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296B1 - 자전거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296B1
KR101519296B1 KR1020140056297A KR20140056297A KR101519296B1 KR 101519296 B1 KR101519296 B1 KR 101519296B1 KR 1020140056297 A KR1020140056297 A KR 1020140056297A KR 20140056297 A KR20140056297 A KR 20140056297A KR 101519296 B1 KR101519296 B1 KR 10151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astened
frame
screw shaft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호
Original Assignee
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호 filed Critical 정용호
Priority to KR102014005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296B1/ko
Priority to US14/707,109 priority patent/US95274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6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vehicle front or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하여 자전거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안착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스크루 샤프트;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결합되는 슬리브; 상기 스크루 샤프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조임 볼트;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홀딩 레일; 및 상기 프레임을 자동차 내부에 결속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중/대형 SUV나 밴 등의 자동차 후방 공간에 설치하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분리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전거 운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전거 운반장치{Bicycle carri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하여 자전거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health)과 여가(leisure)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전거의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자전거에 관련한 여러 장비나 시설물 또는 기반 사업도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최근 자전거 타기는 도심을 벗어나서 좀더 여유롭게 타고자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자전거를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carrier) 관련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상기 운반장치의 실시 예로서 초기에는 자동차 상부의 루프 랙(roof rack)에 자전거를 고정하기 위한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자전거를 싣고 내리기 위해서 자전거를 자동차의 높이만큼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동차 후미의 트렁크에 고정 설치한 후 간편하게 자전거를 싣고 내릴 수 있는 형태의 운반장치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2105호(2012.02.09.)를 비롯한 여러 공개된 기술에는 자전거를 자동차 후미의 트렁크에 걸어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들은 자전거를 자동차의 외부에 매달고 이동하는 형태이므로 안전성에 있어서 매우 취약하고, 자동차를 주차한 상태에서는 자전거 절도에 대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대형 SUV나 밴 등의 자동차 후방 공간에 설치하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분리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운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 운반장치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축 결합하기 위한 포크(fork)와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가 각각 안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평평한 바닥에 안착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 결합구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포크가 끼워지는 스크루 샤프트;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 사이에 끼워지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 양측의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포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임 너트;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면서 자전거의 뒷바퀴가 안착하도록 형성된 홀딩 레일;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체결되면서 자동차 내부에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전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구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는 좌우 폭이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조임 너트는 외면이 프레임 상측으로 돌출되는 노브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홀딩 레일은 뒷바퀴의 좌우를 받쳐주도록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홀딩 레일에는 안착한 뒷바퀴를 결박하기 위한 결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딩 레일을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홀딩 레일 사이에 체결되는 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브래킷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보조 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자동차의 트렁크 바닥 양측에 형성된 화물 고정용 고리 또는 2열 시트에 끈을 결속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 하나 이상의 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고리가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 나사식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전거와 자전거 또는 자전거와 자동차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타이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이 로드는 단부에 형성된 가압 볼트를 조절하여 회전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의 바; 및 상기 바의 양측 끝단에 축 결합되는 집게;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 로드는 상기 타이 로드는 단부에 형성된 가압 볼트를 조절하여 회전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의 바; 및 상기 바의 양측 끝단에 축 결합되고, 조절 구멍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밴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전거 운반장치에 의하면 중/대형 SUV나 밴 등의 자동차 후방 공간에 설치하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분리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의 운반이 더욱 안전하고, 절도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운반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운반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운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운반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운반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자전거 운반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안착하도록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스크루 샤프트(200),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결합되는 슬리브(300), 상기 스크루 샤프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조임 볼트(400),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홀딩 레일(500) 및 상기 프레임을 자동차 내부에 결속하기 위한 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전거 운반장치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축 결합하기 위한 포크(fork)와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가 각각 안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크의 하단에는 통상적으로 자전거 앞바퀴의 축을 끼울 수 있도록 하부 일측이 개방된 축공이 형성되는바, 상기 축공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중/대형 SUV나 밴 등의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하여 자전거의 앞바퀴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앞바퀴가 축 결합되는 포크와 뒷바퀴를 안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자동차는 최소한 트렁크와 함께 운전석 뒤의 2열이 앞으로 평평하게 접혀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상기 