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392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392B1
KR101512392B1 KR1020080131218A KR20080131218A KR101512392B1 KR 101512392 B1 KR101512392 B1 KR 101512392B1 KR 1020080131218 A KR1020080131218 A KR 1020080131218A KR 20080131218 A KR20080131218 A KR 20080131218A KR 101512392 B1 KR101512392 B1 KR 10151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signal
reception
data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728A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3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를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PC와,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1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공급받아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제 2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통신을 수행하여 PC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데이터 신호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System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실시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소프트웨어 변경 및 업그레이드를 위해 9 pin방식의 RS-232 포트를 이용하였다.
이때, 표준규격의 통신 포트는 PC와 Modem간 통신을 위해 ITU-T에서 규격으로 정의한 시리얼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였고, 전자기기와 PC간의 데이터 통신은 직렬 통신 방식으로 범용 비동기적 송수신규약인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방식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종래 전자기기는 규격화된 표준규격의 통신 포트와 송수신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PC 컨트롤에 의해 소프트웨어 변경 및 업그레이드를 수행받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슬림화되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 표준규격의 통신 포트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할 시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실장부품들의 부피가 커지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변경 및 업그레이드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실장부품들의 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를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PC와,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1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공급받아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제 2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통신을 수행하여 PC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변경 및 업그레이드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실장부품들의 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을 나타낸 내부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0)은 PC(102), 제 1 커넥터(104),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 제 2 커넥터(108), 휴대용 전자기기(110)등을 포함한다.
PC(102)는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102b)를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제 1 커넥터(104)는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102b)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PC(102)는 외형을 갖는 본체(102a)를 포함할 수가 있고,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102b)를 통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방식의 DCD 신호, RXD 신호, TXD 신호, DTR 신호, GND 신호, DSR 신호, RTS 신호, CTS 신호, RI 신호를 이후에 진술할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제 1 커넥터(104)는 외형을 갖는 제 1 커넥터용 몸체(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제 1 커넥터용 몸체(104a)의 외측 양단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102b) 및 이후에 진술할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106b)와 각각 대응되도록 각각의 제 1 커넥터용 통신 입?출력 포트(미도시)가 장착될 수가 있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는 제 1 커넥터(104)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102b)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공급받아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용 몸체(106a),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106b),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106c), 2 pin 방식의 통신 출력 포트(106d)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106b)는 제 1 커넥터(104)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가 있고,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106c)는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106b)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각각 제어하여 데이터 신호를 변환처리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106c)는 데이터 송수신 제어 수단(106c1)과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106c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데이터 송수신 제어 수단(106c1)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106b)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각각 제어하고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이때, 데이터 신호는 TXD 신호와 RXD 신호이고, DCD, DTR, DSR, RTS, CTS, RI pin은 PC와 Modem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컨트롤 신호이다.
여기서,컨트롤 신호는 신호의 장거리 전송을 위해 Modem 이용 시에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두 신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변경 및 업그레이드는 데이터 신호 TXD와 RXD 신호만을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106C2)은 PC(102)와 휴대용 전자기기(110)간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 전압 레벨변환을 위해 사용한다.
즉, 데이터 전송 시 PC(102)는 ±12V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며, 휴대용 전자기기(110)는 ±5V 혹은 ±3.3V등의 전압을 사용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106c2)은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106c2-1),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106c2-2),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출력 포트(106c2-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106c2-1)는 출력 되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도록 구비되고,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106c2-2)는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106c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적정 전압 레벨로 변환시키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출력 포트(106c2-3)는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106c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106c2-2)로부터 적정 전압 레벨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즉,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106c2-2)는 비 반전 OP-AMP와, 제 1 캐패시 터(C1), 제 1 저항(R1), 제 2 저항(R2), 제 2 캐패시터(C2), 제 3 저항(R3), 전원 전압원(5V)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캐패시터(C1)는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106c2-1)와 비 반전 OP-AMP의 (+)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가 있고, 제 1 저항(R1)은 비 반전 OP-AMP의 (-) 입력단과 비 반전 OP-AMP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저항(R2)은 일단이 접지되고 제 1 저항(R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가 있고, 제 2 캐패시터(C2)는 제 1 저항(R1)과 비 반전 OP-AMP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제 3 저항(R3)은 제 2 캐패시터(C2) 및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출력 포트(106c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가 있고, 전원 전압원(5V)은 제 3 저항(R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106c2-2)는 PC(102)로부터 제공되는 12V의 전압 출력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이후에 진술할 휴대용 전자기기(110)의 적정 전압 입력 레벨에 맞도록 5V의 전압 입력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즉,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106c2-2)는 PC(102)로부터 제공되는 12V의 전압 출력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제 1 캐패시터(C1)에 인가하고, 비 반전 OP-AMP와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에 의해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이득이 변환되며, 제 2 캐패시터(C2)는 비 반전 OP-AMP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출력 데이 터에 포함된 DC 성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제 3 저항(R3)은 Pull-up으로서 5V에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시 정확한 5V High 전압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5V로 변환된 최종 출력은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출력 포트(106c2-3)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는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106c)에 의해 변환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도록 2 pin 방식의 통신 출력 포트(106d)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108)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106c)에 의해 변환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 2 커넥터(108)는 외형을 갖는 제 2 커넥터용 몸체(108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제 2 커넥터용 몸체(108a)의 외측 양단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 pin방식의 통신 출력 포트(106d) 및 이후에 진술할 2 pin방식의 통신 입력 포트(110b)와 각각 대응되도록 각각의 제 2 커넥터용 통신 입?출력 포트(미도시)가 장착될 수가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10)는 제 2 커넥터(108)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통신을 수행하여, PC(102)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로부터 변환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110)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로부터 변환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도록 2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110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110)는 셋톱 박스 또는 DVD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 고, 2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110b)는 TX 포트와 RX 포트를 포함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휴대용 전자기기(110)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로부터 변환처리된 데이터 신호와 기저 전압원 신호를 더 제공받도록 3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데이터 신호는 TXD 신호와 RXD 신호이고, 3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미도시)는 TX 포트, RX 포트, GND 포트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휴대용 전자기기(110)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106)로부터 변환처리된 데이터 신호와 기저 전압원 신호 및 전원 전압원 신호를 더 제공받도록 4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데이터 신호는 TXD 신호와 RXD 신호이고, 4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미도시)는 TX 포트, RX 포트, GND 포트, 전원 포트일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10)는 데이터 신호의 노이즈 성분, 컨트롤 신호의 노이즈 성분,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간의 상호간섭에 의한 노이즈 성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포트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0)은 2, 3, 4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1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0)은 소프트웨어 변경 및 업그레이드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110)의 실장부품들의 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기기(110)의 전 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를 나타낸 내부 블럭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을 나타낸 내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102 : PC
102a : 본체
102b : 표준 규격 통신 출력 포트 104 : 제 1 커넥터
104a : 제 1 커넥터용 몸체 106 : 데이터 송수신 장치
106a : 데이터 송수신 장치용 몸체
106b : 표준 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
106c :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 106c1 : 데이터 송수신 제어 수단
106c2 :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
106c2-1 :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
106c2-2 :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
106c2-3 :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출력 포트
106d : 2 pin 방식의 통신 출력 포트 108 : 제 2 커넥터
110 : 휴대용 전자기기 110b : 2 pin 방식의 통신 입력 포트

