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067B1 -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067B1
KR101519067B1 KR1020130104179A KR20130104179A KR101519067B1 KR 101519067 B1 KR101519067 B1 KR 101519067B1 KR 1020130104179 A KR1020130104179 A KR 1020130104179A KR 20130104179 A KR20130104179 A KR 20130104179A KR 101519067 B1 KR101519067 B1 KR 10151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m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ells
cel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957A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65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reducing network 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 범위가 한정적인 셀식별정보(PCI)를 셀 특히 설치계획이 없이 무작위로 설치되는 소형셀에 할당하여 이용하는데 있어서, 구역 별로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CELL IDENTIFICATION ALLOC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셀식별정보할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역 별로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LTE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Cell 크기를 가지는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환경이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커버리지(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공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들이 중첩된 영역에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을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매크로셀 및 소형셀 각각에는, 단말 입장에서 셀을 구분하기 위한 셀식별정보 예컨대 물리계층셀식별자(PCI : Physical Cell ID)가 할당된다.
헌데, 서로 인접한 2 이상의 셀에 중복된 셀식별정보(PCI)를 할당하는 경우, 단말 입장에서는, 중복된 셀식별정보(PCI)를 이용하는 2 이상의 셀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중복된 셀식별정보(PCI)를 할당한 2 이상의 소형셀이 포함되는 매크로셀 입장에서는, 2 이상의 소형셀 예컨대 소형셀A, 소형셀B 중 먼저 셀식별정보(PCI)를 이용하는 소형셀A 만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다른 하나의 소형셀B는 네이버셀로 등록하지 않기 때문에, 만약 매크로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이 소형셀B로 이동한다면 매크로기지국은 실제 소형셀B이 아닌 네이버셀로서 등록된 소형셀A의 소형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준비를 요청하게 되어 결국 핸드오버가 실패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전술과 같은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셀에 중복되지 않는 셀식별정보(PCI)를 할당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이용할 수 있는 셀식별정보(PCI)의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각 셀에 고유하게 할당하지 못하고 2 이상의 셀에 중복되는 셀식별정보(PCI)를 할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용 범위가 한정적인 셀식별정보(PCI)를 셀 특히 설치계획이 없이 무작위로 설치되는 소형셀에 할당하여 이용하는데 있어서,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구역 별로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들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소형셀확인부; 상기 다수의 소형셀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연관소형셀확인부;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돌여부판단부; 및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변경하는 셀식별정보할당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구역은, 2 이상의 매크로셀을 포함하는 크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돌여부판단부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동일한 특정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제1소형셀 및 제2소형셀과 관련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1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및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2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식별정보할당부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상기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을 제외한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특정 소형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특정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소형셀은, 상기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가장 작은 소형셀부터 상기 매크로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식별정보할당부는, 상기 특정 소형셀이 기 등록하고 있는 각 매크로셀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상기 각 매크로셀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은,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들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소형셀확인단계; 상기 다수의 소형셀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연관소형셀확인단계;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돌여부판단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변경하는 셀식별정보할당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돌여부판단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동일한 특정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제1소형셀 및 제2소형셀과 관련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1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및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2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식별정보할당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상기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을 제외한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특정 소형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소형셀이 기 등록하고 있는 각 매크로셀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상기 각 매크로셀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소형셀은, 상기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가장 작은 소형셀부터 상기 매크로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소형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매크로셀 및 소형셀이 공존하는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매크로셀 및 소형셀이 공존하는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최근 LTE 네트워크에서는 서로 다른 Cell 크기를 가지는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환경이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커버리지(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공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들이 중첩된 영역에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을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의 경우는, 매크로기지국10,20,30,40,50,60 등의 매크로기지국이 배치(설치)되고, 각 매크로기지국이 형성하는 각 매크로셀(예 : C10,C20,C30...) 내에는 수많은 소형기지국이 형성하는 수많은 소형셀(예 : C1,C2,C3,C4,C5,C6,C7...)이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각 매크로기지국 및 각 소형기지국은,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매크로기지국 및 각 소형기지국은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것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각 매크로셀 및 각 소형셀에는, 다른 셀과 구분하기 위한 셀식별정보 예컨대 물리계층셀식별자(PCI : Physical Cell ID)가 할당된다. 이에, 단말 입장에서는, 수신신호 내 셀식별정보(PCI)에 근거하여 셀을 구분할 수 있다.
