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204B1 -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204B1
KR101517204B1 KR1020140053639A KR20140053639A KR101517204B1 KR 101517204 B1 KR101517204 B1 KR 101517204B1 KR 1020140053639 A KR1020140053639 A KR 1020140053639A KR 20140053639 A KR20140053639 A KR 20140053639A KR 101517204 B1 KR101517204 B1 KR 10151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onveyor
blade
tap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테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테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테이프
Priority to KR102014005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기능성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캡슐이 내장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제조장치는, 내부에 기능성액체가 수용된 캡슐에 진동을 가하여 캡슐을 이송하는 피더부, 피더부로부터 캡슐을 전달받아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끝단부가 컨베이어부를 향해 연장되고 캡슐의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 표면을 절개하는 칼날부, 및 칼날부와 피더부 사이에서 캡슐과 접촉하여 캡슐을 칼날부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functional tape equipped with caps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unctional tape equipped with capsule}
본 발명은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캡슐이 내장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시적 또는 만성적인 신체 통증이나 관절의 병증 등을 약물이나 병원의 처치에만 의존하여 해소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다른 방식으로도 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테이핑 요법은 일상생활에서도 활용 가능한 대체 요법으로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뿐만 아니라 치료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테이핑 요법은 신체의 환부 및 그 주변부에 특정 패턴으로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때 테이프는 일반 테이프가 아닌 탄성력이나 접착력이 강화된 인체용 기능성테이프를 사용하며, 기능성테이프를 환부의 근섬유 방향으로 부착하여 근육의 수축 및 이완 등을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테이프의 일 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86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능성테이프는 신체에 좀 더 원활하게 부착되고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부착력을 강화하거나, 섬유나 탄성재료를 이용하여 신체활동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신장 및 수축되도록 탄성력을 보강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테이프로는 일반적인 테이핑 요법에 국한된 효과만을 얻을 수 밖에 없다. 즉, 테이핑 요법이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테이핑 요법만을 배타적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는 바, 예를 들어 테이핑 요법과 함께 약물요법이나, 전통적인 물리치료를 병행하는 등의 복합적인 치료방안을 강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기능성테이프는 사용자에게 큰 만족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기능성테이프를 제조할 필요가 생겨났으며, 이러한 기능성테이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8681호, (2011.06.0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능성액체를 투여 가능한 캡슐이 내장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종래 테이핑 요법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는, 내부에 기능성액체가 수용된 캡슐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캡슐을 이송하는 피더부; 상기 피더부로부터 상기 캡슐을 전달받아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끝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슐의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 표면을 절개하는 칼날부; 및 상기 칼날부와 상기 피더부 사이에서 상기 캡슐과 접촉하여 상기 캡슐을 상기 칼날부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 표면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차단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의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이 일직선방향으로 만입되어 상기 차단블록과 상기 컨베이어부 사이로 상기 캡슐이 통과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정점과 상기 컨베이어부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칼날부와 상기 컨베이어부 사이의 거리가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캡슐은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캡슐과 접촉하는 칼날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칼날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베이어부와 교차하도록 상기 테이프부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기능성액체가 수용된 캡슐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캡슐을 수송하는 A단계; 상기 캡슐을 컨베이어부를 이용하여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B단계; 상기 캡슐이 상기 컨베이어부 상에 위치하는 유도부와 접촉하여 칼날부로 유도되는 C단계; 및 상기 캡슐이 상기 칼날부와 접촉하여 상기 캡슐 표면이 절개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단계의 상기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 표면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차단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의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이 일직선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캡슐이 상기 홈부를 따라서 상기 칼날부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캡슐이 상기 컨베이어부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부재의 상기 접착물질에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기능성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캡슐이 내장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캡슐이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해 기능성 액체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캡슐 표면에 절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테이프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장치의 하우징 전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우징을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캡슐 절개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9는 하우징, 컨베이어부 및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캡슐들을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캡슐이 테이프부재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1은 완성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살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유기적이고 명확해지도록,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장치의 하우징 전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하우징을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1)는 캡슐(도 1의 A 참조)에 진동을 가하여 이송하는 피더부(100), 피더부(100)로부터 캡슐(A)을 전달받아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200), 캡슐(A)의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칼날부(320), 및 칼날부(320)와 피더부(100) 사이에서 캡슐(A)을 칼날부(320)로 유도하는 유도부(310)를 포함한다. 