트렁크 바닥의 후방 양측에는 적재된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고리가 제공되어 있어야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자전거 운반장치를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캠핑이나 레저(leisure)를 위한 중/대형 SUV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런 차량들은 대부분 화물 적재를 위한 고정용 고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평평한 바닥에 안착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 결합구(110)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전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자전거(10)의 크기 또는 상기 프레임(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후술하는 스크루 샤프트(200)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실시 예로서 양측에 후술하는 브래킷(520)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보조 결합구(1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보조 결합구(120)가 형성되는 이유는 후술하는 브래킷(520)을 프레임(100)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것인데, 예를 들어 국내의 경우 프레임(100)의 좌측에 브래킷(520)을 체결하여 홀딩 레일(500)을 고정하는 것이 편리하나, 외국의 경우 이와 반대로 프레임의 우측에 브래킷을 체결하여 홀딩 레일을 고정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선택적으로 방향을 교체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루 샤프트(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 결합구(110)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자전거(10)의 포크(11)가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루 샤프트(200)를 프레임(100)에 체결할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를 이용한다.
상기 슬리브(300)는 스크루 샤프트(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11)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슬리브(300)는 후술하는 조임 너트(400)를 이용하여 상기 포크(11)를 조일 때 상기 포크(11)가 좁혀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조임 너트(400)와 함께 포크(11)를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슬리브(300)는 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폭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한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자전거에 사용되는 포크(11)의 폭은 보통 100mm와 75mm의 두 가지가 있다. 이때, 자전거의 대부분은 포크의 폭이 100mm이지만 포크 폭이 75mm인 자전거도 상당히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300)는 좌우 전체의 폭이 100mm이면서 한쪽의 폭은 75mm 다른 한쪽의 폭은 25mm가 되도록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된 슬리브(300)를 이동하여 사용자의 포크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임 너트(400)는 상기 슬리브(300) 양측의 스크루 샤프트(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포크(11)를 조이거나 풀어주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임 너트(400)는 실시 예로서 외면에 프레임 상측으로 돌출되는 노브(4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노브(knob;41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임 너트(400)를 이용한 포크(11)를 조이고 풀어주는 것이 더욱 간편해진다.
상기 홀딩 레일(500)은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설치되면서 자전거(10)의 뒷바퀴(12)가 안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딩 레일(500)은 자전거(10)의 뒷바퀴(12)가 안착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자전거의 유동을 줄여준다.
상기 홀딩 레일(500)은 실시 예로서 뒷바퀴의 좌우를 받쳐주도록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됨에 따라 자전거의 바퀴 폭에 상관없이 중앙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딩 레일(500)은 다른 실시 예로서 안착한 뒷바퀴(12)를 결박하기 위한 결박부재(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박부재(510)는 홀딩 레일(500)에 안착한 바퀴를 묶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인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밴드와 상기 밴드를 연결하기 위한 후크(hook) 형태의 버클(buckl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딩 레일(500)을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상기 홀딩 레일(500) 사이에 체결되는 브래킷(520)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브래킷(520)은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태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과 상기 홀딩 레일의 저면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6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체결되면서 자동차 내부에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6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프레임에 대하여 하나의 전방과 다른 하나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600)은 실시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트렁크 바닥 양측에 형성된 화물 고정용 고리 또는 2열 시트에 끈을 결속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 하나 이상의 고리(6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600)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유닛(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볼트 유닛(62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수단(600)을 프레임(100)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상기 고정수단(6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면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본체(600a)와 상기 고리(610)가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600a)의 양측 단부에 나사식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6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리를 이용하여 차량에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재(600b)를 회전함으로써, 결속 상태를 더욱 팽팽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자전거와 자전거 또는 자전거와 자동차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타이 로드(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타이 로드(700)는 예를 들어 두 자전거 사이에 그리고 자전거와 헤드 레스트 사이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자전거가 흔들리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타이 로드(700)는 실시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에 형성된 가압 볼트를 조절하여 회전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의 바(710)와 상기 바(710)의 양측 끝단에 축 결합되는 집게(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 로드(7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형성된 가압 볼트를 조절하여 회전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의 바(710) 및 상기 바(720)의 양측 끝단에 축 결합되면서 조절 구멍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밴드(7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의하면 자전거와 자전거 또는 자전거와 헤드 레스트 사이의 거리에 따라 바(71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집게(720) 또는 밴드(730)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중/대형 SUV나 밴 등의 자동차 후방 공간에 설치하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분리한 상태에서 포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의 운반이 더욱 안전하고 절도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에 두 대의 자전거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대의 자전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대의 자전거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자동차의 2열 중 한 쪽 시트에 탑승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2열 시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운반장치가 결속된 상태에서도 언제든지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다.