헌데, 이용할 수 있는 셀식별정보(PCI)는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각 셀에 고유하게 할당하지 못하고 2 이상의 셀에 중복되는 셀식별정보(PCI)를 할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통신사업자가 매크로기지국을 설치할 때 특별한 설치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매크로기지국에 의한 매크로셀에는 중복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될 가능성이 낮을 것이다.
하지만, 펨토기지국, 피코기지국 등과 같은 소형기지국은 통신사업자에 의한 특별한 설치계획이 없이 데이터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나 가입자들의 요청에 의하여 무작위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소형기지국에 의한 소형셀에는 중복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치계획이 없이 무작위로 설치되는 소형셀에 할당하여 이용하는데 있어서,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반영된 통신시스템은, 다수의 소형기지국(100)과, 본 발명의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를 포함한다.
다수의 소형기지국(100)은,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 즉 셀에 위치하는 단말에 통신서비스 예컨대 음성통화서비스 또는 데이터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지국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의 소형기지국(100)은, 펨토셀, 피코셀 등과 같은 소형셀을 형성하는 펨토기지국장치, 피코기지국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소형기지국(100) 중에서 소형기지국1은 도 1의 소형셀C1을 형성하며, 소형기지국2는 도 1의 소형셀C2를 형성하며, 소형기지국3은 도 1의 소형셀C3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소형기지국(100) 다시 말해 소형기지국1,2,3... 20...는, 각각 소형셀C1,C2,C3...C20...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전술한 다수의 소형기지국(100)과 연동 및 정보 교환을 통해서, 각 소형기지국에 대한 정보(이하, 소형기지국별 정보라 함)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다수의 소형기지국(100) 각각에 대하여, 해당 소형기지국의 소형셀에 대한 셀고유정보(ECGI : 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셀식별정보(PCI), 네이버리스트(예 : 각 네이버셀의 셀식별정보(PCI), 셀고유정보(ECGI)), 위치정보(예 : 위/경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저장함으로써, 소형기지국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의 소형기지국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소형기지국1에 대한 정보로서, 소형기지국1이 형성하는 소형셀C1에 대한 셀고유정보(ECGI), 셀식별정보(PCI), 네이버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한다.
이때, 특정 구역이란, 2 이상의 매크로셀을 포함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반적인 매크로셀의 직경이 R이라고 가정하며, 특정 구역은 2*R을 가로길이 및/또는 세로길이로 갖는 구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특정 구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역A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소형기지국별 정보에 포함된 각 소형셀의 위치정보(예 : 위/경도)에 기초하여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을 확인하고, 이들 소형셀에 대한 정보들 즉 셀고유정보(ECGI), 셀식별정보(PCI), 네이버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전술의 확인한 소형셀 정보에 기초하여,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한다.
이때, 만약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각각에는 충돌 가능성이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
한편,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C9가 확인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소형셀C1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C4와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C10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을 것이며, 소형셀C4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C1,C5 각각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C10,C20 각각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을 것이며, 소형셀C5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C4와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C20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을 것이며, 소형셀C9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과 하나의 매크로셀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지 않을 것이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만약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C9 각각에는 비록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었지만 이들 간의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
한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전술과 같이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 예컨대 소형셀C1,C4,C5을 확인한 경우라면, 2 이상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소형셀C1,C4,C5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매크로셀 내에 서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소형셀들(예 : 소형셀A,B)이 존재한다면, 매크로셀에서는 소형셀A, 소형셀B 중 먼저 셀식별정보(PCI)를 이용하는 소형셀(예 : 소형셀A) 만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다른 하나의 소형셀B는 네이버셀로 등록하지 않는다.
