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674B1 -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674B1
KR101517674B1 KR1020130060853A KR20130060853A KR101517674B1 KR 101517674 B1 KR101517674 B1 KR 101517674B1 KR 1020130060853 A KR1020130060853 A KR 1020130060853A KR 20130060853 A KR20130060853 A KR 20130060853A KR 101517674 B1 KR101517674 B1 KR 101517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keyword extraction
extracting
technique
key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267A (ko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정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훈 filed Critical 정승훈
Priority to KR102013006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6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고,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키워드 추출 기법을 통해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광고를 노출한다.

Description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Method of exposing an using a plurality of keyword extract schemes and device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아래 실시예들은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웹 페이지에서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키워드 광고 또는 문맥 광고 등이 있다. 키워드 광고는 광고주들이 특정 키워드를 구매한 후,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검색어로 검색을 하였을 경우, 그 검색 결과 페이지에만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 노출 방법이다.
실시예들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온라인 문서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가중치 정보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온라인 문서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기존에 상기 온라인 문서를 방문했던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들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광고들과 연관된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상기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키워드 세트가 미리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상기 키워드 세트 중 하나의 키워드와 대응됨에 따라, 상기 대응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광고 노출 방법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와 대응되는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온라인 문서의 문맥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광고 노출 방법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광고가 노출되는 비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기존에 상기 온라인 문서를 방문했던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들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광고들과 연관된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상기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키워드 세트가 미리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상기 키워드 세트 중 하나의 키워드와 대응됨에 따라, 상기 대응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또한, 온라인 문서와 대응되는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온라인 문서의 문맥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광고 제공 장치는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는 순서 정보 획득부;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판단부의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판단부의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측에 다르면, 광고 제공 장치는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는 가중치 정보 획득부;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광고가 노출되는 비중을 제어하는 노출 비중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온라인 문서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가중치 정보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온라인 문서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에서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에서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통해 광고 노출 시간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의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에서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110),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2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면(130), 추출된 키워드를 광고 서버에 전송하여 광고를 요청할 수 있다. 광고 서버는 요청된 광고를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140).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 판단에 따라,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1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있으면, 단계(110)로 되돌아 가서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는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이하, R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온라인 문서의 레퍼러 유알엘(referrer URL)에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여 온라인 문서를 방문한 경우를 가정하자.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서 사용자 A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및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이하, H 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문서에서 광고 노출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문서에 삽입된 스크립트의 형태를 통해 구현되거나 온라인 문서를 브라우징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에 플러그인이나 애드온 형태로 부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사항들은 예시적인 사항들에 불과할 뿐 광고 노출 방법의 구현 형태는 전술한 사항들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 대한 설명은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 에이치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일주일) 사용자 A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란에 "노트북"을 입력한다(210). 노트북을 입력하면 검색 결과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검색 결과 화면에는 노트북과 관련된 기사, 노트북의 사용 후기를 게시한 블로그의 주소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A는 노트북과 관련된 온라인 문서(220)에 방문한다.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220)에는 광고1이 노출 될 수 있다. 