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944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944B1
KR101516944B1 KR1020130020354A KR20130020354A KR101516944B1 KR 101516944 B1 KR101516944 B1 KR 101516944B1 KR 1020130020354 A KR1020130020354 A KR 1020130020354A KR 20130020354 A KR20130020354 A KR 20130020354A KR 101516944 B1 KR101516944 B1 KR 10151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in body
chute
discharge side
fro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162A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프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프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프링
Priority to KR102013002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청소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들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어 바닥에 면접촉함과 동시에 마주하는 롤러에도 가변되어 면접촉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롤러들중 가변되는 롤러에 벨트를 통하여 구동되는 가변되지 않는 다른 하나으 롤러를 청소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거나 또는 슈트의 기단에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닫히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는 열리는 개폐밸브 장착함으로써, 한 쌍의 롤러가 가변되어 바닥에 면접촉하여서 바닥을 쓸어서 바닥에 있는 고형물을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고형물이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한 쌍의 롤러 사이로 들어가 한 쌍의 롤러의 토출측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확실하게 건네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효율 좋게 습기를 머금고 있는 고형물 또는 표면적이 넓은 고형물도 포집포대에 수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수용부에 수용된 고형물이 청소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기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 바닥과의 접촉면적을 더 증대시켜 청소효율 및 걸레질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한 쌍의 롤러가 바닥에 접촉하여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나 낙엽 등을 수거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청소기는 본체 내에 음압원과 포집포대를 구비하고 바닥에 근접하게 노출되어 후드를 통하여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나 낙엽 등의 고형물을 상기 음압원에 의해 포집포대에 수거하는 장치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청소기는 음압원에만 의해 고형물을 포집포대에 수거하기 때문에, 고형물이 습기를 머금고 있거나 표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후드를 통하여 포집포대에 수거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청소기가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05209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청소기는 후드에 회전중심축선이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한 쌍의 브러시를 구비하고서 상기 한 쌍의 브러시로 하여금 바닥을 긁어서 바닥에 있는 고형물(습기를 머금고 있는 고형물 또는 표면적이 넓은 고형물 등)을 끄집어들여서 음압원에 의해 포집포대에 수거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청소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가 바닥에 선접촉하기 때문에 바닥 위에 존재하는 고형물을 끄집어들이는 힘이 여전히 약하여 고형물이 중량물인 경우에는 제대로 고형물을 포집포대에 끄집어들이기가 어렵고, 고형물이 분말인 경우에는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가 탄성에 의해 만곡되었다가 펴집에 의해 분말이 상기 한 쌍의 브러시 사이로 유입되지 못하고 한 쌍의 브러시 밖으로 비산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청소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10-2013-001894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시된 청소기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청소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들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어 바닥에 면접촉함과 동시에 마주하는 롤러에도 가변되어 면접촉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제시된 청소기는 청소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수용부에 수용된 고형물이 청소기 밖으로 배출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바닥과의 접촉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개량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청소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들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어 바닥에 면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롤러들중 가변되는 롤러에 벨트를 통하여 구동되는 풀리를 청소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거나 또는 슈트의 기단에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닫히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는 열리는 개폐밸브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한 쌍의 롤러가 가변되어 바닥에 면접촉하여서 바닥을 쓸어서 바닥에 있는 고형물을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고형물이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한 쌍의 롤러 사이로 들어가 한 쌍의 롤러의 토출측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확실하게 건네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효율 좋게 습기를 머금고 있는 고형물 또는 표면적이 넓은 고형물도 포집포대에 수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수용부에 수용된 고형물이 청소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기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 바닥과의 접촉면적을 더 증대시켜 청소효율 및 걸레질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청소기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청소기에 대한 개념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청소기에 대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청소기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제1실시예의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청소기(100)는, 손잡이(11)가 달린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로에 표면 가압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청소대상의 바닥에 대하여 표면가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및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토출측(A)에 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 바닥)에서 토출측(A; 본체 안쪽)으로 유입된 고형물을 건네어 받게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수거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주행방향 전방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롤러(30A)는 외력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지 않은 강성롤러이며, 청소대상의 바닥에 선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방향 후방 측에 배치된 상기 후방롤러(30B)는 바닥에 표면 가압된 상태에서 외력인 본체의 중량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는 가변롤러이며, 상기 본체(10)의 중량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가압을 받아 청소대상의 바닥에 표면 가압 되어 있다.
