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778B1 -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778B1
KR101517778B1 KR1020140029774A KR20140029774A KR101517778B1 KR 101517778 B1 KR101517778 B1 KR 101517778B1 KR 1020140029774 A KR1020140029774 A KR 1020140029774A KR 20140029774 A KR20140029774 A KR 20140029774A KR 101517778 B1 KR101517778 B1 KR 10151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ntenna
substrate
dual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to KR102014002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8Arrangements for establishing polarisation or beam width over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53Selective devices used as spatial filter or angular sidelobe 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로브(side lobe)의 상승을 방지, 안테나 빔의 빔폭 편차를 감소 및 안테나 빔의 빔폭 간섭을 방지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 로브(side lobe)의 증가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 빔의 빔폭의 편차를 감소 및 빔폭의 간섭을 억제 또는 방지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며,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고 대역 안테나; 일부가 상기 고 대역 안테나들 사이로 통과하는 절연 기판, 상기 반사판과 마주하는 상기 절연 기판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방사 패턴들 및 상기 절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 패턴들과 이격된 튜닝 패턴들을 포함하는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 및 상기 고 대역 안테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와 함께 상기 고 대역 안테나를 감싸는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DUAL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이중 대역 이중 편파(DBDP)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 로브(side lobe)의 상승을 방지 및 고대역 안테나의 주변에 배치된 저대역 안테나에 고대역 안테나의 빔 폭을 튜닝 할 수 있는 튜닝 패턴을 형성하여 고대역 안테나의 빔 폭 을 정밀하게 튜닝 할 수 있는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 휴대전화의 보편화와 최근 스마트폰 및 타블렛 PC의 보급 증가로 통화 및 무선 인터넷을 위한 전파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전화 및 인터넷을 사용하려는 고객들의 요구와 통신 속도, 통화 품질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건물 같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기존의 기지국 및 이동통신용 중계기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지형지물에 의해 전파가 잘 전달되지 않는 음영지역에서의 통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각 통신사들은 음영지역에 기지국 및 이동통신용 중계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기지국 및 이동통신 중계기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안테나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핵심적인 장치로서 전파를 송수신 한다.
기지국 및 이동통신 중계기에 사용되는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DBDP 안테나)는 전파 도달 거리, 회절성 및 통화감이 우수한 저대역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저대역 안테나(low band antenna) 및 저대역 주파수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고대역 안테나(high band antenna)를 포함한다.
고대역 안테나는 저대역 안테나에 비하여 정보를 보다 많이 실을 수 있으나 전파 도달 거리가 짧은 장단점을 갖는다.
종래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는 서로 전기적 길이가 다른 주파수들을 1개의 안테나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반사판 상에 배치된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 및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의 주변에 배치된 고 대역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한다.
반사판에 형성된 고 대역 안테나 소자들은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하고 배치하게 되는데 이때 불가피하게 고 대역 안테나의 각 소자를 중심으로 저 대역 안테나가 비대칭 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대역 안테나들이 반사판 상에 고대역 안테나들 주변에 비대칭하게 배치될 경우 고대역 안테나의 수직 빔 패턴의 메인 로브(main lobe)의 주변에 형성되는 사이드 로브(side lobe)가 원하지 않게 증가될 수 있다.
