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683B1 -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683B1
KR101516683B1 KR1020130146115A KR20130146115A KR101516683B1 KR 101516683 B1 KR101516683 B1 KR 101516683B1 KR 1020130146115 A KR1020130146115 A KR 1020130146115A KR 20130146115 A KR20130146115 A KR 20130146115A KR 101516683 B1 KR101516683 B1 KR 10151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erminal
scratch
image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김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희 filed Critical 김동희
Priority to KR102013014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된다.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제 1 영상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scratch) 영역을 입력받고, 단말기가 제 1 스크래치 영역과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조합 영역을 식별하며,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 2 영상을 제 1 영상 위에 노출시켜 표시한다.

Description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exchange images among devices and system using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을 교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장치들 간에 자신이 획득, 보유하고 있는 영상을 양방향으로 상호 교환하는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module)이 소형화됨에 따라 많은 휴대 단말기 또는 가전 기기 내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가 탑재되게 되었다. 이러한 기기들을 통해 사용자들은 각자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통신 기술의 진보와 함께 촬영된 영상의 교환 또한 용이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이나 PC를 통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교환하는 행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기도 하며, 이메일이나 MMS를 통해 수행되기도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직접 해당 이미지나 동영상을 전달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현재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영상 교환 기술은 이러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완전한 형태로 단순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다. 즉,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 하에서도 상대방과의 특별한 상호작용 없이 데이터 전달에만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 각자의 단말기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을 단순히 전송 또는 교환하고 있을 뿐, 영상 교환에 관한 차별적인 동기 부여 내지 재미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제 1 영상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scratch)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과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조합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식별된 상기 조합 영역 내에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노출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교환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영상 전체를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영상 전체를 수신함으로써 영상을 상호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 중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교환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만을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를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교환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만을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영상의 일부와 영역이 일치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만을 수신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제 2 영상의 일부와 영역이 일치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수신된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추출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를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교환 방법에서,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의 입력은 스크래치 영역에 대한 형태 정보 및 스크래치 영역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래치 영역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형성된 스크래치 영역 내에서 영상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교환 방법에서, 상기 조합 영역은,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교집합 및 차집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교환 방법에서, 상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만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의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영상 전체를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교환 방법에서, 상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만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의 면적이 임계 면적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 2 영상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상기 기재된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들이 상호 영상을 교환하는 시스템은, 각각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처리부 및 통신부를 구비한 복수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획득, 보유하고 있는 제 1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에 표시된 제 1 영상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scratch) 영역을 입력받는 입력부;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상대 단말기와의 영상 교환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통신을 통해 상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과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기가 식별된 상기 조합 영역 내에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노출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자신의 영상에 대해 각각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고,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을 상호 교환함으로써 조합 영역을 식별하며,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 상대 단말기의 영상을 노출시켜 표시함으로써, 단순한 영상 전송 또는 교환에서 벗어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매칭 게임이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영상 교환 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영상 교환의 기본 아이디어 및 그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단말기가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다양한 기술적 수단을 활용하여 구현한 실시예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을 활용한 네트워크 게임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기본 아이디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제시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통상적인 PC, 노트북, PDA 내지 휴대전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스마트 TV나 스마트 냉장고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수단을 구비한 가전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고 있는 단말기들은 유/무선 통신 수단 내지 네트워크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개방형,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 표시하는 방법은 이들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특정 운영 체제에 종속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기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신이 획득/보유하고 있는 이미지 내지 동영상을 상호 교환함에 있어서, 단지 이미지 전체를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특정 영역 내에만 상대방의 이미지를 전송받아 표시하게 된다. 