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949B1 - A floating wall - Google Patents

A float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949B1
KR101514949B1 KR1020140059489A KR20140059489A KR101514949B1 KR 101514949 B1 KR101514949 B1 KR 101514949B1 KR 1020140059489 A KR1020140059489 A KR 1020140059489A KR 20140059489 A KR20140059489 A KR 20140059489A KR 101514949 B1 KR101514949 B1 KR 10151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wall
space
river water
foundation concrete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기영
김원규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4005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9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wall which can adjust the operation timing of a movable wall in accordance with the river water level by operating the moveable wall before the river water level changes. The floating wall comprises: a base concrete having first and second space parts; the movable wall joined to the second space part of the base concrete, and includes a buoyant body; a river water inlet to allow river water to flow into or out of the second space part of the base concrete to lift or lower the movable wall; and a support frame to restrict the lifted position of the river water outlet and the movable wall, and align the position of them. The floating wall can operate the movable wall sooner than the rise of the river water level without the use of power; and can adjust the operating timing of the movable wall in accordance with the river water leve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escription

플로팅 월{A floating wall}A floating wall

본 발명은 하천 수위보다 먼저 가동벽이 작동하면서 하천 수위에 따라 가동벽의 작동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플로팅 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wall capable of adjusting the operation period of a movable wall according to a river water level while a movable wall is operated before a river water level.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In the case of urban rivers, the embankment is used as a resting place and a promenade for nearby residents due to the creation of a hydrophilic space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preventing flood damag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utilizing the river space as a resting place for residents. As the river has been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the aspect of the landscape has become important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its inherent functions.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urban rivers, which are usually located downstream, the flood levels rise in the rainy season due to the accumulation of soil and wa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flood damage, it is necessary to buy land around rivers to build a bank, but as a reality, buying or accepting densely populated houses and land in order to build a banking site is expected to incur astronomical compensation expenses and complaints In fact, it is impossible to promot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심하천에서는 제방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해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면과 하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경관성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연형 하천을 선호하는 시류에는 맞지 않아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As described above, concrete flood walls are installed on the urban river basin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embankment can not be constructed in urban river basins. However, this is fundamentally obstructing access to the nearby main river and rivers, It is a reality that it does not get the big response because it does not fit the stream which prefers natural river of.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865370호(2008.10.20.), "하천 경관 개선용 범람방지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65370 (Oct. 20, 2008), "Flotation prevention device for river landscape improvement" has been proposed.

상기 등록특허는 하천 방향으로 유입구를 형성해 하천수위의 상승시 부력실에 하천수가 유입되면 수평부재가 상승하여 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atent discloses that an inlet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river, and when the river water flows into the buoyancy chamber when the river water level rises, the horizontal member rises to prevent flooding of the water.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는 단순히 부력실에 하천수를 유입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부력실의 수위와 하천의 수위가 거의 동일해 질때에 수직부재가 상승하기 때문에 하천의 범람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Korean registered pat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iver water flows into the buoyancy chamber, so that when the level of the buoyancy chamber and the level of the river become almost equal, the vertical member rises, There was a high problem.

또한, 부력실과 수직부재 사이에 지수재를 다수 형성한다 할지라도 지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직부재의 상승 이후에도 제내지로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Further, even if a large number of index materials are formed between the buoyancy chamber and the vertical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is likely to be introduced even after the vertical member rises because the index is not properly formed.

특히, 하천의 수위가 급작스럽게 상승하게 될 경우 수직부재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재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었다.
Especiall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uddenly ri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member is not performed smoothly and the re-function is lo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월은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하천수위의 상승속도보다 더 빨리 가동벽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wall which can operate the moving wall more quickly than the rising water level without using p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역 특성에 따라 하천수위에 따라 가동벽의 작동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operation timing of the movable wall on the river water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하천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 부력에 무동력으로 가동벽이 작동하여 하천수 범람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ver water level rises, the movable wall is acted on the buoyancy forcelessly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overflow of the river water.