상기 후방롤러(30B)는 압축성 유체가 충전된 링형상의 튜브, 스폰지와 같이 탄성을 가진 링형상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청소기(10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1B)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상기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0B)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서로 맞물려 있는 전방기어(32A)와 후방기어(32B) 각각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상기 전방기어(32A)의 잇수는 상기 후방기어(32B)의 잇수보다 커서 상기 후방롤러(30B)가 상기 전방롤러(30A)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전방기어(32A)에는 상기 본체(10)에 탑재된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출력축에 외접된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선택적으로 상기 전방롤러(30A)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방롤러(30B) 보다 주행방향 뒤쪽의 상기 본체(10)에는 바닥과 접촉하는 풀리(9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후방롤러(30B)와 상기 풀리(90)에는 벨트(91)가 감겨져 있다.
결국, 상기 후방롤러(30B)와 상기 전방롤러(30A) 사이에 상기 벨트(91)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후방롤러(30B)와 상기 전방롤러(30A) 간의 표면 가압에 의한 상기 후방롤러(30B)의 가변형상을 상기 벨트(91)가 가변되어 따를 수 있도록 상기 벨트(91)는 그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토출측(A)에는 슈트(50)가 배치되어 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슈트(50)의 선단은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후방롤러(30B) 측의 벨트(91)와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슈트(50)의 기단은 상기 수거부(40)의 입구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거부(40)는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음압원(70)에 필터(80)를 개재하여 유통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40) 내에는 토출측(A)에서 토출되는 고형물을 수용하기 위한 통기가능한 포집포대(60)가 내장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포집포대(60)의 입구는 상기 슈트(50)의 기단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슈트(50)의 기단부에는 개폐밸브(V)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폐밸브(V)는 기단이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축(5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힌지축(51)에 마주하는 상기 슈트부(50)의 기단부 타측에 형성된 시트부(52)에 안착되는 밸브판(5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밸브판(53)은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슈트(50)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슈트(50)를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 낙엽과 같은 고형물에 청소기(1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11)를 잡고 본체(10) 뒤를 올려서 전방롤러(30A) 만이 바닥에 접촉하게 하여 본체(10)를 밀거나 당겨서 이동하게 되며, 청소기(100)에 모터가 구비된 경우에는 본체(10)의 뒤를 올려서 전방롤러(30A) 만이 바닥에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모터를 가동하게 되면, 청소기(100)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고 상기 본체(10)의 경사진 상태를 원위치로 하여서 전방롤러(30A)와 그리고 후방롤러(30B)와 풀리(90)에 감겨진 벨트(91)가 바닥에 닿게 하면, 상기 후방롤러(30B)가 본체(10)의 중량에 의해 바닥에 눌려져서 벨트(91)가 바닥에 면접촉되게 납작하게 가변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뒤로 당기거나, 모터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와 풀리(90)에 감겨진 벨트(91) 사이의 흡입측(B)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에 감겨진 벨트(91) 사이를 지나 토출측(A)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토출측(A)으로 이동된 고형물은 슈트(50)의 안내를 받아 슈트(50)에 개재된 개폐밸브(V)의 밸브판(53)을 위로 밀어 올려서 상기 개폐밸브(V)를 개방하여, 수거부(40) 내로 또는 포집포대(60) 내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상기 