4.

또 센서 부재 (4) 를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에 첩착하지 않고, 예를 들어, 센서 부재 (4) 를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으로부터 분리하여, 조작 패널 (2) 과 액정 디스플레이 (3)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센서 부재 (4) 를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에 첩착함으로써 조작 패널 (2) 과 센서 부재 (4) 사이의 위치 맞춤을 적절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sensor member 4 can be detached from the back surface 2b of the operation panel 2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2b of the operation panel 2,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sensor member 4 on the back surface 2b of the operation panel 2 by aligning the operation panel 2 with the sensor member 4 It can be carried out appropriately and simply.

도 1(b),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 (2) 의 이면 (2b) 측에는,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액정 디스플레이 (3) 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b) and 1 (c),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2b side of the operation panel 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1(a) 에는 점선으로 센서 부재 (4) 및 액정 디스플레이 (3) 의 외측 가장자리 (外緣) 가 나타나 있다. 도 1(a), 1(b),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표시부 (15) 를 구성하는 유리 기재 (11), 센서 부재 (4) 및 액정 디스플레이 (3) 가 높이 방향 (Z) 으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조작 표시부 (15) 의 조작면 (2a) 을 입력 조작했을 때, 조작 위치 좌표를 센서 부재 (4) 에 의해 검지할 수 있고, 또 액정 디스플레이 (3) 의 표시 화면을 제 1 조작 표시부 (15) 를 통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부재 (4) 에 의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3) 의 표시 화면을 바꿀 수 있다.In Fig. 1 (a), the sensor member 4 and the outer edg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The glass substrate 11, the sensor member 4,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constituting the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are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A, 1B, Z).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surface 2a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is input, the operation position coordinates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member 4 and the display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can be detected by the first operation And can be view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 And the display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can be changed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by the sensor member 4.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투광성의 프레임체 (20) 의 일부에 투광성의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b),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서는, 프레임체 (20) 의 표면 (조작면) (20a) 으로부터 이면 (20f) 에 걸쳐서 도광체 (25 ∼ 28) (도 1(a) 도 참조. 또한 도 1(b), 1(c) 에는 도광체 (25) 만이 도시되어 있다) 가 형성되어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ssiv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are formed in a part of the non-transmissive frame 20. As shown in Figs. 1 (b) and 1 (c), in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the light guide body 20 is provided from the front surface (operation surface) 20a to the back surface 20f of the frame body 20 (Only the light guide body 25 is shown in Figs. 1 (b) and 1 (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25 to 28 (see Fig.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서는, 프레임체 (20) 의 표면 (조작면) (20a) 으로부터 이면 (20f) 에 걸쳐서 관통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각 공간부 내에 성형품으로서의 도광체 (25 ∼ 28) 가 접착제 등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In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a spa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peration surface) 20a of the frame body 20 to the back surface 20f is formed, and the light guide body 25 28 are held by an adhesive or the like.

도광체 (25) 는 투광성 수지의 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light guide 25 is preferably a molded article of a light transmitting resin, and is formed of an acrylic resin or the like.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체 (20) 에 착색제 등을 혼입하여 프레임체 (20) 를 비투광성 재료로 형성하고, 프레임체 (20) 의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부분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 내에 도광체 (25 ∼ 28) 를 유지함으로써, 광을 각 도광체 (25 ∼ 28) 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을 향하여 적절하게 투과시킬 수 있고,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body 20 is made of a non-transparent material by mixing a colorant or the like into the frame body 20,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of the frame body 20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transmit light from the back surface side to the front surface side of each of the light guide members 25 to 28 by holding the light guide members 25 to 28 in the space portion, 19) can be increased.

