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589B1 -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589B1
KR101513589B1 KR1020140101093A KR20140101093A KR101513589B1 KR 101513589 B1 KR101513589 B1 KR 101513589B1 KR 1020140101093 A KR1020140101093 A KR 1020140101093A KR 20140101093 A KR20140101093 A KR 20140101093A KR 101513589 B1 KR101513589 B1 KR 101513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ew
new pipe
concrete
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철권
Original Assignee
(주)나스텍이앤씨
주식회사 송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0536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135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스텍이앤씨, 주식회사 송현이엔씨 filed Critical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10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5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5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A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a device used for the method are provided. The device comprises: a carriage vehicle comprising a body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a new pipe inserted into a superannuated pipe and is movable in the superannuated pip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new pipe, an elevating block placed in between the top of the body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new pipe, and an elevating cylinder that elevates the elevating block to raise the new pipe; a self-running vehicle that is mounted in the superannuated pipe and moves the carriage vehicle; a concrete depositing unit that deposits concrete in between an external side of the new pipe combined with the superannuated pipe and an internal side of the superannuated pipe; and an injury preventing band which is mounted to cover the whole or a part of external side of the new pipe and keeps the distance in between the external side of the new pipe and the internal side of the superannuated pipe to be uniform.

Description

노후관 재생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재생장치{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generating a sagittal tube,

본 발명은 노후관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노후관의 내측에 신설관을 장착시킴으로써 노후관 철거 없이도 관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노후관 재생방법 및 노후관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a fallen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a fallen tube using a tube without removing a fallen tube by mounting a new tube inside the fallen tube.

일반적으로 상수도관, 하수도관, 송유관, 가스관 등 유체를 이송하는 관들은 주로 주철관, 강관, 합성수지관, 콘크리트관들이 이용된다.Generally, casting pipes, steel pipes, synthetic pipes, and concrete pipes are used for conveying fluid such as a water pipe, a sewer pipe, an oil pipeline, and a gas pipe.

이 중에서도 대형관은 주로 주철관이나 강관을 이용하게 되는데, 주철관이나 강관 등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나 기타 이물질 등에 의해 노후화되면서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주철관 또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상수도관의 경우에는 보다 안전한 식수 공급을 위해 그 내부를 코팅하여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Among them, a large pipe mainly uses a cast iron pipe or a steel pipe. When a cast iron pipe or a steel pipe is used for a long time, it is aged due to fluid or other foreign mat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 Especially, in the case of a water supply pipe composed of a cast iron pipe or a steel pipe, the inside thereof is coated and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for supplying safe drinking water.

하지만,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관로 내부의 코팅부가 부식되거나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로 전체를 교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관로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개량하는 재생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로 갱생 공사를 보다 원활하면서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the coating portion inside the pipe may be corroded or peeled off.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replacing the entire pipeline, but regeneration methods which are improved while the pipeline remains intact are applied. As a result,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 way to smoothly and efficiently perform pipeline rehabilitation work.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 제863263호'에는 '노후관로 갱생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위 특허발명은, 노후관로의 내면에서 직진이동하며, 외부로부터 유체공급을 위한 호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홀을 갖는 복수의 분절관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각 분절관 외측면으로부터 관로면을 향하여 등각도로 연장되고, 관로면에 대한 눌림 압력에 대응하여 신축구동하는 제1 업소버(absorber)와 관로면에 접하는 제1 바퀴를 구비하는 제1 이동장치; 중앙부에 호스가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각 분절관을 연결하되, 상기 본체의 각분절관이 곡관의 곡률에 대응하여 구부러지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가 노후관로의 곡관부 통과시에 유연한 굽힘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전환 조인트; 상기 방향전환 조인트의 중심부에 연결된 회전장치; 상기 본체의 후단측 분절관 외측면으로부터 관로면을 향하여 등각도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관로면에 대한 눌림압력에 대응하여 신축구동하는 제2 업소버와 관로면에 접하는 제2 바퀴를 구비하여 관로 내면에 생성된 스케일에 의한 요철면을 타고 주행하는 제2 이동장치; 상기 회전장치의 중심축상에서 관로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관로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원주방향으로 미세한 절단선을 그어 스케일을 박리시키기 위한 스케일 제거장치;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와 교체되어 회전장치의 중심축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며, 스케일 제거공정의 후속공정으로 스케일이 제거된 관로내면을 향해 타격박편을 분출하여 관로내면을 연마하기 위한 관로연마장치; 및 상기 관로연마장치와 교체되어 회전장치의 중심축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며, 연마공정의 후속공정으로 연마된 관로내면을 향해 도료를 분출하여 라이닝을 형성하기 위한 도장장치를 포함한 구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생방법은 단순히 노후관의 내면을 가공하는 방법이므로, 노후관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일부 파손된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an example, Korean Patent No. 863263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 wreckage. The patented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branch tubes having a hollow hole for moving strai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tewater tube and for passing a hose for supplying fluid from the outside; A first absorber extending equiangularly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segments of the main body toward the channel surface and having a first absorber that is driven to expand and contract in correspondenc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hannel surface, Device;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through a through hole for allowing the hose to pas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 diversion joint for providing a flexible bendability at the passage of the bending portion; A rotating device connect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joint; A second absorber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partition tube of the main body at an equal ang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channel surface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channel surface, A second moving device traveling on the uneven surface by the generated scale; A scale removing device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pipe from a central axis of the rotary device and grasping a fine cutting lin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end in contact with the pipe surface at a constant pressure; A channel polishing device installe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device in place of the scale removing device and spraying the shot flos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whose scale has been removed by a subsequent process of the scale removing process to polish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And a coating apparatus for replacing the pipe line polishing apparatus and radially installed on the center axis of the rotating apparatus and spraying the pain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line which is polished by a subsequent step of the polishing step to form a lining.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regeneration method is simply a method of proc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at tub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a case where cracks are generated or partially damaged in the throat tube.

