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793B1 - 백연경감 냉각탑 - Google Patents

백연경감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793B1
KR101516793B1 KR1020140149510A KR20140149510A KR101516793B1 KR 101516793 B1 KR101516793 B1 KR 101516793B1 KR 1020140149510 A KR1020140149510 A KR 1020140149510A KR 20140149510 A KR20140149510 A KR 20140149510A KR 101516793 B1 KR101516793 B1 KR 10151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tower
eliminate
wat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소용
정진채
허훈
전상현
이성우
김동희
Original Assignee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2Arrangements for preventing clogging by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류형 및 대향류형에 적용하여 백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미네이트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저가에 생산 가능하면서도 백연경감 기능성을 제공과 함께 기존 사용하고 있는 냉각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직교류형 냉각탑에서 필러가 충진된 냉각부 내측의 토출부쪽으로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에 냉각수를 통과시켜 고온다습한 공기를 고온 건조한 공기 상태로 가열시켜 외부로 배출하여 백연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는 냉각탑본체의 내부 상측에 횡설되며, 냉각수가 공급되는 상부수조와; 냉각탑본체의 내부 하측의 집수조 상부에 횡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수조에 형성된 결합구멍들에 수밀되도록 상단이 끼워지며,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하단에 끼워지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와; 필러가 충진된 냉각부 쪽에 위치하도록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에 슬라이드 결합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백연경감 냉각탑{White lead reducible cooling tower}
본 발명은 직교류형 및 대향류형에 적용하여 백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미네이트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저가에 생산 가능하면서도 백연경감 기능성을 제공과 함께, 기존 사용하고 있는 냉각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운전되는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기는 제거되어야 하는 폐열을 수반하며, 폐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각매체를 이용하여 폐열을 대기로 방출시킨다. 냉각탑의 냉각방식은 피냉각 유체보다 온도가 낮은 대기상의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 현열냉각을 하는 공랭식 냉각과,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에 의한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증발식 냉각으로 구분되며, 증발냉각 방식의 냉각탑은 어떤 다른 냉각장치보다 냉각효과가 크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냉각탑은, 공기는 수직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 냉각탑과, 공기는 거의 수평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탑으로 구분되며, 냉각수의 유동 방식은, 냉각수와 공기가 개방된 충진재를 유동하면서 증발 열교환하는 개방식과,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 관내로 유동하는 밀폐된 냉각코일의 외표면 상에 냉각수와 공기를 접촉시키면서 증발 열교환하는 밀폐식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냉각탑들의 경우 냉각수를 냉각한 공기가 대기로 배출될 때 공기가 고온 다습한 상태로 배출되는데, 특히 동절기 대기온도와 배출되는 공기 온도차가 클 때 고온 다습한 상태의 더운 공기와 찬 대기가 만나면서 다량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백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경우 일반인이 볼 때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외관적으로도 좋지 못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출부 측에 히터장치를 추가하는 등의 방법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과도한 전력소모로 인해 냉각탑 유지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고온다습한 공기를 건조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1-0047625호(2011.05.09.)의 엘리미네이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용 냉각탑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유입되는 수증기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 본체; 그리고, 상기 엘리미네이터 본체와 일체로 구비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하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미네이터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유로부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미네이터 본체들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가열시켜 백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은 엘리미네이터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충진재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대향류형 냉각탑에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직교류형 및 대향류형에 공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트가 2개의 단위부재를 서로 맞대어야 유로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작성이 떨어져 염가 생산이 어렵고, 엘리미네이트와 냉각수 공급관과의 결합성도 떨어져 제작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KR 1020110047625 A 2011.05.09.