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434B1 - 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 - Google Patents

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434B1
KR101517434B1 KR1020130081248A KR20130081248A KR101517434B1 KR 101517434 B1 KR101517434 B1 KR 101517434B1 KR 1020130081248 A KR1020130081248 A KR 1020130081248A KR 20130081248 A KR20130081248 A KR 20130081248A KR 101517434 B1 KR101517434 B1 KR 101517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tea
bottle body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7177A (en
Inventor
백승우
Original Assignee
(주)팩심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팩심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주)팩심인터내쇼날
Priority to KR102013008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434B1/en
Publication of KR2015000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6Inverting 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water is boiled in the lower part and the apparatus is subsequently inverted to pass the water through the filter

Abstract

본 발명은 찻잎을 수용하며 찻물이 용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용출공간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춰 차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용수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물병몸체;와 상기 물병몸체의 개방부위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찻잎을 우려내기 위한 용출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다공성의 여과망으로 구성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용출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ottl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ea that can accommodate tea leaves and has an elution space for observing the elution of tea leaves,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his / A drainage part connected to the opening part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having an elution space for inspecting the tea leaves therein and a lower part of the drainage part being formed of a porous filter net; And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ution unit to open and close the elution unit.

Description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A water bott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ea

본 발명은 찻잎을 수용하며 찻물이 용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용출공간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춰 차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ottl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ea, which can accommodate tea leaves and has an elution space for observing the elution of tea leaves,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his / her taste.

일반적으로 근래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이에 차의 문화가 커피보다는 녹차, 둥글레차, 현미, 홍차 찻잎을 이용한 자연산 차를 즐기는 사람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Generally, as the level of living has improved in recent years, people are paying great attention to health, and the culture of tea is explosively increasing in people who enjoy natural tea using green tea, round tea, brown rice and tea tea rather than coffee to be.

이러나 홍차나 녹차 등 각종의 차 류들은 냉.온의 용수를 이용해 우려내어 음용 하게 되는데, 그러한 차 류들은 대략 소정의 냉.온수가 담아지는 용기, 예를 들어 찻잔이나 컵 등을 이용해 우려내어 음용 하고 있는 것이다.This kind of tea is used by drinking water from cold and hot water, and such tea is used in a container containing a predetermined cold and hot water, for example, a teacup or a cup. It is.

그러나 찻잔이나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한 차류의 음용 방식은 주로 실내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운동 또는 등산이나 그 이외 이동 시에서는 그 용기의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여 실생활에서 차 음용의 저변확대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drinking method using tea cups or cups is mainly available only indoors, and it is not easy to carry the containers when exercising, climbing or moving other than the tea cups. .

최근 시중에서 기성품으로 보급되고 있는 생수병 또는 휴대용 물병 등을 이용해 이동시 차 류들을 음용 하고 있는데, 이러한 생수병이나 휴대용 물병을 이용시 차류의 티백을 용기에 넣고 빼냄이 용이하지 않음 물론이고, 과립상태의 차류는 사용이 불가하였으며 또 병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는 등 위생적이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In recent years, drinking water has been used to drink bottled water or portable water bottles that have been widely used as ready-made products. However, when such bottled water bottles or portable water bottles are used, it is not easy to put tea tea bags into containers. There was a non-hygienic defect such that the tea was not usable and the bottle was not easy to wash.

그리고 생수병 또는 휴대용 물병을 이용하는 경우, 대략 몸통의 상부에 별도의 뚜껑으로 개폐되고 상단으로 가며 점차 좁아지게 구성된 입구를 통해 티백을 삽입하여 소기의 차류를 우려내어 음용 할 수 있게 하고 있다.When a bottled water bottle or a portable water bottle is used, the tea bag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eparate lid and gradually tapered toward the upper end so as to be able to drink and drink the desired tea.

그런데 이렇게 병의 몸통 상부에서 협소하게 구비되는 입구를 통해 티백을 넣는 작업이나, 우려내어 음용 후 입구를 통한 티백의 회수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등 티백의 교체작업에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으며, 또 티백을 병 내의 하부 측에 안정되게 침수시키지 못하고 용수의 수표면으로 부상되는 현상이 일어나 티백의 우려냄이 저조해지고, 또 병 내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비위생적인 결함이 있는 등 사용상에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However, there are a lot of inconveniences in the operation of putting the tea bag through the narrowly provided inlet at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and the operation of recovering the tea bag through the inlet after drinking the concern, It is difficult to immerse the bottom of the bottle in a stable manner and floats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resulting in poor concern of the tea bag and inadequate cleaning of the bottle, resulting in unsanitary defects and many problems in use .

