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348B1 -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348B1
KR101511348B1 KR20140089920A KR20140089920A KR101511348B1 KR 101511348 B1 KR101511348 B1 KR 101511348B1 KR 20140089920 A KR20140089920 A KR 20140089920A KR 20140089920 A KR20140089920 A KR 20140089920A KR 101511348 B1 KR101511348 B1 KR 10151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inwater
initial
pipe
scree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완
이승수
송현숙
박창선
Original Assignee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2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using already existing parts of the sewer system for runoff-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는 상부 개방구와 하부 개방구가 형성된 초기우수배제관과, 초기우수배제관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볼과, 초기우수배제관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하부 개방구커버와, 초기우수배제관 측면에 형성되어 초기우수배제관에 수용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초기우수배출구를 포함하는 초기우수배제부와, 일측에 빗물유입관이 형성되고, 타측에 빗물유출관이 형성되며, 하부가 초기우수배제관의 상부 개방구에 탈착가능하게 연통되는 스크린바디와, 스크린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는 집수면을 통해 수집된 빗물 중 초기에 수집되는 빗물을 별도의 부력볼이 설치된 초기우수배제부에 저장하여 초기우수배제부에 일정 수량의 빗물이 수집되는 경우 부력볼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기 빗물과 이후의 빗물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입경이 큰 이물질의 경우 하무로 이동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초기우수배제부와 스크린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빗물의 흐름상에 초기우수배제부를 상부에 배치하고 스크린부를 배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EQUIPMENT FOR FILTERING AND TREATING RAINWAT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빗물을 처리하는 분야로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에 내리는 비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빗물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도시집중과 도시의 확장으로 인해 자연환경이 파괴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도시형 홍수와 가뭄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도시형 홍수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환경을 복원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빗물의 저류와 침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기술로 이해되고 있다. 또한, 저류된 빗물은 생활잡용수, 소방용수 등으로 사용되거나, 지하수 함양에도 이용하고 있으며, 재난 발생 시에는 비상 음용수로도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빗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모두 치수에 중심을 두어왔다. 즉, 빗물은 내리자마자 곧바로 하수도를 통해 방류수역으로 신속하게 배제해야하여야 하는 것에만 관심을 두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호우와 도시개발에 의해 이러한 시설은 그 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홍수피해는 점점 늘어가는 실정이며,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면 앞으로 그 피해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은 1,274㎜로 세계평균인 974㎜보다 높지만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1인당 평균 사용량은 2,755㎥으로 세계평균값인 22,096㎥의 12.5%에 불과한 실정이다. UN의 국제인구행동연구소에서는 1인당 연 이용가능 수자원량이 1,000㎥이하이면 물 기근 국가로 분류하고 있으며, 1,000 ~ 1,700㎥는 물 부족 국가, 그 이상인 국가는 물 풍요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물 기근 국가는 싱가포르 및 중동국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자원이 연간 731억㎥이며 1인당 사용 가능량은 1,550㎥로써 영국, 벨기에 등과 함께 물 부족 국가의 범주에 포함되었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강수량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계절적 편차가 크기 때문에 하천유량의 변동이 매우 커 수자원 관리에 불리한 자연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즉, 연 강수량의 2/3가 홍수기인 6 ~ 9월의 장마와 태풍기간에 집중되고, 갈수기인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6개월간은 연강수량의 1/5에 불과하여 연중 고른 강수량을 갖는 외국과는 다르게 홍수와 가뭄이 빈발하는 실정이다.