파손된 노후관을 그대로 두고, 별도의 신설관을 노후관 내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신설관을 관로로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으나, 단순히 신설관을 밀어 넣는 방법으로는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므로 다수 개의 신설관을 연속적으로 삽입시키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신설관이 유동하지 아니하도록 신설관과 노후관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하는데, 신설관과 노후관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압 등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다.A method of using a new pipe as a pipe by inserting a separate new pipe into the inside of the old pipe is proposed as it is, but a frictional force is greatly generated by simply pushing the new pipe.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insert continuously. In addition, concrete must be installed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so that the new pipe does not flow. The pneumatic pressure existing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concrete pouring is not uniformly performed.

KR 10-0863263 B1KR 10-086326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노후관 내측에 신설관을 삽입한 후 노후관과 신설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노후관 내측으로 다수 개의 신설관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노후관과 신설관 사이의 공간 전체에 걸쳐 콘크리트를 고르게 채울 수 있는 노후관 재생장치 및 노후관 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serting a new pipe into the inside of a wake pipe, casting concrete between a wake pipe and a new pipe, And to provide a regeneration device and a regeneration method of regeneration which can fill the concrete evenly throughout the space between the regeneration tube and the new tu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장치는, 노후관 내부에 삽입되는 신설관 내부를 관통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후관 내측에서 상기 노후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몸체와, 몸체의 상면과 상기 신설관의 천정면 사이에 위치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이 상기 신설관을 들어 올리도록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운반대차; 상기 노후관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운반대차를 이동시키는 자주차; 상기 노후관의 내부에 결합된 신설관의 외측면과,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유닛; 및 상기 신설관의 외측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신설관 외측면과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부상방지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tractor regeneration device including: a body that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penetrate inside a new tube inserted into a retractor tube and is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ractor tube; And a lifting cylinder for lifting the lifting block so that the lifting block lifts up the new pipe; A sprue sitting on the inside of the hoist tube for moving the transportation bogie; A concrete pouring unit for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ld pipe and the internal surface of the old pipe; And an ear protection band which is installed to surround all or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and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ne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ld pipe.

상기 콘크리트 타설유닛은, 상기 신설관의 후단측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격판과, 끝단이 상기 격판을 관통하여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로 삽입되되 끝단의 삽입거리가 상이하게 배열되는 둘 이상의 콘크리트주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Wherein the concrete pouring unit includes a diaphragm which is coupled to enclose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new pipe and whose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ld pipe and an end inserted through the diaphragm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And two or more concrete injection pipes in which the insertion distances are arranged differently.

