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194B1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194B1
KR101511194B1 KR20130008036A KR20130008036A KR101511194B1 KR 101511194 B1 KR101511194 B1 KR 101511194B1 KR 20130008036 A KR20130008036 A KR 20130008036A KR 20130008036 A KR20130008036 A KR 20130008036A KR 101511194 B1 KR101511194 B1 KR 10151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payment
merchant
cookie valu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272A (ko
Inventor
신찬식
Original Assignee
(주)원
신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 신찬식 filed Critical (주)원
Priority to KR2013000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1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가맹점 정보를 리드하고, 그 가맹점 정보와 사용자 키 정보를 포함하는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가인증 값을 생성하여 결제사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인증 값에 대한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아, 휴대 단말기를 통한 결제매체인증을 결제사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의 결제매체인증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한 결제매체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제매체인증 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결제매체인증 결과가 제공되면, 그 결제매체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따른 승인 처리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PAYMENT CHANNEL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 단말기의 사양과 기능은 폭발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스마트 폰으로 불리는 고성능의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도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편이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결제채널 관리방법을 명칭으로 하여 제10-2011-0081691호를 출원하였다. 상기 출원 발명은 온-오프라인을 통한 재화 구매시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인증결과정보를 토대로 결제를 이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출원 발명에서는 대면 거래를 위해 가맹점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좀 더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를 통해 대면 거래를 하기 위해서 가맹점 단말기가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결제매체인증을 위한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여야 하므로, 가맹점 단말기에는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레거시(Legacy) 장치에는 적용될 수 없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정보를 결제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다시 제공하여야 하므로, 계산대에서 결제를 위한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이며 계산원이 처리해야 할 업무를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면 결제를 이행하는 서비스를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한편 기존의 대면결제방식은 고객의 신용 및 고객 정보가 가맹점 단말기와 VAN사 시스템을 경유한 후 결제사 시스템까지 전달되므로, 고객의 신용 및 고객 정보가 외부에 유출되거나 노출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
이에 대면결제방식시에도 고객의 신용 및 고객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도 절실히 요망되었다.
또한 기존의 대면거래방식이 가맹점 단말기(클라이언트) 인증방식을 사용함으로서, SAM(secure access module) 등의 적용을 위해 추가로 비용이 발생되었으며, 이는 가맹점 적용시 많은 비용을 요구하여 모바일 카드 발급과 NFC 확대 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대면 거래시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미리 가인증받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이용하여 결제매체의 인증 및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계산대에서의 결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이고 계산원의 업무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근거리 통신은 물론이고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의 형태로도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미 배포되어 있는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서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의 휴대 단말기와 결제사 시스템 사이의 직접 통신을 통해 가승인을 이행한 후에 그에 따른 인증결과에 따라 대면 결제를 이행함으로써, 고객의 신용 및 고객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가맹점 정보를 리드하고, 그 가맹점 정보와 사용자 키 정보를 포함하는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가인증 값을 생성하여 결제사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인증 값에 대한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아, 휴대 단말기를 통한 결제매체인증을 결제사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의 결제매체인증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한 결제매체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제매체인증 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결제매체인증 결과가 제공되면, 그 결제매체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따른 승인 처리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대면 거래시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미리 가인증받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이용하여 결제매체의 인증 및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계산대에서의 결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이고 계산원의 업무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근거리 통신은 물론이고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의 형태로도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미 배포되어 있는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서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휴대 단말기와 결제사 시스템 사이의 직접 통신을 통해 가승인을 이행한 후에 그에 따른 인증결과에 따라 대면 결제를 이행함으로써, 고객의 신용 및 고객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휴대 단말기와 결제사 시스템 사이의 비대면 거래용 서버인증 방식을 대면 거래 방식에 적용하는 차세대 결제 서비스의 근간을 제공하며, SAM 등의 적용에 의한 다맹점 단말기의 비용 추가를 미연에 방지하여, 모바일 카드 발급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대면 거래시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미리 가인증받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이용하여 결제매체의 인증 및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계산대에서의 결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이고 계산원의 업무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근거리 통신은 물론이고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의 형태로도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미 배포되어 있는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서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휴대 단말기와 결제사 시스템 사이의 직접 통신을 통해 가승인을 이행한 후에 그에 따른 인증결과에 따라 대면 결제를 이행함으로써, 고객의 신용 및 고객 정보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휴대 단말기와 결제사 시스템 사이의 비대면 거래용 서버인증 방식을 대면 거래 방식에 적용하는 차세대 결제 서비스의 근간을 제공하며, SAM 등의 적용에 의한 가맹점 단말기의 비용 추가를 미연에 방지하여, 모바일 카드 발급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결제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휴대 단말기(100)와 가맹점 단말기(200)와 결제사 시스템(300)과 결제중계사 시스템(350)과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페이 