즉, 자신의 이미지와 상대방의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되, 상대방의 이미지를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설정된 특정 영역 내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영상 교환의 기본 아이디어 및 그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활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일례로서 2개의 디바이스(110, 120)를 통해 사용자가 영상을 교환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2개의 디바이스(110, 120)를 통해 사용자들 각각은 자신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에 스크래치(scratch) 입력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스크래치 입력이란 화면 상의 일 영역을 가리키는 지시 입력의 연속적인 궤적을 나타나는 것으로, 마치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붓을 터치하는 표현 방법 내지 스크래치식 복권에 동전을 이용한 긁어내기 동작을 모사하는 디지털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크래치 입력은 다양한 디지털 입력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우스를 이용한 라인 드로잉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패널(touch panel)을 이용한 터치 동작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기타 타블렛 펜(tablet pen)과 같은 디지타이저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제, 각각의 디바이스(110, 12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으며,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스크래치 입력이 수행되었다고 가정하자. 각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115, 125) 상에는 사용자 A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a1, a2, a3)과 사용자 B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b1, b2, b3)이 감지된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지된 스크래치 영역을 통신을 통해 상호 교환하고, 자신이 입력한 스크래치 영역과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스크래치 영역을 비교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게 된다. 조합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2개의 조합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조합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디바이스(110, 12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게 된다. 즉, 사용자 A가 상대방(사용자 B)의 이미지를 빨리 수신받아 화면 상에 표시하고자 한다면, 상대방과 협력하여 더 넓은 스크래치 입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합 영역은 일종의 공유 화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해서 자신이 조작하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마치 그림을 그리듯이 움직임으로써 스크래치 영역을 설정하게 되고, 스크래치 영역의 크기나 모양 및 입력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호 교환/공유함으로써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 서로의 영상을 치환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교환 방법을 게임이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 일정한 시간 제한을 두고 설정된 시간 제한 내에 상대방의 이미지(예를 들어, 얼굴 사진)를 확보하기 위해 빠른 스크래치 입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영상 교환과 연계된 재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이상의 도 1에서 설명한 영상 교환 방법에 따라 2명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교환한 경우 각각의 단말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예시하고 있다.
도 2 역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210, 220) 상에 각각 자신의 사진이 표시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으며, 사용자 A 및 사용자 B의 스크래치 입력에 기초하여 식별된 조합 영역 상에 교환된 상대방의 이미지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용자 A가 조작하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210) 내의 조합 영역 내에서 사용자 B의 사진(215)이 표시되고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 B가 조작하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220) 내의 조합 영역 내에서 사용자 A의 사진(225)이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310 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제 1 영상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scratch) 영역을 입력받다.
S320 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S310 단계를 통해 입력된 제 1 스크래치 영역과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조합 영역을 식별한다. 이 때, 상기 조합 영역은,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교집합 및 차집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합 영역이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각각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영역에 의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은 서로 상대방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여 스크래치 입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합 영역이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각각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의 교집합 영역에 의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도 역시 복수의 사용자들은 서로 상대방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여 교집합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고자 하는 스크래치 입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합 영역이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각각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의 차집합 영역에 의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을 서로 다른 목적 의식(예를 들어, 자신의 이미지를 숨기고 상대방의 이미지만을 획득하고자 하는 시도가 될 수 있다.)을 갖고 전략적으로 스크래치 입력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렇듯, 조합 영역의 결정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는 영상 교환 방법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게임에 적용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단말기는 S320 단계를 통해 식별된 상기 조합 영역 내에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노출시켜 표시한다. 이러한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제 2 스크래치 영역의 입력은 스크래치 영역에 대한 형태 정보 및 스크래치 영역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추가 정보를 통해 각각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래치 영역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형성된 스크래치 영역 내에서 영상이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에 의한 스크래치 입력이 실시간으로 상대방 단말기에 전달되며,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이렇게 전달된 스크래치 입력에 기초하여 자신의 스크래치 입력과의 비교를 통해 실시간으로 조합 영역을 식별할 수 있고, 이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략적인 스크래치 입력 및 오버레이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영상 교환 방법의 기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적 처리 방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단말기가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공유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다양한 기술적 수단을 활용하여 구현한 실시예들로서, 순차적으로 그 구성을 기술하도록 한다.
첫 번째 실시예로서, 도 4는 영상 전체의 전송을 통해 공유 화면을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S4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S42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이미지 전체를 상호 교환한다. 따라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각각은 자신의 이미지 전체와 상대방의 이미지 전체(즉, 2개의 이미지)를 모두 완전한 형태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S43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자신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의 시간과 모양을 상호 교환한다. 도 4에서 제 1 단말기는 원 영역을 스크래치하여 제 2 단말기에 전송하고, 제 2 단말기는 삼각형 영역을 스크래치하여 제 1 단말기에 전송하고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S44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자신의 스크래치 영역과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조합 영역으로 식별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전체 중, 조합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만으로 추출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게 된다.
요약하건대, 제 1 단말기는 제 1 영상 전체를 상대 단말기(제 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제 2 영상 전체를 수신함으로써 영상을 상호 교환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수신받으며, 제 1 단말기 자신을 통해 입력된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한다. 마지막으로, 제 1 단말기는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 중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표시한다.