그리고 제1 공간부에 1차로 하천의 하천수를 유입시킨 후 이 하천수를 이용해 가동벽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제2 공간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하천수위의 상승속도보다 가동벽의 가동속도가 더 빠르게 진행시켜 제내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nd a second space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so that the river water flows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movable wall can be operated by using the river water. Therefore, the moving speed of the movable wall is faster than the rising speed of the river water level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apparatus.

또한, 가동벽의 제1 슬라이딩 면과 서포트 프레임의 제2 슬라이딩 면에 의해 가동벽이 정렬되어 가동벽의 돌출턱과 제2 공간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맞닿으면서 지수역할을 수행하여 안정적으로 물의 범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wall is aligned by the first sliding surface of the movable wall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protruding jaw of the movable wall abuts against the engaging jaw formed in the second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flooding.

특히, 제1 공간부에 형성된 하천수 유입부의 수위조절 유입구 방향을 조절하여 관리자가 하천수위에 따른 가동벽 작동시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level control inlet of the river water inflow portion form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the manager can adjust the operation time of the moving wall on the river water to apply to various environments.

그리고 가동벽 및 서포트 프레임에 형성된 제1, 2 슬라이딩 면의 길이를 가동벽의 제1 부력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가동벽이 부력에 의해 원활히 상승하되 서포트 프레임 및 가동벽에 형성된 돌출턱과 가동벽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한 스토퍼 역할 및 가동벽을 일측으로 정렬시켜 지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formed on the movable wall and the support frame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buoyant body of the movable wall so that the movable wall rises smoothly by buoyancy, The stopper can be formed by aligning the movable wall and the stopper formed by the engaging jaw formed in the wall coupling portion.

또한, 기초 콘크리트의 제2 공간부 내에 스페이서를 형성해 가동벽이 부력에 의한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제2 스페이서의 빗면에 의해 가동벽이 하천수 배출부 입구를 막는 형태로 형성되어 가동벽을 부력에 의해 상승시키는 최초의 하천수가 하천수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wall can be smoothly raised by buoyancy by forming a spacer in the second space portion of the foundation concrete, and in particular, the movable wall is formed in such a form as to block the inlet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by the oblique surface of the second spacer,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river water, so that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아울러,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 부재를 통해 가동벽의 원활한 가이드와 더불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fixed together with a smooth guide of the movable wall through the movable wall fixing and the guide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월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가동벽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 부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수 유입부를 통한 수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loat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after the movable wall is operated.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able wall fixing and guide member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adjustment state through a river water inflow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에서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0)는 제방의 기존 시설 또는 신설로 형성되는 형태이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foundation concrete 10 is formed in an existing facility of a bank or a new construction.

다만, 본 발명에서의 기초 콘크리트(10)에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이 제1 공간부(12)는 하천의 하천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하천수 유입홈(11)과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However, the foundation concre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irst space 12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first space 12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groove 11.

또한, 상기 제1 공간부(12)와 이격된 구간에는 제1 공간부(12)와 유사한 형태의 제2 공간부(13)가 구비되어 있다.A second space 13, which is similar to the first space 12, is provided in a space apart from the first space 12.

상기 제2 공간부(13)는 상측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2 측면(13b, 13c)과 바닥면(13a)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space 13 is opened at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3b and 13c and the bottom surface 13a are closed.

다음으로, 가동벽(3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술한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된 제2 공간부(13)에 배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제2 공간부(13) 내에 수납되어 있다가 하천수위가 상승할 경우에는 제내지로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수 차단벽(31)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천수 유입시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제1, 2 부력체(32, 33)가 구성되어 있다.2, the movable wall 30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foundation concrete 10, and is normally stor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The flow blocking walls 31 ar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in order to prevent water from overflowing. When the river water flows into the first and second buoyancy bodies 32 and 32, 33 are formed.

