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26B1 -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Google Patents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2026B1 KR101512026B1 KR1020130009872A KR20130009872A KR101512026B1 KR 101512026 B1 KR101512026 B1 KR 101512026B1 KR 1020130009872 A KR1020130009872 A KR 1020130009872A KR 20130009872 A KR20130009872 A KR 20130009872A KR 101512026 B1 KR101512026 B1 KR 101512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anesthesia device
- automatic anesthesia
- automatic
- 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마취장치를 진료용 브라켓 부위에 배치하고 이러한 자동마취장치의 충전을 직접적으로 유닛체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앉는 체어부, 상하좌우로 회동 가능한 복수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진료장비거치홈이 형성되어 처치장비들이 거치되는 거치대, 전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마취액이 주입되며, 파지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자동마취장치 및 상기 거치대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자동마취장치의 거치시 손잡이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충전부의 형상과 위치에 대응되고 외부전력이 상기 자동마취장치로 유입되도록 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마취장치 거치부를 포함하는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마취장치를 진료용 브라켓 부위에 배치하고 이러한 자동마취장치의 충전을 직접적으로 유닛체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내부에 수용하고, 진료용 브라켓이 입력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며, 출력장치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처치가 가능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체어는 치과 진료행위에 필요한 장비를 종합적으로 갖추어 각종 치과 진단 및 처치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로서, 환자가 체어에 눕게 되면 의사가 환자의 입 속을 쉽게 볼 수 있는 상태에서 진료를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는 진료용 브라켓, 타구대, 조명기구 등이 설치되어 의사가 진료를 원활히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특히, 진료용 브라켓의 경우 여러 가지의 장비를 올려두거나 수납하기 위한 일종의 선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유닛체어에는 각종 처치용 장치가 거치되어 환자의 치료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거치대가 장착된다.
치과의 처치시 일반적으로 마취를 선행하게 되는데, 의사가 수동의 시린지에 마취액을 넣고 환자의 환부에 마취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마취가 이루어진다. 특히 치과의 경우 마취를 빈번하게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직접 시린지를 통하여 수동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처치 시간과 조작의 동선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린지를 사용하는 마취의 경우 환자가 공포감을 느끼며 니들을 환부에 삽입하고 마취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환자의 상태와 정보들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가 치과용 유닛체어에 배치되는데, 별도로 마련되는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환자나 의사가 볼 수 있도록 유닛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유닛체어에는 별도의 모니터가 제공되어 각각 다른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런데, 정보의 입출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상기의 진료용 브라켓은 각종 장비와 도구를 거치하기 때문에 공간의 한계를 가진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닛체어는 많은 장비들이 시스템화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모니터의 경우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시야나 거동을 방해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닛체어 자체에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하면서 이러한 자동마취장치의 충전과 사용에 대한 편리성을 극대화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내부에 컴퓨터를 구비하고 진료용 브라켓에 수납할 수 있는 입력장치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출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신속하면서 정확한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고 정보 활용능력이 향상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는, 환자가 앉는 체어부, 상하좌우로 회동 가능한 복수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진료장비거치홈이 형성되어 처치장비들이 거치되는 거치대, 전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마취액이 주입되며, 파지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자동마취장치 및 상기 거치대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자동마취장치의 거치시 손잡이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충전부의 형상과 위치에 대응되고 외부전력이 상기 자동마취장치로 유입되도록 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마취장치 거치부를 포함하는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
상기 마취장치 거치부는,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외주면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고정부의 내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저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취장치 거치부는, 전방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는, 상단측의 폭이 상기 손잡이부의 폭과,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엄지와 검지의 폭의 합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는 자동마취장치가 무선방식으로 구비되고 거치대에 자동적인 충전이 가능한 소정의 마취장치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특히 충전을 위하여 불필요한 시간을 소모할 필요성이 없이 거치시에 자동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제어 및 충전을 위한 케이블이 생략되므로 안정성과 마취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닛체어 본체내부에 구비되는 컴퓨터와 진료용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는 입력장치 및 롤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출력장치 등 유닛체어가 다양한 편의 및 조작장비를 구비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진료와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취장치 거치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취장치 거치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마취장치 거치부가 적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니들제거기가 설치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결합되는 니들제거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은 니들제거기의 덮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니들제거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사시도.