따라서, 매크로셀 입장에서는, 소형셀A를 네이버셀로 등록하고 있기 때문에, 매크로셀 내의 단말이 소형셀B로 이동하여 소형셀B의 셀식별정보(PCI)를 매크로셀에 제공하면서 소형셀B로의 핸드오버를 시도한다면, 단말이 실제 이동한 소형셀B가 아닌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동일 셀식별정보(PCI)의 소형셀A로 핸드오버 준비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소형셀A는 매크로셀로부터 핸드오버 준비 요청에 따라 단말의 핸드오버 접속을 기다리게 되며, 매크로셀은 단말에게 소형셀A로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담은 핸드오버관련메시지(예: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한다.
이때, 단말의 핸드오버 타겟이 되는 소형셀은 소형셀B이고, 단말이 매크로셀로부터 받은 핸드오버관련메시지에 담긴 정보는 소형셀A의 정보이기 때문에 단말은 이를 이용하여 소형셀B로 접속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의 핸드오버 접속을 기다리는 소형셀A 입장에서는, 단말로부터 타임아웃 시간이 경과하도록 기다리던 핸드오버관련메시지(예 :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가 미 수신되어 핸드오버 실패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핸드오버성공률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별도의 통계서버(미도시) 또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에서는, 소형셀A을 비롯한 각 소형셀 별로, 전술과 같이 핸드오버관련메시지(예 :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가 미 수신됨에 따른 핸드오버 실패가 발생하게 될 때마다 소형셀에 대한 핸드오버 실패 이력을 기록/관리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한 핸드오버성공률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2 이상의 소형셀 예컨대 소형셀C1,C4,C5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는지 또는 특정 임계치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만약 소형셀C1,C4,C5에 출동되는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된 경우라면 소형셀C1,C4,C5 각각의 핸드오버성공률 간 차이가 클 것이라는 점 그리고 소형셀C1,C4,C5 중 매우 낮은 핸드오버성공률의 소형셀이 존재할 것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전술한 2 이상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 각각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예 : 10%)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2 이상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예 : C1)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한다.
여기서,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하는 구체적인 변경과정은, 도 3을 참조한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겠다.
한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들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소형셀확인부(210)와, 상기 다수의 소형셀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연관소형셀확인부(220)와,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돌여부판단부(230)와,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변경하는 셀식별정보할당부(240)를 포함한다.
소형셀확인부(21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들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형셀확인부(21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한다.
이때, 특정 구역이란, 2 이상의 매크로셀을 포함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반적인 매크로셀의 직경이 R이라고 가정하며, 특정 구역은 2*R을 가로길이 및/또는 세로길이로 갖는 구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특정 구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역A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소형셀확인부(210)는, 소형기지국별 정보에 포함된 각 소형셀의 위치정보(예 : 위/경도)에 기초하여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을 확인하고, 이들 소형셀에 대한 정보들 즉 셀고유정보(ECGI), 셀식별정보(PCI), 네이버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전술의 확인한 소형셀 정보에 기초하여, 소형셀확인부(21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한다.
이때, 만약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소형셀확인부(21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각각에는 충돌 가능성이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
이때, 다음 구역B가 현재 구역A의 동쪽이라고 가정하면, 다음 구역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구역A 내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하는 소형셀(예 : 소형셀C9)을 가장 서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음 구역B가 현재 구역A의 서쪽이라고 가정하면, 다음 구역B는 현재 구역A 내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하는 소형셀을 가장 동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역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음 구역B가 현재 구역A의 북쪽 또는 남쪽이라고 가정하면, 다음 구역B는 현재 구역A 내에서 가장 북쪽 또는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 소형셀을 가장 남쪽 또는 가장 북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역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관소형셀확인부(220)는, 소형셀확인부(210)에서 확인한 다수의 소형셀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한다.