앱(104)은 물론이고, 과금 또는 결제 등이 요구되는 서비스 앱(102)이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페이 앱(104)과 상기 서비스 앱(102)은 하나의 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비스 앱(104) 및 상기 스마트페이 앱(104)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200)에 부착된 가맹점 정보가 기록된 태그(tag)를 태깅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제공받거나, 사용자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입력받으면,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 및 결제사 시스템(300)에 해당 가맹점 정보 및 결제매체 식별정보, 사용자 키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인증값을 등록함과 아울러 상기 가인증값에 대응되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아 표시하여 안내하고,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결제매체 인증 및 결제승인 과정을 이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가맹점 단말기(200)에 구비된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리더를 통해 리드되어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달리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맹점 정보에는 가맹점 단말기가 처리할 수 있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의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른 결제사 시스템(300) 및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부터의 결제매체인증 요청을 사용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결제사 시스템(300)의 결제매체인증 페이지에 접속하여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정보를 입력하고, 그 인증정보에 따른 결제승인이 이루어지면 그 결제승인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 또는 가맹점 곳곳에는 가맹점 정보가 기록된 태그가 부착되거나,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가 가맹점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가맹점내의 휴대 단말기(100)로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무선통신되거나 뷰잉된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리드하는 등의 방식으로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제공되면, 그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결제사 시스템(300)으로 제공하여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결과, 예를들어 안심클릭 또는 ISP 인증값을 제공받아, 그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결과를 포함하는 승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결제승인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제공받기만 하면, 기존과 동일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결제를 이행함으로써, 가맹점에서의 결제업무를 단순화시킴은 물론이고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승인요청메시지에는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결과와 구매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일시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결제사 시스템(300)은 3D 시큐어 시스템(304)과 ACS 시스템(302)과 승인 시스템(306)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제사 시스템(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의 가인증 요청에 따라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가 가맹점 정보 및 결제매체 식별정보, 사용자 키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인증값을 제공하면, 그 가인증값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그 가인증값을 등록함과 아울러 상기 가인증값에 대한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하여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키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정보이거나,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둔 사용자 식별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진위여부는 상기 결제매체 식별정보와 사용자 키 정보가 미리 서로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사 시스템(300)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포함하는 결제매체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미리 등록된 가인증 값을 토대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유효한지를 체크하고,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유효하면 상기 결제매체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결제매체 인증을 위한 결제매체인증 페이지 접속을 위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에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에 포함된 사용자 키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결제사 시스템(300)은 상기 접속정보로 접속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결제매체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받으며, 그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을 이행하고, 그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결과를 암호화하여 가맹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제사 시스템(300)은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결과를 포함하는 승인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승인요청 메시지를 처리하여 그 승인결과를 가맹점 단말기(200)는 물론이고 해당 휴대 단말기(100)로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가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른 가인증값을 생성하여 결제사 시스템(300)으로 제공하고, 결제사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해당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결제매체 인증을 위한 결제매체인증 페이지 접속을 위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키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100)로 상기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의 수신을 통지하며, 그 휴대 단말기(100)가 그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를 요청하면, 그 결제매체인증 페이지 접속을 위한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상기 결제중계사 시스템(350)는 가맹점 단말기(200)와 결제사 시스템(3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며, 이는 VAN사 시스템 또는 PG(Payment Gateway)사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방법의 절차>
이제 상기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 서비스 과정은 크게 가인증 과정과 결제매체 인증과정과 승인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가인증 과정>
먼저 상기한 결제 서비스 과정 중 가인증 과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대면 거래하고자 하는 가맹점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대면결제를 이행하고자 한다면, 휴대 단말기(100)에 가맹점 정보의 리드를 명령한다(500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서비스 앱(102)은 사용자로부터 가맹점 정보의 리드가 명령되면, 가맹점 단말기(200) 또는 가맹점 곳곳에 부착되어 있는 가맹점 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태깅하거나,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가 전송하는 가맹점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한다(502,504단계). 여기서, 상기 가맹점 정보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해당 [가맹점 단말기가 처리할 수 있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의 형태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즉 가맹점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면 가인증 세션 쿠키값의 형태에는 무선통신 형태, 1차원 바코드의 리드가 가능하면 가인증 세션 쿠키값의 형태에는 1차원 바코드 형태, 2차원 코드의 리드가 가능하면 가인증 세션 쿠키값의 형태에는 2차원 코드 형태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가맹점 정보에 부가된다.