도 15는 도 4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결합되는 키보드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개념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체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취장치가 유선라인으로 제어부와 결합되어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취장치 거치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취장치 거치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마취장치 거치부가 적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니들제거기가 설치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결합되는 니들제거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은 니들제거기의 덮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니들제거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사시도.
도 15는 도 4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결합되는 키보드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개념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체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취장치가 유선라인으로 제어부와 결합되어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1)는 기본적으로, 본체(110), 체어부(300), 진료용 브라켓(200), 타구대(111), 조명기구(117), 거치대(130) 및 자동마취장치(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체어부(300)는 환자가 앉거나 누워서 진료를 받는 의자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체어부(300)는 베이스부(315)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다.
본체(110)는 다수개의 프레임(120)을 이용하여 각종 장치들과 연결되어, 각종 장치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타구대(111)는 타구통을 구비하여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타액이나 이물질을 뱉을 수 있도록 본체(110) 상에 설치된다.
조명기구(117)는 본체(110)와 프레임(120) 연결되어 진료시에 환자의 환부를 환하게 비추도록 되어 있다.
진료용 브라켓(200)은 본체(110)와 프레임(120) 연결되고, 상면에는 치과진료용 장치들을 조작하는 조작패널(1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우스 등 진료에 필요한 다양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30)는 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진료용 브라켓(200)과 연결 설치되고, 진료장비거치홈(135)을 형성한다.
따라서, 진료장비거치홈(135)에는 석션(suction), 핸드피스 등과 같은 치과진료용 장비(136)가 거치되며, 후술될 바와 같이 자동마취장치(410)가 거치될 수 있다.
자동마취장치(410)는 치과 치료시에 사용되는 마취액과 같은 주사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기계로서, 상기 진료용 브라켓(200)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기존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환자의 환부에 대한 마취를 수행하는 자동마취장치(410)를 진료용 브라켓(200)에 일체로 장착하여, 의사가 진료시 보다 간편하게 환부에 대한 마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마취장치(410)는 그 자동마취장치(410)와 케이블(401) 연결되어 제어되는 자동마취장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자동마취장치(410)는 유선보다는 무선방식이 조작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마취장치(410)는 무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선방식의 자동마취장치(410)의 충전 및 거치를 위한 구조와 관련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410)는 기본적으로,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457)와, 상기 손잡이부(457)에 장착되고 내부에 마취액이 수용되는 앰플삽입체(453)와, 상기 앰플삽입체(453)의 단부측에 결합되는 니들부(도 8의 452)와, 상기 손잡이부(457)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미도시)와, 상기 손잡이부(457)의 하측에 배치되는 충전부(4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마취장치(410)의 구체적인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457)의 형상과 크기는 파지 및 조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후술될 바와 같이 마취장치 거치부(도 5의 190)에 삽입 및 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부(457)의 하단부측이 마취장치 거치부(190)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480)는 소정의 단자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외부전원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457)의 하단측에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부(480)가 손잡이부(457)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480)의 일실시예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되는 마취장치 거치부(도 5의 190)에 대응되어, 손잡이부(457)의 마취장치 거치부에의 삽입시 자동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상기 충전부(480)가 두 개의 링 형상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데, 각각 +단자와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충전부(480)의 형상과 이를 이루는 단자의 개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 충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의 예에 따른 충전부(480)는 외관 또는 삽입시의 소정의 전원의 연결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충전부(480)가 손잡이부(457)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 마취장치 거치부에의 거치시에 이러한 손잡이부의 단자를 소정의 위치에 맞추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일실시예에 따른 경우 이러한 위치조정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다만, 충전부(48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조작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감전의 우려가 존재하고, 전력의 누설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가 손잡이부(457)의 저부에 배치되는 홈부(481)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홈부(481)는 소정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에 소정의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충전부는 도 6에 도시된 삽입부(도 6의 195)의 형상과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삽입부와의 접촉시 외부전력과 연결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홈부(481)를 채용한 자동마취장치(410)에 의한 경우, 충전의 확실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특히 액체의 사용이 많은 치과의 특성상 액체의 단자에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취장치 거치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거치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진료장비거치홈(135)이 형성되어 처치를 위한 각종 장비들이 거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대(130)의 일부로써 마취장치 거치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마취장치 거치부(190)와 거치대(130)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치대(130)는 