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냉각탑에서의 백연 발생으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수분을 포집하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와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냉각수가 통과하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를 저가에 생산 보급함으로 해서 백연경감 기능성을 제공과 함께 기존 사용하고 있는 냉각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직교류형 냉각탑에서 필러가 충진된 냉각부 내측의 토출부쪽으로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에 냉각수를 통과시켜 고온다습한 공기를 고온 건조한 공기 상태로 가열시켜 외부로 배출하여 백연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는 냉각탑본체의 내부 상측에 횡설되며, 냉각수가 공급되는 상부수조와; 냉각탑본체의 내부 하측의 집수조 상부에 횡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수조에 형성된 결합구멍들에 수밀되도록 상단이 끼워지며,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하단에 끼워지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와; 필러가 충진된 냉각부 쪽에 위치하도록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에 슬라이드 결합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대향류형 냉각탑에서 필러가 충진된 냉각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에 냉각수를 통과시켜 고온다습한 공기를 고온건조한 공기 상태로 가열시켜 외부로 배출하여 백연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는 냉각탑본체의 내부 양측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수조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수조와; 상기 냉각수 공급수조와 냉각수 배출수조에 형성된 결합구멍들에 양단이 수밀상태로 끼워지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와; 필러가 충진된 냉각부 쪽에 위치하도록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에 슬라이드 결합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작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냉각수가 이동하는 공간에 수개의 격벽을 형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함께 형상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직교류형 및 대향류형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필러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고온다습한 공기가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당량 건조되므로 외기 쪽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고온 건조한 상태로 건조시켜 백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열용 엘리미네이트가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되는 튜브타입에 의해 제작 보급되는 구성이므로 염가에 제작 보급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 형상 유지가 가능하고, 파손율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는 구성이 간단하여 기존 사용하고 있는 냉각탑에도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시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냉각탑 내부의 엘리미네이트를 완전히 철거한 상태에서 냉각탑본체 내부에 상부수조와 지지대 또는 냉각수 공급수조와 냉각수 배출수조를 설치한 후 가열용 엘리미네이트 및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를 조립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직교류형 냉각탑의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보이기 위한 평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에서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와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대향류형 냉각탑의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대향류형 냉각탑의 일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도 6에 적용된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은 직교류형 냉각탑 및 대향류형 냉각탑에 적용하여 백연 발생으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 수분을 포집하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와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냉각수가 통과하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를 포함하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직교류형 냉각탑의 일 실시례를 보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보이기 위한 평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에서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와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직교류형 냉각탑(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열교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냉각탑본체(2)를 구성한다. 상기 냉각탑본체(2)는 평면에서 볼 때 횡방향이 길고 종방향이 좁다.
냉각탑본체(2)의 좌우 측벽에는 공기유입부(3)가 구비되며, 공기유입부(3)에는 복수의 루버(4)가 설치되어 외부 공기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루버(4)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내부에서 낙하하는 용수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냉각탑본체(2)의 내부 중앙에는 토출부(5)가 마련되며, 토출부(5)의 양쪽으로는 상기 공기유입부(3) 쪽으로 위치하는 냉각부(6)가 설치되며, 냉각부(6)는 우드 또는 합성수지 구성의 필러(7)를 충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부(5)의 상측 냉각탑본체(2)에는 모터(8)에 의해 구동하는 배출 팬 블레이드(9)를 설치하여 공기유입부(3)로 유입되어 냉각부(6)를 통과한 공기를 대기로 강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냉각부(6)의 상측으로는 살수부(10)가 설치되어 냉각부(6)에 냉각수를 살수토록 하며, 살수부(10)에는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운전되는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고온 상태로 공급된다.
이때 냉각수는 냉각부(6)를 통과하면서 냉각수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기와 접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냉각부(6)의 하측인 냉각탑본체(2)의 바닥쪽으로는 냉각부(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11)를 설치하며, 집수조(11)에는 냉각수를 외부로 산업용 열교환기 쪽으로 순환시키는 배출관(12) 및 배출펌프(13)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토출부(5)와 냉각부(6) 사이에는 냉각부(6)에서 배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다량의 수분을 포집하여 하부의 집수조(11)로 낙하시키도록 일정간격으로 엘리미네이트를 배치한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직교류형 냉각탑(1)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직교류형 냉각탑(1)의 경우 특히 동절기에 다량의 수분을 머금고 있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때 백연(白煙)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 발명하여 백연경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의 구성은 냉각탑본체(2)의 내부 상측에 상부수조(21)를 횡설하여 살수부(1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일부를 공급토록 하며, 냉각탑본체(2)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상부수조(21)와 마주보도록 집수조(11) 상부에 위치되게 지지대(22)를 횡설한다.