즉, 연관소형셀확인부(220)는, 전술과 같이 소형셀확인부(210)에서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C9가 확인된 경우라면,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소형셀C1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C4와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C10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을 것이며, 소형셀C4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C1,C5 각각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C10,C20 각각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을 것이며, 소형셀C5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C4와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C20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을 것이며, 소형셀C9의 경우는 다른 소형셀과 하나의 매크로셀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등록하고 있지 않을 것이다.
이에, 연관소형셀확인부(220)는,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관소형셀확인부(220)의 확인 결과, 만약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C9 각각에는 비록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었지만 이들 간의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형셀확인부(21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
충돌여부판단부(230)는, 연관소형셀확인부(220)에서 확인한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연관소형셀확인부(220)에서 확인한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충돌여부판단부(230)는, 연관소형셀확인부(220)에서 전술과 같이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을 확인한 경우라면,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충돌여부판단부(230)는, 2 이상의 소형셀 예컨대 전술의 소형셀C1,C4,C5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2 이상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동일한 특정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제1소형셀 및 제2소형셀과 관련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1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및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2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돌여부판단부(230)는, 전술한 통계서버(미도시) 또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에서 기 관리되는 소형셀별 핸드오버성공률로부터, 전술한 2 이상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 각각의 핸드오버성공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돌여부판단부(230)는, 소형셀C1에 대해서는 네이버셀인 매크로셀C10으로부터 소형셀C1로의 핸드오버성공률(C10 -> C1), 소형셀C4에 대해서는 네이버셀인 매크로셀C1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10 -> C4) 및 매크로셀C2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20 -> C4) 및 매크로셀C5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50 -> C4), 소형셀C5에 대해서는 네이버셀인 매크로셀C20으로부터 소형셀C5로의 핸드오버성공률(C20 -> C5)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충돌여부판단부(230)는, 전술과 같이 확인한 소형셀C1,C4,C5 각각의 핸드오버성공률 즉 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C20 -> C4 핸드오버성공률, C50 -> C4 핸드오버성공률 및 C20 -> C5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2 이상의 소형셀 중 동일한 특정 매크로셀 예컨대 매크로셀C10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제1소형셀 즉 소형셀C1 및 제2소형셀 즉 소형셀C4와 관련하여, 매크로셀C10으로부터 소형셀C1로의 핸드오버성공률(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및 상기 매크로셀C1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충돌여부판단부(230)는, 2 이상의 소형셀 중 동일한 특정 매크로셀 예컨대 매크로셀C20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제1소형셀 즉 소형셀C4 및 제2소형셀 즉 소형셀C5와 관련하여, 매크로셀C2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20 -> C4 핸드오버성공률) 및 상기 매크로셀C20으로부터 소형셀C5로의 핸드오버성공률(C20 -> C5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충돌여부판단부(230)는, 전술한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 즉, 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및 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 또는 C20 -> C4 핸드오버성공률 및 C20 -> C5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충돌여부판단부(230)의 확인 결과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말해 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및 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와 C20 -> C4 핸드오버성공률 및 C20 -> C5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 모두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이 아니라면,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형셀확인부(21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충돌여부판단부(230)의 확인 결과에 따라서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면,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충돌여부판단부(230)는, 전술과 같이 확인한 소형셀C1,C4,C5 각각의 핸드오버성공률 즉 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C20 -> C4 핸드오버성공률, C50 -> C4 핸드오버성공률 및 C20 -> C5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2 이상의 소형셀 중 특정 임계치(예 : 10%) 이하의 핸드오버성공률을 갖는 소형셀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충돌여부판단부(230)의 확인 결과 특정 임계치(예 : 10%) 이하의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지 않으면,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형셀확인부(21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충돌여부판단부(230)의 확인 결과에 따라서 특정 임계치(예 : 10%) 이하의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예 : 소형셀C4의 핸드오버성공률),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술한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각각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 중에서, 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및 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라고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라면,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충돌여부판단부(230)에서 전술한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각각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소형셀C1,C4,C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한다.