본체(10)를 뒤로 당기거나, 모터를 가동하게 되어도, 상기 흡입측(B)에 고형물이 존재하지 않아 상기 흡입측(B)에서 상기 토출측(A)으로 고형물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개폐밸브(V)의 밸프판(53)을 더 이상 위로 올리는 힘이 존재하지 않아, 밸브판(53)은 자중에 의해 닫힘위치로 이동하여 시트부(52)에 안착되어서 수거부(40) 또는 포집포대(60)에 수용된 고형물이 상기 토출측(A)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상기 수거부(40)가 음압원(70)에 접속되어 있다면, 상기 음압원(70)에 의해 개폐밸브(V)가 개방되어, 더욱더 용이하게 고형물이 상기 수거부(40) 또는 포집포대(60)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음압원(70)이 작동중지되면, 상기 개폐밸브(V)는 밸브판(53)의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본체(10)가 뒤로 이동되는 이유는 바닥에 대한 상기 전방롤러(30A)의 접촉면적보다 상기 후방롤러(30B)와 풀리(90)에 감겨진 벨트(91)의 접촉면적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후방롤러(30B)가 바닥에 납작하게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의 마주하는 하부 외주면 밑을 파고들어가 상기 후방롤러(30B)에 감겨진 벨트(91)가 마주하는 전방롤러(30A)의 하부 외주면과 면접촉될 수 이유는 상기 후방롤러(30B)가 상기 전방롤러(30A)보다 빨리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후방롤러(30B)가 자유상태에 있다가 상기 바닥에 가압을 받으면서 연속적으로 상기 전방롤러(30A)에 가압받아 상기 후방롤러(30B)에 변형관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소기(100)는 후방롤러(30B)가 가변되어 상기 후방롤러(30B)에 감겨진 벨트(91)가 바닥에 면접촉하여서 바닥을 쓸어서 바닥에 있는 고형물을 전방롤러(30A)와 벨트(91) 사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고형물을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전방롤러(30A)와 벨트(91) 사이로 들어가 전후방롤러(30A, 30B)의 토출측에 배치된 수거부(40)에 확실하게 건네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효율 좋게 습기를 머금고 있는 고형물 또는 표면적이 넓은 고형물도 확실하게 수거부에 수거할 수 있다.
상기 전방롤러(30A)와 벨트(91)의 외주면에 세척쉬트가 적층되어 있으면, 집안 내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수거하면서 바닥에 붙은 때를 걸레질하여 제거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울러, 청소대상의 바닥부위 또는 바닥으로 이동되는 벨트(91)의 부위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도시되지 않은 노즐을 본체(10)에 장착하면, 상기 걸레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청소기(10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음압원(70)이 가동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흡입측(B)에서 상기 토출측(A)으로 외력이 밸브판(53)에 작용되지 않아 상기 밸브(V)가 닫힘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수거부(40) 또는 상기 포집포대(60)에 수납된 고형물이 상기 전방롤러(30A)와 벨트(91) 사이를 경유하여 바닥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는 제2실시예의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청소기(100')는, 전방롤러(30A)가 가변롤러이고 후방롤러(30B)가 강성롤러이고, 전방롤러(30A)의 전방의 본체(10)에 풀리(9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벨트(91)가 상기 풀리(90)와 상기 전방롤러(30A)에 감겨져 있고, 전방기어(32A)의 잇수가 상기 후방기어(32B)의 잇수보다 작아서 상기 후방롤러(30B)가 상기 전방롤러(30A)보다 느리게 회전하게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후방기어(32B)에 모터의 출력축에 외접된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선택적으로 상기 후방롤러(30B)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청소기(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 낙엽과 같은 고형물에 청소기(1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11)를 잡고 본체(10)를 밀어서 전후방롤러(30A, 30B)가 바닥에 접촉하게 하여 밀어서 이동하게 되며, 청소기(100')에 모터가 구비된 경우에는 벨트(91)와 후방롤러(30B)가 바닥에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모터를 가동하게 되면, 청소기(100')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본체(10)가 앞으로 이동되는 이유는 바닥에 대한 상기 벨트(91)의 접촉면적보다 상기 후방롤러(30B)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이다.