도 4를 통해 제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대방의 영상 전체를 교환하게 되므로, 실제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영역(조합 영역 내에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외에 나머지 영역에 대한 영상 역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트래픽을 야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만약 본 실시예가 게임이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자신의 의도하지 않은 영상의 영역 모두가 상대방에게 전달되므로 보안에도 위협이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의도/결정되는 조합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만을 부분적으로 전송/교환하는 기술적 수단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드로잉 정보(스크래치 영역)를 교환할 때, 각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정보만을 교환하는 기술적 수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두 번째 실시예로서, 도 5는 영상 일부의 전송, 특히 블록 단위 영상 정보 교환을 통해 공유 화면을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S5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화면은 각각 소단위의 격자 블록으로 구획되도록 설정된다.
S52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예를 들어, 스크래치 영역의 크기/모양에 대한 좌표 정보,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스크래치 영역이 입력되었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와 이러한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의 블록을 상호 교환한다.
도 5에서, 제 1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 영역을 스크래치하였고, 이러한 원 영역에 해당하는 블록 영상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 2 단말기는 원 영역에 해당하는 블록 영상을 다시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즉, 일방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블록 영상)을 상호 교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단말기의 사용자는 삼각형 영역을 스크래치하였고, 이러한 삼각형 영역에 해당하는 블록 영상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는 삼각형 영역에 해당하는 블록 영상을 다시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영상 교환 절차에 따라, 제 1 단말기는 자신의 영상 전체와 제 1 단말기 자신과 제 2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블록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제 2 단말기 역시 자신의 영상 전체와 제 2 단말기 자신과 제 1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블록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S53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자신의 스크래치 영역과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조합 영역으로 식별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블록 영상을 조합 영역 내에 한정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게 된다. 즉, 식별된 조합 영역과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블록 영상의 교집합을 추출하여 자신의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블록 영상과 식별된 조합 영역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표시되지 않고 폐기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매우 작으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트래픽 운용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단위 블럭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이러한 데이터 낭비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세 번째 실시예로서, 도 6은 앞서 설명한 도 5와 유사하게 영상 일부의 전송을 통한 공유 화면의 구현 방법을 예시하고 있으며, 특히 도 6의 경우 블록 단위의 영상이 아닌 비트맵(bitmap)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S6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S62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예를 들어, 스크래치 영역의 크기/모양에 대한 좌표 정보,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스크래치 영역이 입력되었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와 이러한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비트맵 영상을 상호 교환한다.
도 6에서, 제 1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 영역을 스크래치하였고, 이러한 원 영역에 해당하는 비트맵 영상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 2 단말기는 원 영역에 해당하는 비트맵 영상을 다시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즉, 일방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비트맵 영상)을 상호 교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단말기의 사용자는 삼각형 영역을 스크래치하였고, 이러한 삼각형 영역에 해당하는 비트맵 영상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는 삼각형 영역에 해당하는 비트맵 영상을 다시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영상 교환 절차에 따라, 제 1 단말기는 자신의 영상 전체와 제 1 단말기 자신과 제 2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비트맵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제 2 단말기 역시 자신의 영상 전체와 제 2 단말기 자신과 제 1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비트맵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S63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자신의 스크래치 영역과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조합 영역으로 식별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비트맵 영상을 조합 영역 내에 한정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게 된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도 6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조합 영역의 식별이 실질적으로 불필요한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비트맵 영상 자체가 조합 영역과 완전히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630 단계에서 오버레이 영상의 표시는 조합 영역의 식별 없이, 단지 자신의 영상 위에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비트맵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상의 특징으로 인해, 도 6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표시되지 않고 폐기되는 데이터가 전혀 존재하지 않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부분 영상을 상호 교환하는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들을 요약하건대, 제 1 단말기는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만을 상대 단말기(제 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대 단말기로부터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만을 수신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수신받으며, 수신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한 후,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를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상의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단말기들이 스크래치 영역을 상호 교환하는 과정이 수반되었다. 그러나, 도 7에서는 이러한 스크래치 영역의 교환 없이도 스크래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실시예를 제안하고자 한다.
S7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S72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비트맵 영상을 상호 교환한다. 이 때, 스크래치 영역 그 자체에 대한 정보는 전송되지 않는다.
