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372B1 -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372B1
KR101512372B1 KR1020140089843A KR20140089843A KR101512372B1 KR 101512372 B1 KR101512372 B1 KR 101512372B1 KR 1020140089843 A KR1020140089843 A KR 1020140089843A KR 20140089843 A KR20140089843 A KR 20140089843A KR 101512372 B1 KR101512372 B1 KR 10151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unit
ligh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주) 신일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일이엔시 filed Critical (주) 신일이엔시
Priority to KR102014008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일체화된 타입으로 몰딩화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해당 내부 공간에 대해 보다 강화된 기밀이 유지되므로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 현상 내지 습도 발생을 지양함에 따라 오작동 또는 기타 전기사고로부터의 위험성을 적극 차단하여 안전성과 함께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광 여부가 결정되는 발광수단(110);과, 발광수단을 내장한 상태에서 일체화된 형상으로 외부 표면이 마감 처리되어 내부 온도의 편차를 방지하는 케이싱부(130);와, 발광수단으로부터 대향되는 케이싱부의 일면을 지정하여 스크래치 또는 드로잉 기법으로 각종 도안이나 이미지, 문양이 부여되는 이미지부(131);로 이루어짐에 따라 경관 구조물(1) 상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2)으로의 독립적인 탈부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CONTROL CASE ALL-IN-ONE TYP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경관 구조물에 적용되어 야간의 식별력을 발휘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일체화된 타입으로 몰딩화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해당 내부 공간에 대해 보다 강화된 기밀이 유지되므로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 현상 내지 습도 발생을 지양함에 따라 오작동 또는 기타 전기사고로부터의 위험성을 적극 차단하여 안전성과 함께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바쁜 업무나 일상 등으로 인해 대다수의 사람들이 야간에 활동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를 고려하여 아파트 단지 내의 야외 장소를 비롯한 기타 공원이나 야외 곳곳에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기구가 설치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조명기구는 특정 문양이나 문구, 이미지를 광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광받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조사성과 함께 안전성 또한 염두에 두고 관련 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우리 주위에는 주변 경관과 맞지 않고 오히려 경관을 해치는 수준에서 수많은 조명기구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경험칙상 쉽게 알 수 있다.
이에, 요즈음에는 목재와 같은 친환경적인 경관 구조물로 하여금 조명기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관련 기술사상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관 구조물은 마치 자연 상태인 것과 같이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제공되어 사람들에게 이질감을 주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경관 구조물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경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행태가 대부분으로, 통상의 LED 모듈을 경관 구조물의 일정 홈 내부에 고정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아크릴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를 경관 구조물의 홈 상에 배치하여 소정의 결합수단 등을 동원해 해당 내부 공간을 밀폐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의 난해함은 물론 설치 후 유지 보수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점을 초래한다.
즉, 표면 결로가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이러한 표면 결로는 벽과 배관, 유리면 등 그 표면이 되는 부위의 온도가 낮아지고 표면 부근의 공기 온도가 결로 온도 이하로 되면 발생하는 이슬 맺힘 현상을 지칭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만 하는데 이는 관련 구조상 여의치 않으므로, 상술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종래 모든 조명수단은 늘 관련 기기의 고장과 함께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630502호 "신도시 공원지역의 빗물을 이용한 방향 표지 및 조명장치"의 구성 중 조명장치와 관련한 기술사상을 보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장착을 목적으로 하는 경관 구조물의 결합홈 심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한 방식으로 탈부착 채용 가능함으로써 사용상 효율성 및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하려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등의 조사 수단을 외부 케이싱과 함께 하나의 일체화된 타입으로 몰딩 제작함으로써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 현상 내지 습도 발생이 적극 방지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이와 아울러, 빛을 조사하는 조사면에 빛에 의한 특정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장식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광고나 안내 등의 기타 식별력에도 차별성을 부여하게 되는 관련 구성의 제공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10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광 여부가 결정되는 발광수단(110);과, 발광수단을 내장한 상태에서 일체화된 형상으로 외부 표면이 마감 처리되어 내부 온도의 편차를 방지하는 케이싱부(130);와, 발광수단으로부터 대향되는 케이싱부의 일면을 지정하여 스크래치 또는 드로잉 기법으로 각종 도안이나 이미지, 문양이 부여되는 이미지부(131);로 이루어짐에 따라 경관 구조물(1) 상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2)으로의 독립적인 탈부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130)의 두께면에는 해당 단면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원형 내지 다각 형상의 가압돌부(132)를 다수 배열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요철부를 