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066B1 -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066B1
KR101511066B1 KR20140064947A KR20140064947A KR101511066B1 KR 101511066 B1 KR101511066 B1 KR 101511066B1 KR 20140064947 A KR20140064947 A KR 20140064947A KR 20140064947 A KR20140064947 A KR 20140064947A KR 101511066 B1 KR101511066 B1 KR 101511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arm
posts
tubular body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온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온시스
Priority to KR2014006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관리기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관리기의 설치위치를 도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는 도로관리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 상기 복수의 포스트에 개별적으로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관체; 상기 복수의 관체에 개별적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아암; 및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르 한다.

Description

도로관리기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HE ROAD MANAGING DEVICE}
본 발명은 도로관리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가능한 구조를 통해 도로관리기의 설치 내지 고장수리 등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로관리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란 인간이나 차가 다니는 인도와 차도를 포괄하는 길을 의미한다. 도로는 태고로부터 인류와 함께 발전하여, 현대의 자동차 시대에 필요한 고속도로에 이르기까지 근대화 과정을 거쳐왔다. 또한 생산과 유통 등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기능을 다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는 교통체계(交通體系) 중에서 우리의 생활에 중요한 교통시설이며, 도로시설물인 배관 등의 지하시설물, 가로등, 과속단속시스템, 교통정보수집시스템 등의 지상시설물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로에 관한 정보인 도로정보는 도로의 기하구조인 급커브, 급내리막, 사고다발지점, 안개구간, 낙석구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안개구간의 경우는 도로의 일부 지역에서 상습안개지역이 발생되고 있으며, 안개의 발생은 도로상의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가장 위험한 요인이 되어 실제로 안개 발생으로 안전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해 이로 인한 사고 발생 빈도가 높고 연쇄 추돌사고로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자동차의 전방에 안개 등을 장착하여 사용한다든지 비상등을 점멸한다든지 하여 전방시계를 좀더 양호하게 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도 차량의 운행 속도가 매우 떨어지므로 원활한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어 교통 정체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경제적 손실 요인이 되며, 안개가 원천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습 안개 지역에서는 매년 동일한 사고가 반복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안개를 흡입하여 소산하는 안개 소산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에는 도로의 주변에 안개소산장치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사례도 있다.
그리고, 도로의 주변에는 도로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 주변 도로 상황을 알려주는 전광판, 광고판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도로 관리기가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도로 관리기는 도로의 주변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지지포스트 상에 각종 장착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로 관리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는 그 지지구조가 안정적으로 구현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도로 관리기의 설치위치를 가변하기 어려워 그 설치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8014호는 안개소산장치, 센서부, 카메라, 전광판 등과 같은 도로 관리기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 및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를 개시하고 있지만, 도로 관리기의 하면만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개소산장치와 같이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도로 관리기의 경우에는 그 지지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지구조는 수직지지대가 수평지지대에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도로 상황에 대응하여 수직지지대의 장착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므로, 도로 관리기의 설치공간을 폭 넓게 확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설치 위치를 적절히 가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14-0038014 A (2014.03.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도로관리기의 설치 내지 고장수리 등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도로에 인접한 도로관리기의 설치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관리기의 설치위치를 도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는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
상기 복수의 포스트에 개별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관체;
상기 복수의 관체에 개별적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아암; 및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르 한다.