노출되는 광고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사용자 A는 검색어 "노트북"을 입력하여 온라인 문서(220)를 방문하였으므로, "노트북"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에이치 기법에서 키워드 추출은 사용자 A가 노출된 광고를 선택함으로써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220)에 노출된 광고를 사용자 A가 선택한다. 사용자 A가 노출된 광고를 선택하는 것은 광고를 클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광고를 클릭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10초) 마우스 포인터를 광고 위에 올려놓은 것도 광고를 선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용자 A가 광고를 선택하면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사용자 A가 입력한 검색어 또는 사용자 A가 선택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는 사용자 A와 대응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와 대응되도록 하는 방법은 사용자 A가 무선 단말기를 통해 방문하였으면 맥 주소(MAC address)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과 연결된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주소인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이치 기법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를 광고 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를 요청할 수 있다. 광고 서버에는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 리스트가 존재할 수 있다. 광고 서버는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 광고를 제공하고 해당 온라인 문서에는 광고가 노출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 피(P)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 기법은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기존에 온라인 문서를 방문했던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들 및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광고들과 연관된 키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문서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B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란에 "최신 노트북"을 입력한다(310). 최신 노트북을 입력하고 검색 결과 화면에는 최신 노트북 출시와 관련된 뉴스, 최신 노트북 사용 후기가 게시된 블로그의 주소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B는 최신 노트북과 관련된 온라인 문서(320)를 방문한다. 사용자 B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320)에는 광고 2가 노출된다. 온라인 문서(320)에는 복수 개의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 B는 온라인 문서(320)에서 광고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는 방식은 전술 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사용자 C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란에 "삼성 노트북"을 입력한다(330). 삼성 노트북을 입력하고 검색 결과 화면에는 삼성 노트북 할인 판매와 관련된 뉴스, 삼성 노트북 사용 후기가 게시된 블로그의 주소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C는 삼성 노트북과 관련된 온라인 문서(340)를 방문한다. 사용자 C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340)에는 광고 3이 노출된다. 온라인 문서(340)에는 복수 개의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 C는 온라인 문서(340)에서 광고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는 방식은 전술 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복수의 사용자(사용자 B, C)들이 온라인 문서를 방문하기 위해 입력한 검색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B가 입력한 "최신 노트북", 사용자 C가 입력한 "삼성 노트북"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노트북"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사용자 B, C)들이 온라인 문서에서 선택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사용자 B가 선택한 광고2가 노트북 가방 광고라면, 연관된 키워드인 "노트북 가방"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C가 선택한 광고3이 삼성 노트북과 호환되는 마우스 광고라면, 연관된 키워드인 "마우스"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키워드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온라인 문서에 방문하는 경우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 중 티(T)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티 기법은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키워드 세트가 미리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키워드 세트 중 하나의 키워드와 대응됨에 따라 대응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A가 신발을 판매하는 온라인 문서(410)를 방문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는 스포츠, 연예, 날씨, 경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전술한 사항에 의해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410)는 스포츠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키워드 세트(420)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A가 온라인 문서를 방문했을 때,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키워드 세트는(420)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로 구성되어 있다. 대응되는 키워드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키워드 세트(420)에서 왼쪽 열은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오른쪽 열은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를 나타낸다. 스포츠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는 야구, 축구, 스포츠 의류, 운동화가 포함될 수 있다. 경제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는 저축, 주식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410)의 카테고리는 스포츠 카테고리이므로 키워드 세트에서 키워드 "야구"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세트에서 키워드가 하나이면 해당 키워드가 추출되지만, 키워드가 여러 개이면 해당 키워드들 중에서 어떤 키워드를 선택할지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세트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키워드 세트에서 야구를 추출하면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410)에 야구 용품을 파는 쇼핑몰의 광고, 야구 경기 관람 티켓 값의 할인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30분) 온라인 문서(410)에서 다른 온라인 문서로 접속한 경우 다른 온라인 문서에 야구와 관련된 광고를 노출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때, 카테고리를 계층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분류를 스포츠로 분류하고, 중분류를 축구, 야구로 분류할 수 있다.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를 세밀하게 분류함으로써 사용자 타겟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 디(D) 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디 기법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에는 시즈널 키워드, 인기키워드, 고단가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시즈널 키워드는 계절과 관련된 키워드를 나타내며, 여름과 관련된 키워드는 수영, 수박, 바캉스, 공포 영화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름에 온라인 문서에 방문하는 경우 여름과 관련된 시즈널 키워드 세트에서 키워드 "바캉스"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를 추출한 후 키워드를 광고 서버에 전송하고 광고 서버는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 바캉스와 관련된 광고를 제고할 수 있다.