또한 운동이나 등산 등 이동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 티백을 휴대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용할 티백을 별도 보관하는 것으로 그 보관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이고 티백의 휴대상태가 위생적이지 못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Also, at least one spare tea bag must be carried when moving, such as during exercise or mountain climbing. In addition, not only is it not easy to store the tea bag to be used at this time, but also the portable state of the tea bag is not sanitary.

특히 티백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물병으로는 찻물의 우려냄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차의 고유의 향과 맛이 떨어지게 되고, 오히려 쓴맛이 강해지는 등 차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기 위해서는 사용자 취향에 맞춰 차의 농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using a tea bag,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tate of concern of tea by a general water bottle. As time elapses, the inherent flavor and taste of the tea are deteriorated. On the contrary, in order to feel the taste and aroma of tea, It is necessary to check tea concentration according to tast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4913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2009-000491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찻잎을 수용하며 찻물이 용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용출공간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게 차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Accordingly,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bott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ea, which can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y providing a dissolution space in which the tea leaves are observed to be drained To provid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은 음용수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물병몸체;와 상기 물병몸체의 개방부위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찻잎을 우려내기 위한 용출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다공성의 여과망으로 구성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용출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bottl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ea, comprising: a water bottle body for receiving drinking water and opening at an upper part thereof; a dissolution space for bonding the opening of the water bottle body, An eluting portion composed of the porous filter net; And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ution unit to open and close the elution unit.

이때, 상기 용출부는 그 외면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찻잎이 우러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flow por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that the tea leaves come out.

그리고, 상기 물병몸체는 유리 재질의 내벽과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외벽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이 진공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내벽은 은(銀)도금 되어 차의 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water bottle body is made of a double wall structure made of a glass-made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made of stainless steel. A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is formed in a vacuum state, and the inner wall is plated with silver, To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물병몸체와 용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물병몸체와 용출부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커플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upling disposed between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elution unit for fastening the water bottle body to the elution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은 찻잎을 수용하며 찻물이 용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용출공간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춰 차의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차 고유의 향과 맛을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ea, has an elution space accommodating the tea leaves and observing the elution of the tea leav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tea concentr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preference So that it is possible to drink the unique flavor and taste of t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차의 농도 조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bottl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bottl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bottl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bott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bott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 section of a possible water bottle.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병몸체(100)와 용출부(110)와 커플링(120) 및 뚜껑(130)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찻잎(10)을 반복하여 우려냄으로써 찻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1, a water bottl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bottle body 100 and an elution unit 110, a coupling 120 and a lid 130,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tea can be controlled by repeatedly selecting the tea leaves 10.

상기 물병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찻물을 우려내기 위한 음용수를 수용한다. 이러한 물병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용출부(110)가 결합되며, 상기 용출부(110)와 연통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용수를 상기 용출부(110)로 이송 및 유입시키게 된다.The water bottle body 100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o receive drinking water for concern of tea.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opened at its upper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elution portion 110 described below and communicated with the elution portion 110 to transfer the drink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elution portion 110 do.

여기서 상기 물병몸체(100)는 수용된 음용수의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게 보냉온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cold storage temperature characteristic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received drinking w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일 예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물병몸체(100)는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모두 배출시킨 진공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열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한다.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formed of a double wall structure composed of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By forming a vacuum state in which all air existing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is discharged, .

이에 더하여 상기 내벽과 같은 경우 은(銀)도금 처리된 것으로, 이를 통해 외부의 온도가 높을 때에 외부로부터의 복사를 반사하여 이 열의 흡수를 감소시키고, 외부의 온도가 낮을 때에는 상기 음용수에서의 복사를 반사하여 내부로 되돌려 보내 외부로 방사선의 형태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ner wall, silver plating is performed to reflect the radiation from the outsid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is high, thereby reducing the absorption of the heat, an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It is reflected back to the inside and is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radiation.