사이드 로브가 증가될 경우 안테나 빔의 게인(Gain)이 감소되며, 안테나 빔 틸팅(tilting)을 수행할 때 안테나 빔의 사이드 로브(side lobe)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갖는 종래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경우 동일 반사판 조건에서 각 편파의 빔 패턴이 서로 다른 특성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임의의 편파의 빔폭을 튜닝하기 위해 반사판 조건을 변경하게 되면 다른 편파의 빔폭 특성 역시 변화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4928호 (2013.09.02)
본 발명의 목적은 고 대역 안테나 소자들을 중심으로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이 비대칭 하게 이루는 구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이드 로브(side lobe)의 증가 방지 및 저 대역 안테나에 고 대역 안테나의 빔 패턴을 튜닝 할 수 있는 튜닝 패턴을 형성하여 반사판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고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빔 패턴을 튜닝 할 수 있도록 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고 대역 안테나; 일부가 상기 고 대역 안테나들 사이로 통과하는 절연 기판, 상기 반사판과 마주하는 상기 절연 기판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방사 패턴들 및 상기 절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 패턴들과 이격된 튜닝 패턴들을 포함하는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 및 상기 고 대역 안테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와 함께 상기 고 대역 안테나를 감싸는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상기 절연 기판은 제1 기판부, 상기 제1 기판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 기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 대역 안테나들 사이를 통과한다.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의 중앙에 연결된다.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상기 방사 패턴은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기판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기판부를 따라 형성된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한다.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상기 제1 및 제2 방사 패턴들은 상기 연결부에서 일부가 중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방사 패턴들 중 중첩된 부분에는 상기 제1 방사 패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을 관통하며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이 형성된다.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상기 튜닝 패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방사 패턴들에는 상기 튜닝 패턴의 폭에 대응하여 폭이 감소된다.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에는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마주하게 형성된 제1 튜닝 패턴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에는 상기 제2 방사 패턴과 마주하게 형성된 제2 튜닝 패턴들이 형성된다.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의 상기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는 상기 반사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는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의 연결 부를 고 대역 안테나 소자 사이에 통과시켜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이 비대칭 하게 이루는 구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이드 로브(side lobe)의 증가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 대역 안테나 소자에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빔 패턴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패턴을 형성하여 고 대역 안테나의 수평 빔 폭의 편차를 감소 및 빔 폭의 간섭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의 일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의 타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되는 비교예에 의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고대역 안테나의 수직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수직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A는 은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고 대역안테나의 수평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튜닝 패턴에 의하여 튜닝된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대역 안테나의 수평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500)는 반사판(100), 고 대역 안테나(200),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 및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반사판(100)은 풍압 및 지향성 등을 고려하여 제작되며, 반사판(100)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100)은, 바닥판(110) 및 바닥판(11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된 측면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100)의 바닥판(11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바닥판(110)은 한 쌍의 장변(112)들 및 한 쌍의 단변(114)들을 갖는다.
고 대역 안테나(200)는 반사판(100)의 바닥판(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고 대역 안테나(200)는, 예를 들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100)의 상부에는 반사판(100)의 장변을 따라 복수개의 고 대역 안테나(200)들이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반사판(100)의 장변을 따라 배치되는 고 대역 안테나(200)들에는 각각 제1 급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도 2는 도 1의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의 일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의 타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는 절연 기판(360), 방사 패턴(370) 및 튜닝 패턴(380)을 포함한다.
절연 기판(360)은 받침대(미도시)에 의하여 반사판(100)의 바닥면(110) 상부에 배치된다.
절연 기판(360)은 제1 기판부(310), 제2 기판부(320) 및 연결부(330)를 포함하며, 제1 기판부(310), 제2 기판부(320) 및 연결부(330)는,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연 기판(360)은, 예를 들어, 절연 수지를 포함하며, 절연 기판(360)은 얇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연 기판(360)은, 예를 들어, 반사판(100)의 바닥판(11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부(310)의 장변은 반사판(100)의 바닥판(110)의 장변(112)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기판부(310)는 반사판(100)의 바닥판(1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 기판부(320)의 장변은 반사판(100)의 바닥판(110)의 장변(112)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기판부(320)는 반사판(100)의 바닥판(1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기판부(310) 및 제2 기판부(32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및 제2 기판부(310,320)들 사이에는 고 대역 안테나(100)들이 배치된다.
연결부(330)는 제1 기판부(310) 및 제2 기판부(320)들을 상호 연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기판부(310), 제2 기판부(320) 및 연결부(330)는 상호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330)는, 반사판(100)의 바닥판(110)의 장변(11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연결부(330)는 반사판(100)의 바닥판(1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기판부(310), 제2 기판부(320) 및 연결부(33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H' 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기판부(310) 및 제2 기판부(3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연결부(330)는 제1 및 제2 기판부(310,320)들의 중앙 부분에 연결된다.