상기 관체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상기 관체의 중공부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관체 및 상기 아암에는 결합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공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아암은 상기 관체에 대해 그 길이가 조절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포스트는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복수의 포스트들 사이에는 크로스부재가 가로질러 설치되며, 복수의 관체는 각 포스트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복수의 관체 및 복수의 아암은 상하방향 및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아암들 사이에는 안개소산장치가 장착되는 장착프레임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관체들 중에서 하측의 관체들 사이에 설치판이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설치판의 일측에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설치판의 타측에는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설치판에 인접하여 전선보호관이 배치되고, 상기 전선보호관은 일측 포스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복수의 아암 중에서 하측의 아암이 그 상측의 아암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컨트롤박스에 대한 설치공간에 레이아웃을 보다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관체의 결합공과 상기 아암의 결합공이 서로 맞춰진 상태에서 체결볼트가 아암의 결합공을 관통한 이후에 상기 관체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아암은 상기 관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체의 결합공은 그 내경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아암의 결합공은 그 내경면이 민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체결볼트의 체결방향은 상기 아암의 결합공 내측에서 상기 관체의 결합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암의 결합공 또는 상기 관체의 결합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공에 자력 너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그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고, 절곡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하며, 상기 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돌기와 상기 아암의 일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체결공 및 상기 아암의 체결공에는 체결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포스트는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일측 포스트의 상단에는 피뢰침이 설치되며, 타측 포스트의 상단에는 전광판 및 카메라 장착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스트에 고정된 관체에 대해 아암이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안개소산장치 및 컨트롤박스 등과 같은 도로 관리기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 관리기의 설치위치를 도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암이 관체의 중공부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아암이 관체의 중공부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된 이후에 아암의 결합공 및 관체의 결합공이 서로 맞춰진 상태에서 결합구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관체 및 포스트에 대한 아암의 길이조절을 정확하게 이루면서도 그 결합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포스트는 복수의 크로스부재에 의해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관체 및 아암을 매우 견고한 지지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개소산장치와 같이 중량이 큰 도로관리기을 매우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측에 위치한 관체들 사이에 설치판이 가로질러 설치됨에 따라 안개소산장치, 통신기기, 카메라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에 대한 설치공간과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의 결합공은 그 내경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아암의 결합공은 그 내경면이 민자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체결볼트의 헤드부가 아암의 중공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의 나사부는 아암의 결합공에 삽입된 이후에 관체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조를 통해, 체결볼트의 헤드부가 아암의 결합공 주변을 가압함과 동시에 체결볼트의 나사부는 관체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체결볼트 만으로도 관체 및 아암을 매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너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관체와 아암의 결합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체결볼트의 헤드부가 아암의 중공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되므로, 체결볼트의 은폐작용에 의해 외관미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의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암의 결합공 또는 관체의 결합공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합공에 자력 너트가 부착됨에 따라 체결볼트를 아암의 결합공 및 관체의 결합공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체결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의해 각 포스트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들을 상하방향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연결부재의 결합돌기에 의해 연결부재와 아암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결합돌기 및 아암의 일단에 상호 대응하는 체결공에 체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연결부재와 아암의 결합강성을 매우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포스트에 피뢰침, 전광판, 카메라 장착대 등이 분산되어 설치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도로 관리기능을 보다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관리기 지지장치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11)와, 복수의 포스트(11)에 개별적으로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관체(13)와, 복수의 관체(13)에 개별적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아암(15)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15)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17)를 포함한다.
복수의 포스트(11)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고, 특히 복수의 포스트(11)는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포스트(11)는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포스트(11)들 사이에는 복수의 크로스부재(12)가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포스트(11)들 사이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포스트(11)들 사이에는 사다리(51)가 설치되고, 사다리(51)는 크로스부재(1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사다리(51)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포스트(11)는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일측 포스트(11)의 상단이 타측 포스트(11)의 상단 보다 낮게 형성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포스트(11)의 상단에는 피뢰침(19a)이 설치되며, 타측 포스트(11)의 상단에는 도로 상황을 알려주거나 각종 광고가 표시되는 전광판(19b) 및 도로 상황을 감시하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대(19c)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포스트(11)에 대해 피뢰침(19a), 전광판(19b), 카메라 장착대(19c) 등이 적절히 분산되어 설치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도로 관리기능을 보다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체(13)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마련된 사각관체 또는 원형 관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체(13)는 포스트(1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된다.
관체(13)의 일단은 도로을 향해 돌출되고, 관체(13)의 타단은 그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관체(13)의 일단은 그 타단에 비해 포스트(11)를 기준으로 도로를 향해 약간 더 돌출된 구조로 설치된다.
