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21B1 - 에어 연 - Google Patents

에어 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21B1
KR101518021B1 KR1020130115974A KR20130115974A KR101518021B1 KR 101518021 B1 KR101518021 B1 KR 101518021B1 KR 1020130115974 A KR1020130115974 A KR 1020130115974A KR 20130115974 A KR20130115974 A KR 20130115974A KR 101518021 B1 KR101518021 B1 KR 10151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present
boat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933A (ko
Inventor
정창희
Original Assignee
정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희 filed Critical 정창희
Priority to KR102013011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0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2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본체에 눕거나 엎드린 채로 본체를 전방에서 견인하는 보트에 의해 수상에서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결합되는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견인로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연 { The air kite }
본 발명은 에어 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본체에 눕거나 엎드린 채로 본체를 전방에서 견인하는 보트에 의해 수상에서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연에 관한 것이다.
현대문명이 발달하고 과학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현대인은 물질적 풍요에도불구하고 새로운 과학기술의 적응과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낙오하지 않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여야 하므로 정신적 중압감, 스트레스 등을 많이 받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정신적 피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레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레저 활동 중에서도 자연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등산, 여행, 낚시, 수상 레포츠 및 야외수련 등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수상 레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수상 레포츠에는 바나나보트, 땅콩보트 또는 플라이피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들은 전방에서 견인하는 보트에 의해 견인되어 보트의 속도에 따라 물 위로 부양되어 재미와 스릴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플라이피쉬의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1917호에는 고공 안전 비행이 가능한 플라이보트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일렬횡대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선형 튜브(1)와, 이들 선형 튜브(1)의 선단에 횡방향으로 부착된 전면튜브(2), 선형 튜브(1)와 전면 튜브(2)의 저부에 부착된 바닥판(3), 각 선형 튜브(1)의 저면 선단부에 부착된 견인 고리, 전면 튜브(2)의 중앙에 부착된 자세 고리, 자세 고리와 연결 고리를 연결한 견인보조선(6), 그리고 자세 고리와 연결 고리를 연결한 자세선(7), 및 견인보조선(6)과 자세선(7)의 자유단을 한데 모아 묶는 연결 고리로 이뤄진 통상의 플라이 보트에다, 상기 견인 고리로부터 뒤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선형 보트의 저면에 부착된 뒷 자세 고리와, 상기 견인 고리 - 연결 고리사이의 견인보조선(6)상 일점과 뒷 자세 고리에 설치된 뒷 자세선(21)이 더해져, 비상이 용이하여 고공비행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플라이보트가 전면튜브에 선형튜브가 단순히 이어진 형태로 골격을 이루고 있어 플라이보트의 비상시 탑승자가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고, 고공비행 시에는 더욱 안전을 위협받게 된다.
또한, 다수의 자세선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제작되어야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191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연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날개와 꼬리 날개가 있어, 비상 시 자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초보자라도 본체에 올라탄 채로 전방에서 견인하는 보트에 의해 수상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 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안정성이 향상되어 고공 비행이 가능하여 보다 큰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연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결합되는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견인로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후면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발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 모서리 내측에 상기 연결로프가 설치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한 쌍의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는 전면에 한 쌍의 안착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부에 꼬리 날개가 구비되고, 양측부에 보조 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후면 중심부에 안전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는 본체의 전면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가 본체의 전면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연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날개와 꼬리 날개가 있어, 비상 시 자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초보자라도 본체에 올라탄 채로 전방에서 견인하는 보트에 의해 수상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단순한 구성으로 안정성이 향상되어 고공 비행이 가능하여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공 안전 비행이 가능한 플라이보트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본체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본체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50)은 단순한 구성으로 사람이 본체에 올라탄 채로 전방에서 견인하는 보트(10)에 의해 수상에서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연(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연결로프(130)와 견인로프(20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는 마름모 형상의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눕거나 엎드린 채로 수상 비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후면 상측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110)가 형성되어 탑승자가 에어연(50)을 이용 시 손으로 잡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마름모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후면 하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발지지부(1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수상에서 비행 시 탑승자가 눕거나 엎드린 채로 발을 지지하여 신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후면 중심라인에는 안전벨트(10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5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연결구(130)가 구비되어 각 연결구(130)에는 연결로프(300)가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30)는 상기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0)의 각 모서리부의 내측, 즉 상부 (132), 좌우부(134,138), 하부(136)에 고리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구(136)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340)는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구(132)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3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수상 비행 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5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비상이 용이하도록 하며, 좌, 우부에 설치되는 연결구(134,138)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320,330)는 좌, 우 균형을 잡아 주는 것으로서, 이들 연결구(130)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300)에 의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한 쌍의 관통공(132a,134a,136a,138a) 형상으로 연결구(130a)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연결로프(300)가 상기 관통공(132a,134a,136a,138a)으로 형성된 연결구(130a)의 일측으로 본체(1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통과하였다가, 타측으로 통과하여 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로프(300)가 본체(100)에 지지되어 보다 견고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로프(300)는 상기 연결구(130,130a)에 연결 설치된 타측 단부를 서로 모아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보트(10)에 연결 설치되는 견인로프(200)에 연결되어 보트(10)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50)의 비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안착부(190)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부(190)는 수면에 에어 연(50)이 떠 있을 때 균형을 잡아주어 안정적으로 부양할 수 있도록 하고, 비행 시에는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잡아주어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꼬리 날개(170)가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보조날개(180)가 형성되는데, 상기 꼬리날개(170) 및 보조날개(180)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50)이 비행 시 보다 더 용이하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50)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0)의 연결구(130,130a)에 연결로프(300)를 연결한 후, 연결로프(300)의 단부를 서로 모아 일체로 결합시켜 보트(10)에 구비된 견인로프(200)에 연결한다.
다음, 사용자가 본체(100)에 눕거나 엎드린 채로 양 손으로 손잡이(110)를 잡고 발은 발지지부(120)에 지지하며, 허리에는 안전벨트(102)를 착용한다.
다음, 보트(10)가 출발하면 견인로프(200)에 의해 에어 연(50)이 견인되어 수상에서 끌려가다가 보트(10)의 속도가 일정속도에 도달하면 바람의 힘에 의해 전방부터 수면 위로 들리게 되고, 일정속도 이상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에어 연(50) 전체가 공중으로 부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340)는 본체(10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3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수상 비행 시 에어 연(50)의 부상 및 비행이 용이하도록 하며 균형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꼬리날개(170) 및 보조날개(180)에 의해 에어 연(50)의 균형이 보다 용이하게 유지되므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보다 높이 비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재미와 스릴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연(50)에 의하면, 에어연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날개(180)와 꼬리 날개(170)가 있어, 비상 시 자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으로 초보자라도 본체에 올라탄 채로 전방에서 견인하는 보트(10)에 의해 수상 비행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안정성이 향상되어 고공 비행이 가능하여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 보트 50: 에어연
100: 본체 102: 안전벨트
110: 손잡이 120: 발지지부
130: 연결구 170: 꼬리날개
180: 보조날개 190: 안착부
200: 견인로프 300: 연결로프