여기서, 상기 제1 부력체(32)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부력체(33)는 빗면 형태의 제1 슬라이딩 면(33a)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Here, the first buoyant body 3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second buoyant body 33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first sliding surface 33a in the form of an oblique surface.

바람직하게는 가동벽(3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가동벽(30)의 양 측면에 제2 부력체(33)가 형성되고, 그 사이 공간에 제1 부력체(32)가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에, 부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형성된 제2 부력체(33)의 길이의 합보다 제1 부력체(32)의 전체 길이가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second buoyant body 33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wall 30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wall 30, and the first buoyant body 32 is disposed in the space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buoyant body 32 may be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second buoyant bodies 33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further increase the buoyancy.

특히, 상기 가동벽(30)의 하단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2 부력체(32, 33) 부분에는 제1, 2 부력체(32, 33)가 돌출되어 있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34)을 더 형성하고, 상기 가동벽(30)이 결합되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에는 상기 돌출턱(34)이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되, 상단에는 하천수 차단벽(31)만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입구를 좁게 형성하여 가동벽(30)의 가동시 스토퍼 역할 및 지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걸림턱(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vable wall 30, more specifically, in th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uoyant bodies 32 and 33,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oyant bodies 32 and 33 are protruded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to which the movable wall 30 is coupled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projecting step 34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space portion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rance is narrowed so that only the river water blocking wall 31 can be moved upward so that the stopping jaw 14 is formed so as to serve as a stopper and an index when the movable wall 30 is operated.

다음으로, 하천수 유입부(40)는 도 1에서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 및 제2 공간부(13)를 연결하여 제1 공간부(12)의 하천수가 제2 공간부(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the river water inflow part 40 connects the first space part 12 and the second space part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to connect the first space part 12 with the river water 2 space portion 13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와 같은 하천수 유입부(40)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에 형성시 제1 공간부(12)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며, 특히, 그 끝단부에는 일정각도로 휘어져 형성되되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수위조절 유입구(41)가 형성되어 있다.The river water inflow part 40 as described above is further protruded toward the first space part 12 when formed in the first space part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In particular, The water level control inlet 41 is formed to be bent at an angle and coupled in a rotatable manner.

이러한, 하천수 유입부(40)는 하천수가 평상 수위시에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에 채워진 하천수가 제2 공간부(13)로 유입되지 않다가 하천수가 위험수위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제1 공간부(12)의 하천수가 제2 공간부(13)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ver water inflow part 4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river water filled in the first space part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does not flow into the second space part 13 when the river water is at the normal water level,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am water of the first space portion 1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able to move 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다음으로, 하천수 배출부(50)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에 유입된 하천수를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1 공간부(12)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Next, the river water discharging portion 50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river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1 further protruding toward the space 12.

이러한, 하천수 배출부(50)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로 유입된 하천수가 제1 공간부(12)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천수 유입부(4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도록 하며, 이때에,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의 하천수가 하천수 배출부(50)를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끝단에 체크밸브(5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ver water discharging portion 5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iver water inflow portion 40 so that the river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heck valve 51 at the end so that the river water in the first space portion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does not flow through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50. In this case,

다음으로, 서포트 프레임(6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술한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된 제2 공간부(13)의 상측에 통상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가동벽(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가동벽(20) 상승시 제2 공간부(13)의 제1 측면(13b)과 맞닿을 수 있도록 가동벽(30)의 제2 부력체(33)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 면(33a)과 대응하는 제2 슬라이딩 면(61a)을 포함하는 제1 서포트 프레임(61)이 구성되고, 상기 제1 서포트 프레임(61) 상부를 덮어 마감처리를 할 수 있는 제2 서포트 프레임(62)이 형성되어있다.3, the support frame 6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foundation concrete 10 by a normal bolt, and the elevation height of the movable wall 30 And a first sliding surface formed on the second buoyant body (33) of the movable wall (30) so as to abut against the first side surface (13b) of the second space part (13) when the movable wall A first support frame 61 including a second sliding surface 61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frame 33a and a second support frame 62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61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제1 서포트 프레임(61)은 다수의 플레이트를 이용해 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통해 제작되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에 형성된 제1 측면(13b)과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The first support frame 61 is manufactured through a bonding means such as welding using a plurality of plates so that the first side surface 13b form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base concrete 10 and the first side surface 13b formed of the bolt And can be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ans.