도 7에서, 제 1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 영역을 스크래치하였고, 이러한 원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비트맵 영상과 같이 부분 영역에 정확히 일치하는 영상이 될 수 있다.)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 2 단말기는 원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을 다시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즉, 일방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을 상호 교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단말기의 사용자는 삼각형 영역을 스크래치하였고, 이러한 삼각형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는 삼각형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을 다시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영상 교환 절차에 따라, 제 1 단말기는 자신의 영상 전체와 제 1 단말기 자신과 제 2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제 2 단말기 역시 자신의 영상 전체와 제 2 단말기 자신과 제 1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상의 과정(S710 단계 및 S720 단계)을 통해 스크래치 영역에 대한 정보 교환은 없었음을 재차 확인한다.
S73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각각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부분 영상으로부터 조합 영역을 식별한다. 즉, 영상의 교환 결과 얻어진 부분 영상이 각 단말기들을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영역에 해당하므로, 수신된 부분 영상만으로도 조합 영역의 추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의 실시예는 스크래치 영역에 대한 정보 교환 없이도 S730 단계를 통해 조합 영역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S74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앞서 S730 단계를 통해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 한정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비트맵 영상을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게 된다.
요약하건대, 도 7의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는 제 1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만을 상대 단말기(제 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영상의 일부와 영역이 일치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만을 수신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제 2 영상의 일부와 영역이 일치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 1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추출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를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장치적으로 구성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을 중복을 피하고자 하드웨어 구성을 중심으로 각 요소를 약술하도록 한다.
도 8에서, 통신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들이 상호 영상을 교환하는 시스템은, 각각 디스플레이부(11, 21), 입력부(미도시), 처리부(12, 22) 및 통신부(13, 23)를 구비한 복수의 단말기(10, 20)를 포함하며, 이러한 복수의 단말기들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각 단말기들의 연결 및 매칭을 위해 필요에 따라 중계 서버(40)가 활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중계 서버(40)는 앞서 설명한 영상 교환 방법에 기술된 일련의 과정을 중계 및 제어할 수는 있으나, 그 데이터 처리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것이 보안상 유리할 것이다.
하나의 단말기(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는, 상기 단말기가 획득, 보유하고 있는 제 1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1) 화면 상에 표시된 제 1 영상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scratch) 영역을 입력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드, 타블렛 펜 등이 될 수 있다.),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상대 단말기(예를 들어, 제 2 단말기(20))와의 영상 교환을 처리하는 처리부(12) 및 통신을 통해 상대 단말기(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처리부(12)는,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과 상기 상대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기(10)가 식별된 상기 조합 영역 내에 상기 상대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노출시켜 표시한다.
도 8에서, 이러한 단말기들(10, 20)은 편의상 2개 도시하였으나, 3개 이상의 단말기들이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을 상호 교환함으로써 공통의 공유 화면(조합 영역)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공유 화면 상에 표시되어야 하는 상대방의 영상을 결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규칙에 따라 해결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영상이 사용자 B의 공유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 B의 영상이 사용자 C의 공유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다시 사용자 C의 영상이 사용자 A의 공유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연결된 단말기들 간의 영상 표시의 소스(source)와 대상(target)을 각각 지정함으로써 적절한 화면 표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을 활용한 네트워크 게임의 일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래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한 시간(time-out)이 설정되며, 이러한 제한 시간 이내에 상대방의 영상을 빨리 획득하고자 하는 상호 협력 게임이 구현되었다. 즉,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스마트폰, PC, 타블렛 등)에 내장된 터치 패널이, 타블렛이나 마우스 입력을 통해 2명 이상의 사용자가 자신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의 교환은 각각의 사용자가 마치 즉석 복권을 긁듯이 스크래치 입력을 통해 선택한 영역을 점진적으로 서로의 화면에 전송/교환함으로써 달성된다.
