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563B1 -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563B1
KR101518563B1 KR1020130082634A KR20130082634A KR101518563B1 KR 101518563 B1 KR101518563 B1 KR 101518563B1 KR 1020130082634 A KR1020130082634 A KR 1020130082634A KR 20130082634 A KR20130082634 A KR 20130082634A KR 101518563 B1 KR101518563 B1 KR 10151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ur
tibia
side frame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077A (ko
Inventor
민병현
김윤기
Original Assignee
민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현 filed Critical 민병현
Priority to KR102013008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563B1/ko
Priority to PCT/KR2014/006340 priority patent/WO2015009002A1/ko
Priority to CN201480050832.2A priority patent/CN105530894B/zh
Publication of KR2015000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7Joint mechanisms or joint supports in addition to the natural joints and outside the joint g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r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일측에 복수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대퇴골측 프레임; 일측에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커플링수단; 일측에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복수의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골측 프레임;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과 상기 커플링수단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커플링수단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을 각각 대퇴골과 경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 및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이용하면,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에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으며, 대퇴골과 경골의 형상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대퇴골의 보조기구 부착면과 경골의 보조기구의 부착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과 경골에 밀착 부착시켜 정상적인 관절운동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신체하중을 원활하게 분담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ASSISTANT DEVICE FOR KNEE JOINT CAPABLE OF MOVING THREE-DIMENSIONALLY}
본 발명은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고정되어 관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굴신 및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조력하는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관절은 보행이나 운동시 항상 체중 혹은 근력에 의해 하중을 받는 부위이다. 따라서, 관절내 손상이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악화될 수 있으며, 관절의 치료를 위해 수술적 침습을 가했을 시에 수술 부위의 보호를 위해 장기간의 침상 안정이나 목발 보행이 요구된다. 또한, 관절연골의 손상이나 마모 혹은 슬관절의 변형으로 인하여 뼈와 뼈가 직접 맞닿게 되면 슬관절 부위의 붓기와 통증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무릎 기능이 저하되어 정상적인 활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증상이 악화되어 물리치료로도 회복되지 않는 상태에 이르거나 또는 이러한 증상이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공관절을 시술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개시하는 한국 공개특허 제1999-0037439호에는 경골 베어링면을 가지는 경골부, 상기 경골 베어링면 상에 슬라이딩 및 변위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경골 베어링면으로부터 떨어진 그 측면 상에 베어링스캘럽을 가지는 베어링보디, 상기 베어링보디의 상기 베어링스캘럽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대퇴부, 상기 경골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보디를 상기 경골 베어링면에 대하여 사지탈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가이드피스, 및 상기 가이드피스 및 상기 대퇴부 양자 모두와 협동하여 상기 대퇴부를 상기 베어링보디 상에서 회전하게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경골부의 종축 또는 종축과 평행인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경골부의 종축 또는 종축과 평행인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진 축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가능하게 저널된 핀을 가지는 무릎관절 보철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999-0037439호의 무릎관절 보철기구는 수술 중에 조립이 간단하고, 크로스인대 및 외측인대가 모두 없거나 또는 더 이상 기능할 수 없는 환자에게 적합하지만,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는 시술 과정이 비교적 복잡하며 연결부의 집중 하중이 발생되는 구조에 의하여 내구성 약화가 우려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110075호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는 대퇴골(F)과 경골(T)을 연결하는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F)에 결합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지니고, 관통공 중의 하나를 회전중심으로 하는 구조의 제1프레임(10); 상기 경골(T)에 결합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지니고, 관통공 중의 하나를 회전중심으로 하는 구조의 제2프레임(20);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회전중심에 볼트(35)를 개재하여 수용되는 베어링(31, 32); 및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이 각각 대퇴골(F)과 경골(T)에 스크류(42)를 개재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한국 등록특허 제10-1110075호에 개시된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는, 이 보조기구가 고정되어질 원위 대퇴골의 부착면과 근위 경골의 부착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퇴골의 부착면과 보조기구의 대퇴골측 프레임의 하부면이 밀착되지 않거나, 경골의 부착면과 보조기구의 경골측 프레임의 하부면이 밀착되지 않아서 보조기구의 부착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무릎 관절이 뒤틀리게 되므로 무릎관절의 굴신운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대퇴골과 경골의 형상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원위 대퇴골의 보조기구 부착면과 근위 경골의 보조기구의 부착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퇴골측 프레임 또는 경골측 프레임의 어느 한쪽이 원위 대퇴골 또는 근위 경골과 밀착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므로, 무릎관절 보조기구가 신체 하중을 원활하게 분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에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으며, 대퇴골과 경골의 형상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대퇴골의 보조기구 부착면과 경골의 보조기구의 부착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과 경골에 밀착 부착시켜 신체 하중을 원활하게 분담할 수 있는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고정되어 관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무릎관절의 굴신 운동 뿐만아니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무릎 관절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력함으로써 수술 환자 등의 무릎 관절의 3차원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일측에 복수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대퇴골측 프레임; 일측에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커플링수단; 일측에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복수의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골측 프레임;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과 상기 커플링수단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커플링수단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을 각각 대퇴골과 경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 및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은, 일단부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 또는 상기 복수의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대퇴골 또는 경골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너트들이 체결되는 제2 나사산과 제3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크루;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하부면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의 제2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 각각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하부면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각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조정 너트; 및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의 제3 나사산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을 경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수평 