이 때 캡슐(A)은 내부에 기능성액체(예를 들어, 의료용 약액, 휘발성 냉각액, 방향액, 해충 퇴치가 가능한 방충액, 약초액, 청량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가 수용된 것으로, 외각(겉껍질)이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미세한 구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1)는 이와 같이 기능성액체가 충전된 캡슐(A)을 칼날부(320)와 접촉시켜 캡슐(A) 표면에 절개선(도 9의 Aa 참조)을 형성하고, 이를 테이프부재에 부착시킨다. 따라서, 캡슐(A) 내부에 기능성액체를 수용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절개선을 통해 이를 방출하는 독특한 구조의 기능성테이프를 매우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캡슐(A)은 기능성테이프에 내장될 만큼 직경이 작은 것으로 적절히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 예리한 칼날로도 절개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1)는, 캡슐(A)을 정렬시켜 칼날부(320)로 유도하는 유도부(310)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빠르게 기능성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피더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에 평평한 진동면이 형성된다. 캡슐(A)은 피더부(100)의 진동면 위에 투하되어 피더부(100)의 진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피더부(100)는 전기신호에 따라 내부에 주기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코어가 금속이나 또 다른 자성체와 반응하여 생성하는 반복적인 움직임을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진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피더부(100)의 일 측에는 캡슐공급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피더부(100)에 캡슐(A)을 공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공급부(110)는 피더부(100)를 향해 연장된 슈트(chute) 등을 이용하여 캡슐(A)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캡슐공급부(110)의 형상이나 구성방식은 이와 다른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피더부(100)의 타 측에는 컨베이어부(200)가 형성된다. 컨베이어부(200)는 피더부(10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끝단부가 피더부(100)의 끝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부(200) 끝단부가 피더부(100)의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피더부(100)와 적어도 일부 교차하여 캡슐(A)을 용이하게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200)는 서로 다른 롤러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궤도 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피더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캡슐(A)들을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일직선방향은 특히, 칼날부(320)의 칼날(도 4의 320a, 320b, 320c 참조)이 배열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캡슐(A)들이 피더부(100)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면서 고르게 분포된 후, 다시 컨베이어부(200)를 따라서 진동 없이 일직선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200) 내측에는 서로 교차 배치되어 컨베이어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도 3의 210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칼날부(320)는 끝단부가 컨베이어부(200)를 향해 연장되고, 캡슐(A)이 이동하는 이동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캡슐(A)이 칼날부(320)사이로 통과되어 절개될 수 있다. 칼날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미세한 칼날(320a, 320b, 320c)이 서로 밀접하게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칼날부(32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유도부(310)는 칼날부(320)와 피더부(100) 사이에서 캡슐(A)과 접촉하여 캡슐(A)을 칼날부(320)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술한 칼날부(320)가 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되고, 피더부(100)와 칼날부(320) 사이에 위치한 하우징(300)의 일부가 유도부(310)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부(310)는 칼날부(32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의 일부가 변형되는 방식으로 칼날부(320)와 매우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컨베이어부(200)의 일부를 함께 수용하여 캡슐(A)이 컨베이어부(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도부(310) 및 칼날부(320)와 자연스럽게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유도부(310)는 컨베이어부(200)의 이송경로를 차단하는 차단블록(311), 및 차단블록(311)이 만입되어 캡슐(A)이 통과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홈부(312)를 포함하고, 이러한 유도부(310)와 연결되는 지점에 전술한 칼날부(320)가 형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유도부(310)와 칼날부(32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유도부(310)는 차단블록(311)과 홈부(312)로 이루어진다. 차단블록(3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200)의 표면(특히, 캡슐이 이동하는 상면)을 따라서 컨베이어부(20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차단블록(3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일부가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경우 하우징(300)과 별개의 차단블록(311)을 설치하고, 이러한 차단블록(311)에 홈부(312)를 형성하여 독립된 유도부(3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유도부(310)의 구성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홈부(312)는 차단블록(311)의 컨베이어부(200)를 향하는 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312)를 따라서 차단블록(311)과 컨베이어부(200) 사이로 캡슐(도 1의 A 참조)이 통과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캡슐은 컨베이어부(200)와 접촉된 채 홈부(312)를 통과하여 이동하게 된다.