상기 콘크리트주입관은 상기 격판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끝단이 상기 격판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공기배출관과, 끝단이 상기 격판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배수관과, 끝단이 상기 격판의 중단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확인관을 더 포함한다.The concrete injection pip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nd has an end to 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 drain pipe to which the end passe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nd a check pipe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side wall of the new pip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ouring state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상기 부상방지밴드는, 상기 신설관의 외측면 중 상측을 감싸되, 끝단이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둘 이상의 돌출단을 구비하며, 상기 둘 이상의 돌출단은 상기 신설관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된다.Wherein the flotage prevention band has at least two protruding ends which are wrapp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new pipe and whose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ld pipe, And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the central axis.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노후관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노후관 내측에 신설관을 시공하는 노후관 재생방법으로서, 외경이 노후관의 내경보다 작은 신설관을 상기 노후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운반대차의 선단이 상기 신설관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운반대차의 중단이 상기 신설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자주차를 운전하여 상기 운반대차를 이동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승강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신설관을 들어 올리는 제3 단계; 상기 승강블록에 의해 들어 올려진 신설관의 선단이 미리 삽입된 또 다른 신설관의 후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운반대차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 연이어 배열된 두 개의 신설관을 연결시키는 제5 단계; 상기 운반대차를 후진시켜 상기 신설관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6 단계; 및 새롭게 삽입된 신설관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유닛과 상기 부상방지밴드를 장착시킨 후,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regenerating a rolled steel pipe,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placing a new pi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olled steel pipe in the inside of the rolled steel pipe, Stage 1; A second step of driving the freight car to move the freight car so that the tip of the freight car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ew pipe so that the stop of the freight car is located inside the new pipe; A third step of lifting the new pipe by raising the elevating block by driving the elevating cylinder; A fourth step of moving the transportation truck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new sewing pipe lifted by the lifting bloc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another new sewing pipe inserted in advance; A fifth step of connecting two new pipes arranged in series; A sixth step of moving the conveyance carriage backward and drawing the conveyance carriage out of the new building; And a seventh step of installing the concrete pouring unit and the float prevention band on a newly inserted new pipe, and then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상기 콘크리트 타설유닛은, 상기 신설관의 후단측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격판과, 끝단이 상기 격판을 관통하여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로 삽입되되 끝단의 삽입거리가 상이하게 배열되는 둘 이상의 콘크리트주입관을 포함하며,Wherein the concrete pouring unit includes a diaphragm which is coupled to enclose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new pipe and whose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ld pipe and an end inserted through the diaphragm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And at least two concrete injection pipes in which the insertion distances are arranged differently,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콘크리트주입관을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구성된다.The seventh step is configured to draw out the concrete injection pipe inserted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while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장치 및 노후관 재생방법을 이용하면, 노후관 내측에 신설관을 삽입한 후 노후관과 신설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노후관을 재생시킬 수 있고, 노후관 내측으로의 신설관 삽입이 용이하므로 길이가 긴 노후관도 빠르고 간편하게 재생시킬 수 있으며, 노후관과 신설관 사이의 공간 전체에 걸쳐 콘크리트를 고르게 타설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generate the worn-out pipe by inserting a new pipe inside the worn-out pipe and placing the concrete between the worn-out pipe and the new worn-out pipe, and to easily insert the new pipe into the wor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regenerate the long spine, and it is possible to evenly place the concrete over the entire space between the spiral pipe and the new span,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신설관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운반대차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노후관 내부에 신설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콘크리트 타설유닛과 부상방지밴드가 신설관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FIG. 1 and FIG. 2 illustrate a process of moving a new pipe using a rolled steel pipe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carrier truck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new pipe in the inside of the old pipe.
Figs. 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pouring unit and an anti-spark band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a new pip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장치 및 노후관 재생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rolled steel pipe regeneration apparatus and a rolled steel pipe re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방법은 크랙이 형성되거나 파손된 노후관 내측에 신설관을 시공하여 신설관 내측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노후관 재생방법으로서, 노후관 내측에 인입시킨 신설관을 단순히 밀어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운반대차를 사용하여 상기 신설관을 들어 올린 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The method of regenerating a scutell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egenerating a scutellum tube that allows a fluid to flow inside a new tube by constructing a new tube inside a scratched tube in which cracks are formed or broken and simply pushing a new tu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cratched tube But it is constituted to lift the new pipe and move it by using a separate transportation car.