또한,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이고, 토양의 표토 층이 얇아 유역의 보수능력이 적고, 하천의 경사가 급하여 홍수가 일시에 유출되고 갈수기에는 유출량이 적어 유량변동계수(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가 300 ~ 400 정도로서 외국과 비교하여 10배 이상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빗물의 이용은 개인적 차원에서의 물 절약 외에 사회적 측면에서도 그 필요성이 매우 크므로 향후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빗물이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과 이에 관한 R&D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빗물의 이용에 관한 사회적 필요성에 부합하는 것으로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집수면에서 수집된 빗물 중 초기에 수집되는 빗물을 배제시키고,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10-1294338호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집수면을 통해 수집된 빗물 중 초기에 수집되는 빗물을 별도의 초기우수배제부에 저장하여 초기 빗물을 배제하고 저장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빗물의 수집시 포함되는 낙엽 등과 같은 큰 이물질과 흙 등과 같은 미세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저장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초기우수배제부와 스크린부를 다양한 형태로 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는 상부 개방구와 하부 개방구가 형성된 초기우수배제관과, 초기우수배제관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볼과, 초기우수배제관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하부 개방구커버와, 초기우수배제관 측면에 형성되어 초기우수배제관에 수용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초기우수배출구를 포함하는 초기우수배제부와,
일측에 빗물유입관이 형성되고, 타측에 빗물유출관이 형성되며, 하부가 초기우수배제관의 상부 개방구에 탈착가능하게 연통되는 스크린바디와, 스크린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초기우수배제관의 상부 개방구의 내면에는 부력볼이 상승하는 경우, 부력볼의 외면과 맞닿아 상부 개방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부력볼의 일측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스크린바디의 하부에는 스크린바디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플랜지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플랜지는 초기우수배제관의 상부 개방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1플랜지의 내면에는 부력볼이 상승하는 경우, 부력볼의 외면과 맞닿아 스크린바디의 하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부력볼의 일측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제1플랜지는 상하로 연장되어 부력볼이 스크린바디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경우, 스크린과 부력볼 사이에 빗물 및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스크린은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개방부와 하단개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빗물유입관은 스크린의 상단개방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빗물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은 스크린의 상단개방부를 통해 스크린으로 유입되며, 빗물유출관은 스크린의 측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스크린을 통과한 빗물이 빗물유출관을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빗물유입관의 스크린 방향의 단부의 중심선은 스크린의 중심에서 이격 형성되어, 빗물유입관을 통해 스크린의 상단개방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스크린부재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스크린부재의 상부에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가 형성되고, 스크린바디의 내면에는 연장플랜지가 상부에 안착되는 스크린안착편이 형성되고, 스크린부재의 하단개방부와 연접하는 스크린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스크린지지편은 스크린바디의 내면에서 스크린바디의 중앙측으로 돌출된 제1지지편과 제1지지편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단개방부와 연접하는 제2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스크린바디는 빗물유입관이 형성되는 제1스크린바디와, 빗물유출관이 형성된 제2스크린바디로 구성되며, 제1스크린바디는 제2스크린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제2스크린바디의 상부에는 제1스크린바디가 삽입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제2플랜지에는 빗물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장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는 집수관에 연통된 초기 빗물 필터링장치로서, 일측에 집수관과 연통된 빗물유입관이 형성되고, 타측에 빗물유출관이 형성되며, 하부가 초기우수배제관의 상부 개방구에 탈착가능하게 연통되는 스크린바디와, 스크린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부와, 집수관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부 개방구와 하부 개방구가 형성된 초기우수배제관과, 초기우수배제관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볼과, 초기우수배제관 하부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하부 개방구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는 집수면을 통해 수집된 빗물 중 초기에 수집되는 빗물을 별도의 부력볼이 설치된 초기우수배제부에 저장하여 초기우수배제부에 일정 수량의 빗물이 수집되는 경우 부력볼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기 빗물과 이후의 빗물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입경이 큰 이물질의 경우 하부로 이동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초기우수배제부와 스크린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빗물의 흐름상에 초기우수배제부를 상부에 배치하고 스크린부를 배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기우수배제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빗물유입관 및 빗물유출관의 도시한 개념도 및 스크린을 통해 빗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기우수배제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스크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빗물유입관 및 빗물유출관의 도시한 개념도 및 스크린을 통해 빗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인 도 1을 참조하면, 집수면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중 초기에 유입되는 빗물을 분리, 저장하는 초기우수배제부(200)와, 빗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200)로 구성된다.