그 다음,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고 벨트(91)와 후방롤러(30B)가 바닥에 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가 본체(10)의 중량에 의해 바닥에 납작하게 눌려져서 바닥에 벨트(91)가 면접촉되게 가변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앞으로 밀거나, 모터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0)가 전진하면서 상기 벨트(91)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벨트(91)와 후방롤러(30B) 사이를 지나 토출측(A)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토출측(A)으로 이동된 고형물은 슈트(50)의 안내를 받아 수거부(40) 내로 또는 포집포대(60) 내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상기 수거부(40)가 음압원(70)에 접속되어 있다면, 더욱더 용이하게 고형물이 상기 수거부(40) 또는 포집포대(6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소기(100')는 전방롤러(30A)가 가변되어 벨트(91)가 바닥에 면접촉하여서 바닥을 쓸어서 바닥에 있는 고형물을 벨트(91)와 후방롤러(30B) 사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고형물을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벨트(91)와 후방롤러(30B) 사이로 들어가 전후방롤러(30A, 30B)의 토출측에 배치된 수거부(40)에 확실하게 건네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효율 좋게 습기를 머금고 있는 고형물 또는 표면적이 넓은 고형물도 확실하게 수거부에 수거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00')에 구비된 밸브(V)는 제1실시예의 청소기(100)에 구비된 밸브(V)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도 3에는 제3실시예의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청소기(100")는, 전후방롤러(30A, 30B)가 모두 가변롤러이고, 전방기어(32A)의 잇수가 상기 후방기어(32B)의 잇수와 동일하여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가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변롤러인 전후방롤러(30A, 30B) 중 적어도 하나에 풀리(90)를 개재하여 벨트(91)가 감겨져 있고, 그리고 상기 전방기어(32A)에 모터의 출력축에 외접된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전방롤러(30A)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의 청소기(100 또는 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 낙엽과 같은 고형물에 청소기(1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11)를 잡고 본체(10) 뒤를 올린 상태에서 전방롤러(30A) 측의 벨트(91)만이 바닥에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모터를 가동하게 되면, 청소기(100")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후방롤러(30B)와 상기 벨트(91)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바닥에 대한 상기 전방롤러(30A) 측의 벨트(91)의 접촉면적이 상기 후방롤러(30B)의 접촉면적 보다 커서, 제2실시예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가변롤러인 전방롤러(30A)의 전방의 본체(10)에 풀리(9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풀리(90)에 벨트(91)가 감겨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롤러인 후방롤러(30B)의 후방의 본체(10)에 풀리(9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후방롤러(30B)와 상기 풀리(90)에 벨트(91)가 감겨질 수도 있거나, 가변롤러인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의 전후방의 본체(10)에 풀리(90, 9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 각각과 상기 풀리(90, 90) 각각에 벨트(91, 91)가 감겨질 수도 있다.