Claims (10)

  1.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하여 마름모 형상의 이중공간지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결합되는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보트에 연결 설치되는 견인로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전면에 한 쌍의 안착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하부에 꼬리 날개가 구비되고, 양측부에 보조 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 모서리 내측에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한 쌍의 관통공 형상의 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로프가 연결구의 일측으로 본체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통과하였다가, 연결구의 타측으로 통과하여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프는 본체의 전면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가 본체의 전면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프보다 길게 형성되어 연결로프가 결합되는 단부가 본체의 중심보다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면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발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면 중심부에 안전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연.
  10. 삭제
KR1020130115974A 2013-09-30 2013-09-30 에어 연 KR10151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74A KR101518021B1 (ko) 2013-09-30 2013-09-30 에어 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74A KR101518021B1 (ko) 2013-09-30 2013-09-30 에어 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33A KR20150036933A (ko) 2015-04-08
KR101518021B1 true KR101518021B1 (ko) 2015-05-06

Family

ID=5303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974A KR101518021B1 (ko) 2013-09-30 2013-09-30 에어 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858B (zh) * 2017-10-22 2020-08-14 青岛海乐汇水上运动管理有限公司 一种稳定型拖拽式载人充气风筝飞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3722A (en) * 1956-06-01 1961-10-10 Gen Mills Inc Inflatable ki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3722A (en) * 1956-06-01 1961-10-10 Gen Mills Inc Inflatable k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33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2123A1 (en)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8845382B2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7025644B2 (en) High-performance riverboard system
KR101518021B1 (ko) 에어 연
KR101877800B1 (ko) 동력 패러글라이더용 평형 유지 장치
US3042944A (en) Water sport riding device
KR101862286B1 (ko) 동력 패러글라이더
US4898345A (en) Skyboard
US9637238B2 (en) System for airboarding behind an aircraft
WO2019165756A1 (zh) 一种多功能水上u型游泳艇
US7114457B1 (en) Wakeboard jump enhancement system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5816184A (en) Rider support assembly for parasailing
US20200277037A1 (en) Aquatic towable device
JP6589068B1 (ja) フライング水上スキー用装具
KR100803283B1 (ko) 물놀이 기구
RU2419573C1 (ru) Надувная лодка (варианты)
US5492074A (en) Sailing arrangement
KR200331624Y1 (ko) 착석보드를 갖춘 카이트 시스템
US11932371B2 (en) Inflatable wing with interchangeable handle or handles
US20030049983A1 (en) Anchorable wave ride
US20040203315A1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 of use
RU2490162C1 (ru) Реактивное 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ES2348517T3 (es) Vehículo naútico híbrido tabla de windsurf/velero deportivo provisto de un mástil atirantado inclinable simultáneamente en el plano transversal y el plano longitudinal.
TW202202406A (zh) 坐式滑水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