한편, 홈부(312)의 전방 및 후방(본 명세서상에서 전방 및 후방은 홈부의 칼날부가 위치한 내측으로부터 홈부가 시작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각각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특히, 피더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할 수 있다. 하우징과 차단블록 역시 피더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에는 홈부(312)로부터 점차로 직경이 증가하는 가이드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캡슐은 가이드부(313)에 의해 홈부(312)로 가이드 된 후 홈부(312)를 통과하면서 칼날부(320)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홈부(312)는 그 정점과 컨베이어부(200) 표면 사이의 거리가 캡슐의 직경보다 작지 않게 형성된다. 이 때, 홈부(312)의 정점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홈부(312)의 상단을 의미하며, 홈부(312)의 정점과 컨베이어부(200) 표면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캡슐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의 최대 너비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부(312)의 정점과 컨베이어부(200) 표면 상이의 거리가 캡슐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칼날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면의 적어도 일부가 홈부(312) 내측에 위치한다. 즉, 전술한 홈부(312)의 정점과 컨베이어부(200)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칼날부(320)와 컨베이어부(200) 사이의 거리가 더 짧게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부(320)의 칼날면이 홈부(312) 내측에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칼날부(320)는 구형의 캡슐과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칼날면이 곡선을 이룰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칼날면을 가질 수 있다.
칼날부(320)는 칼날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의 칼날면을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켜 캡슐 표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개할 수 있다. 회전축(321)은 구동모터(도 1 및 도 2의 322 참조)에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회전축(321)의 구동속도나 구동방향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칼날부(320) 및 칼날면 전체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을 변화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칼날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칼날(320a, 320b, 320c)을 포함한다. 따라서, 캡슐이 칼날부(320)와 접촉할 때 한번에 하나 이상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날(320a, 302b, 320c)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고 중첩되어 하나의 개체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칼날부(320)는 이와 같이 밀접한 칼날(320a, 302b, 320c)들의 세트가 서로 다른 홈부(312)에 각각 제공되어, 복수 개의 홈부(312)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캡슐들을 동시 다발적으로 절개할 수 있다. 칼날부(320)의 크기, 두께, 직경 등은 캡슐의 크기와 직경, 두께, 탄력도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유도부(310) 및 칼날부(320)를 이용하여 다수의 캡슐을 보다 안정적으로, 빠르게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캡슐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기능성액체가 배출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장치(1)의 나머지 구성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300)의 후방(전술한 홈부의 후방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일 수 있다)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부재제공부(500)가 형성된다. 테이프부재제공부(500)는 컨베이어부(200)를 향하는 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부재(B)의 적어도 일부가 컨베이어부(200)와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교차된 상태로 테이프부재(B)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부재제공부(5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테이프부재(B)를 이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테이프부재(B)가 구동롤러(511)에 감겨 이송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테이프부재제공부(500)의 일 측에는 노즐(512)이 형성되어 이송중인 테이프부재(B)에 접착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테이프부재(B)의 접착물이 도포된 면은 구동롤러(511)를 지나면서 반전되어 컨베이어부(200)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300)을 통과한 캡슐(A) 들이 테이프부재(B)의 일 면 특히, 접착물질이 도포된 면에 투하되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프부재제공부(500)는 컨베이어부(20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테이프부재제공부(500)의 상부에는 지지구제공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구는 캡슐(A)과 함께 테이프부재(B)에 부착되는 것으로 기능성테이프에 캡슐(A)과 함께 내장되어 이를 테면, 지압이나, 마사지효과를 내는 것일 수 있다. 