상기 후방롤러(30B)에 벨트(91)가 감긴 경우에는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벨트(91)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바닥에 대한 상기 후방롤러(30B) 측의 벨트(91)의 접촉면적이 상기 전방롤러(30A)의 접촉면적 보다 커서, 제1실시예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에 벨트(91, 91)가 각각 감긴 경우에는, 상기 후방롤러(30B)측의 벨트(91)와 상기 전방롤러(30A)측의 벨트(91)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바닥에 대한 상기 전방롤러(30A) 측의 벨트(91)의 접촉면적과 상기 후방롤러(30B) 측의 벨트(91)의 접촉면적이 동일하고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본체(10)는 그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고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가 바닥에 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가 본체(10)의 중량에 의해 바닥에 눌려져서 벨트(91, 91)가 바닥에 면접촉되게 가변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모터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0)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전방롤러(30A)측의 벨트(91)와 후방롤러(30B)측의 벨트(91) 사이의 흡입측(B)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상기 벨트(91, 91)들 사이를 지나 토출측(A)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토출측(A)으로 이동된 고형물은 슈트(50)의 안내를 받아 수거부(40) 내로 또는 포집포대(60) 내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상기 수거부(40)가 음압원(70)에 접속되어 있다면, 더욱더 용이하게 고형물이 상기 수거부(40) 또는 포집포대(6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소기(100")는 전후방롤러(30A, 30B)가 가변되어 벨트(91, 91)가 바닥에 면접촉하여서 바닥을 쓸어서 바닥에 있는 고형물을 전후방롤러(30A, 30B)의 벨트(91, 91) 사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고형물을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전후방롤러(30A, 30B)의 벨트(91, 91) 사이로 들어가 전후방롤러(30A, 30B)의 토출측에 배치된 수거부(40)에 확실하게 건네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효율 좋게 습기를 머금고 있는 고형물 또는 표면적이 넓은 고형물도 확실하게 수거부에 수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전후방롤러(30A, 30B)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전후방롤러(30A, 30B) 각각에 전후방회전축(31A, 31B)의 각각의 일단에 서로 맞물려있는 전후방기어(32A, 32B) 각각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국특허 제66624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수단인 풀리용 벨트나 스프로킷용 체인을 이용하여 전후방롤러(30A, 30B)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동력전단수단인 복수개의 방향전환기어들을 전후방롤러(30A, 30B) 사이에 개재하여 구현시킬 수도 있고, 또는 전후방롤러(30A, 30B) 각각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는 별개의 전용모터 2개에 의해서도 구현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전후방롤러(30A, 30B)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롤러보다 빠르게 회전시키기 위해 전후방기어(32A, 32B)의 잇수비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력전단수단인 전후방풀리나 전후방스프로킷의 직경을 달리하거나, 동력전단수단인 감속기를 개재하거나, 또는 전후방롤러(30A, 30B) 각각을 별개의 변속가능한 모터에 의해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10; 본체, 30A; 전방롤러, 30B; 후방롤러, 40; 수거부, 50; 슈트, 60: 포집포대

Claims (16)

  1.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로에 표면가압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청소대상의 바닥에 대하여 표면가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및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토출측(A)에 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에서 토출측(A)으로 유입된 고형물을 건네어 받게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수거부(40)를 포함하고 있고,
    주행방향 전방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롤러(30A)는 외력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지 않은 강성롤러이며,
    주행방향 후방 측에 배치된 상기 후방롤러(30B)는 바닥에 표면가압된 상태에서 본체의 중량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어 청소대상의 바닥에 표면 가압 되어 있는 가변롤러이며,
    상기 후방롤러(30B) 보다 주행방향 뒤쪽의 상기 본체(10)에는 바닥에 접촉하는 풀리(9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후방롤러(30B)와 상기 풀리(90)에는 바닥에 면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의 가변형상을 따르는 벨트(91)가 감겨져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본체(1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1B)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후방롤러(30B)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전방롤러(30A)보다 빠르게 회전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로에 표면가압 가능한 상태에서 청소대상의 바닥에 대하여 표면가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및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토출측(A)에 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에서 토출측(A)으로 유입된 고형물을 건네어 받게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수거부(40)를 포함하고 있고,
    주행방향 후방 측에 배치된 상기 후방롤러(30B)는 외력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지 않은 강성롤러이며,
    주행방향 전방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롤러(30A)는 바닥에 표면가압된 상태에서 본체의 중량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어 청소대상의 바닥에 면접촉하고 있는 가변롤러이며,
