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773B1 -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73B1
KR101518773B1 KR1020080133484A KR20080133484A KR101518773B1 KR 101518773 B1 KR101518773 B1 KR 101518773B1 KR 1020080133484 A KR1020080133484 A KR 1020080133484A KR 20080133484 A KR20080133484 A KR 20080133484A KR 101518773 B1 KR101518773 B1 KR 10151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module
motor
current
home position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924A (ko
Inventor
변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773B1/ko
Priority to US12/638,084 priority patent/US8314582B2/en
Publication of KR2010007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5Self-adjusting arrangements, e.g. compensating for temperature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the sub-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4Detecting at frequent intervals, e.g. once per line for sub-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9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the scanning head or scanning carri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5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a scanning element or carriage, e.g. of a polygonal mirror, of a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1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in the sub-scan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스캐닝모듈을 홈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캐닝모듈이 홈 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의 구동전류를 최적화함으로써 화상의 독취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OTOR IN A 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의 구동전류를 최적화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복사기 등의 화상독취장치는 일반적으로 원고를 읽는 스캐닝모듈, 원고 화상을 일시적으로 저장, 편집, 전송 및 포맷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제어부 및 입력한 문서나 이미지 데이타를 받아 감광체에 상을 맺게 하여 현상하고 정착의 일련 과정을 수행하는 프린터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디지털 복사기의 분당 처리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캐너부의 고속화와 고해상도가 요구되는 추세이다. 예컨데, 복사기의 용도로 사용될 때의 스캐닝모듈은 고해상도보다 고속화에 적합해야 하고, 스캐닝의 용도로 사용될 때의 스캐너 부는 고속화 보다 고해상도에 적합해야 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복사기의 스캐너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스캐너와 달리 속도와 품질의 요구사항들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한편, 스캐닝모듈을 정밀하게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해, 광학적인 구성 방식 및 광학계의 운동량 전달 구조에 무관하게 스텝 모터가 사용된다. 이 때, 고속화를 요구하는 복사기의 스캐닝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텝 모터는 고속 특성이 취약하다. 더욱이 단순 100% 복사의 기본 기능뿐만 아니라 25%~400%까지의 확대 또는 축소 복사의 경우, 원고를 읽기 위해 다양한 속도에 대응하여 스텝 모터는 스캐너 부를 구동시켜야 한다. 만일, 스캐너 부를 적절하게 제어하지 않는다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원고의 화상에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의 구동전류를 최적화하여 화상 독취 성능을 향상시키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은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모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점차 증가시키고,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전류를 상기 증가된 전류값 혹은 상기 증가된 전류값보다 높은 전류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은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모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도달할 때마다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점차 감소시키고, 상기 스캐닝모듈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거나 혹은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전류를, 상기 모터에 공급되고 있는 현재의 전류값으로 감소되기 직전의 전류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캐닝모듈을 홈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캐닝모듈이 홈 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스캐 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의 구동전류를 최적화함으로써 스캐닝모듈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여 화상의 독취 화질을 높일 수 있고, 모터의 탈조시에도 빠른 시간내에 모터를 정상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캐닝모듈을 홈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캐닝모듈이 홈 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의 구동전류를 최적화함으로써 모터에 과도한 구동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막아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평판유리(50,51), 자동급지기(10), 스캐닝모듈(80)을 구비한다. x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모듈(80)이 화상의 독취를 위하여 이동되는 방향이다. y축 방향은 주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모듈(80)이 용지의 화상을 일시에 독취하는 방향이다.
일 실시예로서, 평판유리(50,51)는 자동급지기(ADF)(10)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지가 접촉되는 제1평판유리(50)와 정지된 용지가 접촉되는 제2평판유리(51)를 구비한다. 제1평판유리(50)와 제2평판유리(5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표시패널(40)에는 화상독취장치의 동작과 상태가 표시되고, 각종의 조작키가 구비된다. 급지대(20)에 적재된 용지는 자동급지기(10)에 의하여 제1평판유리(50)로 이송된다.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정지되어 있는 스캐닝모듈(80)은 용지에 기록된 화상을 독 취한다. 독취된 용지는 배지대(30)로 배출된다. 제1 및 제2평판유리(51)의 단부 사이에는 경사면을 가진 용지안내부재(70)가 마련된다. 용지안내부재(70)는 제1평판유리(50)를 통과하는 용지의 선단부를 배지대(30)로 안내한다. 자동급지기(10)에 의하지 않고 낱장으로 공급되는 용지는 제2평판유리(51) 상면에 놓여진다.