초기우수배제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볼(120)을 이용하여 스크린부(200)의 빗물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된 빗물 중 초기 빗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초기 빗물이 유입되는 상부 개방구(111)와 하부 개방부(113)이 상하에 형성된 초기우수배제관(110)과,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부에 수용된 부력볼(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초기우수배제관(110)의 하부 개방구(113)에는 상부 개방구(111)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초기우수배제관(110)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개방구커버(130)가 결합된다. 이때 초기우수배제관(110)의 측면에는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부와 연통된 초기우수배출구(140)가 형성되며, 초기우수배출구(140)에는 초기우수배출구(140)를 개폐시키는 우수배출구커버(141)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초기우수배제관(110)에 수용된 빗물은 초기우수배제관(110)의 크기, 집수면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양 등에 따라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비가 오기 시작한 후 약 10분 정도의 시간동안 집수면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므로 초기우수배제관(110)에는 낙엽, 모래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비가 그친 뒤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부에 수용된 빗물을 배출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하부 개방구(113) 및 초기우수배출구(140)로 하부 개방구(113)에 결합된 하부개방구커버(130)를 분리하는 경우 낙엽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부력볼(120)을 초기우수배제관(110)에서 꺼내 세척할 수 있으며 간이하게는 초기우수배출구(140)의 우수배출구커버(141)를 분리하여 초기우수배출관(110) 내부의 이물질 및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초기우수배제관(110)의 하부 개방구(113)와 초기우수배출구(140)에 결합된 하부 개방구커버(130)와 우수배출구커버(141)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초기우수배제관(110)의 상부 개방구(111)에는 상부 개방구(210)와 연통되는 스크린바디(210)가 결합되며, 스크린바디(210)의 일측과 타측에는 도 1과 같이 집수면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관(211)과 유입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빗물유출관(213)이 형성되며, 스크린바디(210)의 내부에는 빗물유입관(211)으로부터 유입된 빗물 내부의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220)이 배치된다. 따라서 빗물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된 빗물은 스크린(220)을 지나며 필터링이 되어 빗물유출관(213)으로 유출되게 되며, 이렇게 빗물유출관(213)을 통해 유출된 빗물은 빗물저장탱크(도면 미도시)에 저장되어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스크린바디(210)의 상부는 스크린바디(210)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220)의 세척, 교환 등을 위하여 도 1과 같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크린바디(210)의 상부가 개방되는 경우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바디커버(230)를 이용하여 개방된 스크린바디(21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100)를 통해 초기 빗물이 초기우수배제관(110)으로 유입되면 유입된 빗물에 의해 부력볼(120)은 상승을 한다. 이때,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면에는 도 2와 같이 걸림편(115)이 형성되며, 상승된 부력볼(120)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스크린부(100)를 통해 더 이상의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초기 빗물이 빗물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편(11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부력볼(120)이 상승하여 걸림편(115)과 맞닿는 경우, 부력볼(120)의 외면과 걸림편(115)이 밀착되어 초기우수배제관(110)에 수용된 빗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부력볼(12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부력볼(120)이 구 형상인 경우, 걸림편(115)의 단면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바디(210)의 하부에는 스크린바디(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플랜지(215)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초기우수배제관(110)의 상부 개방구(1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면에는 걸림편(115)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과 같이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면에 형성된 걸림편(115) 대신 제1플랜지(215)의 내면에 상승하는 부력볼(120)의 외면과 맞닿아 스크린바디(210)의 하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걸림편(215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편(215a)은 초기우수배제관(110)의 걸림편(115)와 같이 부력볼(120)의 일측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걸림편(21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4를 참조하면, 부력볼에 의해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부에 수용된 빗물이 부력볼(120)에 의해 스크린부(200)와 차단된 경우에도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플랜지(215)는 상하로 연장되어 이물질수용공간(217)을 형성한다.