    상기 전방롤러(30A) 보다 주행방향 앞쪽의 상기 본체(10)에는 바닥에 접촉되는 풀리(9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풀리(90)에는 바닥에 면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의 가변형상을 따르는 벨트(91)가 감겨져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본체(1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1B)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후방롤러(30B)보다 빠르게 회전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로에 표면가압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청소대상의 바닥에 대하여 표면가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및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토출측(A)에 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에서 토출측(A)으로 유입된 고형물을 건네어 받게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수거부(4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후방롤러(30B)는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의 중량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어 청소대상의 바닥에 면접촉하고 있는 가변롤러이며,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후방롤러(30B)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상기 본체(10)에는 바닥에 접촉되는 풀리(9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후방롤러(30B)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풀리(90)에는 바닥에 면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30A)의 가변형상을 따르는 벨트(91)가 감겨져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본체(1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1B)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는 상기 본체(10)에 탑재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후방롤러(30B)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10)에 탑제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A)에는 슈트(50)가 배치되어 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슈트(50)의 선단은 상기 전방롤러(30A), 상기 후방롤러(30B) 및 벨트(91) 중 적어도 하나와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슈트(50)의 기단은 상기 수거부(40)의 입구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40)는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음압원(70)에 필터(80)를 개재하여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40) 내에는 토출측(A)에서 토출되는 고형물을 수용하기 위한 통기가능한 포집포대(6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60)의 입구는 상기 슈트(50)의 기단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측(A)에는 슈트(50)가 배치되어 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슈트(50)의 선단은 상기 전방롤러(30A), 상기 후방롤러(30B), 및 벨트(91) 중 적어도 하나와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슈트(50)의 기단은 상기 수거부(40)의 입구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40)는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음압원(70)에 필터(80)를 개재하여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40) 내에는 토출측(A)에서 토출되는 고형물을 수용하기 위한 통기가능한 포집포대(6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60)의 입구는 상기 슈트(50)의 기단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0B)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서로 맞물려 있는 전방기어(32A)와 후방기어(32B) 각각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전방기어(32A)의 잇수와 상기 후방기어(32B)의 잇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50)의 기단부에는 개폐밸브(V)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폐밸브(V)는 기단이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축(5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힌지축(51)에 마주하는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타측에 형성된 시트부(52)에 안착되는 밸브판(5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밸브판(53)은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슈트(50)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슈트(50)를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50)의 기단부에는 개폐밸브(V)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폐밸브(V)는 기단이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축(5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힌지축(51)에 마주하는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타측에 형성된 시트부(52)에 안착되는 밸브판(5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밸브판(53)은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슈트(50)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슈트(50)를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로에 면접촉한 상태에서 청소대상의 바닥에 접촉하고 있는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및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토출측(A)에 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에서 토출측(A)으로 유입된 고형물을 건네어 받게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수거부(40)를 포함하고 있고,
    주행방향 전방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롤러(30A)는 외력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지 않은 강성롤러이며,
    주행방향 후방 측에 배치된 상기 후방롤러(30B)는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의 중량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어 청소대상의 바닥에 면접촉하고 있는 가변롤러이며,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본체(1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1B)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후방롤러(30B)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전방롤러(30A)보다 빠르게 회전되게 되어 있고,
    상기 토출측(A)에는 슈트(50)가 배치되어 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슈트(50)의 선단은 상기 전방롤러(30A) 및 상기 후방롤러(30B)와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슈트(50)의 기단은 상기 수거부(40)의 입구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슈트(50)의 기단부에는 개폐밸브(V)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폐밸브(V)는 기단이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축(5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힌지축(51)에 마주하는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타측에 형성된 시트부(52)에 안착되는 밸브판(5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밸브판(53)은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슈트(50)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슈트(50)를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로에 면접촉한 상태에서 청소대상의 바닥에 접촉하고 있는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및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토출측(A)에 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에서 토출측(A)으로 유입된 고형물을 건네어 받게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수거부(40)를 포함하고 있고,