이때, 상기 물병몸체(100)의 내벽은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벽의 경우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구성되어 물병 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함과 더불어 유리 재질의 내벽을 보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ner wall of the water bottle body 100 may be made of a glass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In the case of the outer wall,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made of stainless steel material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to prevent corrosion that may occur outside the water bottle, It is preferable to protect the inner wall of the materi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병몸체(100)는 보냉온 특성을 갖게 됨에 따라 찻물을 음용함에 있어 중요시 여겨지는 찻물의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의 맛과 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bottle bod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d storage temperature characteristic,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tea, which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drinking the tea, for a predetermined time,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한편, 상기 용출부(110)는 찻잎(10)을 수용하고, 상기 물병몸체(100)로부터 음용수의 일부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찻잎(10)의 맛과 향을 포함한 유효성분이 상기 용출부(110)로 유입된 음용수에 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elution unit 110 accommodates the tea leaves 10 and allows a part of the drinking water to flow from the water bottle body 100 so that an effective component including the taste and aroma of the tea leaves 10 is supplied to the elution unit 110 To be eluted into the incoming drinking water.

이러한 용출부(110)는 상기 물병몸체(100)의 개방부위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용출부(110)와 물병몸체(100) 간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커플링(120)이 구비될 수 있다.The elongated portion 110 is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water bottle body 100 and may include a coupling 120 for fastening the elongated portion 110 and the water bottle body 100 to each oth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12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상부 및 하부 내주연에는 각각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상부로는 용출부(110)가 나사 체결되며, 하부로는 물병몸체(100)의 개방부위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용출부(110)와 물병몸체(120)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시킨다.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12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coupling 121 is formed with threads 121 at the upper and lower inner circumferences, And the open portion of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to connect the elution portion 110 and the water bottle body 12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러한 커플링(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부 및 하부 내주연을 따라 각각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코킹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물병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12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is preferable that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upper and lower inner peripheries, respectively, and the water tightness of the water bottle is improved by attaching the caulking member to the grooves.

상기 용출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찻잎(10)을 수용하고 이로부터 찻물을 우려내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찻잎(10)을 수용하기 위한 용출공간(111)이 마련되며 하면은 상기 물병몸체(100)로부터 음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공성의 여과망(112)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lution unit 110 includes a release space 111 for accommodating the tea leaves 10, which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tea leaves 10 and to distract tea from the leav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composed of a porous filtering net 112 so that drinking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bottle body 100.

상기 여과망(112)은 수용된 찻잎(10)으로부터 찻물이 용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 등이 하부의 물병몸체(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물병몸체(100)와의 상호 연통 수단으로서 음용수 또는 찻물 등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한다. The filter net 112 prevents foreign matter or the lik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eluting tea leaves from the received tea leaves 10 from flowing into the lower water bottle body 100 and also serves as an intercommunication means with the water bottle body 100 Drinking water or tea, etc.

이때 상기 용출공간(111)에 일정량으로 수용된 음용수는 상기 여과망(112)과 접하는 표면에서 표면 장력에 의한 막이 형성됨과 더불어 물병 내부의 공기압 차에 의해 찻물이 우러나오는 동안에 수용된 음용수가 하부의 물병몸체(100)로 유출되지 않는 바, 그 양이 변동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elution space 111 in a predetermined amount forms a film due to the surface tension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ltering net 112, and the drinking water accommodated while the drinking water comes in due to the air pressure difference inside the water bottle, 100), the amount thereof does not fluctuate.

또한 상기 용출공간(111)의 부피는 상기 물병몸체(100)의 공간 부피와 대비하여 10% 내지 4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출공간(111)의 부피가 10% 미만일 경우 찻잎(10)으로부터 용출하는 찻물의 양이 미세하여 물병몸체(100)에 수용된 전체 음용수를 대상으로 찻물을 희석할 경우 그 맛과 향이 저조하며, 40%를 초과할 경우 반대로 용출되는 찻물의 양과 농도가 진하여 찻물의 맛과 향이 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elution space 111 may be 10% to 40% of the volume of the water bottle body 100. This is because when the volume of the elution space 111 is less than 10%, the amount of the tea eluted from the tea leaves 10 is minute, and when the tea is diluted with respect to all the drink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bottle body 100, If the content exceeds 40%, the amount and concentration of the tea to be eluted may be reversed and the taste and flavor of the tea may become strong.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출부(110)는 그 외면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사용자가 상기 용출부(110) 내부 즉, 용출공간(111)을 관찰하도록 함으로써 찻잎(10)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찻물의 색을 통해 찻물의 농도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elution unit 1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By allowing the user to observe the elution space 111 inside the elution unit 110, 10), it is possible to easily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tea.