상기 상부수조(21)와 지지대(22)에는 결합구멍(21a)(22a)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구멍(21a)(22a)에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결합한다.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는 상부수조(21)의 결합구멍(21a)(22a)과 결합할 때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수밀 가능한 구성으로 결합하며, 지지대(22)의 결합구멍(21a)(22a)과는 수밀성 없이 결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의 결합은 상부수조(21)의 냉각수가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 내부 공간을 통해 지지대(22) 쪽으로 이동하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들 사이들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고온다습한 공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의 일측 즉, 필러(7)가 충진된 냉각부(6) 쪽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돌기(24)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24)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롯(26)을 끼움 결합토록 한다.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와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평면에서 볼 때 <형으로 개별적으로 압출성형되어 상호 조립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는 길이방향으로 냉각수가 이동하는 공간(23a)에 수개의 격벽(23b)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내구성 향상과 함께 형상 유지를 보장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는 바디(25a)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수분포집편(25b)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수분포집편(25b)은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와 결합상태일 때 바디(25a)와 수분포집편(25b)에 의해 형성되는 포집공간(25c)이 냉각부(6) 쪽으로 개구되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의 바디(25a)에 수분포집편(25b))을 형성하는 구성의 경우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대향류형 냉각탑의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대향류형 냉각탑의 일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도 6에 적용된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대향류형 냉각탑(31)은 사각형상 또는 원통상상으로 냉각탑본체(32)를 형성하고, 냉각탑본체(32)의 하단에는 공기유입부(33)를 구비하며, 공기유입부(33)는 복수의 루버(34)가 설치되어 외부 공기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냉각탑본체(32)의 내측 하부에는 상부의 냉각부(3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37)를 설치하며, 집수조(37)에는 냉각수를 외부로 산업용 열교환기 쪽으로 순환시키는 배출관(38) 및 배출펌프(39)를 설치한다.
상기 집수조(37)의 상측으로는 냉각부(35)를 설치하며 냉각부(35)는 우드 또는 합성수지 구성의 필러(36)를 충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부(35)의 상측으로는 살수부(40)가 설치되어 냉각부(35)에 냉각수를 살수토록 하며, 살수부(40)에는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운전되는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고온 상태로 공급된다. 이때 냉각수는 냉각부(35)를 통과하면서 냉각수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기와 접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냉각부(35)의 상측으로는 냉각부(35)에서 배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다량의 수분을 포집하여 하부의 집수조(37)로 낙하시키도록 일정간격으로 엘리미네이트를 배치한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를 설치하며, 그 상측의 냉각탑본체(32)에는 모터(41)에 의해 구동하는 배출 팬 블레이드(42)를 설치하여 공기유입부(33)로 유입되어 냉각부(35)를 통과한 공기를 대기로 강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대향류형 냉각탑(31)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향류형 냉각탑(31)에 본 발명의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를 설치하여 대기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건조함으로 해서 백연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향류형 냉각탑(31)에 적용되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탑본체(32)의 내부 양측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수조(27)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수조(28)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 공급수조(27)와 냉각수 배출수조(28)에는 저로 마주보는 결합구멍(27a)(28a)을 형성한다.
상기 냉각수 공급수조(27)와 냉각수 배출수조(28)에 형성된 결합구멍(27a)(28a)들에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의 양단을 수밀상태로 끼워 고정하여 냉각수 공급수조(27)에서 냉각수 배출수조(28) 쪽으로 냉각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냉각수 배출수조(28)에는 하부의 집수조(11)와 연결되도록 배수관(29)을 설치한다.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24)를 형성하고, 결합돌기(24)에는 하부의 냉각부(35) 쪽을 향하도록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를 설치한다.
상기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를 구성하고 있는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 및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직교류형 냉각탑(1)의 것과 같으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를 직교류형 냉각탑(1) 또는 대향류형 냉각탑(31)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직교류형 냉각탑(1)에 적용한 예로 작용을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6)에서 제공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를 통과하여 대기로 배출되는데, 이때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수분이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에 포집되어 하부의 집수조(11)로 낙하된 상태에서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로 공급된다.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로 공급되는 공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다습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의 냉각수에 의해 가열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도가 낮아진 상태로 토출부(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종래에 비해 백연 발생률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직교류형 냉각탑 2,32:냉각탑본체