특히, 제1 서포트 프레임(61)은 가동벽(30)의 제2 부력체(33)와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2개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61 is provided at two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uoyant body 33 of the movable wall 30. [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된 제2 공간부(13)의 바닥면(13a)에 제1, 2 스페이서(15, 16)를 더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15 and 16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3a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formed in the base concrete 10.

상기 제1, 2 스페이서(15, 16)는 가동벽(30)이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된 제2 공간부(13)의 바닥면(13a)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제2 스페이서(16)에는 빗면(16a)이 형성되어 가동벽(20)의 수납시 제2 공간부(13)의 제2 측면(13c)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spacers 15 and 16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movable walls 30 can be stor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3a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formed in the base concrete 10 In particular, the second spacer 16 is formed with an oblique surface 16a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13c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when the movable wall 20 is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으로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 부재(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 movable wall fixing and guide member 70 on the upper side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상기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 부재(70)는 도 5에서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에 형성되어 가동벽(30)의 상승시 가동벽(30)의 양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내측에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가동벽(30)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면(13c)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7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movable wall fixing and guide member 7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as shown in FIG. 5 and is configured to fix both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wall 30 when the movable wall 30 ascends. The inclined plate 71 is inclined such that the movable wall 30 can be guided toward the second side surface 13c form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as the upwardly extending side .

상기와 같은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 부재(70)는 하나의 가동벽(30)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1개소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wall fixing and guide member 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wall 30 on both sides.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플로팅 월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의 플로팅 월(100)은 도 1에서와 같이 하천수의 수위가 평상수위, 즉 위험수위가 아닐 경우에는 가동벽(30)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 내에 수납된 형태로 배치된다.1,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water is not normal level, that is, when the water level is not at the danger level, the movable wall 30 is plac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base concrete 10 And is disposed in a stored form.

이때에, 하천과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는 하천수 유입홈(11)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량의 하천수가 제1 공간부(12)에 유입된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first space portion 12 of the river and the base concrete 10 is connected to the river water inflow groove 11,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river water flows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특히, 하천수 배출부(50)는 제1 공간부(12)에 채워진 하천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위치인 하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공간부(12)의 하천수는 유입되지 않되 가동벽 결합부(20)의 공간부(21)의 하천수는 제1 공간부(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천수 배출부(50)에 체크밸브(51)가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river water discharging portion 5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where the river water fi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12 can be introduc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ver water of the first space portion 12 is not introduced, A check valve 51 is formed in the river water discharge part 50 so that the river water in the space 21 of the coupling part 20 can be discharged to the first space part 12. [

한편, 하천수위가 제내지로 범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더 많은 량의 하천수가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서 하천수 유입부(40)의 수위조절 유입구(41)를 통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 내로 하천수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iver water level reaches a danger level which is likely to be overflowed, a larger amount of the river water flows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of the base concrete 10 and the water level rises, The inflow of the river water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base concrete 10 is performed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inlet 41 of the bottom portion 40.

여기서, 상기 제2 공간부(13)는 가동벽(10)이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는 시간보다 공간부(21)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위가 더 빨리 진행이 이루어지게 된다.Since the second space portion 13 has only a space to which the movable wall 10 can be coupled,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water flowing into the space portion 21 is longer than the time when the water level rises. The process is fast.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가동벽(30)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에 수납된 상태일 때에, 가동벽(30)이 제2 공간부(13)의 제1 측면(13b)과 맞닿아 하천수 배출부(50)와 제2 공간부(13) 사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2 스페이서(1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에 제2 공간부(13)로 유입된 하천수가 하천수 배출부(50)를 통해 제1 공간부(12)로 배출되지 않는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able wall 30 is hous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the movable wall 30 is located on the first side 13b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Since the second spacers 16 are formed so as to block the flow between the river water discharging portion 50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3 so that the river water initially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flows into the river water And is not discharg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50.