인기 키워드는 복수의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검색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일이 삼성의 최신형 스마트폰 출시일 이라고 가정하자. 삼성의 최신형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검색 또는 클릭에 의하여 인기 키워드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온라인 문서를 방문하면 인기 키워드에서 삼성의 최신형 스마트폰과 관련된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는 삼성의 최신형 스마트폰과 관련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고단가 키워드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노출할 때 광고 노출 비용으로 상당 금액을 지불한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고단가 키워드에는 보험, 대출, 다이어트, 영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온라인 문서를 방문하는 경우, 고단가 키워드 세트에서 키워드 "영어"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는 영어 회화 책, 영어 문법 책과 같이 영어와 관련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온라인 문서를 방문하는 경우 복수 개의 광고들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광고에는 인기 키워드 세트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가 노출될 수 있고, 제2 광고에는 고단가 키워드 세트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 씨(C) 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씨 기법은 온라인 문서의 문맥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문맥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문맥광고란, 온라인 문서에 게재된 내용과 문맥을 분석해 연관성이 높은 광고를 자동적으로 노출하는 인터넷 광고 기법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동차"와 관련된 온라인 문서를 방문하는 경우, "자동차 할인 판매"와 같이 "자동차"와 연관된 광고가 온라인 문서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이(E) 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기법은 온라인 문서와 대응되는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동차 블로그에 방문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블로그의 운영자는 미리 "자동차"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자동차 블로그에 방문하고 해당 블로그에서 키워드 "자동차"가 추출되어 자동차와 연관된 광고가 노출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은 제1 키워드 추출 기법 및 제2 키워드 추출 기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는 추출된 키워드를 광고 서버에 전송하여 광고를 요청하고, 광고 서버에서 온라인 문서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 알 기법과 에이치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의 검색어 입력란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 결과 화면에 나타난 여러 온라인 문서의 주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알 기법을 통해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 주소 창에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온라인 문서를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알 기법을 이용하지 못하고, 에이치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에이치 기법을 통해 한달 이내에 사용자가 검색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서 노출된 광고를 선택하여, 선택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를 추출한다. 사용자가 현재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 추출된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 알 기법, 에이치 기법 및 피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는, 알 기법, 에이치 기법 및 티 기법을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알 기법, 에이치 기법, 티 기법 및 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알 기법, 에이치 기법, 티 기법 및 디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키워드들이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하여 키워드 세트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온라인 문서를 방문하는 경우 해당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를 키워드 세트에서 추출한다. 추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는 추출된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가 노출된다.
이 기법, 씨 기법 및 디 기법을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문서의 운영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키워드를 저장한 후에 온라인 문서의 문구, 문맥, 문장 등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키워드의 유사도를 측정한다. 유사도를 기초로 온라인 문서에 해당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가 노출된다.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들의 조합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조합은 예시에 불과할 뿐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알 기법, 에이치 기법 및 티 기법은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 아니다. 나머지 키워드 추출 기법의 조합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에서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통해 광고 노출 시간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 노출 방법은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510),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520) 및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광고가 노출되는 비중을 제어하는 단계(530)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은 추출된 키워드들을 기초로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은 알 기법과 에이치 기법, 알 기법과 에이치 기법 및 피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알 기법, 에이치 기법, 티 기법 및 디 기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기법, 씨 기법 및 디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의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한달 이내에 사용자 A는 포털 사이트에 "노트북"을 검색하여 온라인 문서에 방문한다.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는 광고1이 노출된다. 사용자 A가 광고1을 선택한다. 여기서, 피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A가 입력한 노트북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A가 선택한 광고1과 연관된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가 노출된다.
사용자 A는 포털 사이트 검색어 입력란에 "노트북"을 입력한다. 사용자 A는 노트북을 입력한 검색 결과 화면 중 노트북과 관련된 온라인 문서에 방문한다.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는 한달 이내에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와 동일한 온라인 문서 일 수 있다. 알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서 "노트북"을 추출하여 광고가 노출된다.
사용자 B는 포털 사이트 검색어 입력란에 "최신 노트북"을 입력한다. 사용자 B는 검색 결과 화면 중 노트북과 관련된 온라인 문서에 방문한다. 사용자 B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는 사용자 A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와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B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는 광고2가 노출되며, 사용자 B는 광고2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피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B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서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B가 선택한 광고2와 연관된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가 노출된다.
사용자 A, B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서 복수의 기법(R, H, P 기법)들을 이용하여 키워드들을 추출한 뒤 광고가 노출된다. 복수의 기법들 중 많이 사용된 기법을 찾아서 가중치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가중치 정보는 각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노출된 광고의 횟수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추출된 키워드들의 개수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알 기법이 20퍼센트, 에이치 기법이 50퍼센트, 피 기법이 30퍼센트의 가중치가 있다고 할 때, 사용자들이 방문한 온라인 문서에는 에이치 기법을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면 30초를 노출할 수 있고, 피 기법을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면 20초를 노출할 수 있다. 또는, 광고를 노출하는 시간이 아니더라도 에이치 기법을 이용하여 온라인 문서의 지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기법들을 이용할 때 보다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방법은 이 기법, 씨 기법 및 디 기법을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도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통한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고 제공 장치는 순서 정보 획득부(710), 판단부(720) 및 키워드 추출부(730)를 포함한다.
순서 정보 획득부(710)는 복수의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한다. 판단부(720)는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720)에 의해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있으면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키워드 추출부(730)는 판단부(720)의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 판단이 있으면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한, 키워드 추출부(730)는 판단부(720)의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있으면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는 제1 키워드 추출 기법 및 제2 키워드 추출 기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를 더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블록 및 복수의 추출 기법들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고 제공 장치는 가중치 정보 획득부(810), 키워드 추출부(820) 및 노출 비중 제어부(830)를 포함한다.