또한, 스크린(220)이 보다 견고하게 스크린바디(2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스크린부(220)의 상부에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221d)가 형성되고, 스크린바디(210)의 내면에는 연장플랜지(221d)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스크린안착편(219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크린바디(210)의 내면 하부에는 스크린부재(221)의 하단개방부(221b)와 연접하는 스크린지지편(219b)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스크린안착편(219a)와 스크린지지편(219b)가 형성되는 경우 스크린(22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빗물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스크린(220)이 스크린바디(210) 내부에서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지지편(219b)은 스크린바디(210)의 내면에서 스크린바디(210)의 중앙측으로 돌출된 제1지지편(219b-1)과 제1지지편(219b-1)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단개방부(221)와 연접하는 제2지지편(219b-2)으로 구성되어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되는 경우, 후술할 스크린(220)의 관통공(221c)을 관통한 빗물이 스크린바디(210)의 내면과, 제1지지편(219b-1), 제2지지편(219b-2) 사이에서 임시로 저장되어 빗물유출관(213)을 통해 유출될 수 있어, 스크린(220)의 관통공(221c)을 통과하지 못한 빗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스크린부(200) 내에 설치된 스크린(220)은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개방부(221a)와 하단개방부(221b)가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221c)이 형성된 스크린부재(221)로 구성된다. 즉,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관통공(221c)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단개방부(221a)를 통해 스크린부재(221)의 내면으로 유입된 빗물은 스크린부재(221)의 관통공(221c)에 의하여 이물질과 빗물로 분리되며, 이물질은 하단개방부(221b)를 통해 스크린(220) 하단으로 떨어지게 된다.
스크린(220)의 상단개방부(221a)로 빗물이 유입되기 위해서는 빗물유입관(2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20)의 상단개방부(221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빗물유출관(223)은 스크린(220)의 측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빗물유입관(211)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은 스크린(220)의 관통공(221c)을 통과하여 스크린(220)의 측면에 형성된 빗물유출관(213)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스크린(2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21c)을 통과한 빗물은 지체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빗물유입관(211)의 스크린(200) 방향의 단부의 중심선(L)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중심(C)에서 이격 형성되어, 빗물유입관(211)을 통해 상기 스크린(220)의 상단개방부(221)로 유입되는 빗물이 스크린부재(221)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며 스크린부재(221)의 관통공(221c)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 빗물유입관(221)을 통해 스크린(220)으로 유입된 빗물을 보다 많은 면적에서 관통공(221c)과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바디(210)는 빗물유입관(211)이 형성되는 제1스크린바디(210-1)와, 빗물유출관(213)이 형성된 제2스크린바디(210-2)로 구성되며, 제1스크린바디(210-1)는 제2스크린바디(210-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빗물유입관(211)과 빗물유출관(213)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므로,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장치가 설치되는 작업환경에 따라 빗물유입관(211)과 빗물유출관(213)의 상대적인 각도를 조절하며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도 7과 같이 제1스크린바디(210-1)의 하단부와 제2스크린바디(210-2)가 접하는 위치에 도 7과 같이 상호 치합되는 치형 또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빗물유입관(211)과 빗물유출관(213)의 조절된 각도가 변경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스크린바디(210-2)의 상부에는 제1스크린바디(210-1)가 삽입되는 제2플랜지(210-2a)를 형성하고, 제2플랜지(210-2a)에는 빗물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장홀(210-2b)이 될 수도 있으며, 제2플랜지(210-2a)의 상단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스크린바디커버(230)가 제2플랜지(210-2a)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스크린바디커버(230)가 제2플랜지(210-2a)에 체결되는 경우, 스크린바디커버(230)가 제1스크린바디(210-1)의 상단을 가압하여 빗물유입관(211)과 빗물유출관(213)의 조절된 각도가 변경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8을 참조하면 집수관(10)과 연통된 빗물유입관(211)을 결합하고, 집수면(도면 미도시)과 빗물유입관(211) 사이의 집수관(10)에 초기우수배제관(110)을 연통 형성하여 초기우수배제관(110)에 저장되는 초기 빗물이 스크린부(200)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초기우수배제관(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바로 초기우수배관(110) 내부에 저장이 되므로 스크린(220)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린바디(210)의 하단 개방구에는 커버(250)가 결합되어 빗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초기우수배제부 : 100 초기우수배제관 : 110
상부 개방구 : 111 하부 개방구 : 113
걸림편 : 115 부력볼 : 120