또 프레임체 (20) 와 도광체 (25) 의 재질을 바꾸어 이색 성형할 수도 있다.Further, the frame 20 and the light guide 25 may be made different in two materials.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 1(b),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부재 (4) 및 액정 디스플레이 (3) 가 각 도광체 (25 ∼ 28) 와 높이 방향 (Z) 으로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표면 (20a) (조작면 (2a)) 을 손가락 등으로 입력 조작 (접촉) 했을 때, 조작 위치 좌표의 검지가 가능한 센서 부재 (4) 에 의해, 어느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 입력 조작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 (3) 를 광원으로 하여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조광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센서 부재 (4) 에 의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조작 표시부 (15) 를 통해 볼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3) 의 화면 표시를 바꾸거나, 혹은 어느 특정의 기능을 시작하거나, 또는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조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member 4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are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Z (see FIG. 1A), 1 (b), and 1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surface 20a (operation surface 2a) of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is input (contacted)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sensor member 4 capable of detecting the operation position coordinates , It is possible to detect whi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has been operated. Further,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can be dimmed 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as a light sourc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creen displa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visible through the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signal by the sensor member 4 or to start a certain function, The dimming state of the display portions 16 to 19 can be chang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작 표시부 (15) 를 유리 부재 (11) 로 하고, 제 1 조작 표시부 (15) 의 측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체 (측부) (20) 를 수지로 형성하였다. 프레임체 (20) 를 착색하여 비투광성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체 (20) 의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 내에 도광체 (25 ∼ 28) 를 유지하여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를 구성하였다.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위치에서는, 도광체 (25 ∼ 28), 센서 부재 (4) 및 액정 디스플레이 (3) 가 높이 방향 (Z) 으로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3) 를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 대한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is made of the glass member 11, and the frame body (side portion) 20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is made of resin. The second manipul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hold the light guides 25 to 28 in the space portion so that the second manipul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are made transparent by coloring the frame body 20, Respectively. The light guides 25 to 28, the sensor member 4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Z at the positions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In this embodiment,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is used as a light source for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19.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작 표시부 (15) 의 부분만 유리 부재 (11) 로 하고, 프레임체 (20) 를 착색된 수지로 하여, 프레임체 (20) 의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 내에 이면으로부터 표면에 걸쳐 광을 투과할 수 있는 도광체를 유지하여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로 함으로써, 양호한 화면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어 고급감을 낼 수 있음과 함께, 프레임체 (20) 의 위치에 간단하고 적절하게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3) 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조광 상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조작한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조광색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사이에서 일루미네이션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점멸시키거나 서서히 색이 변해가도록 동적인 조정을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portion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is made of the glass member 11, the frame body 20 is made of colored resin,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 a part of the frame body 2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od screen visibility and to provide a high-quality feeling by holding the light guide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from the back surface to the surface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in a simple and appropriate mann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is used as the light source, the dimming state of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can be freely chang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mming color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16-19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input operation, or to carry out illumination display betwee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s 16-19. You can also make dynamic adjustments to blink or gradually change color.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광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 플레이트 (13) 는, 평판상의 투광성 기재 (14) 의 표면에 각 도광체 (25 ∼ 28) 가 Y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각 도광체 (25 ∼ 28) 의 높이 치수는, 프레임체 (20) 의 두께 치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ight guide plate 13 has light guides 25 to 28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flat transparent substrate 1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Y direction. The height dimension of each of the light guides 25 to 28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frame body 20.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도광체 (25 ∼ 28) 의 평면 형상은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표시 형태에 일치하고 있다. 즉 도광체 (25) 의 평면 형상은 숫자 1 이고, 도광체 (26) 의 평면 형상은 숫자 2 이며, 도광체 (27) 의 평면 형상은 숫자 3 이고, 도광체 (28) 의 평면 형상은 숫자 4 이다.As shown in Fig. 2, the planar shapes of the light guides 25 to 28 coincide with the display forms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respectively. That is, the planar shape of the light guide body 25 is the numeral 1, the planar shape of the light guide body 26 is the numeral 2, the planar shape of the light guide body 27 is the numeral 3, 4.