따라서, 제2 공간부(13)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위가 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게 되면서 가동벽(30)에 형성된 제1, 2 부력체(32, 33)에 의해 가동벽(30)이 상승하게 된다.Therefore,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is raised more quickly, and the movable wall 30 is raised by the first and second buoyant bodies 32 and 33 formed on the movable wall 30 do.

여기서, 상기 가동벽(30)에는 부력을 높이면서 스토퍼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2 부력체(32, 33)를 구분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동벽(30)의 상승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2 부력체(32, 33)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턱(34)이 구성되어 부력량을 더욱 향상시켜 더욱 빨리 가동벽(30)의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Since the movable wall 30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buoyant bodies 32 and 33 so that the buoyant force can be increased and the stopper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the upward movement of the movable wall 30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In particular, a protruding protrusion 34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oyant bodies 32, 33 protrude is formed to further improve the buoyancy amount, So that a rise occurs.

한편,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가동벽(30)은 가동 결합부(20)에 형성된 서포트 프레임(60) 및 기초 콘크리트(10)의 걸림턱(14)에 의해 더 이상의 상승이 제한되면서, 가동벽(30)의 돌출턱(34)이 형성된 면 부분이 가동벽 결합부(20)의 공간부(21)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면(13c)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돌출턱(34)의 상측과 걸림턱(24)이 밀착됨으로써 하천 수위 상승시 지수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The upward movement of the movable wall 30 is restricted by the support frame 60 formed on the movable joint portion 20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s 14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30 of the movable wall 20 can b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13c formed in the space portion 21 of the movable wall engaging portion 2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tep 34 And the catching jaw 24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functioning as an exponential function when the water level rises.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동벽(30)의 제2 부력체(33)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면(33a)과 서포트 프레임(60)의 제1 서포트 프레임(61)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 면(62a)이 만나게 되면서 가동벽(30)이 제2 공간부(13)의 제2 측면(13c)으로 유도되어 상승 높이의 제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공간부(13) 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4)도 가동벽(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4, a first sliding surface 33a formed on the second buoyant body 33 of the movable wall 30 and a second sliding surface 33a form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61 of the support frame 60 The movable wall 30 is guid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13c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so that the elevation height is restri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wall portion 13 is form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And the stopping jaw 14 also plays a role of restricting the elevation height of the movable wall 30.

또한, 상기와 같이 상승한 가동벽(30)은 돌출턱(34)의 상측면과 제2 공간부(13) 내에 형성된 걸림턱(14)이 맞닿게 되어 지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wall 30, which has risen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can also perform an exponential function becaus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tep 34 is in contact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14 form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이때에, 하천수 유입부(40)를 통해 제2 공간부(13)로 유입된 하천수는 하천수 배출부(50)를 통해 제1 공간부(12)로 배출되어 제2 공간부(13)에는 가동벽(30)의 상승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수위만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iver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through the river water inflow portion 40 is discharg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through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50, So that only the water level enough to sustain the rise of the wall 30 is maintain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초 콘크리트(10)의 상측에 가동벽(30) 측면을 고정 및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 부재(70)가 구성되어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wall fixing and guide member 70 is configured to fix and guide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wall 30 on the upper side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이러한,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 부재(70)는 가동벽(30)의 상승시 가동벽(3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가동벽(30)의 상승 이후 높은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특히, 경사판(71)이 구성되어 있어 가동벽(30)의 상승시 서포트 프레임(60)의 제1 서포트 프레임(61)에 형성되어 있던 제2 슬라이딩 면(61a)과 동일하게 가동벽(30)의 돌출턱(34)이 형성된 부분이 제2 공간부(13)의 제2 측면(13c)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movable wall fixing and guide member 70 serve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movable wall 30 when the movable wall 30 is lifted so that a high supporting force can be formed after the movable wall 30 rises The swash plate 71 constitutes the swash plate 71 so that the second sliding surface 61a form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61 of the support frame 60 at the time of lifting of the movable wall 30 30 of the second space 13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surface 13c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

