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794B1 -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794B1
KR101510794B1 KR1020140089297A KR20140089297A KR101510794B1 KR 101510794 B1 KR101510794 B1 KR 101510794B1 KR 1020140089297 A KR1020140089297 A KR 1020140089297A KR 20140089297 A KR20140089297 A KR 20140089297A KR 101510794 B1 KR101510794 B1 KR 10151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case
cavity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전자
Priority to KR102014008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이 핸드 헬드 단말기에 적합한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슬림형 택트 스위치는, 하면 방향으로 캐비티가 형성된 상면을 가지며,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중심에 상부로 노출된 제1 단자부 및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단자부 주변에 배치되어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부를 갖는 케이스; 제1 단자부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컨택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캐비티를 외부와 차단하는 먼지 커버;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컨택부의 중심부를 상부에서 누르기 위한 스템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SLIM TACT SWITCH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이 핸드 헬드 단말기에 적합한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의 전자제품 전면 또는 상면에는 사용자가 전자제품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에는 전자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PCB(main 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푸시 버튼(push button)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푸시 버튼과 결합되어 상기 푸시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헨드 핼드 단말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슬림형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택트 스위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6508호(이하, 선행기술문헌)는 종래의 택트 스위치를 개시한다. 이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택트 스위치는 컨택트 플레이트와 고정 접점 사이의 접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무 부재의 하부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택트 스위치의 슬림화를 위한 어떠한 기술적 특징도 개시하지 않으며 단순히 하나의 전기적 접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 구성만 개시하는 바, 최근 당 기술분야에 요구되는 택트 스위치의 슬림화에 대한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6508호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이 핸드 헬드 단말기에 적합한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면 방향으로 캐비티가 형성된 상면을 가지며,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중심에 상부로 노출된 제1 단자부 및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단자부 주변에 배치되어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부를 갖는 케이스;
제1 단자부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컨택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캐비티를 외부와 차단하는 먼지 커버;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컨택부의 중심부를 상부에서 누르기 위한 스템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커버부
를 포함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스는, 사전 설정된 형상을 갖는 금속 재질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 배치구조에 수지 물질을 인서트 몰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템은, 금속 재질의 상기 커버부의 일부분에 수지 물질을 인서트 몰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면의 모서리부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면의 중심방향으로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 각각에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부 각각의 상단부는 열용착되어 상기 단차부에 접촉된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분으로부터 그 중심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상부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갖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템은 상기 이동부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가 사전 설정된 배열로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단자부 배치구조가 일정하게 배열된 단자부 어레이를 마련하는 단계;
각각 사전 설정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가 일정하게 배열된 커버부 어레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 각각에 인서트 몰딩 기법으로 스템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자부 어레이의 각 단자부 배치구조에 인서트 몰딩 기법을 적용하여, 하면 방향으로 캐비티가 형성된 상면을 갖는 복수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케이스 각각의 캐비티의 바닥면 중심에 상기 제1 단자부가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케이스 각각의 캐비티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단자부 주변에 상기 제2 단자부가 상부로 노출됨;
상기 복수의 케이스 각각의 캐비티 내부에 상기 제1 단자부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단자부와 접촉하는 컨택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비티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스의 상면 각각에 먼지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템이 형성된 커버부 배치구조를 갖는 커버부 어레이를 상기 케이스가 형성된 상기 단자부 어레이 상에 정렬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스의 중심부에 상기 스템이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 각각을 상기 복수의 케이스 각각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케이스 각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어레이 및 상기 단자부 어레이를 각각 개별 택트 스위치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면의 모서리부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면의 중심방향으로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 각각에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 각각의 상단부를 열용착하여 상기 단차부에 접촉된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커버부 배치구조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분으로부터 그 중심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상부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갖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부의 중심에 상기 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및 스템을 인서트 몰딩 기법을 통해 금속 재질의 단자부 배치구조 및 커버부 배치구조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스위치를 구성하는 구조물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커버부 배치구조를 제작하고 커버부 배치구조 자체가 스위치 누름에 따라 상하로 탄성을 갖는 움직임을 가짐으로써 추가적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서 간단한 구조로 택트 스위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캐비티의 상부를 먼지 커버를 