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917B1 -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917B1
KR101515917B1 KR1020140114377A KR20140114377A KR101515917B1 KR 101515917 B1 KR101515917 B1 KR 101515917B1 KR 1020140114377 A KR1020140114377 A KR 1020140114377A KR 20140114377 A KR20140114377 A KR 20140114377A KR 101515917 B1 KR101515917 B1 KR 10151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aterial
insertion groove
pressing
plat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어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어로테크 filed Critical (주)한국에어로테크
Priority to KR102014011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에 삽입홈부가 구비되고 도로 또는 인도 주변 지면에 직립되게 시공되는 방호벽 지주;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암 파쇄 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낙광이 도로 또는 인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재토류판; 상기 방호벽 지주와 상기 강재토류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강재토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PROTECTIVE WALL FOR ROCK CRUSHING AND BUI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토류판을 방호벽 지주의 내벽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며, 강재토류판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파쇄 방호벽은 도로를 확장할 경우 암 절취 작업으로 낙하하는 암석과 토사로부터 통행 차량을 보호하기 위하여 절토부에 설치되는 임시구조물이다.
이러한 방호벽은, 암파쇄 작업 또는 토사의 제거 작업 시에 암반이나 토사가 흘러 내려와 도로를 지나는 차량의 피해를 막고, 하측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방호벽으로서, 종래에는 통상 H빔들을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그 H빔들 사이에 목재를 적층 삽입하여 방호벽을 구축했는데, 이는 자재의 구입 및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목재는 품질 균일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약하여 암반이 낙하하거나 비로 인하여 토사가 갑자기 심하게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일부분이 파손되어 하측에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암파쇄 및 토사의 제거 후에는 H빔을 제거하고 목재를 수거해서 재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목재는 반복 사용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목재는 미관이 다소 떨어지고, 설치 후 파손이 많이 발생됨으로써 안전성이 떨어짐은 물론 부분 파손이 발생될 경우에는 건축폐기물 처리가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제토류판을 사용하여 암파쇄 방호벽을 제조하며, 철제토류판 외에 다양한 재질의 토류판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328호(2006년 8월 31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암파쇄 방호벽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암파쇄 방호벽 시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암파쇄 방호벽은, 방호벽 지주 내벽에 강재토류판을 삽입한 후에 방호벽 지주와 강재토류판 사이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용접하거나 체결하여 강재토류판이 방호벽 지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시공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방호벽 지주 상부로 올라가서 고정부재를 설치해야 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고정부재로 사용되는 강제의 사용량을 줄이기 어려워 암파쇄 방호벽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강재토류판을 방호벽 지주의 내벽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며, 강재토류판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단부에 삽입홈부가 구비되고 도로 또는 인도 주변 지면에 직립되게 시공되는 방호벽 지주;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암 파쇄 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낙광이 도로 또는 인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재토류판; 상기 방호벽 지주와 상기 강재토류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강재토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강재토류판의 테두리에는 브래킷이 삽입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테두리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한 쌍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압굴곡부; 상기 가압굴곡부의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테두리가 삽입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가압굴곡부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상기 테두리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테두리에 걸림결합시키는 걸림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결합부는, 상기 가압굴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상기 테두리를 걸림결합시키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삽입되는 상기 강재토류판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삽입홈부에 설치되는 결합면부; 및 상기 결합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강재토류판에 의해 변형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방호벽 지주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홈부에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방호벽 지주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도로 또는 인도의 지면에 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은, 복수 개의 강재토류판을 별도의 체결부재 조립작업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강재토류판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은, 방호벽 지주에 가압부가 구비되므로 강재토류판을 방호벽 지주에 삽입하면 가압부의 작동에 의해 강재토류판이 방호벽 지주의 삽입홈부 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강재토류판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생략되어 방호벽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에 의해 강재토류판을 방호벽 지주에 밀착시키므로 가압부를 이루는 기술구성이 간소화되어 암파쇄 방호벽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강재토류판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강재토류판 설치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강재토류판 설치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연결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강재토류판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강재토류판 설치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강재토류판 설치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연결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양단부에 삽입홈부(32)가 구비되고 도로 또는 인도 주변 지면에 직립되게 시공되는 방호벽 지주(30)와, 삽입홈부(32)에 삽입되고 암 파쇄 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낙광이 도로 또는 인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재토류판(10)과, 방호벽 지주(30)와 강재토류판(10) 사이에 구비되고 강재토류판(10)을 삽입홈부(3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70)와, 복수 개의 강재토류판(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한다.
강재토류판(10)은 철재 패널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및 배면에 파형의 주름부가 이루어지므로 암 파쇄 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낙광의 충돌에 의해 주름부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상쇄시키게 되므로 강재토류판(1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강재토류판(10)의 테두리(12)에는 주름부의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패널이 용접되어 강재토류판(10)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며 주름부를 지지하게 된다.