스캐닝모듈(80)이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서 스캐닝 방향(이하, x축 양의 방향과 일치한다.)으로 이송되며 정지된 용지의 화상을 독취한다. 스캐닝모듈(80)의 초기위치는, 일예로, 자동급지기(10)로 공급되는 용지의 독취시에는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이고, 정지된 용지의 독취시에는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스캐닝모듈 및 구동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되면서 용지(P)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모듈(80), 스캐닝모듈(80)을 부주사 방향을 따라 1축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11)이 도시된다.
스캐닝모듈(80)은 일반적인 스캐닝모듈(80)의 구성과 동일하게 용지(P)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과, 이 광원에서 방사된 광을 용지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광 반사부재와, 용지(P)를 독취한 광 신호를 집광하여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부와, 광원으로부터 렌즈부에 이르는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미러와,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스캐닝모듈(80)의 외장을 형성하는 프레임 등을 구비한다. 이미지 센서로는 용지를 스캐닝 하여 얻은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 센서(charge coupled device) 혹은 CIS 센서(contact image sensor)가 가능하다.
구동 모듈(110)은 스캐닝모듈 본체(81)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82)에 삽입되는 가이드 샤프트(104)를 구비한다. 가이드 구멍(82)은 가이드 샤프트(104)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스캐닝모듈(80)을 슬라이딩시킨다. 가이드 샤프트(104)의 양 단부는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가이드 샤프트 홀더(105)로 고정된다.
구동 모듈(110)은 스캐닝모듈(8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타이밍벨트(106, 101), 이 제1 및 제2타이밍벨트(106,101)를 각각 주행시키도록 외주에 치형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벨트풀리(97,99), 이 제1 및 제2벨트풀리(97,99)를 동심 축으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98), 구동 모터인 스텝 모터(91), 및 구동력 전달부재로서 스텝 모터(91)와 제1벨트풀리(97)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 열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기어 열은 구동 모터(91)와 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기어(92), 이에 연결되는 제2기어(93), 제3기어(94), 제4기어(95), 및 제5기어(96)를 포함한다. 기어 열은 구동모터(9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제1벨트풀리(97)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1타이밍벨트(106)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1벨트풀리(97)와, 제2타이밍벨트(101)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2벨트풀리(99)에는 그 외주에 치형이 형성된다. 용지(P)의 크기가 커질수록 스캐닝모듈(80)의 부피와 질량 및 슬라이딩 속도가 증가되므로 독취 불량의 우려가 증가된다. 제1 및 제2 타이밍벨트(106,101)와 벨트풀리(97,99)의 치형 결합에 의하여, 구동시의 슬립이 억제된다. 제1 및 제2벨트풀리(97,99)는 연결샤프트(98)에 의하여 동심 축으로 연결되므로, 스캐닝모듈(80)의 양 단부는 슬라이딩 속도가 동일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열, 벨트풀리(97, 99), 타이밍벨트(106, 101), 및 연결샤프트(98)에 의하여 스캐닝모듈(80)에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므로, 슬립(slip)발생이 없고 스캐닝모듈(80)의 위치 및 속도 제어가 정확하다.
구동 모듈(110)은 제1벨트풀리(97), 스텝 모터(91) 및 기어 열을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1 브라켓(90)과 제2 벨트풀리(99)를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시키는 제2 브라켓(100)을 구비한다.
제1 타이밍벨트(106)의 타 단부는 제3 벨트풀리(108)가 결합되고, 제2 타이밍벨트(101)의 타 단부는 제4 벨트풀리(103)가 결합된다. 제3 및 제4 벨트풀리(108,103)에도 치형이 형성된다. 제3 벨트풀리(108)는 제3 브라켓(107)에 의하여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된다. 제4 벨트풀리(130)는 제4 브라켓(102)에 의하여 화상독취장치 본체에 결합된다.
한편, 홈센서(120)는 스캐닝모듈(80)의 초기 위치인 홈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스캐닝모듈(80)의 홈 위치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홈센서(120)는 스캐닝모듈 본체(81)에 형성된 홈 위치 리브를 감지하여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아니면 홈 위치를 벗어났는지를 감지한다. 홈센서(12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광센서로 이루어진다.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홈센서(120)의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빛이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하지만, 스캐닝모듈(8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캐닝모듈 본체(81)에 형성된 홈 위치 리브가 홈센서를 벗어나기 때문에 홈센서(120)의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빛이 수광부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홈센서(1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캐닝모 듈(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감지부(210), 제어부(220), 모터구동부(230) 및 저장부(240) 등을 구비한다.
