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235B1 -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 Google Patents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235B1
KR101514235B1 KR1020130168044A KR20130168044A KR101514235B1 KR 101514235 B1 KR101514235 B1 KR 101514235B1 KR 1020130168044 A KR1020130168044 A KR 1020130168044A KR 20130168044 A KR20130168044 A KR 20130168044A KR 101514235 B1 KR101514235 B1 KR 10151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wire
interior
fixed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로
Original Assignee
(유)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테크 filed Critical (유)원테크
Priority to KR102013016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고정된 후 전선을 내부에 수용하여 전선을 수납 및 보호하며 외관적으로도 미려한 전선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내부 양측면에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각각 구비하는 고정몰딩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1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부에 복수개의 핀부를 구비하는 선별정리핀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2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인테리어몰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별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은 복수개의 전선을 종류별 등의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수납하기 용이한 효과와 인테리어 변경시 전선몰딩의 커버를 손쉽게 제거 및 새로운 커버로 교체가 용이한 효과 및 인테리어 변경시 가구 등의 위치변경에 따라서 전선몰딩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별정리핀을 작업이 용이한 곳에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The interior is easy to clean by type wire mo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고정된 후 전선을 내부에 수용하여 전선을 수납 및 보호하며 외관적으로도 미려한 전선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내부 양측면에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각각 구비하는 고정몰딩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1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부에 복수개의 핀부를 구비하는 선별정리핀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2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인테리어몰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별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선이나 전화선 또는 랜선 등의 케이블(이하, '전선'이라 한다.)을 가설할 때에는, 전선을 보호하는 전선몰딩을 사용하게 된다. 건축물을 건설할 때 매설되는 전선은 전선몰딩을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건축물이 완공된 후 설치되는 전선은 책상이나 의자 등에 의해 전선이 훼손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전선몰딩을 사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전선몰딩은 복수개의 전선을 정리없이 같이 넣은 후 보호커버로 보호하여 추후 전선의 작업시 전선을 선별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였고, 복수개의 전선이 얽혀 있어 합선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84684호에는 고정판을 건축물의 바닥 및 벽에 고정시키고, 구획부가 구비된 수납수단을 결합하여 전선을 구획별로 수납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납수단을 사용할 경우 전선을 수납한 이후 덮개를 이용하여 전선을 보호하게 되는데 이러한 덮개가 사용되면 추후에 전선을 추가 또는 제거 시 덮개의 제거가 어려워 작업의 공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수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판에 직접 구획부를 구비하거나 구획부가 구비된 전선관을 고정판에 부착할 경우에는 구획부를 작업이 용이한 곳에 선택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고, 전선관을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기가 어려워 구조의 변경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한번 설치된 전선몰딩은 그 배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기존에 설치된 전선몰딩을 제거하면서 파손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어렵고, 파손되지 않고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공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건축물 내부의 인테리어 변경시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전선몰딩 전체를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59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3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468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5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복수개의 전선을 종류별, 크기별 등으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과 인테리어 변경시 전선몰딩의 커버를 손쉽게 제거 및 새로운 커버로 교체가 어렵다는 문제점 및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수납하여도 인테리어 변경시 가구 등의 위치변경에 따른 전선을 구획하는 구획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 양측면에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각각 구비하는 고정몰딩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1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부에 복수개의 핀부를 구비하는 선별정리핀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2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인테리어몰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은 복수개의 전선을 종류별, 크기별 등으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수납하기 용이한 효과와 인테리어 변경시 전선몰딩의 커버 또는 덮개(이하 '덮개'라 한다.)를 손쉽게 제거 및 새로운 덮개로 교체가 용이한 효과 및 인테리어 변경시 가구 등의 위치변경에 따라서 전선몰딩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별정리핀을 작업이 용이한 곳에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인테리어 전선몰딩이 바닥에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인테리어몰딩이 제거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인테리어 전선몰딩이 천정에 설치된 사시도.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고정되어 전선을 수납 및 보호하는 전선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전선을 종류별, 크기별 등으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인테리어 변경시 전선몰딩의 덮개를 손쉽게 제거 및 새로운 덮개로 교체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선을 내부에 수납하는 전선몰딩에 있어서,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 양측면에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를 각각 구비하는 고정몰딩(10);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10)의 제1걸림부(12)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결합부(22)와 상부에 복수개의 핀부(24)를 구비하는 선별정리핀(20);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10)의 제2걸림부(14)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32)를 구비하는 인테리어몰딩(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고정몰딩(10)은 선별정리핀(20)과 체결된 후 고정몰딩(10)과 선별정리핀(20) 사이에 제1수납공간(16)이 형성되고, 선별정리핀(20)은 핀부(24)와 핀부(24) 사이에 제2수납공간(16)이 형성되며, 핀부(24)는 상부 말단에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도면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통상의 기술자가 바닥 또는 벽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몰딩(10)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몰딩(10)은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나사, 못 등을 이용해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나, 접착제, 양면테이프, 본드 및 글루건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전선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고정몰딩(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접하는 부분에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해 고정되고,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모양이어도 무방하나 반육각 모양이 바람직하다. 