평면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 예를 들어 약 15°의 각도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움직임이 가능한 체결수단을 이루는 스크루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사방으로 회전 가능한 암나사부가, 상기 움직임이 가능한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관통구멍 내에 선회(旋回)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상기 결합수단은 삽입홈을 구비한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와, 상기 삽입홈 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은 그 둘레부의 일부가 컷아웃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안쪽에 형성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의 절개부로 안내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돌출부 및 플랜지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플랜지는 서로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10°~ 170°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가 클램핑 나사에 의해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은 각각 위치설정핀들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의 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 및 상기 커플링수단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에는 각각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시술시에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에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퇴골과 경골의 형상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대퇴골의 보조기구 부착면과 경골의 보조기구의 부착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술시에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과 경골에 밀착 부착시켜 신체 하중을 원활하게 분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고정되어 관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무릎관절의 굴신 운동 뿐만아니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무릎 관절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력함으로써 수술 환자 등의 무릎 관절의 3차원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주요 구성부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대퇴골측 프레임, 커플링 수단 및 경골측 프레임의 종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주요 구성부품들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커플링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경골측 프레임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기술(한국 등록특허 제10-1110075호)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기술(한국 등록특허 제10-1110075호)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가 부착된 도 9의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대퇴골에 고정되는 대퇴골측 프레임(100), 경골에 고정되는 경골측 프레임(200),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수평평면 및 수직평면에 대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플링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 및 상기 커플링수단(300)은 고강도이면서 경량인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복수의 대퇴골(Femur) 고정용 관통구멍(11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회전중심용 관통구멍(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일측에는 회전중심용 관통구멍(325)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결합부(3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결합부(25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복수의 경골(Tibia) 고정용 관통구멍(2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115)과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325)을 정렬시킨 다음에 이들 관통구멍(115, 325)안으로,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35)를 통과시켜 너트(336)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너트 이외에 머리부가 형성된 핀과 잠금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115)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소정 깊이의 보링구멍이 형성되어 그 보링구멍 안에 베어링(330)이 장착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115)과,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325)을 통과하는 결합부재(335)의 외주면에 베어링(13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들(130, 330)은 ABS 수지, PTFE, 레진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삽입홈(351)을 구비한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350)와, 상기 삽입홈(351) 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251)를 구비한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351)은 그 둘레부의 일부가 컷아웃된 절개부(352)와, 상기 절개부(352) 안쪽에 형성된 공간부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251)는 상기 삽입홈(351)의 절개부(352)로 안내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는 플랜지(25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352)의 안쪽에 위치하는 공간부는 상기 돌출부(251) 및 플랜지(252)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의 플랜지(252)가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의 절개부(352)와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51)가 상기 삽입홈(351) 안으로 끼워진 다음에 플랜지(252)가 구비된 상기 돌출부(251)가 삽입홈(351)내에서 회전을 하면, 상기 플랜지(252)의 위치가 상기 절개부(352)의 위치와 어긋나게 되고, 이로써 상기 돌출부(251)는 상기 삽입홈(35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수단(3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은 경골측 프레임 평면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대퇴골측 프레임 및 경골측 프레임 평면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5 및 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삽입홈(351)의 절개부(352)와 상기 돌출부(251)의 플랜지(252)는 서로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10°~ 170°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를 결합할 때, 상기 삽입홈(351)의 절개부(352)와 상기 돌출부(251)의 플랜지(252)를 일치되게 정렬하고(도 5의 (a) 참조), 그 다음에 상기 돌출부(251)를 상기 삽입홈(351) 안으로 끼워넣은 후(도 5의 (b) 참조),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하부면이 경골의 표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회전시킨다.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수직평면에서의 회전범위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6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고정되어 관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무릎관절의 굴신 운동 뿐만아니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무릎 관절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력함으로써 수술 환자 등의 무릎 관절의 3차원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 상기 커플링수단(3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251)가 상기 삽입홈(351) 안으로 끼워져서 정렬된 다음에,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클램핑 나사 또는 클램핑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60)를 통과시켜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핑 나사 또는 클램핑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60)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와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의 단부와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의 단부 사이에 상기 결합부재(360)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c)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축방향 간격(c)을 설정하면,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와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를 고정할 때 작용하는 축방향의 힘으로 인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하부면이 대퇴골 측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하부면이 경골 측으로부터 분리되려는 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에 3개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111)은 하부에 배치된 소직경의 관통구멍(111a)과 상부에 배치된 대직경의 관통구멍(111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소직경의 관통구멍(111a)과 대직경의 관통구멍(111b)은 동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들(111)에는 복수의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을 대퇴골에 고정시킨다.