여기서,상술한 서포트 프레임(61)은 제1, 2 서포트 프레임(61, 62)으로 구분되어 형성하되, 탈, 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시공의 편의성도 높일 수 있다.Here, the support frame 61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61 and 62, and the support frame 61 is formed in a form that is easy to remove and attach,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construction can be enhanced.

한편, 상기와 같이 상승한 가동벽(30)은 하천수 차단벽(31)이 제내지와 하천 사이를 구획시키기 때문에 제내지로 하천수가 범람하는 현상을 무동력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하천수위 상승보다 더 빨리 가동벽(30)이 작동하여 물의 범람으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wall 30, which has risen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river water blocking wall 31 divides the river between the river and the river, The movable wall 30 is operated more quickly and the damage due to overflow of water can be minimized.

한편, 각 지역의 하천은 해마다 수위 상승이 달라질 수 있고, 계절별로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특정 지역에서는 수위의 상승 속도가 빠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ivers in each region can vary in the annual rise in water level, and seasonal differences can occur, and in certain areas the rise in water level can be fast.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의 하천수를 제2 공간부(13)로 유입시키기 위한 하천수 유입부(40)의 수위조절 유입구(41) 각도를 조절하여 하천수 수위에 따른 가동벽(30)의 상승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6, the water level control inlet 41 of the river water inflow part 40 for introducing the river water in the first space part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into the second space part 13, So that the rising time of the movable wall 30 according to the river water level can be adjusted.

즉, 상기 수위조절 유입구(41)를 회전시켜 상향하게 되면 하천수의 수위가 높을 때에 가동벽(3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고, 수위조절 유입구(41)를 하향시키게 되면 상대적으로 제1 공간부(12) 내의 수위가 낮을 때에 가동벽(30)이 상승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control inlet 41 is rotated upward, the movable wall 30 is rais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water is high. When the water level control inlet 41 is downward, 12 is low, the movable wall 30 is raised.

한편, 상기와 같이 가동벽(30)의 상승 이후 하천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의 수위도 낮아지게 되어 하천수 유입부(40)를 통해 제2 공간부(13)로 더 이상의 하천수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water is lowered after the movable wall 30 rises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vel of the first space portion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also becomes lower, The inflow of the river water into the space portion 13 is no longer carried out.

다만, 하천수 배출부(50)를 통해 제2 공간부(13)의 하천수는 지속적으로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된 제1 공간부(12)로 배출되어 제2 공간부(13)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가동벽(30)도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However, the river water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3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formed in the foundation concrete 10 through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50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is low So that the movable wall 30 is also lowe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수위 상승 속도보다 더 빠르게 가동벽(30)의 상승이 빨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조기에 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하천지역의 특성에 따라 하천수위별로 가동벽(30)의 상승 속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지역에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wall 30 can be quickly raised faster than the rising water level of the river, so that flooding of the water can be prevented in the early st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area,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areas.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기초 콘크리트
11 : 하천수 유입홈 12 : 제1 공간부 13 : 제2 공간부
13a : 바닥면 13b : 제1 측면 13c : 제2 측면 14 : 걸림턱
15 : 제1 스페이서 16 : 제2 스페이서 16a : 빗면
30 : 가동벽
31 : 하천수 차단벽 32 : 제1 부력체 33 : 제2 부력체
33a : 제1 슬라이딩 면 34 : 돌출턱
40 : 하천수 유입부
41 : 수위조절 유입구
50 : 하천수 배출부
51 : 체크밸브
60 : 서포트 프레임
61 : 제1 서포트 프레임 61a : 제2 슬라이딩 면 62 : 제2 슬라이딩 면
70 : 고정 및 가이드 부재
71 : 경사판
100 : 플로팅 월
10: Basic concrete
11: Stream water inflow groove 12: First space part 13: Second space part
13a: bottom surface 13b: first side 13c: second side 14:
15: first spacer 16: second spacer 16a:
30: movable wall
31: river water blocking wall 32: first buoyancy body 33: second buoyancy body
33a: first sliding surface 34: protruding jaw
40: Stream water inflow section
41: Water level control inlet
50:
51: Check valve
60: Support frame
61: first support frame 61a: second sliding surface 62: second sliding surface
70: Fixing and guide member
71: swash plate
100: floating month