가로로 긴 소정의 부재로서, 횡방향으로 진료장비거치홈(135)이 배열되어 소정의 처치장비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마취장치 거치부(190) 또한 이러한 거치대의 일부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자동마취장치(410)의 손잡이부(457)를 지지하면서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마취장치 거치부(190)는 기본적으로, 거치대(1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동마취장치(410)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하방으로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자동마취장치(410)의 하방의 안내를 보조하는 안내부(191)와, 상기 안내부(19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자동마취장치(410)의 하측을 지지하는 고정부(192)와, 저부에 형성되어 자동마취장치(4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부(194)와, 상기 고정부(192)의 공간에 형성되어 자동마취장치(410)의 충전부와 접촉되어 외부전력을 공급하는 단자부(1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면부(194)는 거치대(130)의 하측의 면과 평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만 일반적인 거치대(130)의 진료장비거치홈(135)이 상하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반하여, 마취장치 거치부(190)는 자동마취장치(410)의 자중을 지지하고 단자부와 충전부가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저면부(194)가 구비되어 있는 차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저면부(194)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마취장치(410)의 삽입이 안내되고 고정될 수 있는 안내부(191)와 고정부(192)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192)는 내벽이 손잡이부(457)의 하측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내벽측에서 손잡이부(457)의 측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저면부(194)에서 하방으로의 삽입의 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단자부(193)는 일실시예에서 고정부(192)의 내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단자부(193)의 형상과 위치는 상기된 충전부(480)의 형상과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91)는 고정부(192)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내벽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191)의 내벽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간편하게 거치대(130)의 부위에 자동마취장치(410)를 거치하고 충전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내부(191)의 상측의 넓이는 자동마취장치(410)의 인출시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최소한 엄지와 검지의 직경 및 자동마취장치(410)의 직경을 합한 것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취장치 거치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에서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자부가 저면부(194)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195)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195)는 도 4의 실시예에 도시된 자동마취장치(410)의 홈부(48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소정의 원기둥 형상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충전부(480)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는 감전이나 누전의 우려가 존재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손잡이부(457)의 저부에 소정의 단자가 만입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홈부(481)가 구비되는데, 이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도전부인 삽입부(195)가 형성됨으로써 충전의 확실성과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마취장치 거치부가 적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7의 도시상태는 도 6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예가 도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 일실시예에서의 마취장치 거치부(19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단자부들의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정단면도들에서는 대략 고정부(192)의 중심측으로 기준으로 절단된 부위가 도시되어 대략 원기둥 내지는 콘형상의 자동마취장치(410)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상기 마취장치 거치부(190)는 전방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자동마취장치(410)의 거치와 인출 및 유지관리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취장치 거치부(190)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안내부(191)와, 상기 안내부(191)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자동마취장치(410)의 하측의 외벽을 지지하는 고정부(192)와, 자동마취장치(410)의 하단부측을 지지하는 저면부(194)와, 충전부에 접촉되는 단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자부와 충전부는 소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57)의 저부에 형성되는 홈부(481)와 저면부(194)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9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자동마취장치(410)의 경우 상측이 니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자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충전시에는 니들부(452) 및/또는 앰플삽입체(453)가 제거된 방식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간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거치대(130)에서는 일반적인 처치장비들의 작동기구들이 하측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반면에 자동마취장치(410)의 경우 충전의 정확성을 고려하여 니들이 상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자동마취장치(410)가 적용된 거치대에 특화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동마취장치(410)의 니들부(452)가 하측을 지향하도록 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의 예에서는 저면부(194)가 실질적으로 거치대(130)의 저부의 형상에 대응고 진료장비거치홈(135)과는 달리 저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상기 저면부(194)가 거치대(130)의 저부에서 하측으로 더욱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마취장치(410)는 다른 처치장비들에 비하여 하측으로 더욱 깊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191)의 상단부측은 자동마취장치(410)의 거치시 니들부(452)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410)의 자동마취장치(410)는 손잡이부(457)와, 앰플삽입체(453)와, 니들부(452)와, 니들(451)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57)는 자동마취장치(410)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앰플삽입체(4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홈이 형성된다.
앰플삽입체(453)는 손잡이부(457) 상부에 장착되며, 개구홈에 삽입되는 일측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앰플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니들부(452)는 앰플삽입체(453)의 상단과 결합되고, 내부에 니들(451)을 포함하는 외체를 형성한다.