상기 대퇴골측의 복수의 체결수단은, 일단부는 제1 나사산(142a)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111)을 통과하여 대퇴골에 삽입고정되고, 타단부는 너트들이 체결되는 제2 나사산과 제3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크루(142);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의 제2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 각각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 각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조정 너트(141); 및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의 제3 나사산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너트(14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상부 너트(144)는 상기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111)의 상부 대직경의 관통구멍(111b)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대퇴골측의 복수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을 대퇴골에 고정하면, 상기 복수의 상부 너트(144)는 록킹너트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의 상단부에 체결된 너트들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복수의 위치조정 너트(141)에 의해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의 길이를 수술 환자의 상태에 알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루(142) 및 너트(144)는 고강도 및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에 4개의 경골(Tibia) 고정용 관통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211)은 하부에 배치된 소직경의 관통구멍(211a)과 상부에 배치된 대직경의 관통구멍(211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소직경의 관통구멍(211a)과 대직경의 관통구멍(211b)은 동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들(211)에는 복수의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경골에 고정시킨다.
상기 경골측의 복수의 체결수단은, 일단부는 제1 나사산(242a)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211)을 통과하여 경골에 삽입고정되고, 타단부는 너트들이 체결되는 제2 나사산(242b)과 제3 나사산(242c)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크루(242);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242)의 제2 나사산(242b)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242) 각각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242) 각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조정 너트(241);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242)의 제3 나사산(242c)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너트(24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상부 너트(244)는 상기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211)의 상부 대직경의 관통구멍(211b)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골측의 복수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경골에 고정하면, 상기 복수의 상부 너트(244)는 록킹너트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242)의 상단부에 체결된 너트들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복수의 위치조정 너트(241)에 의해 상기 복수의 스크루(242)의 길이를 수술 환자의 상태에 알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루(242) 및 너트(244)는 고강도 및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도 7에서 부분 상세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경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경골측의 복수의 체결수단 중 2번째의 스크루(242)가 통과하는 관통구멍 내에, 사방으로 회전 가능한 암나사부(243b)를 구비한 피봇부(243c)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스크루(242)의 경골측 프레임(200)의 수평 평면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사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각도는 예를 들어 15°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피봇부(243c)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관통구멍 내에 억지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루(242)를 수직 축에 대하여 사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나 대퇴골 및 경골의 모양에 따라 상기 스크루(242)의 삽입방향을 자유자재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하부면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하부면에 위치조정 너트들(141, 241)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위치조정 너트들(141, 241)을 이용하면, 대퇴골과 경골의 형상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대퇴골의 보조기구 부착면과 경골의 보조기구의 부착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위치조정 너트들(141, 241)에 의해 대퇴골측 프레임(100) 또는 경골측 프레임(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동일 평면상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들에 의해 시술시에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의 3차원적 움직임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3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과 경골에 밀착 부착시켜 신체 하중을 원활하게 분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에서는,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각각 위치설정핀들(138, 238)(도 1 참조)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의 핀홀(118, 21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이러한 복수의 핀홀(118, 218) 및 여기에 끼워지는 위치설정핀들(138, 238)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시술할 때, 대퇴골측 프레임(100) 및 경골측 프레임(200)을 대퇴골 및 경골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상기 커플링수단(300)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관통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35)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평면상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슬관절 부위에서 대퇴골과 경골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굴신 및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의 플랜지(252)가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의 절개부(352)와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51)가 상기 삽입홈(351) 안으로 끼워진 다음에 플랜지(252)가 구비된 상기 돌출부(251)가 삽입홈(351)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수직평면상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각각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에 밀착되도록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하부면에 위치조정 너트들(141, 241)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100, 200)을 대퇴골의 부착면과 경골의 부착면에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구성에 의해,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프레임들을 대퇴골과 경골에 밀착 부착시켜서, 무릎관절 보조기구가 신체 하중을 원활하게 분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슬관절 부위에 장착 시술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115)에 베어링(130)을 삽입하고,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325)을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115)과 축중심이 일치하도록 정렬시킨 다음에, 관통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35)와 너트(336)를 이용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커플링수단(300)을 결합하되, 상기 관통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35)를 중심으로 회전(즉,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의 삽입홈(351)의 절개부(352)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의 돌출부(251)의 플랜지(252)를 일치되게 정렬한다(도 5의 (a) 참조). 그 다음에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돌출부(251)를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삽입홈(351) 안으로 끼워넣고(도 5의 (b) 참조), 그 다음에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하부면이 경골의 표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회전시킨다.