상기 가맹점 정보를 리드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결제방식의 선택을 안내한다(506단계). 상기 결제방식은 신용카드 또는 휴대폰 결제 방식 등이다.
상기의 선택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한 결제방식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서비스 앱은 해당 결제방식으로 가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스마트페이 앱(104)으로 가인증 프로세스의 수행을 요청한다(510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스마트페이 앱(104)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결제매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아울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안내한다(512단계).
상기의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결제매체를 선택함과 아울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514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앱(104)은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는 [가맹점 정보], [결제매체 식별정보], [비밀번호], [스마트페이 앱의 사용자 키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스마트페이 앱(104)은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 전송한다(516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른 가인증 값을 생성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그 가인증 값을 결제사 시스템(300)의 3D 시큐어 시스템(304)을 통해 결제사 시스템(300)의 ACS 시스템(302)으로 제공한다(518,520단계). 상기 가인증 값에는 [가맹점 정보], [결제매체 식별정보], [비밀번호], [스마트페이 앱의 사용자 키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ACS 시스템(302)은 상기 가인증 값에 대한 진위여부를 판별함과 아울러 가인증 값에 대응되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함과 아울러 저장한다(522단계). 여기서, 상기 ACS 시스템(302)에는 가인증 값 및 그에 대응되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저장되며,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가맹점 단말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생성되며, 그 형태로는 1차원 바코드 형식, 2차원 코드 형식 또는 무선 데이터 형식이 있다. 상기한 형태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 정보에 포함된다.
상기 가맹점 세션쿠키값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ACS 시스템(302)은 상기 가인증 결과정보를 3D 시큐어 시스템(304)을 통해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 제공한다(522,524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가인증 결과정보가 수신되면, 그 가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그에 따른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3D 시큐어 시스템(304)을 통해 결제사 시스템(300)의 ACS 시스템(302)으로 요청한다(528,530단계).
그 요청에 따라 ACS 시스템(302)은 상기 가인증결과정보에 대응되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3D 시큐어 시스템(304)을 통해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 제공한다(532,534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수신받아 이를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했던 휴대 단말기(100)의 스마트페이 앱(104)으로 전송하며(536단계), 이때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키 정보를 토대로 식별된 휴대 단말기(100)의 스마트페이 앱(104)과 통신한다.
상기 스마트페이 앱(104)은 상기 가인증 세션 쿠키값이 수신되면(538단계), 이를 서비스 앱(102)으로 전송한다(540단계).
상기 서비스 앱(102)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수신되면(542단계), 그 가인증 세션쿠키값의 수신을 안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가맹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542~546단계). 여기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의 전송방식으로는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표시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의 바코드 리더를 통해 리드되게 하는 것이거나,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 등이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는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제공되면(600단계), 가인증 세션쿠키값에 따른 결제매체 인증 및 승인절차를 수행한다.
<결제매체 인증과정>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은 가맹점 단말기(200)는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과 가맹점 식별정보, 구매정보, 일시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를 결제사 시스템(300)의 3D 시큐어 시스템(304)을 통해 ACS 시스템(302)으로 제공한다(602,604단계).