신설관이 노후관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신설관을 밀어 이동시키면 신설관과 노후관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신설관을 멀리까지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설관 이동과정에서 신설관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방법과 같이 신설관을 들어 올린 후 이동시키면, 신설관을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긴 구간의 노후관 보수가 가능해지고, 신설관과 노후관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신설관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If the new pipe is pushed in the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old pipe, a large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so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the new pipe far away and the new pipe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new pipe There is also a drawback that there is concern. However, when the new pipe is lifted and moved as in the method of regenerating the ol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ew pipe can be moved far away, it is possible to repair the old pipe in a longer section and friction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is not gene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tube damage or breakage occu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운반대차를 이용하여 신설관을 들어 올린 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ocess of lifting and moving the new pipe using the transportation bogi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신설관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운반대차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FIGS. 1 and 2 illustrate a process of moving a new pipe using a rolled steel pipe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a transportation ca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100) 재생방법으로 노후관(100) 내측에 신설관(2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을 굴착하고 노후관(100)의 일부 상측을 개방시킨 후, 크레인(300)을 이용하여 신설관(200)을 노후관(100) 내측으로 인입시킨다. 이때 상기 신설관(200)은 외경이 노후관(100)의 내경보다 작게 제작되므로, 상기 노후관(100) 내부에서 노후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노후관(100) 내측으로 공급된 다수 개의 신설관(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된 운반대차(500)에 의해 들어 올려진 후, 운반대차(500)를 이동시키는 자주차(400)에 의해 일렬로 배치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new pipe 200 inside the old pipe 100 by the method of regenerating the old pi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ground is first excavated and a part of the upper pipe of the old pipe 100 is opened And the new pipe 200 is drawn into the waste pipe 100 by using the crane 300.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new pipe 20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ld pipe 100, it is possible to move the old pip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ld pipe 100. The plurality of new pipes 200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ste pipe 100 are lifted up by a transportation car 500 positioned to penetrate the interior of the new cargo pipe 200 as shown in FIG. They are arranged in a line by the car 400 frequently.

이때 상기 운반대차(500)는 노후관(100) 내에서 신설관(200)을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신설관(200) 내부를 관통 가능한 높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후관(100) 내측에서 상기 노후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즉, 신설관(200)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가 신설관(200) 내부에 걸쳐졌을 때 몸체(510)의 상면과 상기 신설관(200)의 천정면 사이에 위치되는 승강블록(530)과, 상기 승강블록(530)이 상기 신설관(200)을 들어 올리도록 상기 승강블록(53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신설관(200)이 몸체(510)의 가운데 부위에 걸쳐지도록 운반대차(500)를 위치시킨 후, 승강실린더(540)를 조작하여 승강블록(530)을 상승시키면 상기 신설관(200)은 승강블록(530)에 의해 들어 올려지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관(200)은 노후관(100)과 접촉되지 아니한 상태가 되어 노후관(100)과의 마찰 없이 노후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설관(200)은 몸체(510)의 하측에 구비된 전륜(512)과 후륜(514) 사이에 걸쳐지므로, 승강블록(530)이 신설관(200)을 들어 올리더라도 전륜(512)과 후륜(514)은 노후관(10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반대차(500)는 신설관(20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노후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The conveying carriage 500 is formed to have a height and a width that can penetrate the inside of the new pipe 200 so as to stably lift the new pipe 200 in the old pipe 100, A body 510 which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stewater pipe 100 and can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new pipe 200 and a body 510 when the body 510 is extended inside the new pipe 200. [ The elevating block 53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new pipe 200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new pipe 200 and the elevating block 530 is raised or lowered so that the elevating block 530 lifts the new pipe 200 And an elevating cylinder 540. Therefore, if the elevator block 530 is raised by operating the elevator cylinder 540 after the new container pipe 200 is positioned over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510, The new pipe 200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ld pipe 100 and is lifted up by the lifting block 530 so that the new pipe 200 is lifted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ld pipe 100 without friction with the old pipe 100 . Since the new pipe 200 extends between the front wheel 512 and the rear wheel 514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510, even if the lift block 530 lifts the new pipe 200, the front wheel 512 And the rear wheel 514 can be kep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hroat pipe 100. Therefore, the conveying carriage 500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ste pipe 100 while the new pipe 200 is lifted.

한편, 상기 운반대차(500)는 신설관(200)을 들어 올리는 기능만 있을 뿐 자체적으로 주행능력은 없으므로, 별도의 자주차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상기 몸체(510)의 후단측에는 자주차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520)가 마련되는데, 이와 같이 무동력대차와 동력차량이 연결되는 구조는 이미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ing carriage 500 has a function of lifting the new pipe 200, and there is no driving capability of itself, so that it is moved by a separate freight car. At this time, a connecting portion 52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body 5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ar. Sin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non-powered vehicle and the motor vehic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already widely used in the related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 및 도 6은 노후관(100) 내부에 신설관(200)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콘크리트 타설유닛(600)과 부상방지밴드(700)가 신설관(200)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5 and 6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new pipe 200 inside the waste pipe 100.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concrete pouring unit 600 and an anti- 700 are mounted on the new pipe 200. As shown in Fig.