니들(451)은 니들부(452) 상면을 관통하며 고정 설치되고, 그 일측은 앰플삽입체(453)의 타측으로 삽입되어 앰플삽입체(453)의 내부에 삽입된 앰플을 뚫고 들어가며, 그 반대 방향의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다.
즉, 니들(451)은 앰플삽입체(453)에 삽입된 앰플을 뚫어 앰플내의 앰플액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401)은 자동마취장치(410)의 하단부와 상기 진료용 브라켓(200)을 연결하고, 진료용 브라켓(200) 내부를 통해 자동마취장치(4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마취장치(410)는 유선방식으로 충전 및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케이블(401)은 바람직하게는 나선으로 감긴 형상으로 연장되어 길이 조절에 따라 탄성력으로 늘어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취 과정에서 케이블에 의해 작업 동선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마취장치(410)는 거치대(130)에 형성된 진료장비거치홈(135)에 거치되는 다른 진료장비들과 마찬가지로, 진료장비거치홈(135)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료용 브라켓(200)에 자동마취장치(410)가 연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거치대(130)에 자동마취장치(410)를 거치할 수 있어 진료시 의사가 보다 편하게 자동마취장치(410)를 다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유닛체어(1)에 있어서, 상기 앰플삽입체(453)는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부(452)는 니들걸림턱(460)을 포함한다.
니들삽입관(455)은 앰플삽입체(45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니들삽입관(455)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니들(451)을 관 내부로 통과시켜 앰플삽입체(453)의 앰플에 도달시킨다.
니들걸림돌기(454)는 상기 니들삽입관(455)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대향한 두개의 니들걸림돌기(454)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하나 이상이면 무방하다.
니들걸림턱(460)은 니들부(452) 하면에 형성되되, 니들부(452) 내부에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462)를 형성한다.
이러한 삽입공(462)은,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가 삽입공(462)의 형상과 일치되는 경우에만 삽입되도록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의 상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니들부(452)가 앰플삽입체(453)에 결합되는 경우,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가 니들걸림턱(460) 내부의 삽입공(462)으로 삽입되고, 손잡이부(457)의 회전에 의해 앰플삽입체(453), 니들삽입관(455)이 회전되면 니들걸림돌기(454)도 회전하게 되고, 니들걸림돌기(454) 하면은 니들걸림턱(460)의 상면과 접하여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니들부(452)를 일정 각도만 회전시키면 착탈이 이루어지므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니들부(452)의 교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난 지시선(471, 472)는 앰플삽입체에 표시된 결합 지시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앰플삽입체(453)에 니들걸림돌기(454)가 형성되고 니들부(452)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니들부(452)가 회전하면 니들걸림턱(46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요청된다. 즉, 상기 니들걸림돌기(454)가 니들걸림턱(460)에 제대로 지지되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의도하지 않게 니들부(45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앰플삽입체(453) 및 니들부(452)는 결합 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앰플삽입체(453)의 원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 상에 니들 걸림돌기(454)가 형성된 부위에는 니들 결합 지시선(471)이 형성된다. 또한, 니들부(452)의 상기 니들 걸림돌기(454)가 삽입되는 삽입공(462)의 부위에는 마찬가지로 지시선이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을 위해 최초 삽입하는 경우 상기 지시선들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용이하게 삽입되고, 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결합이 지지되는 경우에는 두 지시선 사이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결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니들부(452)에 형성되는 지시선은 이하 설명할 돌출편(44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편(440)은 삽입공(462)의 니들 걸림돌기(454)가 삽입되는 부위에 일치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440)과 니들 결합 지시선(471)의 상기한 위치관계를 통해 결합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니들 결합 지시선(471)과 니들부에 형성되는 결합 지시선 또는 돌출편(440)의 개수는 니들걸림돌기(454)의 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한 개씩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손잡이부(457)과 앰플삽입체(453)의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앰플삽입체(453)은 손잡이부(457)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앰플삽입체(472)의 외주면 상에 손잡이부(457)의 개구측 단부의 높이 즉, 앰플삽입체(472)가 완전하게 결합되는 높이에서 앰플삽입체 결합 지시선(472)이 형성된다. 따라서, 앰플삽입체(472)의 손잡이부(457)에 결합시 앰플삽입체 결합 지시선(472)이 손잡이부(457)의 상측 단부와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결합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시선(471, 472)는 앰플삽입체(453)에 인쇄 또는 도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선택에 따라 화살표, 실선 및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유선라인으로 제어부와 결합되어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거치대(140)는 소정 홈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자동마취장치(41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거치대(140)의 소정 부위에는 자동마취장치(4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대략 주입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인 주입기 거치홈(145)이 형성된다.