상기 결제매체인증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ACS 시스템(302)은 상기 결제매체인증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미리 등록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른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3D 시큐어 시스템(304)을 통해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 제공한다(606,608단계). 상기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에는 가인증 세션쿠키값과 가맹점 식별정보, 구매정보, 결제매체인증을 위한 페이지에 대한 결제사 시스템(300)의 접속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를 수신받아, 그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에 포함된 가인증 세션쿠키값에 대응되는 가인증값을 독출하고, 그 가인증값에 포함된 사용자 키 정보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스마트페이 앱(104)으로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의 수신을 통지한다(610단계). 상기 통지는 푸시 노티피케이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의 통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612단계), 그 안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를 요청하면(614단계),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를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로 요청한다(616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키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의 스마트페이 앱(102)으로 제공한다(618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앱(104)은 상기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고, 그 표시된 사용자 결제매체인증 요청정보에 포함된 접속정보로의 접속을 사용자가 요청하면, 그 접속정보에 따라 결제사 시스템(300)이 제공하는 사용자 결제매체인증을 위한 페이지에 접속하고, 그 페이지를 통해 결제매체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결제사 시스템(300)의 ACS 시스템(302)으로 제공한다(620,622단계).
상기 ACS 시스템(302)은 상기 결제매체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받아, 결제매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인증결과를 생성하여 3D 시큐어 시스템(304)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624단계). 상기 인증결과는 안심클릭 또는 ISP 인증값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CS 시스템(302)은 상기 인증결과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로서,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의 결제매체인증에 대한 인증결과가 가맹점 단말기(200)로 제공된다.
<승인과정>
상기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200)가 결제매체인증에 대한 인증결과를 제공받으면,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는 결제매체인증결과를 포함하는 승인요청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승인요청메시지를 결제중계사 시스템(350)을 통해 결제사 시스템의 승인 시스템(306)으로 제공한다(700,702단계).
상기 승인 시스템(306)은 상기 승인요청메시지에 따른 승인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승인결과를 결제중계사 시스템(350)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200)로 제공함과 아울러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400)를 통해 휴대 단말기90100)의 스마트페이 앱(104)로 통지한다(704,706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200)는 상기 승인결과수신에 따라 결제완료처리하고(708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앱(102)은 상기 승인결과수신에 따라 결제완료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페이 앱은 컴퓨팅 가능한 장치에 의해 독취될 수 있는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 휴대 단말기
102 : 서비스 앱
104 : 스마트페이 앱
200 : 가맹점 단말기
300 : 결제사 시스템
302 : ACS 시스템
304 : 3D 시큐어 시스템
306 : 승인 시스템
350 : 결제 중계사
400 :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

Claims (16)

  1.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가, 가맹점 정보를 리드하고, 그 가맹점 정보와 사용자 키 정보를 포함하는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가인증 값을 생성하여 결제사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인증 값에 대한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아, 휴대 단말기를 통한 결제매체인증을 결제사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의 결제매체인증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한 결제매체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제매체인증 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결제매체인증 결과가 제공되면, 그 결제매체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사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따른 승인 처리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형태의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표시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정보에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의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그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사 시스템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 또는 가맹점 곳곳에 부착된 태그를 태깅하여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인증 값이 제공되면 그 가인증 값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인증 값에는 결제매체 식별정보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부여된 사용자 키 정보가 포함되며, 이 두 정보를 토대로 진위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사 시스템이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저장하며,
    상기 결제매체인증 요청을 위해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포함된 결제매체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8.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가, 가맹점 정보를 리드하고, 그 가맹점 정보와 사용자 키 정보를 포함하는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수신되면, 이를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형태의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표시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정보에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의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 또는 가맹점 곳곳에 부착된 태그를 태깅하여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12.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제공되면, 휴대 단말기를 통한 결제매체 인증을 외부로 요청하고, 외부로부터 결제매체인증 결과가 제공되면, 그 결제매체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로 제공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가맹점 단말기;