Claims (11)

  1.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를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PC와; 상기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준규격의 통신 출력 포트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공급받아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PC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공급받는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와; 상기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를 통해 공급된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환처리하는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에 의해 변환처리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 2 pin 방식의 통신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처리부는, 상기 표준규격의 통신 입력 포트를 통해 공급된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컨트롤 신호를 각각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송수신 제어수단;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적정 전압 레벨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도록 2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변환 모듈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적정 전압 레벨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로부터 적정 전압 레벨로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변환부는,
    비 반전 OP-AMP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입력 포트와 상기 비 반전 OP-AMP의 (+)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비 반전 OP-AMP의 (-) 입력단과 상기 비 반전 OP-AMP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저항과;
    일단이 접지되고 상기 제 1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비 반전 OP-AMP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변환용 출력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3 저항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TXD 신호와 RXD 신호이고, 상기 2 pin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는 TX 포트와 RX 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신호는 DCD 신호, DTR 신호, GND 신호, DSR 신호, RTS 신호, CTS 신호, RI 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데이터 신호와 기저 전압원 신호를 더 제공받도록 3 pin 또는 4 pin 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TXD 신호와 RXD 신호이고, 상기 3 pin 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는 TX 포트, RX 포트, GND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4 pin 방식의 통신 입력포트는 TX 포트, RX 포트, GND 포트, 전원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셋톱 박스 또는 DVD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20080131218A 2008-12-22 2008-12-22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151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218A KR101512392B1 (ko) 2008-12-22 2008-12-22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218A KR101512392B1 (ko) 2008-12-22 2008-12-22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728A KR20100072728A (ko) 2010-07-01
KR101512392B1 true KR101512392B1 (ko) 2015-04-21

Family

ID=4263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218A KR101512392B1 (ko) 2008-12-22 2008-12-22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3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728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159B2 (en) Connector adapter
US7840742B2 (en) Unidirectional USB interface circuit
KR101220464B1 (ko) 광 연결을 이용한 고속 인터페이스 장치
JP4267857B2 (ja) 汎用シリアルバス回路
US20080244141A1 (en) High bandwidth cable extensions
US20080039007A1 (en) Multifunctional ultra wideban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20100150572A1 (en) USB Compatible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Optical USB Device and Electrical USB Device
US7722406B2 (en) Output adapting device of plug-in power system
KR101512392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US52333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ial port interfacing
US20200233632A1 (en) Analogue-Digital Converter
US20140258584A1 (en) Bus relay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pparatus, cable, connector, electronic appliance, and bus relay method
US8583849B2 (en) Signal switch connector set applied to motherboard of computer system
TWM568993U (zh) 功能電路板模組
CN110543651B (zh) 功能电路板模组
KR100465786B1 (ko) 컴퓨터 시스템
TWI394045B (zh) 攜帶型電子裝置及其附件鑒別方法
JP2004133539A (ja) カード型アダプタ
CN107689535B (zh) 转接卡设备和电子设备
US2022017534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Ultrasound Imaging with Modularized Frontend and Personal Computer System
KR1003938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50265Y1 (ko) 유에스비(usb) 변환 인터페이스 케이블
KR100966555B1 (ko)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장치 및 그 통신방법
JP3792201B2 (ja) 入出力装置
KR20000021207U (ko) 컴퓨터용 사운드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