부가 형성함으로써 경관 구조물(1)의 결합홈(2) 내부에 대해 마찰력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싱부(130)는 경관 구조물(1)의 결합홈(2)에 비해 협소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가압돌부(132) 또는 요철부에 의한 결합홈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후방에 대한 경사 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부(130)는 이미지부(131)가 형성된 일면에 대해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형성하여 단턱진 형상에 기인한 결합홈(2)으로의 슬라이드 끼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조명기구는 장착을 목적으로 하는 경관 구조물의 결합홈 심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한 방식으로 탈부착 채용 가능함으로써 사용상 효율성 및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관련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등의 조사 수단을 외부 케이싱과 함께 하나의 일체화된 타입으로 몰딩 제작하여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 현상 내지 습도 발생이 적극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을 조사하는 조사면에 빛에 의한 특정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장식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광고나 안내 등의 기타 식별력에도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사상에 의하여 실시되는 조명기구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를 경관 구조물에 개재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를 경관 구조물에 개재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를 경관 구조물에 개재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경관 구조물(1)에 적용되어 야간의 식별력을 발휘하는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100)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종래와 차별화된 기술사상은 하나의 일체화된 타입으로 몰딩화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해당 내부 공간에 대해 보다 강화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러한 구성에 기인하여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 현상 내지 습도 발생을 지양함에 따라 오작동 또는 기타 전기사고로부터의 위험성을 적극 차단하여 안전성과 함께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상세 구성을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10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광 여부가 결정되는 발광수단(110);과, 발광수단을 내장한 상태에서 일체화된 형상으로 외부 표면이 마감 처리되어 내부 온도의 편차를 방지하는 케이싱부(130);와, 발광수단으로부터 대향되는 케이싱부의 일면을 지정하여 스크래치 또는 드로잉 기법으로 각종 도안이나 이미지, 문양이 부여되는 이미지부(13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채택으로 경관 구조물(1) 상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2)으로의 독립적인 탈부착이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양태와 성격을 동일시한다.
상기에서 발광수단(110)이라 함은 통상의 모든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수준이면 충분하고, 다만 사용상 효율성을 위해 발광 다이오드(LED)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LED 모듈은 후술할 케이싱부(130)의 어느 일면에서 고정 장착된 상태로 보존된다.
상기 케이싱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몰딩 기법에 의해 성형되는 대상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주된 핵심사안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부(1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전술한 발광수단(110)을 내장한 상태 그대로 하나의 일체화된 제품으로 완성되는바, 도 1에서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종래의 기술사상과 차별화된다.
예컨대, 도 1은 종래 기술사상에 의하여 실시되는 조명기구의 설치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통상의 LED 모듈을 경관 구조물의 일정 홈 내부에 고정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아크릴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를 경관 구조물의 홈 상에 배치하여 소정의 결합수단 등을 동원해 해당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타입이다.
이러한 구성은 설치의 난해함은 물론 설치 후 유지 보수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는데, 표면 결로가 그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표면 결로는 벽과 배관, 유리면 등 그 표면이 되는 부위의 온도가 낮아지고 표면 부근의 공기 온도가 결로 온도 이하로 되면 발생하는 이슬 맺힘 현상을 지칭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만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조명기구를 몰딩 처리하여 일체화 형성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발광수단(110)과 이미지부(131)의 사이 공간을 외부와 내통되지 않도록 전면 차단하게 됨으로써 케이싱부(130)의 내부 공간에 대해 기밀이 유지되게 하였으므로, 온도 편차의 억제는 물론 내구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를 경관 구조물에 개재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싱부(130)의 두께면에는 해당 단면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원형 내지 다각 형상의 가압돌부(132)를 다수 배열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요철부를 부가 형성함으로써 경관 구조물(1)의 결합홈(2) 내부에 대해 마찰력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가압돌부(132) 내지 요철부는 그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명기구(100)를 결합홈(2) 내부로 진입시킬 경우에 있어 일정 수준 이상의 마찰력이 수반되게 하고, 이러한 마찰력은 조명기구의 위치 구속을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결합홈 내부에서의 견고한 맞물림이 유지되어 외부로의 이탈 등 위험요소를 철저히 극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싱부(130)는 경관 구조물(1)의 결합홈(2)에 비해 협소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가압돌부(132) 또는 요철부에 의한 결합홈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후방에 대한 경사 