10: 자전거 11: 포크
12: 뒷바퀴
100: 프레임 110: 결합구
120: 보조 결합구
200: 스크루 샤프트
300: 슬리브
400: 조임 너트 410: 노브
500: 홀딩 레일 510: 결박수단
520: 브래킷
600: 고정수단 600a: 본체
600b: 길이조절부재 610: 고리
620: 볼트 유닛
700: 타이 로드 710: 바
720: 밴드

Claims (14)

  1. 삭제
  2. 자전거(10)의 앞바퀴를 축 결합하기 위한 포크(fork:11)와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평평한 바닥에 안착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 결합구(110)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의 양측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포크가 끼워지는 스크루 샤프트(200);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 사이에 끼워지는 슬리브(300);
    상기 슬리브 양측의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포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임 너트(400);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면서 자전거의 뒷바퀴가 안착하도록 형성된 홀딩 레일(500);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체결되면서 자동차 내부에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전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구(110)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반장치.
  3. 자전거(10)의 앞바퀴를 축 결합하기 위한 포크(fork:11)와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평평한 바닥에 안착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 결합구(110)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의 양측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포크가 끼워지는 스크루 샤프트(200);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 사이에 끼워지는 슬리브(300);
    상기 슬리브 양측의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포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임 너트(400);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면서 자전거의 뒷바퀴가 안착하도록 형성된 홀딩 레일(500);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체결되면서 자동차 내부에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300)는 좌우 폭이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반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자전거(10)의 앞바퀴를 축 결합하기 위한 포크(fork:11)와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평평한 바닥에 안착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 결합구(110)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의 양측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포크가 끼워지는 스크루 샤프트(200);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 사이에 끼워지는 슬리브(300);
    상기 슬리브 양측의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포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임 너트(400);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면서 자전거의 뒷바퀴가 안착하도록 형성된 홀딩 레일(500);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체결되면서 자동차 내부에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딩 레일(500)을 프레임(100)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홀딩 레일 사이에 체결되는 브래킷(5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브래킷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보조 결합구(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자전거(10)의 앞바퀴를 축 결합하기 위한 포크(fork:11)와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평평한 바닥에 안착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에 결합구(110)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의 양측 결합구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포크가 끼워지는 스크루 샤프트(200);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 사이에 끼워지는 슬리브(300);
    상기 슬리브 양측의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포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임 너트(400);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면서 자전거의 뒷바퀴가 안착하도록 형성된 홀딩 레일(500);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체결되면서 자동차 내부에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전거와 자전거 또는 자전거와 자동차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타이 로드(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반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700)는
    단부에 형성된 가압 볼트를 조절하여 회전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의 바(710); 및
    상기 바의 양측 끝단에 축 결합되는 집게(7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반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700)는
    단부에 형성된 가압 볼트를 조절하여 회전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의 바(710); 및
    상기 바의 양측 끝단에 축 결합되고, 조절 구멍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밴드(7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반장치.