감지부(210)는 스캐닝모듈(80)이 초기위치인 홈 위치를 벗어났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홈센서(12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20)는 모터구동부(230)에 제어신호인 Vref 전압을 출력하여 스텝 모터(91)를 구동시킨다. 특히 제어부(220)는 스캐닝모듈(80)이 스텝 모터(91)의 최적의 구동전류를 찾는다. 또한, 제어부(220)는 모터구동부(230)를 통해 스텝 모터(91)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킨다.
모터구동부(230)는 모터 드라이브 IC로 이루어지며, 제어부(220)로부터의 출력된 제어신호(Vref)에 대응하는 구동전류(Iref)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전류(Iref)를 스텝 모터(91)에 출력한다. 스텝 모터(91)는 이 구동전류(Iref)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구동부(230)는 제어부(220)의 PWM 포트에 연결된다. 모터구동부(230)에 공급되는 Vref 전압은 제어부(220)에서 PWM 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변경된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20)에 의해 찾아진 스텝 모터(91)의 최적의 구동전류 및 이를 찾는데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스캐닝모듈을 홈 위치에서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홈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모터(91)가 정회전하는 경우, 스캐닝모듈(80)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스텝 모터(91)가 역회전하는 경우, 스캐닝모듈(80)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모듈(80)을 이동시키는 스텝 모터(91)의 구동전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텝 모터(91)를 정회전시켜 스캐닝모듈(80)을 일정위치(A)로 이동시킨다.
스텝 모터(91)를 일정위치(A)로 이동시킨 후 스텝 모터(91)를 역회전시켜 스캐닝모듈(80)을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과정에서 스캐닝모듈(80)이 일정위치(A)에서 홈 위치로 복귀하는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을 근거로 하여 제어부(220)에서 모터구동부(230)에 인가되는 Vref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값인 델타(delta) 만큼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최적의 구동전류값을 가지는 Vref 값을 찾는다. 구해진 Vref에 일정 마진(Margin)이 더해진 값이 최종적으로 스텝 모터(91)를 구동하기 위한 Vref 전압이 되고, 이 Vref 전압에 의해 최적의 구동전류가 구해진다. 여기서, B위치는 스캐닝모듈(80)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이동위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텝 모터(91)의 최적의 구동전류를 찾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스캐닝모듈(80)을 B 위치가 아닌 이보다 홈 위치에 가까운 A 위치까지만 스캐닝모듈(80)을 이동시킨 후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스텝 모터의 토크가 정상토크보다 적은 경우, 스텝 모터의 구동전류를 현재의 구동전류보다 증가시켜 구동전류를 최적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20)는 스캐닝모듈(80)을 홈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A)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텝 모터(91)를 정회전시킨다(300). 이때,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에 초기 전류값(V0)가 공급되게 한다.
스텝 모터(91)를 정회전시켜 스캐닝모듈(80)이 이동이 되게 한 후 홈센서(120)의 출력신호를 읽어 들인다(301).
홈센서(120)의 출력신호를 읽어 들인 후 스캐닝모듈(80)이 실제로 홈 위치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302). 예를 들어, 홈센서(120)의 출력신호가 하이신호이면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홈센서(120)의 출력신호가 로우신호이면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작동모드 302에서의 판단결과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를 벗어나지 않았으면,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의 구동전류를, 현재 스텝 모터(91)에 인가되고 있는 구동전류(Iref)에 미리 설정된 전류값(delta)만큼을 증가시킨 새로운 구동전류값(Iref')로 설정한 후(303), 작동모드 30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모터구동부(230)에 출력하는 Vref 전압을, 증가된 구동전류값에 대응하는 전압값으로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스텝 모터(91)에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증가시킨다.
한편, 작동모드 302에서의 판단결과 스캐닝모듈(80)이 이동하여 홈 위치를 벗어났으면, 제어부(220)는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에서 이동하기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A)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 다(304).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스캐닝모듈(80)이 미리 설정된 위치(A)에 하였으면,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를 정지시킨다(305).
스텝 모터(91)가 정지된 후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를 역회전시킨다(306). 이때,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에 새로운 구동전류값(Iref')이 공급되게 한다.
스텝 모터(91)를 역회전시킨 후 제어부(220)는 홈센서(120)의 출력신호를 다시 읽어 들인다(307).