추가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핀홀(118)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핀홀(218)에 각각 위치설정핀들(138, 238)을 삽입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각각 대퇴골과 경골 상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관통구멍들(111)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관통구멍들(211) 안으로 드릴과 같은 공구를 관통시켜 대퇴골 및 경골에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의 삽입홈들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을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관통구멍들(111)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관통구멍들(211) 안으로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의 일단부를 대퇴골 및 경골에 나사삽입고정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 "A"로 표시된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2번째 관통구멍 내에, 사방으로 회전가능한 피봇부(243c)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나 대퇴골 및 경골의 모양에 따라 상기 2번째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스크루(242)의 삽입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로부터 2번째의 관통구멍에 피봇부(243b)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다른 관통구멍들에도 피봇부(243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퇴부측 프레임(100)의 관통구멍들에도 피봇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의 일단부는 태핑나사(self-tapping screw)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이 대퇴골 및 경골내에 암나사를 깍으면서 대퇴골 및 경골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복수의 위치조정 너트들(141, 242)이 상기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의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정된다. 그 다음에, 복수의 관통구멍(111, 211) 안으로 상기 복수의 스크루들(142, 242)의 타단부를 통과시키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 242)에 높이가 조정되어 설치된 상기 위치 조정 너트들(141, 242) 상에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을 안착시킨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위치 조정 너트들(141, 242)를 회전시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높이를 추가로 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의 상부면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142, 242)의 제3 나사산에 복수의 상부 너트들(144, 244)를 체결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 및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상기 위치 조정 너트들(141, 242)과 상기 상부 너트들(144, 244)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지도록 한다.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대퇴골측 프레임 또는 경골측 프레임의 평면에 수직인 면에서 서로 상대 회전 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가 서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지시킨다.
대안으로,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대퇴골측 프레임 또는 경골측 프레임의 평면에 수직인 면에서 서로 상대 회전 운동이 제한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클램핑 나사 또는 클램핑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60)를 사용하여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의 결합부(250)를 상기 커플링수단(300)의 결합부(35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도 8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골측 프레임(200)이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100)에 대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시술한 후에, 청결 및 멸균 처치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는 무릎관절 하중을 분담하고, 대퇴골과 경골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굴신 및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인공관절이식술, 연골봉합술, 미세골절술, 배양이식술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100 : 대퇴골측 프레임 18, 28, 118, 218 : 핀홀
20, 200 : 경골측 프레임 31, 32, 130, 330 : 베어링
38, 138, 238 : 위치설정 핀 42, 142, 242 : 스크루
44, 46, 144, 244 : 너트 111, 211 : 관통구멍
111a, 211a : 소직경 관통구멍 111b, 211b : 대직경 관통구멍
115, 325 : 회전중심용 관통구멍 243b : 암나사부
243c : 피봇부 250, 350 : 결합부
251 : 돌출부 252 : 플랜지
300 : 커플링수단 351 : 삽입홈
352 : 절개부
F : 대퇴골 T : 경골

Claims (7)

  1.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일측에 복수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대퇴골측 프레임;
    일측에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커플링수단;
    일측에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복수의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골측 프레임;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과 상기 커플링수단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커플링수단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을 각각 대퇴골과 경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 및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골측 프레임을 경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수평 평면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은,
    일단부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 또는 상기 복수의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대퇴골 또는 경골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너트들이 체결되는 제2 나사산과 제3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크루;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하부면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의 제2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 각각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하부면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하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각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조정 너트; 및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복수의 스크루의 제3 나사산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이 가능한 체결수단을 이루는 스크루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사방으로 회전 가능한 암나사부가, 상기 움직임이 가능한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관통구멍 내에 선회(旋回)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5.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일측에 복수의 대퇴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대퇴골측 프레임;