KR1020140056297A 2014-05-12 2014-05-12 자전거 운반장치 KR10151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97A KR101519296B1 (ko) 2014-05-12 2014-05-12 자전거 운반장치
US14/707,109 US9527455B2 (en) 2014-05-12 2015-05-08 Bicycle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97A KR101519296B1 (ko) 2014-05-12 2014-05-12 자전거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296B1 true KR101519296B1 (ko) 2015-05-11

Family

ID=5339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297A KR101519296B1 (ko) 2014-05-12 2014-05-12 자전거 운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27455B2 (ko)
KR (1) KR101519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6890S1 (en) * 2014-04-11 2016-05-24 Shaun Krebsbach Traffic cone holder
CN108327641A (zh) * 2017-01-20 2018-07-27 福特环球技术公司 定位装置及车辆
US11505132B2 (en) 2021-03-23 2022-11-22 Virapol Pitugnarongphor Bicycle moun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708U (ko) * 1989-09-28 1991-05-22
JP3052708B2 (ja) * 1993-12-14 2000-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01158280A (ja) * 1999-10-29 2001-06-12 Jac Prod Inc 車輛の貨物領域内で使用される自転車用キャリヤ装置
JP2008265673A (ja) * 2007-04-24 2008-11-06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自転車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1579B1 (ko) * 1971-06-26 1976-09-07
US5275319A (en) * 1990-03-29 1994-01-04 Bruce Ruana Bicycle rack wind deflector
US5362173A (en) * 1992-09-17 1994-11-08 Industri Ab Thule Lockable quick release mechanism
US5560498A (en) * 1994-09-01 1996-10-01 Porter; Kenneth R. Rack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bicycles
US5497927A (en) * 1994-10-28 1996-03-12 Peterson; Douglas C. Bicycle rack
DE202013011014U1 (de) * 2013-11-30 2015-03-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Fixierungseinrichtung für ein Fahrr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708U (ko) * 1989-09-28 1991-05-22
JP3052708B2 (ja) * 1993-12-14 2000-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01158280A (ja) * 1999-10-29 2001-06-12 Jac Prod Inc 車輛の貨物領域内で使用される自転車用キャリヤ装置
JP2008265673A (ja) * 2007-04-24 2008-11-06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自転車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1619A1 (en) 2015-11-12
US9527455B2 (en)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9231A (en) Bicycle carrier for motor vehicles
US5476203A (en) Bicycle crank shaft support carrier
US7857177B2 (en) Bicycle rack for a vehicle bed
US3931919A (en) Bicycle carrier for automobiles
US9440592B2 (en) Bicycle rack
US7641086B2 (en) Motorcycle rack for pickup trucks and trailers
US9254791B2 (en) Bicycle rack installable in a pickup truck bed or trailer
US20020053581A1 (en) Vehicle roof mounted bicycle carrier
KR101519296B1 (ko) 자전거 운반장치
KR20120094917A (ko) 차량용 진공 장착식 캐리어
US20050092800A1 (en) Rack for carrying enlongated objects on the vertical back of a vehicle
KR101859901B1 (ko) 자전거 운송용 트레일러
US9878653B2 (en) Tie down strap system for vehicles
US6045022A (en) Front mounted bicycle carrier
US10894514B2 (en) Wheel mounted cargo carrier
US7014398B1 (en) Motorcycle and ATV racking system for a vehicle
US20080152452A1 (en) Clamp for truck racks
WO2009018604A1 (en) Bicycle transport support
US9517729B2 (en) Adjustable and/or repositionable bicycle mount
US20110163140A1 (en) Transport device
US5662253A (en) Removable vertical ski rack for automobile interiors
US9150162B2 (en) Portable bicycle carrier system for automobiles
US8998050B1 (en) Bicycle carrying system
US20050247747A1 (en) Load carrier for use with a camper trailer
US10562434B2 (en) Configurable carrier for transporting bicycles inside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