상기 자동마취장치(410)는 앰플삽입체(453)과 앰플 및 니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구성들은 분리되어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140)는 앰플과 니들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141)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부는 앰플과 니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수납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홀은 자동마취장치(410) 본체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140)는 마취액의 주입속도 및 주입량 등을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러(150)을 더 거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수납부는 컨트롤러(150)와 주입기 거치홈(14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수납홀이 배치되는 경우 작업간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거치대(140)는 측부에 수납부(141)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7에 나타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부(141)가 거치대(140)의 일측에 형성되되 홀 또는 홈 형상의 수납홀(142)을 구비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부(14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거치대(14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작업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데 이점을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니들제거기가 설치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결합되는 니들제거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은 니들제거기의 덮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니들제거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유닛체어(1)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452)는 돌출편(440)을 더 포함하고,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유닛체어(1)는 니들제거기(500)를 더 포함한다.
돌출편(440)은 니들부(45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니들부(452)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돌출편(440)이 형성되어 있으나, 돌출편(4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돌출편(440)의 모양은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 사이마다 형성되는 틈에 끼어지도록 형성된다.
니들제거기(500)는 진료용 브라켓(200)에 설치되는데, 프레임(120) 등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도 있고, 나사(미도시) 등을 통해 진료용 브라켓(200)의 일측면에 바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니들제거기(500)는 덮개부(510) 및 몸통부(520)을 포함한다.
몸통부(520)는 덮개부(5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앰플삽입체(453)와 분리된 니들부(452)가 쌓여 모아지는 부분이다.
덮개부(510)는 덮개부(510)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공(528) 및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를 포함한다.
니들제거날개(530)는 관통공(528)으로부터 관통공(528)의 중심을 향해 대각 방향으로 뻗어나오되,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그 폭은 중심으로 향할수록 좁아져 각 니들제거날개(530) 사이마다 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자동마취장치(410)를 잡아 관통공(528)에 니들부(452)를 삽입시킬 때, 사용자는 니들부(452)의 돌출편(440)이 니들제거날개(530)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끼워지도록 니들부(452)를 조정하여 삽입하고, 그러면 니들부(452)는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의 각 말단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457) 또는 앰플삽입체(453)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의 각 말단 사이에 끼워진 니들부(452)는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니들부(452)는 앰플삽입체(453)로부터 분리되어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의 각 말단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잔존하게 된다.
그 후, 다시 사용자는 또 다른 니들부를 관통공(528)에 삽입하면, 니들제거날개(530)는 아래로 휘게 되고, 잔존하던 니들부(452)는 몸통부(520)로 떨어진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원복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니들제거날개(530)는 니들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니들부(452)를 앰플삽입체(453)로부터 분리 시, 주사 바늘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 사고를 방지하고,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니들부(452)의 분리를 할 수 있으며, 폐기될 니들부(452)를 제거와 동시에 한 곳으로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유닛체어(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520)은 덮개걸림돌출부(522)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510)는 덮개걸림턱(5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걸림돌출부(522)는 몸통부(520)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걸림턱(512)과 회전 결합을 하는 것으로, 도 11에는 세 개의 덮개걸림돌출부(522)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는 몸통부(520) 상단에서 수직하게 다소 뻗어나온 뒤 다시 외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꺾여 있는 모양을 갖는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도시되어 있으나, 니들걸림턱(460)과 회전 결합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모양으로도 충분히 변화 가능하다.
덮개걸림턱(512)은 덮개부(510)의 하면에 형성되되,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덮개부(5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114)를 형성한다.