아암(15)은 관체(13)의 중공부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그 외경이 관체(13)의 내경 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아암(15)은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15a)가 마련된 사각관체 또는 원형 관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체(13) 및 아암(15)에는 체결볼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공(23, 25)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체(13)의 타단에 복수의 결합공(23)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아암(15)의 타단에 복수의 결합공(25)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아암(15)의 타단이 관체(13)의 중공부(13a)에 그 길이가 조절되면서 삽입된 이후에 아암(15)의 결합공(25)과 관체(13)의 결합공(23)이 서로 맞춰진 상태에서 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아암(15)은 관체(13)에 대해 그 길이가 조절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스트(11)에 고정된 관체(13)에 대해 아암(15)이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안개소산장치(5) 및 컨트롤박스(7) 등과 같은 도로 관리기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 관리기의 설치위치를 도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과 같이 아암(15)의 결합공(25) 및 관체(13)의 결합공(23)이 서로 맞춰지도록 아암(15)이 관체(13)의 중공부(13a)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된 이후에 체결볼트(21) 및 체결너트(31)를 이용하여 아암(15)과 관체(13)를 결합한다. 여기서, 체결볼트(21)를 관체(13)의 외측에서 체결하도록 체결볼트(21)의 헤드부(21a)가 관체(13)의 외측에 위치하고, 체결너트(31)는 아암(15)의 중공부(15a)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암(15)의 결합공(25) 및 관체(13)의 결합공(23)이 각기 복수개로 이루어져 관체(13) 및 포스트(11)에 대한 아암(15)의 길이조절을 정확하게 이루면서도 그 체결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 의하면, 도 7과 같이 관체(13)의 결합공(23)은 그 내경면에 암나사부(23a)가 형성됨과 더불어 아암(15)의 결합공(25)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민자형 관통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체결볼트(21)의 체결방향이 도 6과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볼트(21)의 체결방향은 아암(15)의 결합공(25) 내측에서 관체(13)의 결합공(23)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체결볼트(21)의 헤드부(21a)가 아암(15)의 중공부(15a)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21)의 나사부(21b)는 아암(15)의 결합공(25)에 먼저 삽입된 이후에 관체(13)의 결합공(2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조를 통해, 체결볼트(21)의 헤드부(21a)가 아암(15)의 결합공(25) 주변을 가압함과 동시에 체결볼트(21)의 나사부(21b)는 관체(13)의 결합공(23)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체결볼트(21) 만으로도 관체(13) 및 아암(15)을 매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너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관체와 아암의 결합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의 대안적인 구성에 따르면, 체결볼트(21)는 그 헤드부(21a)가 아암(15)의 중공부(15a) 내에 은폐된 구조로 체결됨으로써 체결볼트(21)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어 외관미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21)의 풀림, 부식 등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5)의 결합공(25) 또는 관체(13)의 결합공(2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공에 자력 너트(31)가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자력 너트(31)가 아암(15)의 중공부(15a)에 위치되어 아암(15)의 결합공(25)에 자력 부착됨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15), 관체(13)는 자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자력 너트(31)는 내부에 자석(31a)이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아암(15)의 결합공(25) 또는 관체(13)의 결합공(23)에 매우 견고하게 자력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체결볼트에 의한 체결력이 보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암(15)의 결합공(25) 또는 관체(13)의 결합공(23)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합공에 자력 너트(31)가 부착됨에 따라 체결볼트(21)를 아암(15)의 결합공(25) 및 관체(13)의 결합공(23)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체결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자력 너트(31)에 의한 체결력을 더욱 보강하도록 체결볼트(21) 또한 자석이 내장된 자석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7)는 그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7a)를 가지고, 절곡부(17a)에는 결합돌기(17b)가 돌출한다. 연결부재(17)의 각 결합돌기(17b)가 포스트(11)의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아암(15)들의 중공부(15a) 일단에 개별적으로 삽입된 이후에 체결구(26)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각 포스트(11)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15)들을 상하방향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연결부재(17)의 결합돌기(17b)에 의해 연결부재(17)와 아암(15)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재(17)의 결합돌기(17b)와 아암(15)의 일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27, 24)이 형성되고, 연결부재(17)의 체결공(27) 및 아암(15)의 체결공(24)에는 체결구(26)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재(17)의 결합돌기(17b) 및 아암(15)의 일단에 상호 대응하는 체결공(27, 24)에 체결구(26)가 체결된에 따라 연결부재(17)와 아암(15)의 결합강성을 매우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복수의 관체(13)는 각 포스트(11)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고정되고, 이에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포스트(11)들에 의해 복수의 관체(13) 및 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아암(15)은 포스트(11)의 상하방향 및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절히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아암(15)들 사이에는 장착프레임(14)이 설치됨으로써 아암(15)들은 안개 소산장치(5) 등과 같은 