상기 뚜껑(130)은 상기 용출부(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용출부(110)의 용출공간(111)을 개방 또는 밀폐한다.The lid 130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ution unit 110 to open or close the elution space 111 of the elution unit 110.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차의 농도 조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4a 및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의 농도 조절이 방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용출부(110)는 표면 장력과 기압차를 이용하여 용출공간(111)에 일정량의 음용수를 수용하고 이로부터 찻잎(10)의 유효성분이 용출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4A and 4C, the elution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drinking water in the elution space 111 using the surface tension and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And the effective ingredient of the tea leaves 10 is eluted therefrom.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뚜껑(130)을 개방하여 상기 용출부(110)의 용출공간(111)으로 적정량의 찻잎(10)을 투입한 후 상기 뚜껑(130)을 닫아 용출공간(111)을 밀폐시킨다.4A, the user opens the lid 130 and inserts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tea leaves 10 into the elution space 111 of the elution unit 110. Then, the lid 130 is closed, Thereby sealing the space 111.

이후 물병몸체(100)의 위치를 일정 각도로 기울려 여과망(112)의 공극을 통해 물병몸체(100)에 수용된 음용수가 용출부(110)의 용출공간(111)으로 서서히 유입되도록 하며, 일정량 이상의 음용수가 용출공간(111)으로 유입되면 상기 물병몸체(100)를 다시 직립으로 바로 세우도록 한다.The position of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drink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gradually introduced into the elution space 111 of the elution unit 110 through the gap of the filter net 112,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directly erected uprightly when the water bottle 100 is introduced into the elution space 111.

상기 물병몸체(100)로부터 용출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음용수는 상기 용출부(110)의 여과망(112)과 접하는 표면에서 표면 장력(A)이 작용하여 음용수 표면은 막의 특성을 갖게 됨에 따라 용출공간(111)으로 유입된 음용수는 상기 표면 장력(A)에 의한 막에 의해 여과망(112)을 통해 물병몸체(100)로 음용수가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surface tension of the drinking water flowing into the elution space 111 from the water bottle body 100 acts on the surface of the elution unit 110 in contact with the filtering net 112 so that the surface of the drinking wat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The drinking water flowing into the space 111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drinking water body 100 through the filtering net 112 by the membrane by the surface tension A. [

이때 상기 용출부(110)의 여과망(112)은 그 공극의 직경이 0.3mm 내지 1.5mm로 구성되어 물병몸체(100)로부터 유입되는 음용수가 상기 여과망(112)에서 작용하는 표면 장력의 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ltering net 112 of the elution unit 110 has a diameter of 0.3 mm to 1.5 mm, so that drinking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bottle body 100 forms a film of surface tension acting on the filtering net 112 .

상술한 표면 장력(A) 외에도 상기 물병몸체(100) 내에는 외부와의 기압차가 작용하게 되는 바, 표면 장력에 의해 밀폐되는 용출부(110)를 향하여 팽창하는 공기압(B)의 작용이 더해져 용출공간(111) 내의 음용수는 하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surface tension A described above, a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cts on the water bottle body 100, and the action of the air pressure B expanding toward the elution portion 110 sealed by the surface tension is added, So that the drinking water in the space 111 does not flow out to the lower part.

상기 용출공간(111) 내에 수용된 찻잎(10)은 일정 시간이 경과 됨에 따라 찻잎의 유효성분이 서서히 용출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투명 재질의 용출부(110)를 통해 찻물이 우러나오는 색을 통해 찻물의 농도를 유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effective amount of the tea leaves gradually elapses as the tea leaves 10 stored in the eluting space 111 elapse with a lapse of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user is able to gradually extract the tea leaves through the transparent material- The concentration can be deduced.

이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만족하는 농도로 찻물이 용출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병몸체(100)의 위치를 다시 일정 각도로 기울려 상기 용출공간(111)과 물병몸체(100)의 공간 간에 기압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용출된 찻물은 물병몸체(100)로 유출되는 것이며, 물병몸체(100)에 잔류하는 음용수와 찻물이 희석될 수 있다.4C, the position of the water bottle body 100 is tilted again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elution space 111 and the water bottle body 100 So that the drinking water and the tea remaining in the water bottle body 100 can be diluted.