가중치 정보 획득부(810)는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획득한다. 키워드 추출부(820)는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한다. 노출 비중 제어부(830)는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광고가 노출되는 비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는 추출된 복수의 키워드들을 기초로 추출된 복수의 키워드들과 연관된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블록 및 복수의 추출 기법들은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기존에 상기 온라인 문서를 방문했던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들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광고들과 연관된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더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상기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키워드 세트가 미리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상기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상기 키워드 세트 중 하나의 키워드와 대응됨에 따라, 상기 대응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더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더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6.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결정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와 대응되는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상기 온라인 문서의 문맥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더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8.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광고가 노출되는 비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여 노출된 광고의 횟수 및 추출된 키워드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키워드 추출 기법을 통해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상기 온라인 문서로의 방문을 위해 기존에 상기 온라인 문서를 방문했던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들 및 상기 온라인 문서에 노출된 광고들 중 상기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광고들과 연관된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더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키워드 세트가 미리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방문한 온라인 문서의 카테고리와 상기 키워드 세트 중 하나의 키워드와 대응됨에 따라, 상기 대응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은
    온라인 문서와 대응되는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온라인 문서의 문맥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적어도 하나의 미리 구비된 키워드 세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
    을 포함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를 획득하는 순서 정보 획득부;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결정된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판단부의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 중에서 결정된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판단부의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광고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 추출 기법 및 상기 제2 키워드 추출 기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제공 장치.
  15.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는 가중치 정보 획득부;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의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광고가 노출되는 비중을 제어하는 노출 비중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정보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여 노출된 광고의 횟수 및 추출된 키워드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가중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이 이용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키워드 추출 기법을 통해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광고 제공 장치.
KR1020130060853A 2013-05-29 2013-05-29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KR101517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53A KR101517674B1 (ko) 2013-05-29 2013-05-29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53A KR101517674B1 (ko) 2013-05-29 2013-05-29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267A KR20140140267A (ko) 2014-12-09
KR101517674B1 true KR101517674B1 (ko) 2015-05-07

Family

ID=5245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853A KR101517674B1 (ko) 2013-05-29 2013-05-29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6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1811B2 (en) 2018-10-05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30104479A (ko) 2022-01-01 2023-07-10 이제봉 상품성, 정보성 키워드를 분석하여 키워드 내 상품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는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505B1 (ko) * 2019-05-03 2022-03-08 주식회사 자이냅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뉴스를 레이블링하는 프로그램
KR102382226B1 (ko) * 2019-05-03 2022-04-05 주식회사 자이냅스 뉴스 기사의 감성 정보를 레이블링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1811B2 (en) 2018-10-05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30104479A (ko) 2022-01-01 2023-07-10 이제봉 상품성, 정보성 키워드를 분석하여 키워드 내 상품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는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267A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1091B2 (ja) サーチ結果の提供
US93489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a keyword of a web page with video content
KR101953303B1 (ko) 브라우징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정합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기법
US8112308B1 (en) Targeting using generated bundles of content sources
US86828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structured data from classified websites
CN108090111B (zh) 用于搜索结果的动画摘录
US200601294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product searching, and use thereof
US8700621B1 (en) Generating query suggestions from user generated content
US8249918B1 (en) Context based content adjacency filtering
US201401958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ebpage Content
US20160267189A1 (en)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search at a browser side and a browser
US20080243797A1 (en) Method and system of selecting landing page for keyword advertisement
US20130054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ing a toolbar
US8984414B2 (en) Function extension for browsers or documents
KR102191486B1 (ko) 자동 광고 대행 서버, 자동으로 광고 매체를 위한 캠페인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의 집행을 대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40016247A (ko) 광고주에게 추상 오브젝트에 대한 입찰 기회 제공
US20080235092A1 (en) Method of advertising while playing multimedia content
KR20170140226A (ko) 정보 검색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981136B1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US9104746B1 (en) Identifying contrarian terms based on website content
US20170228775A1 (en) Learning apparatus, learn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17674B1 (ko) 복수의 키워드 추출 기법들을 이용하는 광고 노출 방법 및 광고 제공 장치
US20160164984A1 (en) Determining Browsing Activities
US201402145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controlled rendering of mobile advertisements
KR101722670B1 (ko) 간접클릭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