이하에서는,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하는 구체적인 변경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중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을 제외한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특정 소형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특정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한다.
여기서, 특정 소형셀은, 상기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가장 작은 소형셀부터 상기 매크로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중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예 : C5)을 제외한 나머지 소형셀(예 :C1,C4) 중에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할 특정 소형셀을 선택한다.
이때,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나머지 소형셀 즉 소형셀C1,C4 각각의 네이버리스트를 기초로, 소형셀C1,C4 중에서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가장 작은 소형셀을 특정 소형셀로서 선택한다. 도 1의 경우라면,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하나의 매크로셀C10만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C1을 특정 소형셀로서 가장 먼저 선택할 것이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선택한 특정 소형셀 즉 소형셀C1이 기 등록하고 있는 각 매크로셀을 확인하고, 특정 소형셀 즉 소형셀C1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상기 각 매크로셀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한다.
다시 말해,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선택한 특정 소형셀 즉 소형셀C1이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C10을 확인하고, 소형셀C1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매크로셀C10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C2,C3,C4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셀식별정보(PCI)의 전체범위에서, 매크로셀에만 할당 가능한 매크로셀전용범위(예 : 0 ~ M)가 구분되며, 소형셀에만 할당 가능한 소형셀전용범위(예 : M ~ N)가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소형셀C1이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C10을 확인하고, 매크로셀C10을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기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C2,C3,C4를 매크로셀C10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이 것으로 확인하고, 소형셀전용범위(예 : M ~ N)에서 전술의 확인한 소형셀C2,C3,C4 각각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제외한 나머지 셀식별정보(PCI)를 확인한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소형셀전용범위(예 : M ~ N) 내에서 할당 가능한 나머지 셀식별정보(PCI)가 남아 있으면, 나머지 셀식별정보(PCI) 중에서 어느 하나의 셀식별정보(PCI)를 특정 셀식별정보(PCI)로서 결정한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소형셀C1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전술의 나머지 셀식별정보(PCI) 중에서 결정한 특정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한다.
한편, 소형셀전용범위(예 : M ~ N) 내에서 할당 가능한 나머지 셀식별정보(PCI)가 남아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이미 매크로셀C10 내에 존재하는 각 소형셀들에 소형셀전용범위(예 : M ~ N)의 셀식별정보(PCI) 모두 할당한 경우일 것이다.
이러한 경우라면,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더 이상 매크로셀C10에 존재하는 소형셀(예 : 소형셀C1)에 대해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하지 않는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하지 않은 소형셀(예 : 소형셀C1)에 대해서 운영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식별기능(예 : 알람, 팝업을 수행함으로써, 운영자로 하여금 수동으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할 수 있게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과 같이 구역A 내의 나머지 소형셀C1,C4 중 하나의 매크로셀C10 만을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C1을 특정 소형셀로서 선택하여 소형셀C1의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하면,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음 순서 즉 두개의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을 특정 소형셀로서 선택할 것이다.
헌데, 도 1의 경우라면, 두개의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이 없으므로,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음 순서 즉 세개의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C4을 특정 소형셀로서 선택할 것이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선택한 특정 소형셀 즉 소형셀C4가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각 매크로셀C10,C20,C50을 확인하고, 매크로셀C10,C20,C50 중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네이버리스트에 기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C1,C2,C3,C5,C6,C7,C8,C14,C15,C16,C17(이때, 소형셀C1의 셀식별정보(PCI)는 변경된 상태임)을 각 매크로셀C10,C20,C50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이 것으로 확인하고, 소형셀전용범위(예 : M ~ N)에서 전술의 확인한 소형셀C1,C2,C3,C5,C6,C7,C8,C14,C15,C16,C17(이때, 소형셀C1의 셀식별정보(PCI)는 변경된 상태임) 각각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제외한 나머지 셀식별정보(PCI)를 확인한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소형셀전용범위(예 : M ~ N) 내에서 할당 가능한 나머지 셀식별정보(PCI)가 남아 있으면, 나머지 셀식별정보(PCI) 중에서 어느 하나의 셀식별정보(PCI)를 특정 셀식별정보(PCI)로서 결정한다.