연결부재(5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테두리(12)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한 쌍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압굴곡부(52)와, 가압굴곡부(52)의 일측이 개구되어 테두리(12)가 삽입되는 개구부(54)와, 개구부(54)와 가압굴곡부(52)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테두리(12)를 안내하는 경사면(56)을 포함한다.
연결부재(50)의 측면 형상은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가 밀폐되는 'ㄷ'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면 및 저면이 중앙부 측으로 오목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변형되어 한 쌍의 가압굴곡부(52)를 이루게 된다.
개구된 일단부는 개구부(54)를 이루게 되고, 개구부(54)와 가압굴곡부(52) 사이에는 경사면(56)이 형성되어 개구부(54)를 통해 삽입되는 한 쌍의 테두리(12)가 연결부재(50)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수 개의 강재토류판(10)을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할 때에 하나의 강재토류판(10) 상면에 다른 강재토류판(10)을 연결하여 배치시키고,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테두리(12)를 동시에 감싸도록 다수 개의 연결부재(50)를 설치하여 강재토류판(10)의 연결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강재토류판(10)을 연결할 수 있게 되므로 볼트 및 너트를 조여서 강재토류판(10)을 연결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강재토류판(10)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부재(50)를 테두리(12)에 걸림결합시키는 걸림결합부(18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연결부재(50)를 테두리(12)에 걸림결합시키는 걸림결합부(180)가 구비되므로 강재토류판(10)에 연결부재(50)를 정확한 위치에 걸림결합시켜 가조립한 후에 연결부재(50)를 원터치 방식으로 테두리(12)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걸림결합부(180)는, 가압굴곡부(5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182)과, 연장편(182)에 구비되고 연결홀부(14)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테두리(12)를 걸림결합시키는 걸림돌기(184)를 포함한다.
가압굴곡부(52)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편(182)이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편(18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걸림돌기(184)가 돌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걸림돌기(184)를 한 쌍의 테두리(12)에 형성되는 연결홀부(14) 관통하도록 걸림결합시킨 후에 걸림돌기(184)를 중심으로 연결부재(50)를 회전시키면서 개구부(54)를 통해 한 쌍의 테두리(12)를 삽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결합부(180)에 의해 강재토류판(10)에 연결부재(50)를 걸림결합시키게 되면 연결홀부(14)가 형성되는 부위에 정확하게 연결부재(50)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50)가 부족하게 설치되거나 과도하게 설치되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걸림돌기(184)를 중심으로 연결부재(50)를 회전시키면서 연결부재(50)를 한 쌍의 테두리(12)에 끼우므로 지렛대 효과에 의해 연결부재(50)를 보다 용이하게 가압하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70)는, 삽입홈부(32)에 설치되고 삽입홈부(32)를 따라 삽입되는 강재토류판(10)에 의해 변형되어 강재토류판(10)을 삽입홈부(32) 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72)을 포함한다.
판스프링(72)은 곡면을 이루는 금속패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70)와 비교하여 강재토류판(10)에 보다 강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강재토류판(10)이 방호벽 지주(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판스프링(72)은, 삽입홈부(32)에 설치되는 결합면부(74)와, 결합면부(74)로부터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며 강재토류판(10)에 의해 변형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곡면부(76)를 포함한다.
결합면부(74)와 가압곡면부(76)는 하나의 띠 모양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결합면부(74)와 가압곡면부(76)는 서로 교호로 다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된다.
결합면부(74)는 삽입홈부(32)의 내벽 일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용접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결합면부(74)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곡면부(76)는 삽입홈부(32)의 타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가압곡면부(76)와 삽입홈부(32) 사이로 삽입되는 강재토류판(10)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강재토류판(10)을 삽입홈부(3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시공방법은, 방호벽 지주(3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32)에 판스프링(72)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70)를 설치하는 단계와, 방호벽 지주(30)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도로 또는 인도의 지면에 시공하는 단계와, 가압부(70)가 강재토류판(10)을 삽입홈부(32) 측으로 가압하도록 강재토류판(10)을 삽입홈부(32)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방호벽 지주(30) 삽입홈부(32)에 결합면부(74)를 설치하여 삽입홈부(32)의 타면 측으로 다수 개의 가압곡면부(76)가 돌출되도록 가압부(70)를 설치한다.
가압부(70)가 설치된 방호벽 지주(30)를 도로 또는 도로와 사면의 경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시공한다.
다수 개의 강재토류판(10)을 가압곡면부(76)와 삽입홈부(32)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하고, 이때, 가압곡면부(76)가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강재토류판(10)을 삽입홈부(32)의 타면으로 가압하면서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방호벽 지주(30) 사이에 다수 개의 강재토류판(10)이 삽입되면 다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테두리(12)를 동시에 감싸도록 한 쌍의 테두리(12)에 연결부재(50)를 삽입하여 강재토류판(10)이 연속되게 연결시킨다.