도로관리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관체(13)들 중에서 하측의 관체(13)들 사이에 설치판(16)이 가로질러 설치되고, 설치판(16)의 일측에는 도어(18)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판(16)의 타측에는 컨트롤박스(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판(16)에 의해 안개소산장치(5), 통신기기, 카메라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7)에 대한 설치공간과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설치판(16)에 인접하여 전선보호관(28)이 설치되고, 특히 전선보호관(28)은 일측 포스트(1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전선보호관(28)을 통해 컨트롤박스(7)에서 연장되어 안개 소산장치(5), 통신기기, 카메라 등에 접속되는 전선이 보다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한편, 각 아암(15)은 그 타단이 관체(13)에 결합됨으로써 아암(15)의 일단은 도로를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복수의 아암(15) 중에서 하측의 아암(15)이 그 상측의 아암(15) 보다 일정길이 만큼 더 길게 형성되고, 이에 하측에 위치한 아암(15)의 타단이 그 상측에 위치한 아암(15) 보다 일정간격(s)으로 더 돌출되며, 이를 통해 컨트롤박스(7)에 대한 설치 레이아웃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1: 포스트 13: 관체
15: 아암 17: 연결부재
17b: 결합돌기 21: 체결볼트
31: 자력 너트

Claims (4)

  1.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
    상기 복수의 포스트에 개별적으로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관체;
    상기 복수의 관체에 개별적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아암; 및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아암은 상기 관체의 중공부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관체 및 상기 아암에는 체결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공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아암은 상기 관체에 대해 그 길이가 조절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2. 삭제
  3.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
    상기 복수의 포스트에 개별적으로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관체;
    상기 복수의 관체에 개별적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아암; 및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관체들 중에서 하측의 관체들 사이에 설치판이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설치판의 일측에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설치판의 타측에는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4.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
    상기 복수의 포스트에 개별적으로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관체;
    상기 복수의 관체에 개별적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아암; 및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아암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고, 절곡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하며,
    상기 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KR20140064947A 2014-05-29 2014-05-29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KR101511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4947A KR101511066B1 (ko) 2014-05-29 2014-05-29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4947A KR101511066B1 (ko) 2014-05-29 2014-05-29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066B1 true KR101511066B1 (ko) 2015-04-13

Family

ID=5303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4947A KR101511066B1 (ko) 2014-05-29 2014-05-29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0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205A (ko) * 2010-05-27 2011-12-05 연기군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101198827B1 (ko) 2012-08-13 2012-11-09 유한회사 이티아이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KR101196702B1 (ko) 2011-01-24 2012-11-19 세종특별자치시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140038014A (ko) * 2012-09-19 2014-03-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205A (ko) * 2010-05-27 2011-12-05 연기군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101196702B1 (ko) 2011-01-24 2012-11-19 세종특별자치시 충격흡수형 표지판
KR101198827B1 (ko) 2012-08-13 2012-11-09 유한회사 이티아이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KR20140038014A (ko) * 2012-09-19 2014-03-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5465B1 (en) School bus stop safety breakaway arm extension
KR100819181B1 (ko) 조명 기능이 구비된 횡단보도 안전표지판
KR100926257B1 (ko) 안전장치가 내장된 기능성 도로표지판
US20030196360A1 (en) Collapsible traffic control sign
KR200400398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1511066B1 (ko) 도로관리기 지지장치
KR100853719B1 (ko) 깃대가 내장된 가로등주
US9902312B1 (en) Whisker illumination apparatus
US20100301294A1 (en) Construction site fence panel foot boot
KR101075033B1 (ko) 다면체 복합기능 폴
JP7156640B2 (ja) 搭載型の通行案内用看板
KR20120027785A (ko) 도로변 갓길의 가드레일용 접철식 상황안내판
JP6290140B2 (ja) 注意喚起用保安部品及び注意喚起用保安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道路防護施設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679392B1 (ko) Led 전광판 일체형 신호등
KR101646758B1 (ko) 차량 부착용 사고 표시 장치
JP2008019585A (ja) 標示具及びその取付方法
CA2826366A1 (en) Construction site fence panel foot boot
KR101437325B1 (ko) 교량 및 고가 가로등 낙하물 방지장치
CN105844931A (zh) 一种用于智能交通的交通指挥设备
KR101591199B1 (ko) 가드레일용 표지판 장착대
JP3210432U (ja) 立看板固定装置
KR101690002B1 (ko) 양방향 표지판
KR101422654B1 (ko) 표지판 구조물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