사용자는 이러한 찻물의 용출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 수행함으로써 적정한 찻물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appropriate tea by repeating the dissolving process of the tea at least once or more.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물병몸체(100)로부터 용출부(110)를 분리하여 적정 농도를 갖는 찻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Finally, the user can separate the eluting portion 110 from the water bottle body 100 and drink the tea having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찻잎
100 : 물병몸체 110 : 용출부
111 : 용출공간 112 : 여과망
120 : 커플링 121 : 나사산
130 : 뚜껑
10: Tea leaves
100: Water bottle body 110:
111: elution space 112:
120: coupling 121: threaded
130: lid

Claims (4)

음용수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물병몸체;와
그 외면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물병몸체의 개방부위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찻잎을 우려내기 위한 용출공간이 형성되되 하면이 다공성의 여과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물병몸체에 수용된 음용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용출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용출부는,
상기 용출공간이 상기 물병몸체의 공간과 대비하여 10% 내지 40%의 부피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망의 공극은 0.3mm 내지 1.5mm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물병몸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물병몸체로부터 용출공간에 유입되는 음용수는 상기 여과망과 접하는 표면에서 표면 장력에 의해 형성되는 막과 물병 내부의 공기압 차로 인해 물병몸체로 유출되지 않아 찻물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
A water bottle body for receiving drinking water and having an open top;
And an outlet space for receiving the tea leaves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porous water filter network is composed of the porous filter net so that the drink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bottle body flows in and out part; And
And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ution unit to open and close the elution unit,
The elution unit
Wherein the elution space is constituted by 10% to 40% of the spac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pore of the filter network has a diameter of 0.3 mm to 1.5 mm. As the water bottle body is inclin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tea is selectively formed because the drinking water flowing into the dissolving space does not flow out to the water bottle body due to the film formed by the surface tension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lter net and the air pressure difference inside the water bottle. Adjustable water bott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몸체는 유리 재질의 내벽과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외벽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이 진공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내벽은 은(銀)도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bottle body is made of a double wall structure made of an inner wall made of a glass material and an outer wall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a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is formed in a vacuum state and the inner wall is plated with silver Water bottle with adjustable concent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몸체와 용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물병몸체와 용출부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커플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한 물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disposed between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drainage portion for coupling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drainage portion to each other.
KR1020130081248A 2013-07-10 2013-07-10 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 KR101517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248A KR101517434B1 (en) 2013-07-10 2013-07-10 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248A KR101517434B1 (en) 2013-07-10 2013-07-10 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77A KR20150007177A (en) 2015-01-20
KR101517434B1 true KR101517434B1 (en) 2015-05-04

Family

ID=5257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248A KR101517434B1 (en) 2013-07-10 2013-07-10 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4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0259A (en) * 2018-06-07 2018-08-21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ea infuser of tea concentration self-reg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77A (en)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587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wire cloth filter
CA2504722C (en) Container for making tea and the same
US9751678B2 (en) Ribbed water spike
JP2016521170A (en) Drip coffee making machine
JP5554249B2 (en) A set of parts suitable for use in the beverage making process
CN201029774Y (en) Liquid automatically providing kettle
KR101517434B1 (en) water bottle for capable of regulating concentration of tea
WO2006089077A2 (en) Beverage dispenser
CN107048913B (en) A kind of three-in-one multiduty teacup for kung-fu tea
KR101843468B1 (en)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CN205671930U (en) Water boiling device
CN201658151U (en) Portable tea making cup
KR101780997B1 (en) Tumbler
CN219183360U (en) Portable tea water separation cup
CN209074055U (en) A kind of cup steeping drink article convenient for storage
CN100391386C (en) Inverse dreg seperating cup with two cup connected
KR20190122603A (en) A detachable water bottle
KR200490271Y1 (en) Portable water heater
CN213640432U (en) No valve tea ceremony cup
TWI789303B (en) Combination of pour over water-guiding coffee cup and pour over device
TWM365140U (en) Coffee pot applying Venturi function
CN217610416U (en) Outdoor exercises drinking cup
CN215686498U (en) Tea making device with tea leaves preassembled
CN209058665U (en) A kind of portable drinking cup
CN208798974U (en) A kind of intermediate tealeaves layer dixie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