절연 기판(360)의 연결부(33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고 대역 안테나(200)들 사이로 통과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방사 패턴(370)은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 및 일측면(360a)과 대향하는 타측면(360b)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방사 패턴(370)은 제1 방사 패턴(373) 및 제2 방사 패턴(376)을 포함한다.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에 형성된 제1 방사 패턴(37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30) 및 연결부(330)로부터 제1 및 제2 기판부(310,320)들의 일측으로 연장된 'U'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방사 패턴(373)은, 예를 들어, 얇은 금속막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방사 패턴(373)은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에 형성되며, 제1 방사 패턴(373)은 제1 기판부(310), 연결부(330) 및 제2 기판부(320)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형성된 제2 방사 패턴(37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30) 및 연결부(330)로부터 제1 및 제2 기판부(310,320)들의 타측으로 연장된 'U'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 방사 패턴(376)은 절연 기판(360)의 타측면(360b)에 형성되며, 제2 방사 패턴(276)은 제1 기판부(310), 연결부(330) 및 제2 기판부(320)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에 형성된 제1 방사 패턴(373) 및 절연 기판(360)의 타측면(360b)에 형성된 제2 방사 패턴(376)은, 예를 들어, 연결부(330)를 기준으로 상호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호 엇갈리게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 및 타측면(360b)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방사 패턴(373,376)들의 일부는 중첩되고, 중첩된 제1 및 제2 방사 패턴(373,376)들에는 제2 급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방사 패턴(373,376)들은 연결부(330)에서 일부가 상호 중첩되며, 제1 및 제2 방사 패턴(373,376)들 중 상호 중첩된 부분에는 비아 홀(via hole,335)이 형성된다.
비아 홀(335)로는 제2 급전선이 삽입되고, 제2 급전선은 제1 및 제2 방사 패턴(373,376)들과 용접되어 제1 및 제2 방사 패턴(373,376)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는 고 대역 안테나(20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와 함께 고 대역 안테나(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는, 예를 들어, 고 대역 안테나(200)의 양쪽에 배치된다.
절연 기판(360)이 연결부(330) 및 방사패턴(373,376)으로부터 연장된 패턴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빔 패턴의 메인 로브의 주변에 형성되는 사이드 로브가 도 5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절연 기판(360)의 연결부(330)가 고 대역 안테나(200)들의 사이에 배치될 경우,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의 중심 및 절연 기판(360)의 연결부(330)의 중심이 이루는 간격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패턴의 메인 로브(main lobe)의 주변에 형성되는 사이드 로브(side lobe)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와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가 고 대역 안테나(200)를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될 경우, 동일한 반사판(100) 조건에 대하여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직 편파의 빔 패턴의 특성 및 동일한 반사판(100) 조건에 대하여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평 편파 빔 패턴은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직 편파의 빔 패턴 또는 수평 편파의 빔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빔 패턴의 폭을 튜닝 하기 위해서는 반사판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직 편파의 빔 패턴 또는 수평 편파의 빔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빔 패턴의 폭을 튜닝 하기 위해 반사판의 구조를 변형 할 경우, 빔 폭이 변경되지 않아야 하는 나머지 하나의 편파를 가지는 안테나 빔의 빔 폭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빔 폭 설계가 매우 어렵고 따라서 다른 편파에 영향을 주지 않는 튜닝 포인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평 편파의 빔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직 편파의 빔 패턴의 빔 폭을 정밀하게 튜닝 할 수 있도록 위해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의 절연 기판(360)에 튜닝 패턴(380)이 형성된다.