배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사용상 크나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돌부(132) 또는 요철부가 결합홈(2)의 대상 면과 마찰을 일으킴에 따라 조명기구의 전체 위치가 고수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작용에 기인하여 해당 조명기구(100)의 입설 각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케이싱부(130)의 진입 정도를 결정함에 따라 결합홈 내부에서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케이싱부(130)에는 이미지부(131)가 형성된 일면에 대해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미도시함)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단턱진 형상에 기인한 결합홈(2)으로의 슬라이드 끼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필요 이상으로 결합홈(2)으로의 끼움이 실시되지 않도록 하는 통상의 스토퍼 역할이 기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조명기구(100)에 의하면, 장착을 목적으로 하는 경관 구조물의 결합홈 심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한 방식으로 탈부착 채용 가능함으로써 사용상 효율성 및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관련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등의 조사 수단을 외부 케이싱과 함께 하나의 일체화된 타입으로 몰딩 제작하여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 현상 내지 습도 발생이 적극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을 조사하는 조사면에 빛에 의한 특정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장식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광고나 안내 등의 기타 식별력에도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경관 구조물 2. 결합홈
100.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110. 발광수단
130. 케이싱부 131. 이미지부
132. 가압돌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전원 인가에 의해 발광 여부가 결정되는 발광수단(110);과, 발광수단을 내장한 상태에서 일체화된 형상으로 외부 표면이 마감 처리되어 내부 온도의 편차를 방지하는 케이싱부(130);와, 발광수단으로부터 대향되는 케이싱부의 일면을 지정하여 스크래치 또는 드로잉 기법으로 각종 도안이나 이미지, 문양이 부여되는 이미지부(131);로 이루어짐에 따라 경관 구조물(1) 상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2)으로의 독립적인 탈부착이 유도될 수 있는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130)의 두께면에는 해당 단면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원형 내지 다각 형상의 가압돌부(132)를 다수 배열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요철부를 부가 형성하여 경관 구조물의 결합홈(2) 내부에 대해 마찰력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관 구조물의 결합홈에 비해 협소한 두께를 갖는 케이싱부(130)가 가압돌부(132) 또는 요철부에 의한 결합홈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후방에 대한 경사 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130)는 이미지부(131)가 형성된 일면에 대해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형성하여 단턱진 형상에 기인한 결합홈(2)으로의 슬라이드 끼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KR1020140089843A 2014-07-16 2014-07-16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KR10151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843A KR101512372B1 (ko) 2014-07-16 2014-07-16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843A KR101512372B1 (ko) 2014-07-16 2014-07-16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372B1 true KR101512372B1 (ko) 2015-04-16

Family

ID=5305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843A KR101512372B1 (ko) 2014-07-16 2014-07-16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3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08Y1 (ko) * 2003-02-05 2003-05-01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기능성 바닥재
KR20080083391A (ko) * 2007-03-12 2008-09-18 (주)월드플러스씨앤씨 엘이디 매입몰딩형 바닥조명장치
KR20090085239A (ko) *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08Y1 (ko) * 2003-02-05 2003-05-01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기능성 바닥재
KR20080083391A (ko) * 2007-03-12 2008-09-18 (주)월드플러스씨앤씨 엘이디 매입몰딩형 바닥조명장치
KR20090085239A (ko) *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490B2 (en) Reflectors and reflector orientation feature to prevent non-qualified trim
US10151454B2 (en) End cap for light fixture
KR101533918B1 (ko) Led 평판조명기구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KR200473336Y1 (ko) 바닥매입형 led조명장치
EP2788223B1 (en) Light emitting diode perimeter lamp assembly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JP2011034856A (ja) 照明装置
KR101126586B1 (ko) 조명장치의 밀봉구조
KR101512372B1 (ko) 탈부착 타입의 몰딩 일체형 조명기구
KR102443185B1 (ko) 태양광 조명기구를 장착한 볼라드
JP2009252451A (ja)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JP2016024955A (ja) 照明用レンズ、及び照明装置
JP5975442B2 (ja) 発光装置
KR200490104Y1 (ko) 엘이디 모듈 간판
KR101327309B1 (ko) 매입형 조명장치
JP5570637B2 (ja)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KR200466434Y1 (ko) 매립형 조명등용 케이스
KR101340945B1 (ko) 매입형 조명장치용 몸체
JP4919074B2 (ja) 埋込形標識灯
JP6565255B2 (ja) 光警報装置及びそのレンズ
RU159484U1 (ru) Светильник светодиодный
KR101682676B1 (ko) 산란기능이 부가된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
JP6198615B2 (ja) 照明装置
KR200473120Y1 (ko) 보호커버를 가지는 가로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