통해 밀봉함으로써 캐비티 내로 먼지 등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스위치 동작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일부분을 열용착하여 커버부를 케이스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커버부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위치 누름 동작시 스템의 위치가 컨택부의 중앙부를 일정하게 누를 수 있게 하여 스위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단자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케이스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b)는 (a)의 e-e' 라인을 따라 절개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컨택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먼지 커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커버부 어레이를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스템이 형성된 커버부 어레이를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도시한 공정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 중 일부 공정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형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10)는, 케이스(12), 컨택부(13), 먼지 커버(14) 및 커버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단자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케이스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b)는 (a)의 e-e' 라인을 따라 절개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2)는 하면 방향으로 캐비티(S)가 형성된 상면(122)을 가지며, 캐비티(S)의 바닥면 중심에 상부로 노출된 제1 단자부(111) 및 상기 제1 단자부(111) 주변에 배치되어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부(11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는 상면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면 중심 방향으로 단차부를 갖는 복수의 기둥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 공정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호 연결된 복수의 단자부 배치구조(11)를 포함하는 단자부 어레이를 마련한 후에,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자부 어레이의 각 단자부 배치구조(11)에 복수의 케이스 각각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부(111, 112)는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케이스(12)는 인서트 몰딩이 가능한 수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것과 같이, 케이스(12)의 상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기둥부(121)는 상면(122)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부(1211)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2)의 상면은 후술하는 먼지 커버(14)를 부착하기 위한 영역이 될 수 있으며, 기둥부(121)의 단차부(1211)는 후술하는 커버부(15)를 배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121)의 상단부(1212)는 열용착되어 커버부(15)를 케이스(12) 상부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컨택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컨택부(13)는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컨택부(13)가 케이스(12)의 캐비티(S) 내에 배치되는 경우, 볼록한 중심부가 제1 단자부(1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컨택부(13)의 테두리 영역은 제2 단자부(1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부에서 컨택부(13)의 중심을 누르는 힘이 발생한 경우, 컨택부(13)의 중심부가 제1 단자부와 접촉하게 되면, 제1 단자부(111)와 제2 단자부(112)가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누르는 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컨택부(13)는 다시 볼록한 형상으로 복원되어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먼지 커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먼지 커버(14)는 케이스(12)의 캐비티(S)를 포함한 상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케이스(12)의 상면(12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먼지 커버(14)는 외부로부터 캐비티(S) 내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1 단자부(111)와 컨택부(13) 사이의 전기적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커버부 어레이를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스템이 형성된 커버부 어레이를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버부(또는 커버부 배치 구조)(15)는 그 중심부에 스템(16)을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조 공정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커버부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15)를 포함하는 커버부 어레이를 마련한 후에,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커버부 어레이의 커버부 배치구조(15)의 중심에 스템(16) 각각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여 일체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의 커버부(또는 커버부 배치구조)(15)는, 케이스(12)에 고정되는 고정부(151)와 고정부(151)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그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3) 및 연장부(153)를 통해 고정부(151)에 연결되어 고정부(151)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상부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갖는 이동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이 연장부(153)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연장부(15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동부(152)의 중심에는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 관통홀(H)을 통해 이동부(152)의 상하부로 연결된 구조를 갖도록 인서트 몰딩법에 의해 스템(16)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또는 커버부 배치구조)(15)의 테두리는 케이스(12)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2)의 모서리에 단차부(1211)를 갖는 기둥부(121)가 형성되는 경우, 이 단차부(1211)에 커버부(또는 커버부 배치구조)(15)의 테두리 부분이 배치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부(또는 커버부 배치구조)(15)의 고정부(151)가 기둥부(121)의 단차부(1211)에 배치되고 기둥부(121)의 상단부(1212)를 열용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열용착에 의해 커버부(15)를 고정함으로써 커버부(15)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위치 누름 동작시 스템(16)의 위치가 컨택부(13)의 중앙부를 일정하게 누를 수 있게 하여 스위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커버부 배치구조(15)는 슬림하면서도 탄성을 갖는 특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형성하고, 인서트 몰딩 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스템(16)은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10)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도시한 공정 평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 중 일부 공정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단자부(111) 및 제2 단자부(112)가 사전 설정된 배열로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단자부 배치구조(11)가 일정하게 배열된 단자부 어레이를 마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이어,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 사전 설정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15)가 일정하게 배열된 커버부 어레이를 마련한다.