노후관(100) 내부로 공급된 신설관(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도 5에서는 좌측단)이 미리 삽입된 또 다른 신설관(200)(도 5에서는 우측 신설관(200))의 후단(도 5에서는 우측단)에 밀착된 후,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신설관(200)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연결부(520)위를 통해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연이어 배열된 두 개의 신설관(200) 사이는 완벽하게 밀폐되어야 하는바, 연이어 배열된 신설관(200)은 상호 맞닿는 부위 전체가 밀폐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설관(200)이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용접 등의 결합공법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설관(200)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용접이 불가한 경우에는 접착이나 열융착 등의 결합공법에 의해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언급한 용접, 접착, 융착 이외에도 연이어 배열되는 신설관(200)을 내외부가 격리되도록 연결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결합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5, the new pipe 200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old pipe 100 is inserted into another new pipe 200 (the right pipe 200 in FIG. 5) into which the leading end (left end in FIG. 5) (The right end in Fig. 5), and then integrally connected. At this time, between the two new pipes 200 arranged so as to prevent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new pipe 200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20,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seal the new pipe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mutually abutting portion is connected so as to be closed. When the new pipe 200 is made of metal, it is preferable that the new pipe 200 is connected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welding. When the new pipe 200 is made of plastic and can not be welde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Of course, any joining method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new pipe 200, which is arranged successively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welding, adhesion and fusion,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new pipe 200 are isolated.

신설관(200)의 외경이 노후관(100)의 내경보다 작게 제작되는바, 상기 신설관(200)은 노후관(100) 내부에서 상하 및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연이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신설관(200)이 일체로 연결된 이후에는,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설관(200)을 노후관(100)에 고정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new pipe 200 is mad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ld pipe 100, the new pipe 200 can be swu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ide the old pipe 10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concrete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to fix the new pipe 200 to the old pipe 100 after the plurality of new pipes 200 arranged in series are integrally connected Do.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신설관(200)을 일렬로 배열 및 연결이 완료되면, 신설관(200) 내측에 인입되어 있던 운반대차(500)를 후진시켜 신설관(200) 외부로 인출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유닛(600)을 신설관(200)에 장착시켜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이때 신설관(200)을 들어 올리고 있던 운반대차(500)를 그대로 후진시키면 신설관(200)까지 함께 인출되는바, 승강실린더(540)를 인입시켜 승강블록(530)을 하강시킨 후 운반대차(500)를 후진시켜야 할 것이다.5, when the plurality of new pipes 200 are arranged and connected in a row, the conveyance carriage 500, which has been drawn into the new pipe 200, is moved backward to the outside of the new pipe 200 The concrete pouring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new pipe 200 and the concrete C is poured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f the transporting carriage 500 lifting the new pipe 200 is directly retracted, the new pipe 200 is taken out together with the lifting cylinder 540. The lifting cylinder 540 is then lowered to descend the lifting block 530, 500).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유닛(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관(200)의 후단측(도 6에서는 좌측)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노후관(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격판(610)과, 끝단이 상기 격판(610)을 관통하여 상기 신설관(200)과 상기 노후관(100) 사이로 삽입되는 콘크리트주입관(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격판(610)을 신설관(200) 후단측에 결합시킨 후 콘크리트주입관(620)을 통해 콘크리트(C)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콘크리트(C)는 격판(610) 안쪽 공간에만 채워지고 격판(610) 바깥쪽으로는 유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7, the concrete pouring unit 600 for pouring the concrete C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is formed on the rear end side (left side in FIG. 6) of the new pipe 200 And the end of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partition plate 610 and is inserted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And an injection tube 620. Therefore, when the diaphragm 61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new pipe 200 and then the concrete C is injected through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the concrete C is filled only in the space inside the diaphragm 610, (610).

이때, 콘크리트주입관(620)이 하나만 구비되면,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의 공간 중 콘크리트주입관(620)과 인접한 부위에는 콘크리트가 충분히 타설되지만, 콘크리트주입관(620)과 거리가 먼 지점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못하고 빈 공간으로 남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상기 콘크리트주입관(6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 복수 개 구비되되, 각 콘크리트주입관(620)의 삽입거리가 상이하도록 즉, 각 콘크리트주입관(620)의 끝단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콘크리트주입관(620)의 끝단의 삽입거리가 상이하게 배열되면,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의 공간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콘크리트로 채워지므로, 각 방향별 강도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if only on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s provided, the concrete is sufficiently poured in a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adjacent to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As shown in FIG. 7,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as shown in FIG. 7, and each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concrete injection pipes 620, That is, the end positions of the respective concrete injection pipes 6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sertion distances of the end portions of the concrete injection pipes 6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pace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is filled with the concrete as a who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ength can be formed to be the same.

