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777B1 -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777B1
KR101517777B1 KR1020140011274A KR20140011274A KR101517777B1 KR 101517777 B1 KR101517777 B1 KR 101517777B1 KR 1020140011274 A KR1020140011274 A KR 1020140011274A KR 20140011274 A KR20140011274 A KR 20140011274A KR 101517777 B1 KR101517777 B1 KR 10151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low frequency
dipole
dipole antenna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to KR102014001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7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comprising two or more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 대역 이상을 커버할 수 있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그레이팅 로브, 스퀸트, 트래킹 등에서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은 반사판, 사각링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사각링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사각판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 및 원판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는 반사판 상부에 배열되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1 접점부들이 사각의 변의 중심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아래의 반사판 상부에 배열되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2 접점부들이 사각의 꼭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의 내부와,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사이의 반사판 상부에 설치되며, 제1 고주파 대역을 지원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의 내부와,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사이의 반사판 상부에 설치되며, 제2 고주파 대역을 지원한다.

Description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Multi band dipole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와 복수의 고주파 대역 다이폴 안테나가 배열되어 삼중 대역 이상의 다중 대역을 커버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인 휴대전화의 보편화, 스마트 폰 및 타블렛 PC 등의 보급 증가로 통화 및 무선인터넷을 위한 전파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량 급증은 다양한 환경에서의 통신 소통 요구, 통신 속도, 통화품질 등에 대한 니즈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건물의 실내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기존의 기지국 및 이동통신용 중계기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지형지물에 의해 전파가 잘 전달되지 않는 음영지역 등에서도 적절한 통화 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하여 각 통신사들은 음영지역에 기지국 및 이동통신용 중계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한편 기지국 및 이동 통신 중계기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안테나가 있다. 안테나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핵심적인 장치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하면서도 제한적인 설치 환경에 적절히 적용하기 위하여 가볍고 작은 크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박 단소하며 제작 및 관리가 용이한 안테나 제공을 위하여 안테나를 구성하는 방사소자의 형태, 기능, 전파방향 설정, 회로 및 기구 구조 등에 대한 적절한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의 보편화 및 무선 광대역 데이터 통신의 활성화에 따라, 부족한 주파수 대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가용 주파수 대역화 하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698~960MHz)과 고주파 대역(1.71~2.17GHz 또는 2.3~2.7GHz)이다. 또한 다중 안테나 기반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Mobile WiMAX 등의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MIMO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수의 안테나를 설치하려면 설치 비용의 증가는 물론, 실제 외부 환경에서는 안테나를 설치할 타워 공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타워 임대 비용의 증가와 안테나 관리의 효율성도 큰 문제로 대두된다.
따라서 이중 대역 안테나 시스템을 넘어 삼중 대역 이상의 다중 대역 안테나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다중 대역 안테나 시스템은 저주파 대역 안테나의 설치 공간에 고주파 대역 안테나를 삽입하여 안테나 시스템이 차지하는 설치 공간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다중 대역 안테나 시스템은 다중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그레이팅 로브(grating lobe), 스퀸트(squint), 트래킹(tracking) 등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저주파 대역의 안테나가 고주파 대역의 안테나의 특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6960호(2005.01.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삼중 대역 이상의 다중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그레이팅 로브, 스퀸트, 트래킹 등에서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에 의한 복수의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의 특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할 수 있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사판, 사각링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사각링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사각판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 및 원판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는 상기 반사판 상부에 배열되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1 접점부들이 사각의 변의 중심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아래의 상기 반사판 상부에 배열되며, 상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2 접점부들이 사각의 꼭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의 내부와,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사이의 상기 반사판 상부에 설치되며, 제1 고주파 대역을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의 내부와,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사이의 상기 반사판 상부에 설치되며, 제2 고주파 대역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의 제1 접점부들은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의 중심에서 -45도, -135도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의 제2 접점부들은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의 중심에서 -45도, -135도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는 마름모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와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사이에는 상기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는 698~960MHz의 저주파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1.71~2.17GHz의 제1 고주파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2.3~2.7GHz의 제2 고주파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의 특성에 맞는 저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를 매칭시켜 삼중 대역 이상의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삼중 대역 이상의 다중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그레이팅 로브, 스퀸트, 트래킹 등에서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1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2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1의 제1 고주파 대역의 수평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2의 제1 고주파 대역의 수평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1의 제2 고주파 대역의 수직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2의 제2 고주파 대역의 수직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100)은 저주파 대역과, 두 개의 고주파 대역을 커버하는 삼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이다. 