이어,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15) 각각의 중심에 인서트 몰딩 기법으로 컨택부(13)를 누르기 위한 스템(16)을 형성한다.
이어,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자부 어레이의 각 단자부 배치구조(11)에 인서트 몰딩 기법으로 하면 방향으로 캐비티(S)가 형성된 상면을 갖는 복수의 케이스(12)를 형성한다. 이 공정에서, 케이스(12) 각각의 캐비티(S)의 바닥면 중심에 제1 단자부(111)가 상부로 노출되고 제1 단자부(111) 주변에 제2 단자부(112)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이 인서트 몰딩 과정에서 사용되는 금형의 형상을 적절하게 마련함으로써, 도 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2) 상면 모서리에 단차부(1211)를 갖는 기둥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도 8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케이스(12) 각각의 캐비티(S) 내에 제1 단자부(111)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제2 단자부(112)와 접촉하는 컨택부(13)를 배치할 수 있다. 캐비티(S) 내에 컨택부(13)를 배치한 구조는 도 9를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어, 도 8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케이스(12)의 캐비티(S)를 포함한 상면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먼지 커버(14)를 캐비티(S) 상부에 부착할 수 있다. 먼지 커버(14)의 테두리 부분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12)의 상면(12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먼지 커버(14)는 외부로부터 캐비티(S) 내에 먼지 등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1 단자부(111)와 컨택부(13) 사이의 전기적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먼지 커버(14)가 케이스(12) 상면(122)에 부착되는 구조 역시 도 9를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어, 도 8의 (c) 및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템(16)이 형성된 커버부 배치구조(15)를 갖는 커버부 어레이를 케이스(12)가 형성된 단자부 어레이 상에 정렬하여 복수의 케이스(12) 각각의 중심부에 스템(16)이 배치되도록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15) 각각을 복수의 케이스 각각에 결합할 수 있다.
도 8의 (c)는 커버부 배치구조(15)와 복수의 케이스(12) 각각이 상호 접촉하도록 커버부 어레이와 단자부 어레이를 정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의 (d)는 커버부(12)의 기둥부(121)의 상단부(1212)를 열용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렬 과정을 통해, 커버부 배치구조(15)의 고정부(151)가 케이스(12)의 기둥부(121)의 단차부(1211) 상에 배치되며, 이어 도 8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둥부(121)의 상단부(1212)를 열용착시켜 커버부 배치구조(15) 각각이 케이스(12) 각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 배치구조(15)가 고정되는 형상은 도 10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어, 도 8의 (e)와 같이, 커버부 어레이에서 각 커버부 배치구조(15)를 연결한 구조물을 컷팅하여 제거하고, 도 8의 (f)와 같이 단자부 어레이에서 각 단자부 배치구조를 연결한 구조물을 컷팅하여 제거함으로써 개별 슬림형 택트 스위치로 분리될 수 있다. 도 8의 (f)에서는 택트 스위치 외부로 연장된 단자부 어레이의 연결 구조물의 일부를 남겨두고 컷팅한 후 택트 스위치 외부로 연장된 단자부 연결 구조물을 밴딩하여 외부 단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케이스 및 스템을 인서트 몰딩 기법을 통해 금속 재질의 단자부 배치구조 및 커버부 배치구조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스위치를 구성하는 구조물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다.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커버부 배치구조를 제작하고 커버부 배치구조 자체가 스위치 누름에 따라 상하로 탄성을 갖는 움직임을 가짐으로써 추가적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서 간단한 구조로 택트 스위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케이스의 캐비티의 상부를 먼지 커버를 통해 밀봉함으로써 캐비티로 먼지 등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스위치 동작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케이스의 일부분을 열용착하여 커버부를 케이스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커버부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위치 누름 동작시 스템의 위치가 컨택부의 중앙부를 일정하게 누를 수 있게 하여 스위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10: 슬림형 택트 스위치 11: 단자부 배치구조
111: 제1 단자부 112: 제2 단자부
12: 커버부 121: 단차부
13: 컨택부 14: 먼지 커버
15: 커버부 배치구조 151: 고정부
152: 연장부 153: 이동부

Claims (11)

  1. 하면 방향으로 캐비티가 형성된 상면을 가지며,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중심에 상부로 노출된 제1 단자부 및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단자부 주변에 배치되어 상부로 노출된 제2 단자부를 갖는 케이스;
    제1 단자부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컨택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캐비티를 외부와 차단하는 먼지 커버;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컨택부의 중심부를 상부에서 누르기 위한 스템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면의 모서리부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면의 중심방향으로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 각각에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전 설정된 형상을 갖는 금속 재질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 배치구조에 수지 물질을 인서트 몰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금속 재질의 상기 커버부의 일부분에 수지 물질을 인서트 몰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부 각각의 상단부는 열용착되어 상기 단차부에 접촉된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분으로부터 그 중심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상부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갖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템은 상기 이동부의 중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7.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가 사전 설정된 배열로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단자부 배치구조가 일정하게 배열된 단자부 어레이를 마련하는 단계;