    일측에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타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커플링수단;
    일측에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복수의 경골 고정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골측 프레임;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과 상기 커플링수단의 회전중심용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커플링수단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상기 대퇴골측 프레임과 상기 경골측 프레임을 각각 대퇴골과 경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 및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와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삽입홈을 구비한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와, 상기 삽입홈 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은 그 둘레부의 일부가 컷아웃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안쪽에 형성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의 절개부로 안내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는 플랜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돌출부 및 플랜지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플랜지는 서로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측 프레임의 결합부가 클램핑 나사에 의해 상기 커플링수단의 결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20130082634A 2013-07-15 2013-07-15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151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34A KR101518563B1 (ko) 2013-07-15 2013-07-15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PCT/KR2014/006340 WO2015009002A1 (ko) 2013-07-15 2014-07-15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CN201480050832.2A CN105530894B (zh) 2013-07-15 2014-07-15 可三维运动的膝关节辅助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34A KR101518563B1 (ko) 2013-07-15 2013-07-15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77A KR20150009077A (ko) 2015-01-26
KR101518563B1 true KR101518563B1 (ko) 2015-05-11

Family

ID=5234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634A KR101518563B1 (ko) 2013-07-15 2013-07-15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18563B1 (ko)
CN (1) CN105530894B (ko)
WO (1) WO201500900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8006A1 (en) * 2005-09-15 2009-09-10 Mikai S.P.A. Apparatus for Treating Malformative and Traumatic Conditions Affecting the Knee Area
KR101110075B1 (ko) 2010-06-29 2012-0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803257D0 (sv) * 1998-09-25 1998-09-25 Camp Scandinavia Ab Knäortos med sagittal justering
CN2879998Y (zh) * 2006-03-31 2007-03-21 天津正天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骨科植入物产品的钉孔锁定结构
CN200980723Y (zh) * 2006-12-01 2007-11-28 深圳清华大学研究院 止退型万向旋进式颈椎前路内固定装置
US20080275509A1 (en) * 2007-05-01 2008-11-06 Exploramed Nc4, Inc. Mounts for implantable extra-articular systems
US7655041B2 (en) * 2007-05-01 2010-02-02 Moximed, Inc. Extra-articular implantable mechanical energy absorbing systems and implantation method
US7846211B2 (en) * 2007-07-09 2010-12-07 Moximed, Inc. Surgical implantation method and devices for an extra-articular mechanical energy absorbing apparatus
AU2009259930B2 (en) * 2008-06-19 2015-02-19 Moximed, Inc. Implantable brace for providing joint support
KR20120106235A (ko) * 2011-03-18 2012-09-26 선동윤 무릎관절 보조기
US9808290B2 (en) * 2011-07-06 2017-11-07 Moximed, Inc. Transcutaneous joint unload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8006A1 (en) * 2005-09-15 2009-09-10 Mikai S.P.A. Apparatus for Treating Malformative and Traumatic Conditions Affecting the Knee Area
KR101110075B1 (ko) 2010-06-29 2012-0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77A (ko) 2015-01-26
CN105530894B (zh) 2019-06-07
WO2015009002A1 (ko) 2015-01-22
CN105530894A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1968B2 (ja) 股関節免荷具
US20070123856A1 (en) Trauma joint, external fixator and associated method
US20070123857A1 (en) Orthopaedic joi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9532804B2 (en) Implantation approach and instrumentality for an energy absorbing system
US6355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ternal skeletal support allowing for internal-external rotation
US11596495B2 (en) Lateral access alignment guide and rigid arm
US7985221B2 (en) External fixator
US889459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reducing and fixing bone fractures
US20130041416A1 (en)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ing an energy absorbing system
JP2007175495A (ja) 固定してロックされる締結具を備えた整形外科関節組立体、キットおよび関連の方法
KR20080068674A (ko) 힌지식 다축성 스크류와 그 사용 방법
US20180221034A1 (en) System for Connecting a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a Distractor, to a Bone
CN107997857A (zh) 一种w型锁合膝关节胫骨构件
CA2924197A1 (en) Modular talar fixation method and system
KR101518563B1 (ko)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무릎관절 보조기구
US11478276B2 (en) External load bearing distracting device for an articulating anatomical joint
CN113693674B (zh) 固定支架
TWM560290U (zh) 膝關節之外固定裝置
CN113786269A (zh) 腕关节假体
TWI658810B (zh) 膝關節之外固定裝置
US20230000632A2 (en) Hip Off-Loading Device and Method
JP2008511379A (ja) 関節プロテーゼと骨固定の方法
KR101110075B1 (ko)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
US20230029403A1 (en) External Load Bearing Distracting Device For An Articulating Anatomical Joint
EP4331514A1 (en) An external load bearing distracting device for an articulating anatomical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