이는 삼각형 모양의 고정몰딩을 사용하면 몰딩의 내부에 공간이 더 많이 생겨 전선을 많이 수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인 전선을 구별하여 정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반육각 모양의 고정몰딩(10)을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선별정리핀(20)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몰딩(10)이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때는 고정몰딩(10)의 바닥면(미표시)에서 연장되어 올라가는 양측면(미표시)의 각도를 낮게 함으로써, 고정몰딩(10)과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생성되는 공간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 발 또는 손 등의 기타 물건이 걸려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고정몰딩(10) 양측면(미표시)의 각도를 너무 낮게 하면 전선을 수납할 공간이 적어지게 되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고정몰딩(10)은 내부 양측면에 선별정리핀(20) 및 이하에서 설명될 인테리어몰딩(30)과 체결되는 제1걸림부(12)와 제2걸림부(14)를 각각 구비한다. 즉, 고정몰딩(10)의 제1걸림부(12)와 선별정리핀(20)의 제1결합부(22)가 체결되는 것으로서, 선별정리핀(20)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형태로 체결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고정몰딩(10)에 인테리어몰딩(30)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형태로 고정몰딩(10)의 제2걸림부(14)와 인테리어몰딩(30)의 제2결합부(32)가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몰딩(10)에 선별정리핀(20)이 체결된 후 형성되는 제1수납공간(16)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1수납공간(16)에도 선별정리핀(20)을 고정몰딩(10)에 체결하기 전에 전선을 선택하여 수납 및 정리하고 선별정리핀(20)을 결합하면 전선을 종류별 등으로 나누어서 수납하는 공간이 더 확보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제1결합부(12)는 이하에서 설명될 선별정리핀(20)의 핀부(24)의 높이에 따라 고정몰딩(10) 내부 측면에 구비되는 위치가 정해지며, 제2결합부(14)는 고정몰딩(10)의 양측 말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별정리핀(20)은
고정몰딩(10)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선이 처지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가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고정몰딩(10)의 제1걸림부(12)와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결합부(22)와 상부에 복수개의 핀부(24)가 구비되고, 핀부(24)와 핀부(24) 사이에 복수개의 제2수납공간(28)이 형성되어 전선을 종류별, 크기별 등으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정리 및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핀부(24)의 상부 말단에 제2수납공간(28)으로부터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6)가 일체로 더 구비되어 작업자가 전선을 정리할 때 순차적으로 정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탈방지부(26)의 재질은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시 이탈방지부(26)에 의해 피복이 훼손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탈방지부(26)의 형상은 전선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으로 제2수납공간(16)이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부(26)의 재질이 다소 유연하지 않은 재질로 제작되어도 탄성력을 갖을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미표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핀부(24)는 선별정리핀(20)의 상부에 일체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선의 두께에 따라 정리가 가능하도록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핀부(24)의 높이는 고정몰딩(10)의 양측말단과 제1걸림부(12)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1~2cm 내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인테리몰딩(30)의 형상이 각기 다를 수 있고, 고정몰딩(10)의 양측면의 길이와 높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선별정리핀(20)에 의해 추후 전선의 제거 및 추가작업이 용이하고, 종류별로 구분이 가능하여 합선 등의 화재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몰딩(10)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가 용이하여 전선이 처지는 것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선별정리핀(20)의 체결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말단에 설치되어있는 핀부(24)의 하부를 외부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제거한 후 고정몰딩(10)의 필요한 위치에 체결하여도 무방하고, 체결된 후 고정몰딩(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몰딩(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선몰딩의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최종적으로 수납된 전선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하부에 고정몰딩(10)의 제2걸림부(14)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3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인테리어몰딩(30)은 색상이 가미된 인테리어용 마감몰딩으로서, 고정몰딩(10)에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제2결합부(32)가 제2걸림부(14)에 끼움 형태로 체결되고, 이는 전선몰딩에 추가적으로 전선의 제거 및 추가가 용이하도록 하며, 인테리어몰딩(30)을 원하는 색상, 형태 등을 선택하여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인테리어몰딩(30)의 양측 말단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인테리어몰딩(30)이 쉽게 제거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결합부(32)가 인테리어몰딩(30)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구비되는 위치는 고정몰딩(10)의 양측 말단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14)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인테리어몰딩(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말단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몰딩(10)에서 제거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몰딩(30)의 양측 말단에 누름부(40)를 일체로 더 구비하여 인테리어몰딩(30)을 좀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몰딩(30)의 형태에 맞게 누름부(40)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몰딩(10), 선별정리핀(20) 및 인테리어몰딩(3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PVC(Polyvinyl chloride)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파손이 쉽게 되지 않으며 가벼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을 참고하여 설치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요한 길이 만큼의 고정몰딩(10)과 인테리어몰딩(30)을 절단한 후 고정몰딩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위치가 자주 변하지 않는 용도의 전선을 고정몰딩(10)의 내부 밑단 즉, 제1수납공간(16)에 정리한다.