이에, 셀식별정보할당부(240)는, 소형셀C4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전술의 나머지 셀식별정보(PCI) 중에서 결정한 특정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한다.
전술과 같이 셀식별정보할당부(240)가 구역A 내의 나머지 소형셀C1,C4 모두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함에 따라 구역A에 대한 변경이 완료되면, 소형셀확인부(21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가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
물론, 소형셀확인부(210)는, 현재 구역A가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최종 구역이라면, 더 이상 다음 구역으로 이동(선택)하는 일 없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본 발명의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가 직접 소형기지국별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예를 들면, 소형기지국별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소형기지국관리서버(미도시)가 구성되며, 본 발명의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소형기지국관리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서 소형기지국별 정보를 참조(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는, 이용 범위가 한정적인 셀식별정보(PCI)를 셀 특히 설치계획이 없이 무작위로 설치되는 소형셀에 할당하여 이용하는데 있어서,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다수의 소형셀 중에서 소형셀C1,C4,C5를 도시하였다.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을 확인한다(S10).
이에, 특정 구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역A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소형기지국별 정보에 포함된 각 소형셀의 위치정보(예 : 위/경도)에 기초하여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을 확인하고(S10), 이들 소형셀에 대한 정보들 즉 셀고유정보(ECGI), 셀식별정보(PCI), 네이버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전술의 확인한 소형셀 정보에 기초하여,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한다(S20).
이때, 만약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이 확인되지 않는다면(S20 No),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각각에는 충돌 가능성이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S80).
한편,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C9가 확인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S20 Yes),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한다(S30).
이때, 만약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이 확인되지 않는다면(S30 No),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C9 각각에는 비록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었지만 이들 간의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S80).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을 확인할 수 있다(S30 Yes).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전술과 같이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 예컨대 소형셀C1,C4,C5를 확인한 경우라면, 2 이상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이때, 만약 2 이상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40 No),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C9 각각에는 비록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었지만 이들 간의 충돌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의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다(S80).
한편,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40 Yes),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예 : C1)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한다.
즉,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는, 소형셀C1,C4,C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예 : C1)에 대하여 변경할 특정 셀식별정보(PCI)를 결정하고(S50), 결정한 특정 셀식별정보(PCI)를 소형기지국1에 전송하여 소형셀C1에 할당함으로써(S60), 소형기지국1로 하여금 소형셀C1의 현재 셀식별정보(PCI)를 특정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S7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을 확인한다(S100).
이에, 특정 구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역A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별 정보에 포함된 각 소형셀의 위치정보(예 : 위/경도)에 기초하여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을 확인하고(S100), 이들 소형셀에 대한 정보들 즉 셀고유정보(ECGI), 셀식별정보(PCI), 네이버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전술의 확인한 소형셀 정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한다(S110).
구역A 내의 소형셀C1,C2,C3,C4,C5,C6,C7,C8,C9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C9가 확인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S110 Yes),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한다(S120).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소형셀 즉 소형셀C1,C4,C5,C9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로서, 소형셀C1,C4,C5을 확인할 수 있다(S120 Yes).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 예컨대 소형셀C1,C4,C5을 확인한 경우라면,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핸드오버성공률을 확인한다(S130).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셀C1에 대해서는 네이버셀인 매크로셀C10으로부터 소형셀C1로의 핸드오버성공률(C10 -> C1), 소형셀C4에 대해서는 네이버셀인 매크로셀C1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10 -> C4) 및 매크로셀C2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20 -> C4) 및 매크로셀C50으로부터 소형셀C4로의 핸드오버성공률(C50 -> C4), 소형셀C5에 대해서는 네이버셀인 매크로셀C20으로부터 소형셀C5로의 핸드오버성공률(C20 -> C5)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확인한 소형셀C1,C4,C5 각각의 핸드오버성공률 즉 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C20 -> C4 핸드오버성공률, C50 -> C4 핸드오버성공률 및 C20 -> C5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소형셀 예컨대 소형셀C1,C4,C5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예 : 10%)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소형셀C1,C4,C5 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술한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각각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 중에서, C10 -> C1 핸드오버성공률 및 C10 -> C4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라고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각각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예 : 50%)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소형셀C1,C4,C5에 할당된 동일한 셀식별정보(PCI)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140 Yes),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예 : C1)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한다.