Claims (6)

하부에 형성된 하천수 유입홈(11)과 연결되어 하천수가 수납되는 제1 공간부(12) 및 제1 공간부(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공간부(12) 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공간부(13)를 형성한 기초 콘크리트(10);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 내에 결합하여 수위에 의해 상, 하로 가동하되, 상측으로는 하천수 차단벽(31)이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사각형상의 제1 부력체(32)와 위치조정 및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1 슬라이딩 면(33a)을 포함하고 있는 제2 부력체(33)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벽(30);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에 유입된 하천수가 제2 공간부(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된 제1 공간부(12)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위조절 유입구(41)를 포함하는 하천수 유입부(40);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에 유입된 하천수를 기초 콘크리트(10)의 제1 공간부(12)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천수 배출부(50);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벽(3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부력체(33)의 제1 슬라이딩 면(33a)과 맞닿아 가동벽(30)을 제내지 방향과 밀착되도록 정렬하게 작동하면서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슬라이딩 면(61a)을 포함하고 있는 제1 서포트 프레임(61)과 상기 제1 서포트 프레임(61)의 상측에 결합하는 제2 서포트 프레임(62)으로 구성된 서포트 프레임(60);
상기 기초 콘크리트(10) 상측에는 가동벽(30)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판(71)을 포함하고 있는 가동벽 고정 및 가이드부재(7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 월.
The first space 12 is connected to the river water inflow groove 11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12 and the second space 12 smaller than the first space 12, A base concrete (10) forming a part (13);
The bottom wall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and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water level. The river water blocking wall 3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rectangular first float body 3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 movable wall 30 on which a second buoyant body 33 including a first sliding surface 33a serving as a position adjusting and stopper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tream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and expos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formed in the foundation concrete 10, (40) including a water level control inlet (41)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water level control inlet (40);
A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50 formed to discharge the river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3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12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
And is form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10 and contacts the first sliding surface 33a of the second buoyant body 33 formed on the movable wall 30 so that the movable wall 30 is aligned A first support frame 61 including a second sliding surface 61a serving as a stopper and a second support frame 62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61, A frame 60;
And a movable wall fixing and guide member (70) including an inclined plate (71) for guiding the movable wall (30) on the foundation concrete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10)에 형성된 제2 공간부(13)의 바닥면(13a)에는 가동벽(30)을 바닥면(13a)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스페이서(15)와 가동벽(30)을 제2 공간부(13)의 제1 측면(13a)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빗면(16a)을 포함하고 있는 제2 스페이서(1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 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first spacer (15) for separating the movable wall (30) from the bottom surface (13a)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13a) of a second space (13) formed in the foundation concrete And a second spacer 16 including an oblique surface 16a for aligning the movable wall 30 with the first side surface 13a of the second space portion 13. [ Floating month.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30)에 형성된 제2 부력체(33)는 가동벽(30)의 양 측면에 1개소씩 형성하되, 2개소의 제2 부력체(33) 전체 길이 대비 제1 부력체(32)가 길이가 더 길게 형성하고, 서포트 프레임(60)의 제1 서포트 프레임(61)은 제2 부력체(33)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 월.

