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387B1 -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387B1
KR101511387B1 KR20090000503A KR20090000503A KR101511387B1 KR 101511387 B1 KR101511387 B1 KR 101511387B1 KR 20090000503 A KR20090000503 A KR 20090000503A KR 20090000503 A KR20090000503 A KR 20090000503A KR 101511387 B1 KR101511387 B1 KR 10151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user
changing
combination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190A (ko
Inventor
조상규
조택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3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의 컴포넌트 제공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컴포넌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사용자 지시 접수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성능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텔레비전, 플랫폼

Description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 방법{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HANGING COMPONENT AND COMPONENT CHAN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컴포넌트를 변경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컴포넌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는 텔레비전 신호의 전송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방식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방식으로 구분된다.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 형태의 텔레비전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기 때문에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원래의 영상의 재현이 어렵다. 반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전송하기 때문에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래의 영상의 재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최근의 영상 정보의 압축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가 좁은 대역폭을 통해서도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 비하여 많은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텔레비전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수를 증가시킨다.
디지털 방송 기술의 급진적인 발전 및 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 및 셋톱 박스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기존의 디지털 방송의 수신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변화하는 환경과 사용자의 증가하는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기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조사는 출시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추구한다. 그런데, 비교적 긴 사용기간(예 : 10년)을 가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특성상, 제품의 출시 시점에 예상되거나 요구되는 부가 기능과, 제품의 구입 후 상당 시간이 지난 시점에 요구되는 부가 기능이 다를 수 밖에 없다. 또한,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이나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와의 계약 관계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조사가 제공할 수 없는 부가 기능도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털 텔레비전의 플랫폼(OS)을 오픈 플랫폼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오픈 플랫폼의 컴포넌트는 별다른 조치없이 상기 오픈 플랫폼 상에서 원할하게 실행되어야 하나, 실제로는 내부 프로그램 코드간 충돌 등 많은 트러블이 존재한다.
한편, 부가기능을 설치한 후에도 그로 인한 디지털 텔레비전의 성능 저하나, 부가 기능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사용자의 취향에 맞지 않아, 사용자가 원상 복 구를 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포넌트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설치시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를 변경하기 전에 미리 그 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가 경솔하게 해당 컴포넌트의 변경을 수행한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체 성능이 저하되거나, 장치/컴포넌트간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컴포넌트를 변경하고 나서 해당 기능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사용자의 미감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컴포넌트의 변경에 대한 결과를 미리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의 컴포넌트 제공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컴포넌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사용자 지시 접수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성능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의 컴포넌트 제공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컴포넌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사용자 지시 접수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화면 모습을 담은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스템 이미지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컴포넌트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오픈 플랫폼을 구비하며,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오픈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시스템 이미지는 상기 오픈 플랫폼 상에 상기 컴포넌트가 설치된 상태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방법은,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컴포넌트 선택을 접수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성능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설치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컴포넌트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방법은,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컴포넌트 선택을 접수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화면 모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설치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컴포넌트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동작 화면 모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화면에 대한 다수개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오픈 플랫폼을 구비하며,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오픈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시스템 이미지는 상기 오픈 플랫폼 상에 상기 컴포넌트가 설치된 상태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성능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변경 전 컴포넌트 조합 및 변경 후 컴포넌트 조합에 대한 CPU 점유율 및 메모리 점유율을 나타낼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는, 삭제할 컴포넌트를 삭제하는 단계; 추가할 컴포넌트를 컴포넌트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받은 컴포넌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포넌트 조합에 따른 시스템 이미지를 컴포넌트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받은 시스템 이미지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스템 이미지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또는 컴포넌트 변경 방법을 실시함에 의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의 변경 전에 사용자가 컴포넌트 변경에 따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를 변경하기 전에 미리 그 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영체제를 플랫폼이라 칭하며, 상기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으로서 디지털 텔레비전의 부가기능을 위한 것들을 컴포넌트라 칭하겠다.
한편, 상기 플랫폼 및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드웨어층 상부에 형성된 소프트웨어층 전체에 대한 소프트웨어 형태의 이미지를 시스템 이미지라 칭하겠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버튼이나 리스트 항목을 이용하여 지시를 내릴 수 있는데, 이는 리모컨 등에 구비되는 화살표 키 조합(또는 네비게이션 키)이나, 트랙볼과 터치 스크린과 같은 포인팅 동작 접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시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0); 외부의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150); 컴포넌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사용자 지시 접수부(120); 상기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방영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LCD, PDP)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 른 컴포넌트 변경 방법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해당 메뉴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경우 유/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의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부(150)는, 외부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지시 접수부(120)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기능을 제어하는 리모컨 및 리모컨 신호의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메뉴 선택의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리모컨에는, 터치패드나 조이스틱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포인팅 동작 접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보조 메모리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저장된 컴포넌트들은, 독립된 컴포넌트 SW 블록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고, 플랫폼과 통합된 시스템 이미지화 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일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처리 동작의 경우 전용 칩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40)는 이러한 이미지 처리 전용 칩과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CPU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CPU의 동작을 위해 CPU의 내부 또는 별도의 칩으로서 메인 메모리(예 : RAM)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 제어 기능,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시스템 이미지의 교체를 수행하는 기능, 컴포넌트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기능, 상기 