이때 저주파 대역은 698~960MHz 일 수 있다. 두 개의 고주파 대역은 1.71~2.17GHz의 제1 고주파 대역과 2.3~2.7GHz의 제2 고주파 대역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100)은 반사판(10),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 및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를 포함한다. 반사판(10) 위에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와, 복수의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가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반사판(10)은 상부에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 및 복수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와 같은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가 배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반사판(10)은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의 급전부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신호를 반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사판(10)은 반사 기능 개선을 위한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반사판(10)은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설계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통하여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전달을 위한 신호 라인과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신호 공급부, 예컨대 신호 송수신기, 위상 가변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는 반사판(10) 상부에 배열되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1 접점부들(21)이 사각의 변의 중심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사각링 형태를 갖는다. 제1 접점부들(21)에 각각 연결되게 제1 저주파 방사패턴(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점부들(21)은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의 중심에서 -45도, -135도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는 네 방향으로 제1 저주파 반사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마름모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외형상으로는 팔각링에 가까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 아래의 반사판(10) 상부에 배열되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2 접점부들(31)이 사각의 꼭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사각링 형태를 갖는다. 제2 접점부들(31)에 각각 연결되게 제2 저주파 방사패턴(33)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점부들(31)은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의 중심에서 -45도, -135도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는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의 내부와,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 사이의 반사판(10) 상부에 설치되며, 제1 고주파 대역을 지원한다.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는 상부에 제1 고주파 방사패턴(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는 원판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의 내부와,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 사이의 반사판(10) 상부에 설치되며, 제2 고주파 대역을 지원한다.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는 상부에 제2 고주파 방사패턴(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 및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는 각각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조하거나, 금속 소재를 이용한 몰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조된 예를 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100)은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는 반사판(10) 위에 서로 그룹핑되어 형성된다. 그룹핑된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에 각각 대응되게 복수의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가 그룹핑되어 배열된다. 즉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는 일렬로 반사판(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그리고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의 내부와 사이에 복수의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가 일렬로 배열된다.
예컨대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 개수의 차이는 1개이고,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의 개수가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의 개수보다 하나 더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와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 사이에는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가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와 2개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사판(10) 위에 배열된다. 3개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가 배열된 영역에 5개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가 배열된다. 그리고 2개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가 배열된 영역에 5개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가 배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100)은 복수의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의 특성에 맞는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를 매칭시켜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다중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그레이팅 로브, 스퀸트, 트래킹 등에서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의 특성에 맞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를 매칭시켜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100)을 구현한 이유에 대해서 비교예1 및 2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200,300)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비교예1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200)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1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200)은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를 그대로 사용하고, 저주파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저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로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만을 사용한다.