튜닝 패턴(380)은, 예를 들어 제1 기판부(310) 및 제2 기판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닝 패턴(380)은 4 개가 제1 기판부(310) 및 제2 기판부(320)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튜닝 패턴(380)의 개수는 단지 4개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튜닝 패턴(380)은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에 형성되며, 튜닝 패턴(380)은 제1 및 제2 기판부(310,320)들에 형성된 제1 방사 패턴(373)의 양측 단부들과 인접하게 2 개가 형성되는 바, 제1 방사 패턴(373)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튜닝 패턴(380)들을 제1 튜닝 패턴(383)으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나머지 2개의 튜닝 패턴(380)들은 절연 기판(360)의 일측면(360a)에 형성되며, 튜닝 패턴(380)은 제1 및 제2 기판부(310,320)들에 형성된 제2 방사 패턴(376)의 양측 단부들과 인접하게 2개가 형성되는 바, 제2 방사 패턴(376)의 양측 단부들과 인접하게 형성된 튜닝 패턴(380)들을 제2 튜닝 패턴(385)들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방사 패턴(373)의 양측 단부들과 인접하게 형성된 2 개의 제1 튜닝 패턴(383) 및 제2 방사 패턴(276)의 양측 단부들과 인접하게 형성된 2 개의 제2 튜닝 패턴(385)들의 폭 및 간격에 의하여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평 편파의 빔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편파의 빔 패턴의 폭을 튜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튜닝 패턴(383) 및 제2 튜닝 패턴(385)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육면체 금속 박막 형태로 형성되며,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평 편파의 빔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고 대역 안테나(200)의 수직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튜닝하기 위해 제1 및 제2 튜닝 패턴(383,385)들의 길이, 폭 및 간격은 각각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튜닝 패턴(380)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1 방사 패턴(373) 및 제2 방사 패턴(376)에는 튜닝 패턴(380)에 의하여 폭이 감소된 폭 감소부(373a,376a)가 형성된다.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 중 일부의 패턴을 연장한 연결부를 고 대역 안테나 소자 사이에 통과시켜 저 대역 안테나 소자들이 대칭 하게 이루는 구조를 구현해 사이드 로브(side lobe)의 증가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 대역 안테나의 일부 구조를 변경하여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의 빔폭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면서 고 대역 안테나의 수평 빔 패턴의 빔 폭에 영향을 주지 않는 튜닝 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저 대역 안테나에 형성된 튜닝 패턴을 이용하여 고 대역 안테나의 구조 변경 없이 고 대역 안테나의 빔 패턴을 튜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되는 비교예에 의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르면,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600a)는 반사판(100a), 고 대역 안테나(200a),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a) 및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a)를 포함한다.
반사판(100a) 상에는 고 대역 안테나(200a)가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2 개의 고 대역 안테나(200a)들의 외곽에는 2 개의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a)들 및 2 개의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a)들이 배치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고대역 안테나의 수직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빔 패턴의 메인 로브(M)의 양쪽에는 사이드 로브(S)가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이드 로브(S)는 비교예에서, 고대역 안테나(200a),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a) 및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a)의 비대칭 배치에 기인하여 발생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고대역 안테나의 수직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수직 빔 패턴에는 메인 로드(M)의 양쪽의 사이드 로브(S)가 도 5에 도시된 비교예의 그래프 대비 크게 감소된 것이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이드 로브(S)가 비교예 대비 크게 감소된 것은 고대역 안테나(200),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 및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400)의 대칭 배치에 기인한다.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고 대역 안테나의 수평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튜닝 패턴에 의하여 튜닝 된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대역 안테나의 수평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의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300)에 비교예에 없는 튜닝 패턴(380)을 형성할 경우, 도 7A의 고대역 수직 편파 수평 빔 패턴은 도 8A와 같이 빔폭이 변경되지만, 도 7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대역 안테나의 고대역 수평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은 변경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에 튜닝 패턴(380)을 형성하여 고 대역 안테나의 수직 편파의 수평 빔 패턴을 튜닝 할 경우 고대역 수평 편파의 수평 빔 패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원하는 빔 패턴만 선택적으로 튜닝을 수행할 수 있다.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반사판 200...고 대역 안테나
300...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 400...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

Claims (8)

  1.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고 대역 안테나;
    상기 반사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고 대역 안테나들의 주변에 배치되며,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고 대역 안테나들 사이로 통과하는 절연 기판, 상기 반사판과 마주하는 상기 절연 기판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방사 패턴들 및 상기 절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 패턴들과 이격되며 상기 고 대역 안테나의 편파의 빔 폭을 튜닝 하기 위한 튜닝 패턴들을 포함하는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 및