이하에서는,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하는 구체적인 변경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중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을 제외한다(S150).
예를 들어,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중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이 소형셀C5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소형셀 즉 구역A 내의 소형셀C1,C4,C5 중 소형셀C5를 제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50단계에서 제외한 소형셀C5를 제외한 나머지 소형셀C1,C4 중에서, 셀식별정보(PCI)를 변경할 특정 소형셀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를 의미하는 N을 1로 설정하고(S160), S150단계의 나머지 소형셀 즉 소형셀C1,C4 중에서 N=1 인 소형셀 즉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하나(=1)인 소형셀을 특정 소형셀로서 선택한다(S1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선택한 특정 소형셀 즉 소형셀C1이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C10을 확인하고, 소형셀C1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매크로셀C10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C2,C3,C4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PCI)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한다(S180).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구역A에 대한 변경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S190 No), 전술의 N에 1을 더해 N=2로 증가시키고(S210), 전술한 S170단계로 진입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50단계의 나머지 소형셀 즉 소형셀C1,C4 중에서 N=2 인 소형셀 즉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두개(=2)인 소형셀을 특정 소형셀로서 선택한다(S170).
헌데, 도 1의 경우라면, 두개의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소형셀이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80단계를 점프하고, 구역A에 대한 변경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S190 No), 전술의 N에 1을 더해 N=3로 증가시키고(S210), 전술한 S170단계로 진입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50단계의 나머지 소형셀 즉 소형셀C1,C4 중에서 N=3 인 소형셀 즉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세개(=3)인 소형셀을 특정 소형셀로서 선택한다(S1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선택한 특정 소형셀 즉 소형셀C4가 기 등록하고 있는 각 매크로셀C10,C20,C50을 확인하고, 소형셀C4에 할당한 셀식별정보(PCI)를, 각 매크로셀C10,C20,C50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C1,C2,C3,C5,C6,C7,C8,C14,C15,C16,C17(이때, 소형셀C1의 셀식별정보(PCI)는 변경된 상태임)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PCI)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한다(S180).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구역A에 대한 변경이 완료된 경우(S190 Yes), 현재 구역A가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최종 구역이 아니라면(S200 No),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특정 구역으로서 현재 구역A가 다음 구역B로 이동(선택)할 것이고(S220), 현재 구역A가 셀식별정보 충돌 판단을 위한 최종 구역이라면(S200 Yes), 더 이상 다음 구역으로 이동(선택)하는 일 없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이용 범위가 한정적인 셀식별정보(PCI)를 셀 특히 설치계획이 없이 무작위로 설치되는 소형셀에 할당하여 이용하는데 있어서,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구역 별로 동일 셀식별정보(PCI)가 중복 할당되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형셀을 찾아 충돌 없는 셀식별정보(PCI)로 변경함으로써, 소형셀 간 셀식별정보(PCI)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다수의 소형기지국
200 : 셀식별정보할당장치

Claims (12)

  1.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들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소형셀확인부;
    상기 다수의 소형셀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연관소형셀확인부;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돌여부판단부; 및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변경하는 셀식별정보할당부를 포함하며,
    상기 셀식별정보할당부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상기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을 제외한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특정 소형셀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특정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여부판단부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역은,
    2 이상의 매크로셀을 포함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동일한 특정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제1소형셀 및 제2소형셀과 관련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1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및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2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소형셀은,
    상기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가장 작은 소형셀부터 상기 매크로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식별정보할당부는,
    상기 특정 소형셀이 기 등록하고 있는 각 매크로셀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상기 각 매크로셀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