도 3은 비교예2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300)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2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300)은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를 그대로 사용하고, 저주파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저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로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만을 사용한다.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제1 고주파 대역의 패턴 특성을 측정하면 도 4 및 도 5의 그래프와 같다. 여기서 도 4는 비교예1의 제1 고주파 대역의 수평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2의 제1 고주파 대역의 수평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1은 제1 고주파 대역의 스퀸트와 트래킹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2는 제1 고주파 대역의 스퀀트와 트래킹이 비교예1과 비교할 때 나빠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에 매칭되는 저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로는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 보다는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가 적합함을 보여준다.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제2 고주파 대역의 수직 패턴을 측정하면 도 6 및 도 7의 그래프와 같다. 여기서 도 6은 비교예1의 제2 고주파 대역의 수직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2의 제2 고주파 대역의 수직 패턴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1은 제2 고주파 대역에서 그레이팅 로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2는 제2 고주파 대역에서 그레이팅 로브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비교예1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200)은 제1 고주파 대역의 스퀸트와 트래킹은 양호한 편이나, 제2 고주파 대역에서는 그레이팅 로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2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300)은 제2 고주파 대역에서 그레이팅 로브는 감소하나, 제1 고주파 대역에서는 스퀸트와 트래킹이 나빠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에 매칭되는 저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로는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 보다는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가 적합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50)의 특성 변화에 영향을 적게 주는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20,30)를 매칭시켜 배열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40)는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20)에 매칭된다.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50)는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30)에 매칭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100)은 다중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그레이팅 로브, 스퀸트, 트래킹 등에서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반사판
20 :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21 : 제1 접점부들
23 :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방사패턴
30 :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31 : 제2 접점부들
33 :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방사패턴
40 :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
41 : 제1 고주파 방사패턴
50 :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
51 : 제2 고주파 방사패턴
100,200,300 :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Claims (5)

  1.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부에 배열되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1 접점부들이 사각의 변의 중심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사각링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아래의 상기 반사판 상부에 배열되며, 상기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제2 접점부들이 사각의 꼭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사각링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의 내부와,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 사이의 상기 반사판 상부에 설치되며, 제1 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사각판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의 내부와, 상기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사이의 상기 반사판 상부에 설치되며, 제2 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며, 원판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의 제1 접점부들은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의 중심에서 -45도, -135도 지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의 제2 접점부들은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의 중심에서 -45도, -135도 지점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는 마름모 링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다이폴 안테나와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 안테나 사이에는 상기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제1 및 제2 다이폴 안테나는 698~960MHz의 저주파 대역을 지원하고,
    상기 제1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1.71~2.17GHz의 제1 고주파 대역을 지원하고,
    상기 제2 고주파 대역의 다이폴 안테나는 2.3~2.7GHz의 제2 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KR1020140011274A 2014-01-29 2014-01-29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KR10151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74A KR101517777B1 (ko) 2014-01-29 2014-01-29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74A KR101517777B1 (ko) 2014-01-29 2014-01-29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777B1 true KR101517777B1 (ko) 2015-05-07

Family

ID=5339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74A KR101517777B1 (ko) 2014-01-29 2014-01-29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7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888A (ko)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KR20120086840A (ko) * 2011-01-27 2012-08-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듀얼밴드의 다이폴 소자 배열 구조를 구비한 기지국 안테나
KR20130060982A (ko) * 2011-11-30 2013-06-10 박진영 삼중대역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및 어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888A (ko)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KR20120086840A (ko) * 2011-01-27 2012-08-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듀얼밴드의 다이폴 소자 배열 구조를 구비한 기지국 안테나
KR20130060982A (ko) * 2011-11-30 2013-06-10 박진영 삼중대역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및 어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287B2 (en) Antenna system with full metal back cover
US9270013B2 (en) Reflector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US10164343B2 (en) Communication device
CN103117452A (zh) 一种新型lte终端天线
CN113690581A (zh) 天线
KR20130134793A (ko) 이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US10164325B1 (en) Communication device
JP2021022915A (ja) 通信装置
US11152703B2 (en) Ultra compact radiating element
KR101541374B1 (ko) 다중대역 다이폴 안테나 및 시스템
US10587051B2 (en) Communication device
US20220247088A1 (en) Antenna Assembly and Wireless Device
KR101651464B1 (ko) 기지국용 안테나
CN216161931U (zh) 一种多频多波束龙伯球透镜天线
CN108258403B (zh) 小型化双频嵌套天线
KR20150087171A (ko)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US9923278B2 (en) Diversity antenna arrangement for WLAN, and WLAN communication unit having such a diversity antenna arrangement, and device having such a WLAN communication unit
US20230092210A1 (en) Antenna and base station
KR101517777B1 (ko) 다중 대역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KR20120118328A (ko) 천정부착 평판형 안테나 조립체
KR101517778B1 (ko)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CN212182537U (zh) 天线
CN101924272B (zh) 槽孔天线及槽孔天线阵列
US20130169502A1 (en) Directional Antenna and Radiating Pattern Adjustment Method
JP2023527527A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