또한, 콘크리트 주입을 완료한 이후 콘크리트주입관(620)을 인출시키면 콘크리트주입관(620)이 위치해 있던 지점에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콘크리트주입관(62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시킬 때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콘크리트주입관(620)을 서서히 외부로 인출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주입관(620)을 인출시키면서 콘크리트를 주입시키면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의 공간 전체가 빈 부분 없이 콘크리트로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s taken out after completing the concrete injection, an empty space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s located. Therefore, when the concrete is injected through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s gradually drawn out to the outside. When the concrete is injected while drawing the concrete injection pipe 620 in this way, the entire space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can be filled tightly with concrete without any void.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면, 상기 신설관(200)은 콘크리트(C)의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뜨게 되어 신설관(200)이 노후관(100)의 정 중앙에 위치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100) 재생장치는, 상기 신설관(20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신설관(200) 외측면과 상기 노후관(10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부상방지밴드(7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상방지밴드(7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관(200)의 외측면 중 상측을 감싸되 끝단이 상기 노후관(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둘 이상의 돌출단(710)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바,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상기 신설관(200)이 위로 뜨지 못하고 노후관(100)의 중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신설관(200)이 좌우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아니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둘 이상의 돌출단(7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관(200)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crete C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as described above, the new pipe 200 floats upward due to buoyancy of the concrete C,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main body 200 can not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throat tube 100. Therefore, the re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new pipe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ld pipe 100 is made constant The anti-floating band 7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7 and 8,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200 is surround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flotage prevention band 700, and at least two protrusions (not shown) The new pipe 200 can not be lifted up even though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and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at the center of the old pipe 100 . At this time, the two or more protruding ends 710 are symmetrically disposed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ew pipe 200, as shown in FIG. 8, so that the new pipe 200 can be fixed without moving in the left- Is preferably arrang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상방지밴드(700)가 신설관(200)의 외측면 중 상측 일부만을 감싸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부상방지밴드(700)는 신설관(200)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부상방지밴드(700)가 신설관(200)의 상측 일부만을 감싸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는 신설관(200)이 아래로 처져 노후관(100)의 바닥면에 닿을 수 있으므로, 신설관(200)의 저면과 노후관(100)의 바닥면 사이에는 신설관(200)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블록(8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200 is covered by the above-mentioned flotage prevention band 700. However, the above-mentioned flotage prevention band 700 surrounds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200 . In this case, when the float prevention band 700 covers only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new pipe 200, the new pipe 200 can be lowered to reach the bottom surface of the old pipe 100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2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ipe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ld pipe 100 to support the new pipe 200.

한편,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에는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공기층이 존재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타설되지 못하게 되어 전체적인 강도가 약해지는바, 상기 격판(610)에는 공기배출관(630)이 관통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는 콘크리트에 혼합되어 있던 수분이 한 군데로 모아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물성분이 모아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아니하는 빈공간이 발생되므로, 상기 격판(610)에는 배수관(640) 또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는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의 공간 중 상측으로 모이게 되고, 물은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의 공간 중 하측으로 모이게 되므로, 상기 공기배출관(630)은 격판(610)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배수관(640)은 격판(610)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n ai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while the concrete is being poured. If the air layer is present, the concrete is not poured tightly and the overall strength is weak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 pipe 630 is inserted through the diaphragm 610. Also,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the water mixed in the concrete can be gathered in one place. Even when the physical components are gathered in this way, the concrete can not be filled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It is preferable that a drain pipe 640 is also mounted on the diaphragm 610. At this time, the air is gather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and the water collects to the lower 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And the drain pipe 640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diaphragm 610.