    가맹점 정보를 리드하고, 그 가맹점 정보와 사용자 키 정보를 포함하는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로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제공되면, 이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가인증 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그 가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가인증 값을 생성하여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가인증 세션쿠키값이 제공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
    상기 가인증 값을 제공받아 그 가인증 값에 대한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페이 서비스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승인 요청 메시지에 따른 승인 처리를 이행하는 결제사 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형태의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표시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인증 세션쿠키값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정보에는 가인증 세션쿠키값의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그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사 시스템은 가인증 세션쿠키값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6.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008036A 2013-01-24 2013-01-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KR10151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036A KR101511194B1 (ko) 2013-01-24 2013-01-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036A KR101511194B1 (ko) 2013-01-24 2013-01-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272A KR20140095272A (ko) 2014-08-01
KR101511194B1 true KR101511194B1 (ko) 2015-04-10

Family

ID=5174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036A KR101511194B1 (ko) 2013-01-24 2013-01-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1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4461A (zh) * 2015-01-13 2016-08-10 天津市阿波罗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刷脸支付代码的生成方法
WO2017003030A1 (ko) * 2015-07-01 2017-01-05 주식회사 우리은행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맹점 금융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19459A1 (ko) * 2020-07-23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라인 인증을 통한 모바일 결제 수행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164B1 (ko) 2003-01-30 2005-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인증/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692A (ko) * 2010-11-30 2012-07-09 (주)원 결제채널 관리방법
KR20120105600A (ko) * 2011-03-10 2012-09-26 신찬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큐알코드 생성 시스템 및 그 활용 방법
KR20120122495A (ko) * 2011-04-29 2012-11-07 (주)원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164B1 (ko) 2003-01-30 2005-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인증/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692A (ko) * 2010-11-30 2012-07-09 (주)원 결제채널 관리방법
KR20120105600A (ko) * 2011-03-10 2012-09-26 신찬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큐알코드 생성 시스템 및 그 활용 방법
KR20120122495A (ko) * 2011-04-29 2012-11-07 (주)원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4461A (zh) * 2015-01-13 2016-08-10 天津市阿波罗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刷脸支付代码的生成方法
CN105844461B (zh) * 2015-01-13 2020-07-07 天津市阿波罗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刷脸支付代码的生成方法
WO2017003030A1 (ko) * 2015-07-01 2017-01-05 주식회사 우리은행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맹점 금융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19459A1 (ko) * 2020-07-23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라인 인증을 통한 모바일 결제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272A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07377B (zh) 用于使用基于交易特定信息的令牌和密码的交易处理的装置和方法
CN107209889B (zh) 多协议交易加密
KR20140125449A (ko) 거래 프로세싱 시스템 및 방법
JP2015513337A (ja) ハブアンドスポークpin確認
KR101706894B1 (ko) 모바일 카드 소지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승인 방법 및 시스템
CN102968717A (zh) 一种电子支付方法、相关设备及系统
JP2014513825A (ja) 安全な2者照合取引システム
JP2014513825A5 (ko)
KR20160030342A (ko) 인터넷 접속 및 대응 단말기를 통해 상업적 웹사이트 상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결제하는 방법
KR20120133706A (ko) 카드 등록 장치 및 그 방법
EP27790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transaction
KR10151119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대면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KR20130009890A (ko) 암호화된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한 단말기를 통한 이차원 코드 스캔, 그것에 기초한 온라인 보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9136B1 (ko) 결제 채널 관리 시스템
KR20130016145A (ko) 암호화된 결제 인증 정보를 포함한 단말기를 통한 이차원 코드 스캔, 그것에 기초한 온라인 보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91979A1 (en) Mobile application integration
KR20120020804A (ko)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120013294A (ko) 패턴 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KR101583718B1 (ko) 결제 시스템에서 카드 거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9003575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 방법
KR20110070842A (ko) 카메라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102177106B1 (ko) 결제 금액 설정이 가능한 카드 결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40065864A (ko) 카드결제 승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2221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KR20150105160A (ko) 스마트 통신 단말기 및 보안영역를 이용한 금융거래 거래전 확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