하부 개방구커버 : 130 초기우수배출구 : 140
스크린부 : 200 스크린바디 : 210
제1스크린바디 : 210-1 제2스크린바디 : 210-2
제2플랜지 : 210-2a 장홀 : 210-2b
빗물유입관 : 211 빗물유출관 : 213
제1플랜지 : 215 걸림편 : 215a
스크린안착편 : 219a 제1지지편 : 219b-1
제2지지편 : 219b-2 스크린지지편 : 219b
스크린바디 : 210 스크린 : 220
스크린부재 : 221 상단개방부 : 221a
하단개방부 : 221b 관통공 : 221c
연장플랜지 : 221d 제2플랜지 : 210-2a
장홀 : 210-2b

Claims (12)

  1. 상부 개방구(111)와 하부 개방구(113)가 형성된 초기우수배제관(110);
    상기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볼(120);
    상기 초기우수배제관 하부 개방구(113)를 개폐시키는 하부 개방구커버(130); 및
    상기 초기우수배제관(11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초기우수배제관(110)에 수용된 빗물을 배출시키는 초기우수배출구(140)를 포함하는 초기우수배제부(100)와,
    일측에 빗물유입관(2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빗물유출관(213)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초기우수배제관(110)의 상부 개방구(111)에 탈착가능하게 연통되는 스크린바디(210); 및
    상기 스크린바디(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유입관(211)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220)을 포함하는 스크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배제관(110)의 상부 개방구(111)의 내면에는 상기 부력볼(12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부력볼(120)의 외면과 맞닿아 상기 상부 개방구(111)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볼(120)의 일측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걸림편(115)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바디(210)의 하부에는 상기 스크린바디(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플랜지(215)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215)는 상기 초기우수배제관(110)의 상부 개방구(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플랜지(215)의 내면에는 상기 부력볼(12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부력볼(120)의 외면과 맞닿아 상기 스크린바디(210)의 하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볼(120)의 일측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걸림편(21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215)는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부력볼(120)이 상기 스크린바디(210)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경우, 상기 스크린(220)과 부력볼(120) 사이에 빗물 및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수용공간(2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20)은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개방부(221a)와 하단개방부(221b)가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221c)이 형성된 스크린부재(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관(211)은 상기 스크린(220)의 상단개방부(221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빗물유입관(211)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은 상기 스크린(220)의 상단개방부(221)를 통해 스크린(220)으로 유입되며,
    상기 빗물유출관(213)은 상기 스크린(220)의 측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220)을 통과한 빗물이 상기 빗물유출관(213)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관(211)의 상기 스크린(200) 방향의 단부의 중심선(L)은 상기 스크린의 중심(C)에서 이격 형성되어, 상기 빗물유입관(211)을 통해 상기 스크린(220)의 상단개방부(221)로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스크린부재(221)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221)의 상부에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221d)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바디(210)의 내면에는 상기 연장플랜지(221d)가 상부에 안착되는 스크린안착편(219a)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부재(221)의 하단개방부(221b)와 연접하는 스크린지지편(219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지지편(219b)은 상기 스크린바디(210)의 내면에서 상기 스크린바디(210)의 중앙측으로 돌출된 제1지지편(219b-1)과 상기 제1지지편(219b-1)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단개방부(221)와 연접하는 제2지지편(219b-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바디(210)는 상기 빗물유입관(211)이 형성되는 제1스크린바디(210-1)와, 상기 빗물유출관(213)이 형성된 제2스크린바디(210-2)로 구성되며,
    상기 제1스크린바디(210-1)는 상기 제2스크린바디(210-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바디(210-2)의 상부에는 상기 제1스크린바디(210-1)가 삽입되는 제2플랜지(21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210-2a)에는 상기 빗물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장홀(210-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12. 집수관에 연통된 초기 빗물 필터링장치로서,
    일측에 집수관(10)과 연통된 빗물유입관(2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빗물유출관(213)이 형성되며, 하부가 초기우수배제관(110)의 상부 개방구(111)에 탈착가능하게 연통되는 스크린바디(210); 및