또한,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얼마나 정상적으로 타설되었는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끝단이 상기 격판(610)의 중단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신설관(200)과 노후관(100)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확인관(65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end of the new pipe 200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termediat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610 so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how normally the concrete laid between the new pipe 200 and the old pipe 100 is visually inspected. And a check pipe 650 for exposing the concrete pouring state between the waste pipe 100 and the waste pipe 100 to the outsid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노후관(100) 재생장치 및 노후관(100) 재생방법을 이용하면, 노후관(100)과 신설관(200) 간의 마찰 없이 노후관(100) 내측으로의 신설관(200)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노후관(100)과 신설관(200) 사이의 공간 전체에 걸쳐 콘크리트를 고르게 타설할 수 있으므로 관로의 전체적인 강도를 고르고 높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use of the regenerating apparatus for regenerating the waste tube 100 and the regenerating method for the waste tub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new tube 200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remarkably shortened and the concrete can be evenly laid over the entire space between the old pipe 100 and the new pipe 200 so that the overall strength of the pipe can be made higher and higher .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노후관 200 : 신설관
300 : 크레인 400 : 자주차
500 : 운반대차 510 : 몸체
512 : 전륜 514 : 후륜
520 : 연결부 530 : 승강블록
540 : 승강실린더 600 : 콘크리트 타설유닛
610 : 격판 620 : 콘크리트주입관
630 : 공기배출관 640 : 배수관
650 : 확인관 700 : 부상방지밴드
710 : 돌출단 800 : 안착블록
100: Old building 200: New building
300: Crane 400: Frequently used car
500: Carrier 510: Body
512: front wheel 514: rear wheel
520: connecting portion 530: lift block
540: Lift cylinder 600: Concrete pouring unit
610: diaphragm 620: concrete injection pipe
630: air discharge pipe 640: drain pipe
650: Confirmation tube 700: Injury prevention band
710: protruding end 800: mounting block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노후관 내부에 삽입되는 신설관 내부를 관통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후관 내측에서 상기 노후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몸체와, 몸체의 상면과 상기 신설관의 천정면 사이에 위치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이 상기 신설관을 들어 올리도록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운반대차;
상기 노후관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운반대차를 이동시키는 자주차;
상기 신설관의 후단측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격판과, 끝단이 상기 격판의 상측을 관통하여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로 삽입되되 끝단의 삽입거리가 상이하게 배열되는 둘 이상의 콘크리트주입관과, 끝단이 상기 격판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공기배출관과, 끝단이 상기 격판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배수관과, 끝단이 상기 격판의 중단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확인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후관의 내부에 결합된 신설관의 외측면과,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유닛; 및
상기 신설관의 외측면 중 상측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신설관 외측면과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끝단이 상기 노후관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둘 이상의 돌출단을 구비하며, 상기 둘 이상의 돌출단은 상기 신설관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는 부상방지밴드;
를 포함하는 노후관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노후관 내측에 신설관을 시공하는 노후관 재생방법으로서,
외경이 노후관의 내경보다 작은 신설관을 상기 노후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운반대차의 선단이 상기 신설관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운반대차의 중단이 상기 신설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자주차를 운전하여 상기 운반대차를 이동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승강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신설관을 들어 올리는 제3 단계;
상기 승강블록에 의해 들어 올려진 신설관의 선단이 미리 삽입된 또 다른 신설관의 후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운반대차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
연이어 배열된 두 개의 신설관을 연결시키는 제5 단계;
상기 운반대차를 후진시켜 상기 신설관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6 단계; 및
새롭게 삽입된 신설관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유닛과 상기 부상방지밴드를 장착시킨 후,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상기 신설관과 상기 노후관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콘크리트주입관을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주입관이 위치해 있던 빈공간이 콘크리트로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재생방법.
A lifting block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new pipe, the lifting block being formed in a shape penetrable inside the new pipe inserted into the old pipe and being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ld pipe from the inside of the old pipe; And a lifting cylinder for lifting the lifting block so that the block lifts the new pipe;
A sprue sitting on the inside of the hoist tube for moving the transportation bogie;
A diaphragm coupl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new pipe and having an end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ld pipe, and an end insert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diaphragm and inserted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An air discharge pipe to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concrete injection pipe is attached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 drain pipe to which the end passe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 concrete pouring unit for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ne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new pip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ld pipe, and a check pipe for externally exposing the concrete pouring state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 And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ne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ld pipe, Wherein the at least two projecting ends are arranged laterally and symmetrically about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ew pip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A first step of placing a new pi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rolled steel pipe in the rolled steel pipe;
A second step of driving the freight car to move the freight car so that the tip of the freight car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new pipe so that the stop of the freight car is located inside the new pipe;
A third step of lifting the new pipe by raising the elevating block by driving the elevating cylinder;
A fourth step of moving the transportation truck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new sewing pipe lifted by the lifting bloc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another new sewing pipe inserted in advance;
A fifth step of connecting two new pipes arranged in series;
A sixth step of moving the conveyance carriage backward and drawing the conveyance carriage out of the new building; And
A seventh step of installing the concrete pouring unit and the float prevention band on a newly inserted new pipe, and then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 ≪ / RTI &
In the seventh step, while the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the concrete injection pipe inserted between the new pipe and the old pipe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so that the empty space in which the concrete pipe is located, Is filled with the sludge.
KR1020140101093A 2014-08-06 2014-08-06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 KR1015135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93A KR101513589B1 (en) 2014-08-06 2014-08-06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93A KR101513589B1 (en) 2014-08-06 2014-08-06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589B1 true KR101513589B1 (en) 2015-04-20