외부의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와 접속을 제어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성능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하는 기능 및/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동작 화면 모습을 담은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오픈 플랫폼을 구비하며,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오픈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시스템 이미지는, 상기 오픈 플랫폼 상에 상기 컴포넌트가 설치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오픈 플랫폼을 가진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 기능은, 사용자 또는 AS 수행자에 의해, 제품의 출시 후에도 용이하게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오픈 플랫폼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보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의 제조사 외 다른 이들도 용이하게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시한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제공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저장하는 컴포넌트 DB; 및/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플랫폼 및 상기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된 시스템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시스템 이미지 DB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한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는, 선택한 컴포넌트들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설치되었을 때의 화면 모습을 표현한 시뮬레이션 픽쳐들을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픽쳐 D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부터 컴포넌트 제공 요청을 접수받으면, 해당 컴포넌트를 상기 컴포넌트 DB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전송한다.
또는, 상기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는, 상기 컴포턴트 제공 요청을 발신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상기 컴포넌트가 원활히 실행될 것인가를 판단하여, 컴포넌트 보다는 시스템 이미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해당 시스템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로 전송한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컴포넌트 변경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컴포넌트 제공 방법은,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10); 사용자의 컴포넌트 선택을 접수하는 단계(S125);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설치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에 따라, 상기 S125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상의 항목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S115); 및 상기 항목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S125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컴포넌트 선택에 따라 다음으로 선택가능한 컴포넌트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로, 컴포넌트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상태를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설치한 경우의 성능 변화를 예측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성능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상태를 통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설치한 경우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화면 모습을 담은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하여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간략한 형태로 구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대표적인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예 : 캡춰 영상)에,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에 포함된 미리보기 픽쳐를 덮어서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실제와 근사한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는를,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포넌트 제공 서버(20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사양 정보를 상기 컴포넌트 제공 요청과 함께 입력받아, 이에 부합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자신의 시뮬레이션 픽쳐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의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는, 추가 선택된 컴포넌트를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삭제 선택된 컴포넌트를 삭제하는 단계(S190); 및/또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플랫폼 상에 상기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된 형태의 시스템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 이것으로 시스템 이미지를 교체하는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컴포넌트의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컴포넌트 조합에 부합하는 시스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컴포넌트 제공 서버에서 검색하는 단계(S160); 부합하는 시스템 이미지가 존재하면(S165), 사용자에게 시스템 이미지의 교체를 문의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교체에 대한 사용자의 승낙이 있으면(S175), 상기 S180 단계를 수행하고, 승낙이 없으면 상기 S190 단계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컴포넌트 변경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컴포넌트 변경 방법은, 설치가능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5); 사용자의 컴포넌트 선택을 접수하는 단계(S210); 상기 컴포넌트 조합을 설치한 경우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성능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25); 사용자의 시뮬레이션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S230); 상기 S210 단계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추가되고 제거되는 컴포넌트들의 조합에 따른 시뮬레이션 픽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40); 상기 시뮬레이션을 감상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컴포넌트들의 조합을 적용할 것을 지시받으면(S260), 상기 컴포넌트들의 조합에 따라 추가되는 컴포넌트들을 다운로드받거나, 또는 상기 컴포넌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스템 이미지를 다운로드받는 단계(S2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6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컴포넌트 조합의 적용을 거부받으면, S205 단계로 복귀한다.
구현에 따라, 상기 S210 단계 이후, 사용자의 컴포넌트 선택에 따라 다음으로 선택가능한 컴포넌트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로, 컴포넌트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컴포넌트 변경 방법의 구성요소들 중 상당 부분은 도 2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4는 상기 S110 단계의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기능을 변경하려는 메뉴로 진입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S110 단계의 부가기능들에 대한 컴포넌트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시한 컴포넌트 리스트는 6개의 추가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리스트의 각 항목은 해당 컴포넌트가 추가되었을 때의 화면 형상을 보여주는 미리보기 픽쳐와, 해당 컴포넌트에 대한 텍스트 설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설명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컴포넌트에 대한 품목 명칭, 메모리 점유 정보, CPU 점유 정보가 기재될 수 있으며,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서는 필요한 HW/SW 조건이 더 기재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점유 정보는, 해당 컴포넌트가 메인 메모리에 로딩될 때의 점유 용량일 수 있다.
상기 CPU 점유 정보는, 해당 컴포넌트가 메인 메모리에 로딩된 후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을 때의 CPU 점유율일 수 있다.
상기 CPU 점유율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CPU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바, 단위 시간당 소요되는 CPU 인스트럭션 개수(상기 CPU 인스트럭션 개수는 CPU의 연산 처리 단위에 대하여 카운트될 수 있다.)로부터 추정되거나, 또는 기준 CPU에 대한 점유율과 상기 기준 CPU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CPU의 성능비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상기 HW/SW 조건은, 해당 컴포넌트를 실행하는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갖춰야할 조건이다.
도 5는 상기 S135 단계의 성능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화면은 크게 4등분되어 있는데, 이중 상부 영역에는 변경전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 조합을 나타내며, 하부 영역에는 변경후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 조합을 나타낸다.
좌 상부 영역에는 변경전 컴포넌트 조합에 따른 리스트를 도시하고, 좌 하부 영역에는 변경후 컴포넌트 조합에 따른 리스트를 도시한다. 각 리스트는 각 컴포넌트 항목들을 아이콘 형태나 작은 대표 화면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아이콘/대표 화면 옆에는, 각 컴포넌트 항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부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 상부 영역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선택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이 썸네일 리스트(R)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우 상부 영역에는 변경전 컴포넌트 조합에 따른 CPU 점유율 및 메인 메모리 점유율을 그래프로 도시하고, 우 하부 영역에는 변경후 컴포넌트 조합에 따른 CPU 점유율 및 메인 메모리 점유율을 그래프로 도시한다. 한편, 상기 우 하부 영역에는좌 하부 영역의 컴포넌트 조합에 따른 시뮬레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보기 버튼(B)을 배치할 수 있다.
도시한 디스플레이화면을 사용자가 보면서, 변경전 후의 컴포넌트 조합의 각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 조합을 변경하였을 때,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성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도 5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도 4의 컴포넌트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컴포넌트 변경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컴포넌트 변경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컴포넌트 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성능 예측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