지지구는 캡슐(A)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캡슐(A)에 형성된 절개선이 열리거나 닫히는 데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구제공부(400)는 컨베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이러한 지지구를 이송하고, 테이프부재제공부(500)에 투하하여 접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부재(B)의 일 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캡슐이 내장된 기능성테이프를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순서도를 기본으로 하여 다른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설명에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부가 등장하는 경우에는 도 1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캡슐 절개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9는 하우징, 컨베이어부 및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캡슐들을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캡슐이 테이프부재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5 내지 도 10의 캡슐들은 보다 직경이 크게 과장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기능성액체가 수용된 캡슐(도 1 및 도 6의 A 참조)에 진동을 가하여 캡슐을 수송하는 단계(S100), 컨베이어부(도 6의 200 참조)로 캡슐을 다시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200), 캡슐이 유도부(도 6 내지 도 8의 310 참조)와 접촉하여 칼날부(도 6 내지 도 8의 320 참조)로 유도하는 단계(S300), 및 캡슐이 칼날부와 접촉하여 캡슐 표면이 절개되고 배출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절개된 캡슐은 이후 컨베이어부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하고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부재에 부착될 수 있고(S500), 전술한 지지구(도 10의 C 참조)를 부착하거나 테이프부재에 추가로 다양한 층을 형성하는 후처리작업(S600)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우선, 캡슐(A)은 최초에 캡슐제공부(도 1의 110 참조)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캡슐(A)은 캡슐공급부(110)로부터 피더부(도 1의 100 참조)로 제공되어, 피더부(100)의 진동에 의해 이동된다(S100). 피더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진동을 하고 캡슐(A)은 피더부(100)의 진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진동에 의해 분산되어 뭉치지 않고 피더부(100) 전체에 넓게 분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세한 캡슐(A) 들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진동에 의해 수송된 캡슐(A)은 다시 컨베이어부(도 1의 200 참조)에 의해 일직선방향으로 이동된다(S200). 따라서, 캡슐(A)들이 서로 분산된 상태로 일정한 열을 유지하면서 유도부(도 1 및 도 6의 310 참조)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200)의 이동속도는 캡슐(A)의 분포상태, 피더부(100)의 진동에 의해 형성된 서로 다른 캡슐(A) 사이의 간격, 캡슐(A)의 크기 등에 의해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늦지 않도록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캡슐(A)이 유도부(310)로 유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도부(310)로 유도된 캡슐(A)은 먼저 가이드부(313)와 접촉하게 된다. 가이드부(313)는 홈부(312)를 향해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슐(A)을 홈부(312)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캡슐(A)은 탄성력을 가져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부(313) 또는 홈부(312)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홈부(312)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S300).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홈부(312)를 따라 홈부(312) 내측의 공간으로 이동된 캡슐(A)들은 홈부(312) 안쪽으로 위치하는 칼날부(320)의 칼날면과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칼날부(320)는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칼날면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구형의 캡슐(A) 표면에 칼날면이 좀 더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칼날부(320)의 칼날면과 접촉하는 순간 캡슐(A)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바, 캡슐(A)을 파손시키지 않으면서도 표면 일부를 적절하게 절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A)이 절개되고, 절개선이 형성된 캡슐(A)이 컨베이어부(200)를 따라 이동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312) 외측으로 배출된다(S400). 즉, 캡슐(A)은 컨베이어부(200)와 접촉한 상태로 홈부(312)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그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에서 자연스럽게 절개된다. 또한, 홈부(312)를 포함하는 유도부(310)가 캡슐(A)의 이동경로를 자연스럽게 칼날부(320)와 교차시키므로 다수의 미세한 캡슐(A)들도 번거롭지 않게 안정적으로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절개된 캡슐(A)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Aa)이 형성된다. 