Family

ID=5305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93A KR101513589B1 (en) 2014-08-06 2014-08-06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58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694A (en) * 2015-11-16 2016-03-30 中科路域(北京)生态投资有限公司 Method for constructing top pipe of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sewage intercepting pipe
KR101682014B1 (en) * 2015-09-15 2016-12-02 주식회사 강물 build method of steel pipe in a tunnel for waterways
KR101702012B1 (en) * 2016-05-25 2017-02-03 (주)나스텍이앤씨 Superannuated pipe rehabilitation method
KR101889063B1 (en) 2017-07-25 2018-08-16 이성식 Equipment for rehabilit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superannuated pipes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893A (en) * 2003-02-15 2004-08-21 주식회사성호철관 Spacer between inner and outer pipes
JP2007231965A (en) * 2006-02-27 2007-09-13 Sekisui Chem Co Ltd Existing pipe regenerating method, existing pipe regenerating tool and existing pipe regen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9281567A (en) * 2008-05-26 2009-12-03 Sekisui Chem Co Ltd Pipe body and existing pipe renovation method
JP5485660B2 (en) * 2009-11-16 2014-05-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Rehabilitation of existing pip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893A (en) * 2003-02-15 2004-08-21 주식회사성호철관 Spacer between inner and outer pipes
JP2007231965A (en) * 2006-02-27 2007-09-13 Sekisui Chem Co Ltd Existing pipe regenerating method, existing pipe regenerating tool and existing pipe regen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9281567A (en) * 2008-05-26 2009-12-03 Sekisui Chem Co Ltd Pipe body and existing pipe renovation method
JP5485660B2 (en) * 2009-11-16 2014-05-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Rehabilitation of existing pip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014B1 (en) * 2015-09-15 2016-12-02 주식회사 강물 build method of steel pipe in a tunnel for waterways
CN105442694A (en) * 2015-11-16 2016-03-30 中科路域(北京)生态投资有限公司 Method for constructing top pipe of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sewage intercepting pipe
CN105442694B (en) * 2015-11-16 2017-07-25 中科路域(北京)生态投资有限公司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sewage intercepting sewer pipe jacking construction method
KR101702012B1 (en) * 2016-05-25 2017-02-03 (주)나스텍이앤씨 Superannuated pipe rehabilitation method
KR101889063B1 (en) 2017-07-25 2018-08-16 이성식 Equipment for rehabilit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superannuated pipe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589B1 (en) Method for regenerating superannuated pipes and Device used to the method
KR101323572B1 (en) Method of pipe in pipe repair revival construction for large diameter steel pipe
CA2868039A1 (en) System for renovating a sewer manhole
CN108591614B (en) Construction method for passing through multiple pipes in old gas pipeline
KR101483242B1 (en) Large sewage tube traction device and method nohugwan
JPH0225080B2 (en)
US20190210063A1 (en) Centrifugal Casting Concrete Pipe Method
KR101515163B1 (en) An apparatus for repairing a drain pipe
KR100941654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renchless Repairing for Pipeline
KR101463577B1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Superannuated Pipes
KR101702012B1 (en) Superannuated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5854808B2 (en) Rehabilitation of existing pipelines
JP6335698B2 (en)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of tunnel for piping
JPS6133937B2 (en)
KR101172845B1 (en) regenerating process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duit
JP5912461B2 (en) Pipe repair method
KR102374063B1 (en)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wall
JP4156015B2 (en) Pipeline burying method
JP3867088B2 (en) Pipe transport cart
CN218671144U (en) Be used for burying prosthetic device of buried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line inside lining non-excavation
CN114320361B (en) Lining belt mould grouting system
CN111946937B (en) Pipeline trenchless repair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CN208348720U (en) Pipeline leakage plugging device and tap water water intaking gravity line for tap water water intaking gravity line
CN213264786U (en) Cement pipeline handling device
CN115750994A (en) Trenchless repair method and system for buried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line l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03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29

Effective date: 20170616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