Claims (10)

  1.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의 컴포넌트 제공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컴포넌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사용자 지시 접수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성능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시스템 이미지의 교체를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5.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컴포넌트 선택을 접수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이 설치되었을 때의 성능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설치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컴포넌트 선택에 따른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변경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예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
    변경 전 컴포넌트 조합 및 변경 후 컴포넌트 조합에 대한 CPU 점유율 및 메모리 점유율을 나타내는 컴포넌트 변경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는,
    삭제할 컴포넌트를 삭제하는 단계;
    추가할 컴포넌트를 컴포넌트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받은 컴포넌트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변경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조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포넌트 조합에 따른 시스템 이미지를 컴포넌트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받은 시스템 이미지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스템 이미지를 교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변경 방법.
KR20090000503A 2009-01-05 2009-01-05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KR10151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503A KR101511387B1 (ko) 2009-01-05 2009-01-05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503A KR101511387B1 (ko) 2009-01-05 2009-01-05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190A KR20100081190A (ko) 2010-07-14
KR101511387B1 true KR101511387B1 (ko) 2015-04-10

Family

ID=4264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0503A KR101511387B1 (ko) 2009-01-05 2009-01-05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3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891A (ko) *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젯형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891A (ko) *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젯형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190A (ko)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6923B2 (en) Announcement of program synchronized triggered declarative objects
US71174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tructure for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95445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 media content flipping
KR100791236B1 (ko) 수신국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자동 실행 방법 및 수신국
US8661367B2 (en) Providing access to parts of contents for network display device
KR100900949B1 (ko) Epg 생성장치 및 epg 생성방법
CN102812721A (zh) 提供通过不同源提供的内容的先前观看列表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显示设备
JP4960175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1367100B1 (ko) 응용 프로그램/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511387B1 (ko)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컴포넌트 변경방법
CN111479144A (zh) 显示设备及应用交互方法
US8578422B2 (en) Process for making services in a list in a television system and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process
GB252524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tored media content
US20100185974A1 (en) Method of presenting a schedule of events
CN113825007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显示设备
KR101447785B1 (ko) 방송 프로그램과 관계가 있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직관적인 유저인터페이스 및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CN111562887B (zh) 显示设备和分区扩容方法
JP7189518B2 (ja) 放送局アプリケーションリモコンキー操作
KR10114165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단말기
EP1919195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206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3602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부가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5123792A (ja) 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13883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메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