  8. 특정 구역 내의 소형셀들 중에서,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할당된 다수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소형셀확인단계;
    상기 다수의 소형셀 중에서, 다른 소형셀과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을 동일하게 네이버셀로서 등록한 2 이상의 소형셀을 확인하는 연관소형셀확인단계;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돌여부판단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변경하는 셀식별정보할당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셀식별정보할당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상기 핸드오버성공률이 가장 높은 소형셀을 제외한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특정 소형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소형셀이 기 등록하고 있는 각 매크로셀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소형셀에 할당한 셀식별정보를, 상기 각 매크로셀 내에 존재하는 소형셀에 기 할당한 셀식별정보와는 다른 특정 셀식별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여부판단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별로 확인되는 핸드오버성공률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차이 이상인 경우가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치 이하인 핸드오버성공률이 존재하면, 상기 2 이상의 소형셀에 할당된 상기 동일한 셀식별정보가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는,
    상기 2 이상의 소형셀 중 동일한 특정 매크로셀을 네이버셀로서 등록하고 있는 제1소형셀 및 제2소형셀과 관련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1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및 상기 특정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제2소형셀로의 핸드오버성공률 간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소형셀은,
    상기 나머지 소형셀 중에서, 네이버셀로서 기 등록하고 있는 매크로셀의 개수가 가장 작은 소형셀부터 상기 매크로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소형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104179A 2013-08-30 2013-08-30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1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79A KR101519067B1 (ko) 2013-08-30 2013-08-30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79A KR101519067B1 (ko) 2013-08-30 2013-08-30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957A KR20150025957A (ko) 2015-03-11
KR101519067B1 true KR101519067B1 (ko) 2015-05-12

Family

ID=5302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179A KR101519067B1 (ko) 2013-08-30 2013-08-30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5952B1 (en) * 2017-07-07 2020-02-1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957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132B1 (ko) Pci 충돌들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KR101122868B1 (ko) 홈 기지국의 물리계층 식별정보를 할당하는 장치 및 방법
EP2815599B1 (en) Communication system, identifier assignment device, base station, identifier assign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embodying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 device
US20110038326A1 (en) Distributed allocation of physical cell identifiers
KR20110027252A (ko) 자가조직 네트워크에서 셀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EP2749054B1 (en) Physical cell identity allocation
KR101573940B1 (ko) 매크로 셀들과 소형 셀들을 포함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셀 운영 방법 및 시스템.
RU2443061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шения конфликтов кода пилотных псевдослучайных помех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US20160269896A1 (en) Selection of a basestation physical layer identifier
US9699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CI classified self-configuration
KR101298377B1 (ko) 셀 식별자를 이용한 상향링크 프리엠블 충돌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1519067B1 (ko)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1101898B1 (ko) 채널 간섭을 회피하는 채널 할당 방법
KR102119247B1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2 단계 탐색 절차
KR101519066B1 (ko)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10149B1 (ko) 소형셀관리장치 및 소형셀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24662A (ko)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54383B1 (ko) 기지국식별정보할당장치 및 기지국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08060B1 (ko) 셀식별정보할당장치 및 셀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35816B1 (ko) 페이징식별정보지정장치 및 페이징식별정보지정장치의 동작 방법
JP61121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42157B1 (ko) 루트 시퀀스 인덱스 할당 및 재할당을 위한 방법
KR101420628B1 (ko) 기지국식별정보할당장치 및 기지국식별정보할당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71994B1 (ko) 소형셀관리장치 및 소형셀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09857A (ko) 기지국자원제어장치 및 기지국자원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