홈센서(120)의 출력신호를 다시 읽어 들인 후 제어부(220)는 스캐닝모듈(80)이 실제로 홈 위치로 복귀하였는지를 판단한다(308). 예를 들어, 홈센서(120)의 출력신호가 하이신호이면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홈센서(120)의 출력신호가 로우신호이면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작동모드 308에서의 판단결과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복귀하지 않으면, 제어부(220)는 작동모드 307로 이동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작동모드 309에서의 판단결과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복귀하였으면, 스텝 모터(91)를 정지시키고(309),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 내에 복귀하였는지를 판단한다(310). 만약,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이 경과한 후에 복귀하였으면, 작동모드 303으로 이동하여 스텝 모터(91)의 구동전류를, 현재 스텝 모터(91)에 인가하고 있는 구동전류(Iref)에 미리 설정된 전류값(delta)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구동전류(Iref')로 설정한 후(303),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 내에 복귀하였으면, 제어부(220)는 현재 스텝 모터(91)에 인가하고 있는 구동전류(Iref)에 미리 설정된 마진값(Margin)만큼 증가시킨 새로운 구동전류(Iref')로 설정하고(311), 스텝 모터(91)의 새로운 구동전류(Iref')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312). 그리고 미리 설정된 루틴으로 리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스텝 모터의 토크가 정상토크보다 큰 경우, 스텝 모터의 구동전류를 현재의 구동전류보다 감소시켜 구동전류를 최적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220)는 스캐닝모듈(80)을 홈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A)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텝 모터(91)를 정회전시킨다(400).
스텝 모터(91)를 정회전시킨 후 제어부(220)는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에서 이동하기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A)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401).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스캐닝모듈(80)이 미리 설정된 위치(A)에 하였으면,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를 정지시킨다(402).
스텝 모터(91)가 정지된 후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의 구동전류를, 현재 스텝 모터(91)에 인가되고 있는 구동전류(Iref)에 미리 설정된 전류값(delta)만 큼을 감소시킨 새로운 구동전류값(Iref')로 설정한다(403).
스텝 모터(91)의 구동전류를 새로운 구동전류값(Iref')로 설정한 후 제어부(220)는 새로운 구동전류값(Iref')이 스텝 모터(91)에 공급되게 하여 스텝 모터(91)를 역회전시킨다(404).
스텝 모터(91)를 역회전시킨 후 제어부(220)는 홈센서(120)의 출력신호를 읽어 들인다(405).
홈센서(120)의 출력신호를 읽어 들인 후 제어부(220)는 스캐닝모듈(80)이 실제로 홈 위치로 복귀하였는지를 판단한다(406). 예를 들어, 홈센서(120)의 출력신호가 하이신호이면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홈센서(120)의 출력신호가 로우신호이면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작동모드 406에서의 판단결과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복귀하였으면,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를 정지시키고(407),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 내에 복귀하였는지를 판단한다(408). 만약,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로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 내에 복귀하였으면, 제어부(220)는 현재 스텝 모터(91)에 인가하고 있는 구동전류(Iref)를 새로운 구동전류(Iref')로 설정하고(409), 작동모드 40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작동모드 408에서의 판단결과 스캐닝모듈(80)이 복귀하지 않았으면,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410). 만약,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제어부(220)는 작동모드 405로 이동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스캐닝모듈(80)이 복귀하지 않은 채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이 경과하였거나 혹은 스캐닝모듈(80)이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이 경과한 후 복귀하였으면,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를 정지시킨다(411).
스텝 모터(91)가 정지된 후 제어부(220)는 스텝 모터(91)의 구동전류를, 현재 스텝 모터(91)에 인가되고 있는 구동전류(Iref)에 미리 설정된 전류값(delta)만큼 및 미리 설정된 마진값(Margin)만큼을 증가시킨 후 새로운 구동전류값(Iref')로 설정한다(412). 즉, 스캐닝모듈(80)이 홈 위치에 미리 설정된 복귀시간 내에 복귀된 마지막 시점의 구동전류에 미리 설정된 마진값을 더한 전류값을 새로운 구동전류로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모터(91)의 새로운 구동전류(Iref')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413). 그리고 미리 설정된 루틴으로 리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서는 스텝 모터의 토크가 정상토크보다 적은 경우, 스텝 모터의 구동전류를 현재의 구동전류보다 증가시켜 최적화하는 방법을 설명하였고, 도 7에서는 스텝 모터의 토크가 정상토크보다 큰 경우, 스텝 모터의 구동전류를 현재의 구동전류보다 감소시켜 구동전류를 최적화하는 것을 방법을 설명하였다.