도 2 에 나타내는 도광 플레이트 (13) 의 각 도광체 (25 ∼ 28) 와 프레임체 (20) 의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 형성된 공간부를 위치 맞춤하여 상기 도광 플레이트 (13) 를 프레임체 (20) 에 끼워 넣을 수 있다.The light guide plate 13 is positioned on the frame 20 by aligning the light guides 25 to 28 of the light guide plate 13 shown in Fig. 2 with the space portions formed in the respectiv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of the frame member 20,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20).

혹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평면 형상이 사각상(狀)으로 된 각 도광체 (32 ∼ 35) 를 갖는 도광 플레이트 (31) 로 해도 된다. 이 때, 각 도광체 (32 ∼ 35) 의 평면 형상은,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도광체 (32 ∼ 35) 의 평면 형상은,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 표시되는 숫자 1 ∼ 4 의 표시 형태보다 크게 형성된다. 각 도광체 (32 ∼ 35) 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 이외에도 원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the light guide plate 31 having the light guiding members 32 to 35 whose planar shape is a rectangular shape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planar shape of each of the light guides 32 to 35 is formed larger than the display form displayed on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planar shapes of the light guides 32 to 35 are formed larger than the display shapes of the numbers 1 to 4 display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respectively. The planar shape of each of the light guides 32 to 35 can be formed in a circle other than a quadrangle.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 나타나는 표시 형태 (실시형태에서는 숫자 1 ∼ 4) 는, 각 도광체 (32 ∼ 35) 와 높이 방향 (Z) 으로 대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3) 에서 작성되고, 액정 디스플레이 (3) 의 표시를, 각 도광체 (32 ∼ 35) 를 통해 입력 장치 (1) 의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3 의 도광 플레이트 (31) 를 사용하면,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표시 형태를, 액정 디스플레이 (3) 의 표시에 의해 자유롭게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display forms (numerals 1 to 4 in the embodiment) appearing i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units 16 to 19 are creat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facing the light guides 32 to 35 in the height direction Z, The displa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can be seen on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of the input device 1 through the light guides 32 to 35. [ Therefore, by using the light guide plate 31 of Fig. 3, the display form of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can be freely changed by the displa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3. [

도 4 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과 상이하게, 센서 부재 (36) 를 제 1 센서부 (37) 와 제 2 센서부 (38) 로 나누고 있다. 제 1 센서부 (37) 를 제 1 조작 표시부 (15) (유리 부재 (11)) 의 이면에 배치하고, 제 2 센서부 (38) 를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도광체 (25 ∼ 28)) 의 이면에 배치한다. 또한, 제 2 센서부 (38) 는,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의 이면에 각각 분리하여 배치해도 되고, 각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를 모두 커버하도록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해도 된다.4, the sensor member 36 is divided into a first sensor portion 37 and a second sensor portion 38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of Fig. The first sensor unit 37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unit 15 (the glass member 11) and the second sensor unit 38 is dispos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unit 16-19 (the light guide member 25 To 28). The second sensor unit 38 may be separately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units 16 to 19 or may extend in the Y direction so as to cover all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units 16 to 19 It may be formed into a strip shape.

제 1 센서부 (37) 와 제 2 센서부 (38) 를 동일한 센서 구조로 해도 되고 상이한 센서 구조로 해도 된다. 단 제 1 센서부 (37) 와 제 2 센서부 (38) 는 모두 정전 용량식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nsor unit 37 and the second sensor unit 38 may have the same sensor structure or different sensor structures.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first sensor unit 37 and the second sensor unit 38 are capacitive sensors.

또한 도 4 의 구성은, 제 1 조작 표시부 (15) 와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서 필요로 하는 센서 감도나 기능 등이 다른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특별히 그러한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는, 도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조작 표시부 (15) 에 대한 제 1 센서부와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에 대한 제 2 센서부를 하나의 센서 부재 (4) 로 하는 것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또 비용이 낮아져서 바람직하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is effective when the sensor sensitivity and the function required by the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and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section 16 to 19 are different, but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particular necessit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ensor portion for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and the second sensor portion for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 to 19 are used as one sensor member 4, Also, the cost is lowered.