이후, 선별정리핀(20)을 제1걸림부(12)에 체결하여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갯수만큼 고정몰딩(10)에 고정시키고, 제2수납공간(28)에 종류별, 크기별 등으로 전선을 나누어 정리한다.
다음으로, 제2수납공간(28)에 정리된 전선이 제1수납공간(16)의 전선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선별정리핀(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선의 처짐을 조절하고, 인테리어몰딩(30)을 제2걸림부(14)에 체결하여 고정몰딩(10)에 고정한다.
이후, 벽면과 벽면사이로 선을 내릴경우 연결몰딩(미도시)으로 고정몰딩(10)사이에 연결하여 방향이 전환되어도 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고정몰딩 12 : 제1걸림부
14 : 제2걸림부 16 : 제1수납공간
20 : 선별정리핀 22 : 제1결합부
24 : 핀부 26 : 이탈방지부
28 : 제2수납공간 30 : 인테리어몰딩
32 : 제2결합부 40 : 누름부

Claims (5)

  1. 전선을 내부에 수납하는 전선몰딩에 있어서,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 및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12)와 내부 양측면 말단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14)를 각각 구비하는 반육각 모양의 고정몰딩(10);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10)의 제1걸림부(12)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결합부(22)와 상부에 복수개의 핀부(24)를 구비하고, 핀부(24)와 핀부(24) 사이에 제2수납공간(28)이 형성되며, 고정몰딩(10)에 체결된 후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선별정리핀(20); 및
    하부에 양측말단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몰딩(10)의 제2걸림부(14)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32)와 양측 말단에 누름부(40)를 구비하는 한편, 물결 모양으로 형성되되 3개의 만곡부를 가지는 인테리어몰딩(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몰딩(10)은 선별정리핀(20)과 체결된 후 고정몰딩(10)과 선별정리핀(20) 사이에 제1수납공간(16)이 형성되며,
    상기 핀부(24)는 상부 말단에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고, 마름모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관통형성된 중공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68044A 2013-12-31 2013-12-31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KR101514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044A KR101514235B1 (ko) 2013-12-31 2013-12-31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044A KR101514235B1 (ko) 2013-12-31 2013-12-31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235B1 true KR101514235B1 (ko) 2015-04-22

Family

ID=5305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044A KR101514235B1 (ko) 2013-12-31 2013-12-31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7U (ko) * 1999-02-25 1999-07-05 박강덕 배선용와이어닥트구조
JP2003319526A (ja) * 2002-04-19 2003-11-07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ケーブルカバー
KR100887343B1 (ko) * 2006-11-14 2009-03-06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창호용 배선정리 커버
KR200446663Y1 (ko) * 2009-06-01 2009-11-17 황호용 이단 케이블수납몰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7U (ko) * 1999-02-25 1999-07-05 박강덕 배선용와이어닥트구조
JP2003319526A (ja) * 2002-04-19 2003-11-07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ケーブルカバー
KR100887343B1 (ko) * 2006-11-14 2009-03-06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창호용 배선정리 커버
KR200446663Y1 (ko) * 2009-06-01 2009-11-17 황호용 이단 케이블수납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6030B2 (en) Expandable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US7633010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US9099802B2 (en) Modular Electrical Apparatus
US9109365B2 (en) Insulated cover for attic openings
EP1617005B8 (en) Suspended drywall ceiling grid and wall molding for supporting the ceiling beams
BR0213266B1 (pt) dispositivo para montagem de uma instalação de limpeza por aspiração central.
US3327984A (en) Device for mounting recessed fixtures
US20140014787A1 (en) Cable organizer structure
US8769890B2 (en) Device for feeding one or more lines through an opening in a wall or a floor
KR101514235B1 (ko)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
JP6966911B2 (ja) 建物の壁構造
KR100958549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구조
US6317054B1 (en) Fire alarm
JP5057567B2 (ja) 組み合わせ家具
KR200201257Y1 (ko) 전선배선용 걸레받이구조
JP6796453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KR100354485B1 (ko) 외부 접속 홈이 형성된 배선덕트
US20130206446A1 (en) Cord Organizer System
US10774530B2 (en) Stretched-web structure for producing a false ceiling or a dropped ceiling box
JP5272490B2 (ja) 間仕切り壁
CN113006336A (zh) 一种装配化环保隔墙体及其施工方法
RU54266U1 (ru) Лючок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м лоток
JP2008075310A (ja) 配線収納部材
JP5857184B2 (ja) 幅木
KR102062977B1 (ko)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