    상기 스크린바디(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유입관(211)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220)을 포함하는 스크린부(200)와,
    상기 스크린바디(210)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개방구(111)와 하부에 하부 개방구(113)가 형성된 초기우수배제관(110);
    상기 초기우수배제관(110) 내부에 수용되는 부력볼(120);
    상기 초기우수배제관 하부 개방구(113)를 개폐시키는 하부 개방구커버(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KR20140089920A 2014-07-16 2014-07-16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KR10151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920A KR101511348B1 (ko) 2014-07-16 2014-07-16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920A KR101511348B1 (ko) 2014-07-16 2014-07-16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348B1 true KR101511348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9920A KR101511348B1 (ko) 2014-07-16 2014-07-16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3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88B1 (ko) * 2015-11-02 2017-04-03 (주) 하나환경 초기 우수 재활용을 위한 처리 장치
KR101803771B1 (ko) * 2017-02-09 2017-12-01 주식회사 예평이앤씨 초기빗물의 처리시설과 그 처리방법
CN107859090A (zh) * 2017-10-13 2018-03-30 浙江德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初期雨水弃流装置
CN111926650A (zh) * 2020-09-14 2020-11-13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海绵城市路面雨水回收再利用系统
CN113356338A (zh) * 2021-06-17 2021-09-07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浮球式初期雨水截流井
KR102643814B1 (ko) * 2023-06-13 2024-03-06 (주)명보피앤씨 교량형 초기우수처리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81U (ja) * 1983-07-18 1985-02-07 株式会社 日東コンクリ−ト工業所 雨水桝
JPS6150176U (ko) * 1984-08-31 1986-04-04
JPS6294175U (ko) * 1985-11-29 1987-06-16
JP4445168B2 (ja) 2001-09-14 2010-04-07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雨水浸透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81U (ja) * 1983-07-18 1985-02-07 株式会社 日東コンクリ−ト工業所 雨水桝
JPS6150176U (ko) * 1984-08-31 1986-04-04
JPS6294175U (ko) * 1985-11-29 1987-06-16
JP4445168B2 (ja) 2001-09-14 2010-04-07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雨水浸透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88B1 (ko) * 2015-11-02 2017-04-03 (주) 하나환경 초기 우수 재활용을 위한 처리 장치
KR101803771B1 (ko) * 2017-02-09 2017-12-01 주식회사 예평이앤씨 초기빗물의 처리시설과 그 처리방법
CN107859090A (zh) * 2017-10-13 2018-03-30 浙江德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初期雨水弃流装置
CN111926650A (zh) * 2020-09-14 2020-11-13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海绵城市路面雨水回收再利用系统
CN111926650B (zh) * 2020-09-14 2021-07-20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海绵城市路面雨水回收再利用系统
CN113356338A (zh) * 2021-06-17 2021-09-07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浮球式初期雨水截流井
KR102643814B1 (ko) * 2023-06-13 2024-03-06 (주)명보피앤씨 교량형 초기우수처리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348B1 (ko) 초기 우수 처리 및 필터링 장치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747899B1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KR101224277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오수 및 계곡수 분리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JP2010090605A (ja) 雨水利用システム
KR101370481B1 (ko)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및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세척방법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101752397B1 (ko) 무동력 초기우수 배제장치
CN213296596U (zh) 一种城市绿地植物滞留带景观结构
KR100953473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우수받이 시스템
KR101879690B1 (ko)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1036019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장치
KR101604465B1 (ko)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CN107514045A (zh) 下凹式绿地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JP3673966B2 (ja) 初期雨水分離装置付き濾過沈殿装置及び連結型貯水槽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783315B1 (ko) 초기빗물을 배제한 빗물 집수 시스템
KR20160058309A (ko) 빗물 저장 시스템
CN204570891U (zh) 一种雨水检查井
KR102310850B1 (ko) 빗물이용시설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KR102095891B1 (ko)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