절개선(Aa)은 캡슐(A)의 표면에만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캡슐(A)의 탄력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이 때 캡슐(A)이 내부의 기능성액체를 배출하게 된다. 외력이 제거되면 캡슐(A)의 형상이 다시 복원되어 기능성액체의 배출이 중지된다. 이를 통해 매우 유용하게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기능성액체를 사용 가능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절개선(Aa)은 칼날부(320)의 배치상태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칼날부(320)가 적어도 세 개의 칼날(도 4의 320a, 320b, 320c 참조)을 포함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절개선(Aa)이 형성될 수 있고, 칼날(320a, 302b, 320c)의 개수를 감소하거나 칼날(320a, 302b, 320c)의 두께 및 직경 등을 증감하여 절개선(Aa)의 개수, 절개선(Aa)의 크기, 절개된 정도 등을 필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절개선이 형성된 캡슐(A)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컨베이어부(200)로부터 전술한 테이프부재제공부(500)로 투하되고 테이프부재(B)의 접착물질(Ba)에 접착되어 고정된다(S500). 접착물질(Ba)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부재제공부(500) 일 측에 마련된 노즐(512)로부터 분사되어 테이프부재(B)에 도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캡슐(A)과 함께 전술한 지지구(C)가 테이프부재(B)에 함께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캡슐(A)과 지지구(C)가 부착되어 테이프부재(B)의 기능을 더욱 다양화할 수 있다.
절개선이 형성된 캡슐(A) 및 지지구(C) 등이 부착된 테이프부재(B)는 구동롤러(511)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과정에서 캡슐(A) 및 지지구(C)가 부착된 면에 발포성 물질이나, 코팅 물질 등을 차례로 도포하여 이를 테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해면층 등을 형성할 수 있다. 해면층을 형성하는 경우 캡슐(A)로부터 배출된 기능성액체가 해면층에 유지되어 기능성액체의 효과를 보다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인체에 부착되는 접착층이나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제층 등을 형성하는 다양한 후처리과정을 통해 캡슐이 내장된 기능성테이프를 완성할 수 있다(S600).
도 11은 완성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캡슐(A)을 절개하고, 절개된 캡슐(A)을 테이프부재(B)에 부착시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2)를 매우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2)는 테이프부재(B)의 접착물질(Ba)에 고정된 절개선(Aa)이 형성된 캡슐(A)과 지지구(C), 그리고 전술한 후처리과정을 통해 차례로 형성된 해면층(D1), 접착층(D2), 이형제층(D3)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테이프부재(B)는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져 이를 테면,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한 섬유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제층(D3)을 벗겨 접착층(D3)을 노출시키면 접착층(D3)을 피부에 밀착시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2)를 신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2)를 신체에 테이핑하여 종래와 같이 테이핑 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구(C)를 이용한 지압효과 등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가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2)를 가압하여 필요에 따라 캡슐(A)에 수용된 기능성액체를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후처리과정을 또 다른 방식으로 변화시키면, 캡슐을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종래와는 다른 형태로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2: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
100: 피더부 110: 캡슐공급부
200: 컨베이어부 210: 지지롤러
300: 하우징 310: 유도부
311: 차단블록 312: 홈부
313: 가이드부 320: 칼날부
320a, 320b, 320c: 칼날 321: 회전축
322: 구동모터 400: 지지구제공부
500: 테이프부재제공부 511: 구동롤러
512: 노즐
A: 캡슐 Aa: 절개선
B: 테이프부재 Ba: 접착물질
C: 지지구 D1: 해면층
D2: 접착층 D3: 이형제층

Claims (10)

  1. 내부에 기능성액체가 수용된 캡슐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캡슐을 이송하는 피더부;
    상기 피더부로부터 상기 캡슐을 전달받아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끝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캡슐의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캡슐 표면을 절개하는 칼날부; 및