상기 삽입구(114)는 덮개걸림돌출부(522)가 삽입공(514)의 형상과 일치되는 경우에만 삽입되도록 덮개걸림돌출부(522)의 상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덮개부(510)가 결합되는 경우, 덮개걸림돌출부(522)를 삽입공(514)에 맞추어 삽입공(514)에 삽입하고, 덮개부(510)를 회전시키면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덮개걸림턱(512)의 상면에 접하여 덮개부(5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510)를 몸통부(520)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고, 몸통부(520) 내부에 쌓여 수거된 니들부(452)를 외부로 꺼내 폐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457)에는 조명장치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부(457)의 상기 앰플삽입체(453)와 결합되는 단부측에는 조명수단(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명수단의 제어전압은 상기 케이블(401)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수단은 LED로 구성되어 단부에서 니들(451)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수단은 단부측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마취장치(410)에 주명수단이 구비되면, 구강 내에서 작업시 그림자의 방해를 받지 않고 침습 부위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고, 또한 구강 내부에서 주입 과정에서도 앰플삽엡체(453)의 앰플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조명수단은 유닛체어의 본체에 내장된 컴퓨터에 의해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마취장치(410)는 선형 모터에 의해 마취액이 자동 주입되는 자동 마취액 주입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조명수단과 상기 주입기는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상기 컴퓨터에 의해 케이블(401)로 함께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입력 받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마취장치(410)의 손잡이부(457)에는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소형의 LED 또는 LCD 창으로 구비되고, 마취액의 주입량이나 주입속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457)에 주입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경우, 마취 작업시에 시선을 돌리지 않고 바로 주입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고 의료사고의 가능성도 현저히 낮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패널방식의 고정된 디스플레이가 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롤 스크린 방식의 모니터인 롤디스플레이(181)가 사용된다.
롤디스플레이(181)는 환자와 의사가 확인하기 쉽도록 유닛체어(1)의 전방 상부의 프레임(120)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180)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롤디스플레이(181)는 디스플레이 상부의 원통형상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권취되는 방식으로 수납된다. 따라서, 화상을 확인할 필요가 없거나 거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롤디스플레이(181)를 권취하여 수납함으로써 공간적인 활용성이 향상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롤디스플레이(181)는 플렉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되는데, 액정표시장치(Liquid Paper Display)나 전자종이(Elecrtronic Paper)가 사용된다. 이 중 전자종이는 수많은 미세한 구슬이 기름 구멍 안에 뿌려져 있는 유연한 박형의 플라스틱 기판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소자를 의미한다. 최근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롤 방식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박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롤디스플레이(181)는 상기의 방식은 물론 다양한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프레임(120)에 상하 및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거나 볼조인트 결합되고, 내부에 롤디스플레이(181)을 권취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이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내부에는 롤디스플레이(181)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롤디스플레이(181)의 하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소정 두께를 가진 프레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화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롤디스플레이(181)의 하단을 손으로 당겨서 모니터링을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자동으로 수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본체가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컴퓨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필요한 경우에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도어가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본체는 외부의 메인프레임이나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 본체는 상기 자동마취장치(410)의 무선충전시의 충전량과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고, 한편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무선방식의 자동마취장치(410)에 구비되는 소정의 제어부에서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닛체어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컴퓨터 본체는 외부의 디스플레이(190)나 후술할 입력장치등과 연결되어 신호를 입출력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킹이나 입출력장치등과 연결시에는 배선의 정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료용 브라켓(200)은 키보드(600)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기술에서 입력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작업공간의 협소함에 따르는 문제점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키보드(600)은 서랍 방식으로 진료용 브라켓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진료용 브라켓(200)의 하부 또는 내부에는 서랍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는 키보드 지지부인 키보드 선반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키보드(600)는 상기 키보드 선반에 안착되어 키보드 선반과 함께 필요한 경우 진료용 브라켓(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키보드 선반이 삽입되는 진료용 브라켓(200)의 내부 또는 하부에는 키보드 선반의 슬라이드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료용 브라켓(200)의 이동이나 회동 동작시 키보드가 전후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보드 선반의 인출 또는 수납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로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킹부재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수납시 외부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로킹부재는 푸시-원터치 방식으로 잠금하는 잠금장치나 탄성력을 가진 걸림턱 외에 서랍에 적용되는 다양한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진료용 브라켓(200)의 공간적인 한계로 인해 마우스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진료용 브라켓(200)에 배치되는 키보드(600)는 트랙볼(6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랙볼(610)은 키보드의 하우징 외부에 외주 일부가 노출된 볼 형상의 입력장치로서, 볼의 회전에 따라 2차원적으로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키보드(600)가 트랙볼(610)을 포함하므로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좌표입력 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활용성이 향상된다.