    상기 고 대역 안테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와 함께 상기 고 대역 안테나를 감싸는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제1 기판부, 상기 제1 기판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 기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 대역 안테나들 사이를 통과하는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의 중앙에 연결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은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기판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기판부를 따라 형성된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사 패턴들은 상기 연결부에서 일부가 중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방사 패턴들 중 중첩된 부분에는 상기 제1 방사 패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을 관통하며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이 형성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패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방사 패턴들에는 상기 튜닝 패턴의 폭에 대응하여 폭이 감소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에는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마주하게 형성된 제1 튜닝 패턴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부들에는 상기 제2 방사 패턴과 마주하게 형성된 제2 튜닝 패턴들이 형성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대역 수직 편파 안테나는 상기 반사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저 대역 수평 편파 안테나는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KR1020140029774A 2014-03-13 2014-03-13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KR10151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74A KR101517778B1 (ko) 2014-03-13 2014-03-13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74A KR101517778B1 (ko) 2014-03-13 2014-03-13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778B1 true KR101517778B1 (ko) 2015-05-07

Family

ID=5339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774A KR101517778B1 (ko) 2014-03-13 2014-03-13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1064A (zh) * 2017-06-07 2017-09-15 江苏华灿电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三端口双频天线
CN109193176A (zh) * 2018-07-24 2019-01-11 广东博纬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双极化低频振子单元及多频段阵列天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626A (ko) * 2002-04-12 2003-10-22 주식회사 감마누 전기적 빔틸트 조절을 위한 위상 변위기 및 그를 이용한이중대역 기지국 안테나
KR20050005909A (ko) * 2003-07-07 2005-01-15 주식회사 감마누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방지를 위한 평면배열 안테나
KR20070020272A (ko) * 2004-06-04 2007-02-20 앤드류 코포레이션 지향성 다이폴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626A (ko) * 2002-04-12 2003-10-22 주식회사 감마누 전기적 빔틸트 조절을 위한 위상 변위기 및 그를 이용한이중대역 기지국 안테나
KR20050005909A (ko) * 2003-07-07 2005-01-15 주식회사 감마누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방지를 위한 평면배열 안테나
KR20070020272A (ko) * 2004-06-04 2007-02-20 앤드류 코포레이션 지향성 다이폴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1064A (zh) * 2017-06-07 2017-09-15 江苏华灿电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三端口双频天线
CN109193176A (zh) * 2018-07-24 2019-01-11 广东博纬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双极化低频振子单元及多频段阵列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0313B2 (en) Planar dual polarization antenna
KR102482836B1 (ko)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EP3739687B1 (en) Antenna radiation element and antenna
JP5956582B2 (ja) アンテナ
US9490538B2 (en) Planar dual polarization antenna and complex antenna
EP3201986B1 (en) Antenna device for a base station antenna system
WO2012102576A2 (en) Broad-band 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and antenna array
US20190027814A1 (en) Antenna system
US8674884B2 (en) Dual-b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O2019062654A1 (zh) 一种新型扩频宽带基站天线
US20140071016A1 (en) Dual-band and dual-polarization antenna
KR101983552B1 (ko) 안테나 빔 향상용 전자파 렌즈, 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장치
US20160006132A1 (en) Dual-feed dual-polarization high directivity array antenna system
KR20160023302A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KR20130134793A (ko) 이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US201601907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frequency sensitive surface antenna
US20230017375A1 (en) Radiating element, antenna assembly and base station antenna
US9379451B2 (en) Broad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KR20160094897A (ko) 이중 편파 안테나
KR101517778B1 (ko)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KR20150087171A (ko)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US20230092210A1 (en) Antenna and base station
KR101517779B1 (ko) 이중 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장치
US11522270B2 (en) Solution for beam tilting associated with dual-polarized mm-Wave antennas in 5G terminals
KR101286073B1 (ko)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