    주행방향 후방 측에 배치된 상기 후방롤러(30B)는 외력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지 않은 강성롤러이며,
    주행방향 전방 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롤러(30A)는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의 중량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어 청소대상의 바닥에 면접촉하고 있는 가변롤러이며,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본체(1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1B)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후방롤러(30B)보다 빠르게 회전되게 되어 있고,
    상기 토출측(A)에는 슈트(50)가 배치되어 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슈트(50)의 선단은 상기 전방롤러(30A) 및 상기 후방롤러(30B)와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슈트(50)의 기단은 상기 수거부(40)의 입구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슈트(50)의 기단부에는 개폐밸브(V)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폐밸브(V)는 기단이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축(5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힌지축(51)에 마주하는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타측에 형성된 시트부(52)에 안착되는 밸브판(5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밸브판(53)은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슈트(50)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슈트(50)를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로에 면접촉한 상태에서 청소대상의 바닥에 접촉하고 있는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및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토출측(A)에 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 사이의 흡입측(B)에서 토출측(A)으로 유입된 고형물을 건네어 받게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된 수거부(4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상기 후방롤러(30B)는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의 중량에 의해 외형이 가변되어 청소대상의 바닥에 면접촉하고 있는 가변롤러이며,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본체(1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방회전축(31A)과 후방회전축(31B)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와 후방롤러(30B)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전방롤러(30A)은 상기 본체(10)에 탑재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토출측(A)에는 슈트(50)가 배치되어 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슈트(50)의 선단은 상기 전방롤러(30A) 및 상기 후방롤러(30B)와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슈트(50)의 기단은 상기 수거부(40)의 입구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슈트(50)의 기단부에는 개폐밸브(V)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폐밸브(V)는 기단이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축(5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힌지축(51)에 마주하는 상기 슈트(50)의 기단부 타측에 형성된 시트부(52)에 안착되는 밸브판(5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밸브판(53)은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슈트(50)를 개방하고, 상기 토출측(A)에서 상기 수거부(40) 내로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슈트(50)를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30020354A 2013-02-26 2013-02-26 청소기 KR101516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354A KR101516944B1 (ko) 2013-02-26 2013-02-26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354A KR101516944B1 (ko) 2013-02-26 2013-02-26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62A KR20140106162A (ko) 2014-09-03
KR101516944B1 true KR101516944B1 (ko) 2015-05-15

Family

ID=5175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354A KR101516944B1 (ko) 2013-02-26 2013-02-26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9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731A (ja) * 2000-11-29 2002-06-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07029297A (ja) * 2005-07-25 2007-02-08 Kao Corp 物品のピックア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731A (ja) * 2000-11-29 2002-06-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07029297A (ja) * 2005-07-25 2007-02-08 Kao Corp 物品のピックア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62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570B2 (en) Autonomous floor cleaner
US5101532A (en) Powder dispensing and cleaning apparatus
CN105078366B (zh) 真空清洁器
JP2004081810A (ja) 掃除装置
TR201807873T4 (tr) Çıplak zemin elektrik süpürgesi.
CN1764405A (zh) 带清洁垫的真空吸尘器
KR101577319B1 (ko) 무전원 자동청소기
CN105728371B (zh) 旋转除尘装置
CN114164637B (zh) 一种方便清理的绒毛抽吸装置
KR101516944B1 (ko) 청소기
CN213640755U (zh) 辊式地面清洁器
CN207768300U (zh) 一种带刮条的吸尘清洁工具
CN113180551A (zh) 一种智能医用清洁器
CN109396087A (zh) 一种用于肺活量测试呼气罩的自动清洗装置
KR20130038311A (ko) 청소기
CN113100665A (zh) 一种医院用消毒清洁车
CN110241737B (zh) 一种用于桥梁减震的设备
US8479342B2 (en) Apparatus for cleaning exercise mats
KR101435600B1 (ko) 흡입구체
KR102504425B1 (ko) 프레쉬 백 살균 세척장치
KR102259193B1 (ko) 정전기 청소기
CN205628713U (zh) 旋转除尘装置
CN110623599B (zh) 一种地毯杂质清洁设备
KR20140117080A (ko) 낙엽 청소기
CN216137719U (zh) 一种用于风力发电机的手持操作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