또 도 5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는, 도 1(b) 에 나타내는 단면 구조의 일부를 바꾼 것이고, 프레임체 (20) 의 외주부 (20g) 를 하방을 향하여 만곡 형성되어 있어, 조작 패널 (2) 을 입체적인 구조로 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5 is a modification of a part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1 (b), and is curv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20g of the frame body 20, Structure.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유리 부재 (11) (제 1 조작 표시부 (15)) 의 X 방향의 양측에만 비투광성의 후단부 (50) 와 전단부 (51) 가 형성되며, 도 1 과 같이 프레임체 형상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후단부 (50) 에 복수의 제 2 조작 표시부 (16 ∼ 19) 가 형성된다. 도 6 의 형태에서는 제 1 조작 표시부 (15) 의 화면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단 도 1 과 같이 프레임체 (20) 로 하는 편이 유리 부재 (11) 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6, a non-transparent rear end portion 50 and a front end portion 51 are formed only on both sides in the X direction of the glass member 11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5) It does not form a sieve. A plurality of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16-19) are formed on the rear end (50). 6, the screen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5 can be made larger. The glass member 11 can be surely supported by the frame 20 as shown in Fig.

1 : 입력 장치
2 : 조작 패널
2a : 조작면
2b : 이면
3 : 액정 디스플레이
4, 36 : 센서 부재
11 : 유리 부재
13, 31 : 도광 플레이트
15 : 제 1 조작 표시부
16 ∼ 19 : 제 2 조작 표시부
20 : 프레임체
25 ∼ 28, 32 ∼ 35 : 도광체
30 : 접착 부재
37 : 제 1 센서부
38 : 제 2 센서부
1: Input device
2: Operation panel
2a: Operation face
2b:
3: Liquid crystal display
4, 36: sensor member
11: glass member
13, 31: light guide plate
15: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6 to 19: Second operation display section
20: frame body
25 to 28, and 32 to 35: light guides
30: Adhesive member
37: first sensor unit
38: second sensor unit

Claims (25)

투광성의 제 1 조작 표시부 및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비투광성의 측부를 구비하고, 표면이 조작면으로 된 조작 패널과,
상기 조작 패널의 상기 조작면과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이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와,
상기 측부의 일부에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조작면을 향하여 광을 투과시키는 도광체가 형성되어 구성된 투광성의 제 2 조작 표시부와,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 및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대한 입력 조작을 검지 가능한 투광성의 센서 부재를 갖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의 광원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는 유리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는 착색되어 비투광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측부의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광체가 상기 공간부 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의 위치에서는, 상기 도광체, 상기 센서 부재 및 상기 표시 장치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A light-transmissiv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and a non-transmissive side portion positioned on a side of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the operation panel having a surface as an operation surface,
A display device disposed on a back side of the operation panel opposite to the operation surface in a height direction;
A light-transmitting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formed on a part of the side portion and formed with a light guide for transmitting light from the back surface toward the operation surface;
And a light-transmitting sensor member capable of detecting an input operation to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The display device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o extend to a position opposed to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serve as a light source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Wherein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formed of a glass member, the side portion is made of resin, the side portion is colored and non-transparent, a spac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of the side portion, Wherein the light guide member is held in the space portion and the light guide member, the sensor member, and the display device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가 복수 형성되어, 투광성 기재 상에 각 제 2 조작 표시부에 위치하는 각 도광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성 기재와 각 도광체가 일체로 되어 성형되어 있는,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s are formed and light guides are disposed on the light-transmissive base member i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and the light-transmissive base member and the light guides are molded integral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형성된 상기 도광체의 평면 형상은,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light guide formed i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isplay form display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형성된 상기 도광체의 평면 형상은,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보다 크게 형성되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lanar shape of the light guide form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a display form displayed on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조작 패널과 상기 표시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on panel and the display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첩착되어 있는, 입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nsor member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operation pane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정전 용량식 센서인,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member is a capacitive sens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member is opposed to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extends to a position opposed to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제 1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센서부와, 상기 제 2 조작 표시부와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센서부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nsor member is formed separately from a first sensor portion facing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portion facing the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측부가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peration panel is formed by bonding the glass member and the side portion with an adhesive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프레임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side portion is formed in a frame-like shap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프레임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력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ide portion is formed in a frame-like sha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평판상으로 형성되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peration panel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평판상으로 형성되는, 입력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peration panel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평판상으로 형성되는, 입력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ration panel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평판상으로 형성되는, 입력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peration panel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외주부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ion surf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혹은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EL display.
KR1020120110032A 2011-11-21 2012-10-04 Input device KR1015209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3527 2011-11-21
JP2011253527A JP5806599B2 (en) 2011-11-21 2011-11-21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166A KR20130056166A (en) 2013-05-29
KR101520998B1 true KR101520998B1 (en) 2015-05-15