2. The hydraulic exca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uoyant body (33) formed on the movable wall (30) is formed at one of both sides of the movable wall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uoyant body (32) is longer in length and the first support frame (61) of the support frame (60)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buoyant body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벽(30)의 제1, 2 부력체(32, 33)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에는 제1, 2 부력체(32, 33)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턱(34)을 더 형성하고, 기초 콘크리트(10)의 제2 공간부(13)에는 가동벽(30)의 돌출턱(34)과 맞닿도록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로팅 월.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oyant bodies (32, 33) protrud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movable wall (30) where the first and second buoyant bodies (32, 33) A protruding protrusion 34 is formed in the second space 13 of the base concrete 10 so as to abut the protruding protrusion 34 of the movable wall 30 Features a floating month.
삭제delete
KR1020140059489A 2014-05-19 2014-05-19 A floating wall KR101514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89A KR101514949B1 (en) 2014-05-19 2014-05-19 A float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89A KR101514949B1 (en) 2014-05-19 2014-05-19 A floating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949B1 true KR101514949B1 (en) 2015-04-28

Family

ID=5305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489A KR101514949B1 (en) 2014-05-19 2014-05-19 A float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9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654A (en) * 2020-04-15 2020-08-07 三峡大学 Flood bank device based on water level self-adjust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462A (en) * 1993-09-09 1995-10-24 Regan; Patrick Liquid and flood water barrier wall forming-apparatus
KR100865370B1 (en) * 2008-06-11 2008-10-24 오상화 Overflowing prevention device for better view of river
KR101051983B1 (en) *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Sliding wall structure for bank
KR101240152B1 (en)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Water blocking apparatus of buoyancy type defence water block for preventing from flooding of r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462A (en) * 1993-09-09 1995-10-24 Regan; Patrick Liquid and flood water barrier wall forming-apparatus
KR100865370B1 (en) * 2008-06-11 2008-10-24 오상화 Overflowing prevention device for better view of river
KR101051983B1 (en) *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Sliding wall structure for bank
KR101240152B1 (en)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Water blocking apparatus of buoyancy type defence water block for preventing from flooding of ri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654A (en) * 2020-04-15 2020-08-07 三峡大学 Flood bank device based on water level self-adjust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152B1 (en) Water blocking apparatus of buoyancy type defence water block for preventing from flooding of river
US20110110722A1 (en) Self closing flood barri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interland using same
KR101051983B1 (en) Sliding wall structure for bank
KR200464944Y1 (en) Up and down type movable weir
KR100865370B1 (en) Overflowing prevention device for better view of river
KR101934406B1 (en) Conducting movable beam of low water layer discharge structure
KR101658067B1 (en) Flood pretect wall with easy maintenance
KR101517561B1 (en) River type movable weir
KR101026253B1 (en) Floating flood-wall
JP2016065447A (en) Flap gate
KR101514949B1 (en) A floating wall
CN104452682B (en) A kind of autocontrol steel facing dam
KR102280715B1 (en) Ascent and descent typ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05531B1 (en) Overflowing prevention device using buoyancy body
RU2278922C1 (en) Automatic hydraulic gate
US2598389A (en) Hydrostatic weir, gate, and the like
CN104074172A (en) Gate lifting, gate positioning and waterstop device for hydraulic gate station
KR101028841B1 (en) Flood control reservoir buoyancy type floodgate
KR200460432Y1 (en) Opening and Shutting appratus for floodgate with the water leakage function
KR100923147B1 (en) Buoyancy type cut-off wall
KR101010661B1 (en) Operated prapet to low-lying urban areas from flooding
KR100514954B1 (en) Vanished movable weir
CN213625492U (en) Water gate that water conservancy project used blocks
KR20150001389A (en) Variable waterproof wall structure using buoyancy
JP6592812B2 (en) Variable height di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