따라서 다수 개의 강재토류판(10)을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연결하며 방호벽의 시공을 손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강재토류판을 방호벽 지주의 내벽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며, 강재토류판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강재토류판 12 : 테두리
14 : 연결홀부 16 : 연결브래킷
30 : 방호벽 지주 32 : 삽입홈부
50 : 연결부재 52 : 가압굴곡부
54 : 개구부 56 : 경사면
70 : 가압부 72 : 판스프링
74 : 결합면부 76 : 가압곡면부
180 : 걸림결합부 182 : 연장편
184 : 걸림돌기

Claims (8)

  1. 양단부에 삽입홈부가 구비되고 도로 또는 인도 주변 지면에 직립되게 시공되는 방호벽 지주;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암 파쇄 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낙광이 도로 또는 인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재토류판;
    상기 방호벽 지주와 상기 강재토류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강재토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토류판의 테두리에는 브래킷이 삽입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테두리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한 쌍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압굴곡부;
    상기 가압굴곡부의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테두리가 삽입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가압굴곡부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상기 테두리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테두리에 걸림결합시키는 걸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결합부는,
    상기 가압굴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상기 테두리를 걸림결합시키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삽입되는 상기 강재토류판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삽입홈부에 설치되는 결합면부; 및
    상기 결합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강재토류판에 의해 변형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8. (a) 방호벽 지주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에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방호벽 지주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도로 또는 인도의 지면에 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압부가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강재토류판을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토류판은, 연결부재에 의해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방호벽 지주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고,
    상기 강재토류판의 테두리에는 브래킷이 삽입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테두리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한 쌍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압굴곡부;
    상기 가압굴곡부의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테두리가 삽입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가압굴곡부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상기 테두리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테두리에 걸림결합시키는 걸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결합부는,
    상기 가압굴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상기 테두리를 걸림결합시키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의 시공방법.
KR1020140114377A 2014-08-29 2014-08-29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77A KR101515917B1 (ko) 2014-08-29 2014-08-29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77A KR101515917B1 (ko) 2014-08-29 2014-08-29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917B1 true KR101515917B1 (ko) 2015-05-04

Family

ID=5339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377A KR101515917B1 (ko) 2014-08-29 2014-08-29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831B1 (ko) 2020-07-03 2021-05-12 주식회사 신웅 더블빔을 이용한 암파쇄 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11U (ja) * 1992-09-08 1994-04-15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仮設鋼材壁
KR200175225Y1 (ko) * 1999-10-08 2000-03-15 주식회사의성실업 흙막이 벽의 설치 구조
KR200258921Y1 (ko) * 2001-09-27 2001-12-29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JP2002364007A (ja) * 2001-06-12 2002-12-18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壁面材連結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壁面材の連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11U (ja) * 1992-09-08 1994-04-15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仮設鋼材壁
KR200175225Y1 (ko) * 1999-10-08 2000-03-15 주식회사의성실업 흙막이 벽의 설치 구조
JP2002364007A (ja) * 2001-06-12 2002-12-18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壁面材連結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壁面材の連結方法
KR200258921Y1 (ko) * 2001-09-27 2001-12-29 (주)한국에어로테크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831B1 (ko) 2020-07-03 2021-05-12 주식회사 신웅 더블빔을 이용한 암파쇄 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918B1 (ko) 암패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75028B1 (ko) 패널 후방교체형 방음벽
KR101515917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55531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JP6204760B2 (ja) 透光性遮音壁
KR102116866B1 (ko) 배수구 설치용 그레이팅
KR20140004305U (ko) 에이치빔용 안전패드
JP6963461B2 (ja) 遮音壁
KR20200107400A (ko) 홈메우기 볼트가 구성된 띠장
JP2002371706A (ja)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装置
KR100846149B1 (ko) 난간파이프 결합부재
KR20100119690A (ko) 건설현장의 가림판 설치구조
JP4934538B2 (ja) 吸音構造体と吸音構造体を備えた防護柵
JP2015098751A (ja) 梁補強方法、補助梁、および既存梁支持具
KR101946607B1 (ko) 프레임 조합형 방음패널
KR100979552B1 (ko) 방음벽용 방음판 체결장치
KR200386922Y1 (ko) 씨-형강을 이용한 암 파쇄 방호용 패널
IT201800005380A1 (it) Elemento di rinforzo per il fissaggio a terra di barriere stradali di sicurezza
KR101917836B1 (ko) 부품 간소화로 생산성 향상과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개선한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KR101569658B1 (ko) 건축용 그레이팅
KR101419673B1 (ko) 안전 난간
KR102627081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1170256B1 (ko) 교량 방호벽의 가로보 연결 구조
JP4057878B2 (ja) 遮音パネル
KR100926167B1 (ko) 복개도로용 복공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