상기한 두 가지의 방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순서에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텝 모터(91)의 최적화과정을 화상독취장치가 켜지는 시점 혹은 미리 정해진 최적화시점에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스캐닝모듈 및 구동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스캐닝모듈을 홈 위치에서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홈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스텝 모터의 토크가 정상토크보다 적은 경우, 스텝 모터의 구동전류를 현재의 구동전류보다 증가시켜 최적화하는 방법을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스텝 모터의 토크가 정상토크보다 큰 경우, 스텝 모터의 구동전류를 현재의 구동전류보다 감소시켜 최적화하는 방법을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감지부 220 : 제어부
230 : 모터구동부 240 : 저장부

Claims (9)

  1.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모듈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까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전류를 상기 증가된 전류값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스캐닝모듈의 홈 위치이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홈 위치와 상기 스캐닝모듈이 최대로 이동 가능한 최대위치사이의 중간 위치인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홈 위치에 도달하기 까지 소용되는 기대 시간인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홈 위치에서 상기 중간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홈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키는 것과,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홈 위치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할 때까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홈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스캐닝모듈을 상기 홈 위치에서 상기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홈 위치를 벗어나는지를 감지하며;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홈 위치를 벗어나지 않으면,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홈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가 설정된 후 상기 스캐닝 모듈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까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하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 값을 점차 감소시키고,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가 감소된 후 상기 스캐닝 모듈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까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하지 못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를 현재의 전류 값으로 감소되기 이전의 전류 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7. 스캐닝모듈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하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가 감소된 후 상기 스캐닝 모듈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까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하지 못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를 현재의 전류 값으로 감소되기 이전의 전류 값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스캐닝모듈의 홈 위치이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홈 위치와 상기 스캐닝모듈이 최대로 이동 가능한 최대위치사이의 중간 위치인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스캐닝모듈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홈 위치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되는 기대 시간인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KR1020080133484A 2008-12-24 2008-12-24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KR101518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84A KR101518773B1 (ko) 2008-12-24 2008-12-24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US12/638,084 US8314582B2 (en) 2008-12-24 2009-12-15 Method of controlling motor in image rea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84A KR101518773B1 (ko) 2008-12-24 2008-12-24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924A KR20100074924A (ko) 2010-07-02
KR101518773B1 true KR101518773B1 (ko) 2015-05-11

Family

ID=4226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484A KR101518773B1 (ko) 2008-12-24 2008-12-24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14582B2 (ko)
KR (1) KR101518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1076A (zh) * 2011-10-20 2013-06-26 大洋电机新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电机运行状态记录装置的电机驱动控制器
TWI655855B (zh) * 2017-05-17 2019-04-01 金寶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掃描裝置之影像對位調整機構及其調整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8909A (en) 1989-05-12 1993-03-30 Fuji Xerox Co., Ltd.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system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7461A (en) * 1979-11-16 1981-01-27 Bristol-Myers Company Esterification process using methoxymethyl-P-toluenesulfonate
US5126545A (en) * 1990-01-16 1992-06-30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laser scanning system having a motor drive with no DC windings
US6144184A (en) * 1997-08-09 2000-11-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otor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DE60135694D1 (de) * 2000-02-09 2008-10-23 Seiko Epson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otorsteuerung
US7156391B2 (en) * 2002-05-15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driv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JP2004357449A (ja) 2003-05-30 2004-12-16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回路
US7907872B2 (en) * 2005-07-29 2011-03-15 Ricoh Company, Ltd. Imprint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4665851B2 (ja) * 2006-06-30 2011-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読取装置、読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8909A (en) 1989-05-12 1993-03-30 Fuji Xerox Co., Ltd.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system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924A (ko) 2010-07-02
US20100156328A1 (en) 2010-06-24
US8314582B2 (en) 201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343B2 (en) Document or sheet material feeder
US7621518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7547016B2 (en) Motor control apparatus with controlled input current
US70431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961142B2 (en) Digital image reading apparatus
US5267059A (en) Sheet scanner
KR101518773B1 (ko) 화상독취장치의 모터 제어방법
JPH10186535A (ja) 平面走査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EP12611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ding operation of a reference white plate in an image reading device having a sheet-through mechanism
US6911800B2 (en) Stepping motor controller,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81057B2 (en) Stepping motor control device and convey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7522319B2 (en) Duplex scanner
US20090201561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731756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85268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6337414B2 (ja) 画像読取装置
US2014009245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5613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EP2947862B1 (en) Driving a moving body of an image reading device to a stop position on return from energy saving mode
US699280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reading position
JP5896762B2 (ja) 読取装置および読取制御方法
JPH0927089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51641A (ja) 画像読取装置
US651030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KR100229037B1 (ko) 용지폭 자동정렬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