Family

ID=4849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032A KR101520998B1 (en) 2011-11-21 2012-10-04 Input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06599B2 (en)
KR (1) KR101520998B1 (en)
CN (1) CN103135835B (en)
TW (1) TWI471797B (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0254A1 (en) * 2005-07-21 2007-02-08 Robrecht Michael J Integration of touch sensors with directly mounted electronic components
KR100652755B1 (en) * 2005-08-30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phone of a touching and pushing type able to be backlighted
JP2007202124A (en) * 2005-12-28 2007-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put unit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ing input unit, and content data brows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device
JP5217199B2 (en) * 2007-03-16 2013-06-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TWI348636B (en) * 2007-08-03 2011-09-11 High Tech Comp Corp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panel thereof
JP2009154479A (en) * 2007-12-27 2009-07-16 Nissha Printing Co Ltd Glass insert molded article with capacitive sensor
CN101587388A (en) * 2008-05-21 2009-11-25 明基电通有限公司 Touch screen and electric system applying same
CN101315587B (en) * 2008-07-08 2010-12-29 圆展科技股份有限公司 Cursor controller
JP5510451B2 (en) * 2009-04-28 2014-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Touch panel,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201600667U (en) * 2009-10-30 2010-10-06 富创得科技股份有限公司 External input device
JP2011204419A (en) * 2010-03-25 2011-10-13 Shin Etsu Polymer Co Ltd Member for input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048974B1 (en) * 2010-04-01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CN102214523B (en) * 2010-04-09 2013-07-24 宏碁股份有限公司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key structure thereof
TWM421526U (en) * 2011-09-16 2012-01-21 Tpv Display Technology Xiamen One-piece monitor front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06599B2 (en) 2015-11-10
CN103135835B (en) 2016-01-20
JP2013109546A (en) 2013-06-06
CN103135835A (en) 2013-06-05
KR20130056166A (en) 2013-05-29
TWI471797B (en) 2015-02-01
TW201327337A (en)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774B1 (en) Glass composite, electronic device using glass composite, and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composite
TWI489336B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module thereof
CN102138118B (en) Coordinate sensor,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receiving unit
US10177194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EP2960631B1 (en) Display device
KR102435439B1 (en) Display device
KR20100084260A (en) Window combined touch screen panel
TWI494805B (en) Touch control panel, touch control screen structure thereof, and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thereof
US20150117055A1 (en) Display apparatus
JP5381446B2 (en) Display device
CN105760006B (en)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JP2014095992A (en) Electronic apparatus
US97667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capacitve touch keys to maximize user convenience
KR101520998B1 (en) Input device
KR102024862B1 (en) Display apparatus
US20220190044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US9442592B2 (en) Module structure of touch display panel
KR20120134635A (en) Film assembly for protecting lcd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55211B1 (en) Window panel
CN105223714A (en) The modular structure of touch-control display panel
CN206497391U (en) Electronic equipment
KR102535373B1 (en) Touch window
KR102646220B1 (en) touch type display device
JP2015073179A (en) Display device
JP2014078196A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