S910 단계 및 S920 단계에서, 단말기에 직접 구비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된 캠을 통해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획득한다. S930 단계에서, 2명의 사용자는 주어진 제한 시간(950) 내에 각각 자신의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스크래치함으로써 상대방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만약, 제한 시간(950) 내에 스크래치를 통해 획득한 상대방의 영상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상대방의 영상 전체를 얻거나, 점수를 획득하는 등의 성과를 보상받을 수 있다. 반면, 제한 시간(950) 내에 스크래치를 통해 획득한 상대방의 영상이 앞서 설정된 일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획득한 일부 영상마저 폐기되거나 점수를 잃는 등의 페널티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조건이란 스크래치 입력을 통해 공개된 상대방의 영상의 넓이가 미리 설정된 넓이 이상이 되는 조건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임 참여자들은 제한 시간 내에 최대한 넓은 영역을 획득하고자 노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일정 조건은 스크래치 입력을 통해 공개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중요점(예를 들어, 상대방의 눈 영역이 될 수 있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임 참여자들은 제한 시간 내에 스크래치되는 영상을 관찰하면서 상대방의 눈이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추정하고, 추정된 부분을 스크래치하고자 노력하게 될 수 있다.
요약하건대, 도 9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만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의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영상 전체를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만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의 면적이 임계 면적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 2 영상을 폐기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자신의 영상에 대해 각각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고, 입력된 스크래치 영역을 상호 교환함으로써 조합 영역을 식별하며,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 상대 단말기의 영상을 노출시켜 표시함으로써, 단순한 영상 전송 또는 교환에서 벗어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매칭 게임이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영상 교환 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110, 120 : 단말기
11, 21 : 디스플레이부
12, 22 : 처리부
13, 23 : 통신부
30 : 네트워크
40 : 중계 서버

Claims (8)

  1.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대 단말기와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제 1 영상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scratch)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과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조합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식별된 상기 조합 영역 내에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노출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은 각각 단말기 사용자 및 상대 단말기 사용자의 지시 입력의 연속적인 궤적을 나타내는 스크래치 입력이 실시간으로 상호 교환됨으로써 서로의 스크래치 영역을 비교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영상 전체를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영상 전체를 수신함으로써 영상을 상호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 중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만을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상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를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만을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영상의 일부와 영역이 일치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영상의 일부만을 수신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 제 2 영상의 일부와 영역이 일치하는 제 1 영상의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수신된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추출된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에 기초하여 조합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합 영역 내에서 수신받은 상기 제 2 영상의 일부를 상기 제 1 영상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의 입력은 스크래치 영역에 대한 형태 정보 및 스크래치 영역이 형성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래치 영역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형성된 스크래치 영역 내에서 영상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영역은,
    상기 제 1 스크래치 영역 및 상기 제 2 스크래치 영역의 합집합, 교집합 및 차집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만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의 면적이 임계 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영상 전체를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만 사용자로부터 제 1 스크래치 영역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식별된 조합 영역의 면적이 임계 면적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 2 영상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30146115A 2013-11-28 2013-11-28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1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115A KR101516683B1 (ko) 2013-11-28 2013-11-28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115A KR101516683B1 (ko) 2013-11-28 2013-11-28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683B1 true KR101516683B1 (ko) 2015-05-04

Family

ID=5339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115A KR101516683B1 (ko) 2013-11-28 2013-11-28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6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005A (ja) * 2009-09-10 2011-03-24 Hitachi Solutions Ltd ネットショッピング仮想試着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005A (ja) * 2009-09-10 2011-03-24 Hitachi Solutions Ltd ネットショッピング仮想試着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9952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92537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저장 매체
CN111417028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716645A (zh)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9062606A1 (zh) 弹幕信息显示方法、提供方法以及设备
US10235574B2 (en) Image-capturing device, recording device, and video output control device
JP5485244B2 (ja) 移動式タグを利用した拡張現実提供装置及び方法
CN106658221A (zh) 弹幕控制方法及装置
JP7416782B2 (ja) 画像処理方法、電子機器、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80144546A1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processing live shows
US2023031652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942242A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以及显示装置
CN112486394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573092A (zh) 直播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02160B (zh) 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12954437B (zh) 一种视频资源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8848404B (zh) 移动终端的二维码信息共享系统
CN106569686B (zh) 滚动球控制截屏的方法及相关的智能设备
KR101516683B1 (ko) 장치간 영상을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333498A (zh) 一种展示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177250A (zh) 一种用于在视频通话过程中提供采购信息的方法与设备
CN105282520A (zh) 增强现实讲解设施的芯片及增强现实信息传递和互动方法
JP2017046324A (ja) ユーザ端末、物体認識サーバ、通知方法及びユーザ端末用プログラム
CN108140080A (zh) 一种显示的方法、装置及系统
CN111859356B (zh) 应用程序登录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