    상기 칼날부와 상기 피더부 사이에서 상기 캡슐과 접촉하여 상기 캡슐을 상기 칼날부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 표면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차단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의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이 일직선방향으로 만입되어 상기 차단블록과 상기 컨베이어부사이로 상기 캡슐이 통과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정점과 상기 컨베이어부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칼날부와 상기 컨베이어부 사이의 거리가 더 짧은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캡슐과 접촉하는 칼날면이 곡선으로 형성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칼날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칼날을 포함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베이어부와 교차하도록 상기 테이프부재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8. 내부에 기능성액체가 수용된 캡슐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캡슐을 수송하는 A단계;
    상기 캡슐을 컨베이어부를 이용하여 일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B단계;
    상기 캡슐이 상기 컨베이어부 상에 위치하는 유도부와 접촉하여 칼날부로 유도되는 C단계; 및
    상기 캡슐이 상기 칼날부와 접촉하여 상기 캡슐 표면이 절개되는 D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상기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 표면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차단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의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이 일직선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캡슐이 상기 홈부를 따라서 상기 칼날부로 유도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캡슐이 상기 컨베이어부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테이프부재의 상기 접착물질에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140053639A 2014-05-02 2014-05-02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1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639A KR101517204B1 (ko) 2014-05-02 2014-05-02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639A KR101517204B1 (ko) 2014-05-02 2014-05-02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204B1 true KR101517204B1 (ko) 2015-05-04

Family

ID=5339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639A KR101517204B1 (ko) 2014-05-02 2014-05-02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2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862B2 (ja) * 1988-10-28 1999-08-30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芳香性シート状部材及びその作成方法
KR20030064097A (ko) * 2002-01-25 2003-07-31 이선수 향기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04569B1 (ko) * 2003-09-17 2007-04-06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마이크로캡슐 담지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862B2 (ja) * 1988-10-28 1999-08-30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芳香性シート状部材及びその作成方法
KR20030064097A (ko) * 2002-01-25 2003-07-31 이선수 향기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04569B1 (ko) * 2003-09-17 2007-04-06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마이크로캡슐 담지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5237B2 (ja) 可撓性インプラントの埋め込み機器
US6645184B1 (en) Tape stripping system and method
EP2922511B1 (en) Eyelid treatment device
JPH07113065A (ja) 弾性材料を可撓性裏打ち材に接合させる装置及び方法
CN102413853A (zh) 能够控制流体输送的微针单元
US9339096B2 (en) Cuticle care system
CN104780805A (zh) 脱毛器
US20150025459A1 (en) Multi-site injection system
KR100886135B1 (ko) 서포트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되는 제품 전달 기구
EP3922297A2 (en) Device for skin care, cosmetics, and medical treatment
KR20180075267A (ko)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1517204B1 (ko) 캡슐 내장형 기능성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5153899A1 (en) Kits for drug delivery site preparation
US10869998B2 (en) Applicator
EP2338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heet
KR101866246B1 (ko) 구름성이 개선된 롤러형 피부미용기기
WO2004098451A3 (en) Coated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80132217A (ko) 피부용 약물 주입기
US20190254892A1 (en) Self adhesive bandage roll dispenser system
KR101300188B1 (ko) Pzt를 이용한 미세침 치료장치
KR101873912B1 (ko) 네일아트 연습용 인조 손 장치
TW201924737A (zh) 施作器、卡匣及施作套組
US11395911B2 (en) Skin treatment needle with energy uniformity corrugations and skin treatment device
KR20170116737A (ko) 마이크로니들 부착을 위한 롤러형 어플리케이터
EP1202712B1 (en) Tape stripp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