상기 트랙볼(610)을 대신하여 키보드(600)의 자판 배열 사이에 레버 형상의 핑거마우스(finger mouse)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핑거마우스는 손가락 끝으로 포인터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활용이 더욱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600)는 푸시타입의 자판이 배열된 키보드가 아닌 화상에 터치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와 공유할 수 없는 정보를 용이하게 화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180, 190)을 화상 자체로 제어할 수도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터치패드는 일반적으로 정전기를 이용하는 정전식과 터치 압력을 인식하는 감압식이 사용되는데, 의료용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금속장비들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갑압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유닛체어(1)의 등받이(320)와 헤드레스트(3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최근의 치과병원에서 감성적으로도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구조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는 상기한 바와 같고, 도 16에는 감성적으로 편안하게 진료 및 처치를 받을 수 있는 유닛체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유닛체어(1)에서 환자가 누워서 머리가 안착되는 부위인 헤드레스트(33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750)이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750)는 상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컴퓨터와 연결되어 편안한 음악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양쪽 귀가 배치되는 부위에 인접하여 헤드레스트(330)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스피커(750)가 헤드레스트(330)에 매립되는 경우 소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스피커홀(7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스피커(750)는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무선연결 즉,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750)은 일반적인 떨림판이 마련되는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지만, 진동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 진동스피커는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하는 장치이며, 스피커의 떨림판에 대응하여 질량을 제공하여 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웨이트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스피커의 진동대역폭을 다양하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진동스피커는 헤드레스트(330)에 매립된 상태에서 머리를 통해 진동으로 음악 등의 음향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320)는 안마기구(7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320)의 안마기구(700)는 환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안마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데, 모터와 제어기판이 배치되는 구동제어부(710),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지지축(720) 및 상하지지축(720)의 좌우에 각각 배열되어 회동하는 회동부(73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730)는 각각 척추부위의 양측에서 회동하는 편심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회전에 따라 안마기능을 하게 된다. 상하지지축(7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730)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등 전반에 걸쳐서 고른 안마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진료용 브라켓(200)에 지지되는 키보드(600) 또는 조작패널(12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헤드레스트(330) 부위에도 안마기구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는 자동마취장치가 무선방식으로 구비되고 거치대에 자동적인 충전이 가능한 소정의 마취장치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특히 충전을 위하여 불필요한 시간을 소모할 필요성이 없이 거치시에 자동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제어 및 충전을 위한 케이블이 생략되므로 안정성과 마취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닛체어 본체내부에 구비되는 컴퓨터와 진료용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는 입력장치 및 롤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출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진료와 치료가 가능한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가 제공된다.
또한, 스피커와 안마기구와 같은 편의장치가 체어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환자의 안심감을 향상시켜 치료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유닛체어 110...본체
111...타구대 117...조명기구
120...프레임 121...조작패널
130...거치대 135...진료장비 거치홈
136...진료장비 180...디스플레이
181...롤디스플레이 190...마취장치 거치부
191...안내부 192...고정부
193...단자부 194...저면부
195...삽입부 200...진료용 브라켓
300...체어부 310...좌판
315...베이스부 320...등받이
330...헤드레스트 401...케이블
410...자동마취장치 480...충전부
481...홈부 500...니들제거기
600...키보드 610...트랙볼
700...안마기구 710...구동제어부
720...상하지지축 730...회동부
750...스피커 760...스피커홀
111...타구대 117...조명기구
120...프레임 121...조작패널
130...거치대 135...진료장비 거치홈
136...진료장비 180...디스플레이
181...롤디스플레이 190...마취장치 거치부