3,33:공기유입부 4,34:루버
5:토출부 6,35:냉각부
7,36:필러 8,41:모터
9,42:배출 팬 블레이드 10,40:살수부
11,37:집수조 12,38:배출관
13,39:배출펌프 20: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
21:상부수조 22:지지대
21a,22a:결합구멍 23:가열용 엘리미네이트
23a:공간 23b:격벽
24:결합돌기 25: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
25a:바디 25b:수분포집편
25c:포집공간 26:슬롯
27:냉각수 공급수조 28:냉각수 배출수조
27a,28a:결합구멍 29:배수관
31:대향류형 냉각탑

Claims (3)

  1. 직교류형 냉각탑(1)에서 필러(7)가 충진된 냉각부(6) 내측의 토출부(5)쪽으로 냉각탑본체(2)의 내부 상측에 횡설되며, 냉각수가 공급되는 상부수조(21)와, 냉각탑본체(2)의 내부 하측의 집수조(11) 상부에 횡설되는 지지대(22)와, 상기 상부수조(21)에 형성된 결합구멍(21a)(22a)들에 수밀되도록 상단이 끼워지며, 지지대(22)에 형성된 결합구멍(21a)(22a)에 하단에 끼워지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를 설치하고,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 내부로 냉각수를 통과시켜 고온다습한 공기를 고온 건조한 공기 상태로 가열시켜 외부로 배출하여 백연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에는 필러(7)가 충진된 냉각부(6) 쪽에 위치하도록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24)에 슬라이드 결합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를 조립하여 수분포집과 습공기 가열이 서로 다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로 구성하며;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작되며, 길이방향으로 냉각수가 이동하는 공간(23a)에 수개의 격벽(23b)을 형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함께 형상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
  2. 대향류형 냉각탑(31)에서 필러(36)가 충진된 냉각부(35)의 상부에는 냉각탑본체(32)의 내부 양측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수조(27)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수조(28)와, 상기 냉각수 공급수조(27)와 냉각수 배출수조(28)에 형성된 결합구멍(27a)(28a)들에 양단이 수밀상태로 끼워지는 튜브타입의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를 설치하고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 내부에 냉각수를 통과시켜 고온다습한 공기를 고온건조한 공기 상태로 가열시켜 외부로 배출하여 백연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에는 필러(36)가 충진된 냉각부(35) 쪽에 위치하도록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24)에 슬라이드 결합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수분포집용 엘리미네이트(25)를 조립하여 수분포집과 습공기 가열이 서로 다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엘리미네이트 어셈블리(20)로 구성하며;
    상기 가열용 엘리미네이트(23)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작되며, 길이방향으로 냉각수가 이동하는 공간(23a)에 수개의 격벽(23b)을 형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함께 형상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경감 냉각탑.
  3. 삭제
KR1020140149510A 2014-10-30 2014-10-30 백연경감 냉각탑 KR10151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10A KR101516793B1 (ko) 2014-10-30 2014-10-30 백연경감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10A KR101516793B1 (ko) 2014-10-30 2014-10-30 백연경감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793B1 true KR101516793B1 (ko) 2015-05-04

Family

ID=5339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510A KR101516793B1 (ko) 2014-10-30 2014-10-30 백연경감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464B1 (ko) 2015-09-01 2016-05-10 주식회사 오티티 백연 현상 발생 방지를 위한 대향류식 냉각탑
KR102255280B1 (ko) * 2020-01-28 2021-05-24 김무환 백연저감 냉각 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625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경인기계 엘리미네이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용 냉각탑
KR101093812B1 (ko) * 2009-04-03 2011-12-19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12B1 (ko) * 2009-04-03 2011-12-19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KR20110047625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경인기계 엘리미네이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용 냉각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464B1 (ko) 2015-09-01 2016-05-10 주식회사 오티티 백연 현상 발생 방지를 위한 대향류식 냉각탑
KR102255280B1 (ko) * 2020-01-28 2021-05-24 김무환 백연저감 냉각 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0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7110516B (zh) 空调热泵系统与蒸发式冷却系统
CN103017453A (zh) 一种冰箱的蒸发皿组件
CN104165413A (zh) 机柜空调器
KR101231485B1 (ko) 가습, 제습 및 난방 기능이 있는 창호 시스템
TWI600867B (zh) 冰箱
KR101516793B1 (ko) 백연경감 냉각탑
KR20140078351A (ko) 히트펌프가 구비된 가열탑
KR100949853B1 (ko) 폐열을 이용한 백연방지 시스템
KR101231306B1 (ko)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CN203177569U (zh) 一种冰箱的蒸发皿组件
KR20170007891A (ko) 이중 비닐하우스의 냉기 순환장치
JP6501149B2 (ja) 冷凍装置
NL2018716B1 (en) Cabinet for housing part of a heat pump
CN104033966A (zh) 机柜空调器
CN203704166U (zh) 户式多功能除湿机
JP5331182B2 (ja) サイドフロー方式のパラレルフロー型熱交換器を備えた機器
US10684076B2 (en) Air conditioning tower
CN101922772B (zh) 多级逆流换热蒸发制冷装置
KR101377160B1 (ko) 리필타입 수질개선재 적용 냉각탑
CN104075532A (zh) 风冷冰箱
KR101619464B1 (ko) 백연 현상 발생 방지를 위한 대향류식 냉각탑
CN206744548U (zh) 一种烤烟房
CN203100032U (zh) 水膜过滤送风空调系统
KR101626024B1 (ko)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