191...안내부 192...고정부
193...단자부 194...저면부
195...삽입부 200...진료용 브라켓
300...체어부 310...좌판
315...베이스부 320...등받이
330...헤드레스트 401...케이블
410...자동마취장치 480...충전부
481...홈부 500...니들제거기
600...키보드 610...트랙볼
700...안마기구 710...구동제어부
720...상하지지축 730...회동부
750...스피커 760...스피커홀
Claims (5)
- 환자가 앉는 체어부;
상하좌우로 회동 가능한 복수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진료장비거치홈이 형성되어 처치장비들이 거치되는 거치대;
전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마취액이 주입되며, 파지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자동마취장치; 및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외주면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고 충전부에 외부전력을 공급하는 단자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저면부를 구비하는 마취장치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취장치 거치부는, 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안내부의 내벽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자동마취장치의 거치시 정확한 충전 위치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며, 저면부가 거치대의 저부에서 하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고정부의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저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단측의 폭이 상기 손잡이부의 폭과,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엄지와 검지의 폭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9872A KR101512026B1 (ko) | 2013-01-29 | 2013-01-29 |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9872A KR101512026B1 (ko) | 2013-01-29 | 2013-01-29 |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6812A KR20140096812A (ko) | 2014-08-06 |
KR101512026B1 true KR101512026B1 (ko) | 2015-05-21 |
Family
ID=5174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9872A KR101512026B1 (ko) | 2013-01-29 | 2013-01-29 |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20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69281B (zh) * | 2018-08-14 | 2021-01-05 | 青岛市黄岛区中心医院 | 一种拔智齿机器人 |
CN109381777B (zh) * | 2018-11-29 | 2023-11-03 |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多功能麻醉科用辅助麻醉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6035A (ja) * | 1998-02-16 | 1999-08-24 | Morita Mfg Co Ltd | 歯科診療システム |
KR100746188B1 (ko) * | 2007-01-24 | 2007-08-08 | 박태순 | 보급형 자동마취주입기의 충전용 거치대 겸용 마취액 앰플워머 유니트 |
JP2010200999A (ja) * | 2009-03-04 | 2010-09-16 | Morita Mfg Co Ltd | 診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診療用ユニット及びアダプタ |
KR20120133442A (ko) * | 2011-05-31 | 2012-12-11 | 염현철 | 치과용 유닛체어 |
-
2013
- 2013-01-29 KR KR1020130009872A patent/KR1015120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6035A (ja) * | 1998-02-16 | 1999-08-24 | Morita Mfg Co Ltd | 歯科診療システム |
KR100746188B1 (ko) * | 2007-01-24 | 2007-08-08 | 박태순 | 보급형 자동마취주입기의 충전용 거치대 겸용 마취액 앰플워머 유니트 |
JP2010200999A (ja) * | 2009-03-04 | 2010-09-16 | Morita Mfg Co Ltd | 診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診療用ユニット及びアダプタ |
KR20120133442A (ko) * | 2011-05-31 | 2012-12-11 | 염현철 | 치과용 유닛체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6812A (ko) | 2014-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721004B (zh) | 超声监护小儿外科手术护理台 | |
KR101462438B1 (ko) | 약물 주입 장치 | |
WO2005122740A3 (en) | Interferential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nd apparatus | |
KR101512026B1 (ko) |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유닛체어 | |
KR101370430B1 (ko) | 치과용 마취액 주입 장치의 앰플 홀더 및 이를 포함한 치과용 마취액 주입 장치 | |
KR20120133442A (ko) | 치과용 유닛체어 | |
CA2984327A1 (en) | Reducing pain of skin piercing using vibration | |
CN110811631B (zh) | 一种麻醉科用测痛仪装置 | |
CN105705178B (zh) | 药物注射装置 | |
CN208838769U (zh) | 一种手术床用麻醉注射装置 | |
KR101187636B1 (ko) | 자동마취장치 일체형 치과용 유닛 체어 | |
CN113786252B (zh) | 一种口腔种植螺丝刀把持器 | |
CN109248356A (zh) | 一种高效麻醉针 | |
CN205560378U (zh) | 一种外科腹腔手术灯 | |
KR20180071213A (ko) | 자동 주사 장치 및 자동 주사 시스템 | |
CN214971157U (zh) | 肢体疼痛治疗仪的治疗笔 | |
KR20050113057A (ko) | 근관장 측정시스템 | |
CN1322841C (zh) | 防止手术患者舌后坠的装置 | |
CN209932771U (zh) | 一种带放松功能的焦虑数字评分尺 | |
CN105748122A (zh) | 手术缝针保管计数装置 | |
KR20170003202A (ko) | 약물 주입 장치 | |
CN104645496A (zh) | 骨科电针麻醉机 | |
WO2021249211A1 (zh) | 一种治疗笔、主机及肢体疼痛治疗仪 | |
CN219323526U (zh) | 一种便于操作的牙科综合治疗机 | |
EP2698140A1 (en) | Light guide type pain relie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