    각각 사전 설정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가 일정하게 배열된 커버부 어레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 각각에 인서트 몰딩 기법으로 스템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자부 어레이의 각 단자부 배치구조에 인서트 몰딩 기법을 적용하여, 하면 방향으로 캐비티가 형성된 상면을 갖는 복수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케이스 각각의 캐비티의 바닥면 중심에 상기 제1 단자부가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케이스 각각의 캐비티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단자부 주변에 상기 제2 단자부가 상부로 노출됨;
    상기 복수의 케이스 각각의 캐비티 내부에 상기 제1 단자부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단자부와 접촉하는 컨택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비티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스의 상면 각각에 먼지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템이 형성된 커버부 배치구조를 갖는 커버부 어레이를 상기 케이스가 형성된 상기 단자부 어레이 상에 정렬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스의 중심부에 상기 스템이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 각각을 상기 복수의 케이스 각각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면의 모서리부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면의 중심방향으로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기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 각각에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부 배치구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케이스 각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어레이 및 상기 단자부 어레이를 각각 개별 택트 스위치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 각각의 상단부를 열용착하여 상기 단차부에 접촉된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일부분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배치구조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부분으로부터 그 중심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상부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갖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부의 중심에 상기 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택트 스위치 제조 방법.
KR1020140089297A 2014-07-15 2014-07-15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97A KR101510794B1 (ko) 2014-07-15 2014-07-15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97A KR101510794B1 (ko) 2014-07-15 2014-07-15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794B1 true KR101510794B1 (ko) 2015-04-20

Family

ID=5305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297A KR101510794B1 (ko) 2014-07-15 2014-07-15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7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652Y1 (ko) * 2003-08-19 2003-11-14 금승호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338896Y1 (ko) * 2003-10-10 2004-01-16 금승호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40053775A (ko) * 2003-11-15 2004-06-24 (주)일영스위치 소형 택트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652Y1 (ko) * 2003-08-19 2003-11-14 금승호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338896Y1 (ko) * 2003-10-10 2004-01-16 금승호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40053775A (ko) * 2003-11-15 2004-06-24 (주)일영스위치 소형 택트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0581B2 (en) Push-on switch
US7906739B2 (en) Arrangement for surface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by soldering,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n arrangement
US10354815B2 (en) Push switch
US6946610B2 (en) Push switch
KR102049019B1 (ko) 휘어진 변형 가능한 접촉 소자를 갖는 푸쉬 버튼 스위치
US20090201655A1 (en) Push button switch
JP3158483U (ja) 携帯装置の押しボタンの固定構造
JP602910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170110270A1 (en) Electronic component
KR101510794B1 (ko) 슬림형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531518A (zh) 按压式开关以及按压式开关的制造方法
JP6580058B2 (ja) 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48514B1 (ko) 키 조립체 및 이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100463909B1 (ko) 소형 택트 스위치
KR101296835B1 (ko) Pcb 돔스위치 및 pcb 돔스위치 대량 제조방법
CN106104734B (zh) 按钮开关
JP2010020911A (ja) 押釦スイッチの取付構造
KR101149798B1 (ko) 휴대단말기용 사이드 키 모듈
JP5467204B2 (ja) 突形成部材及び突形成部材の製造方法
JP2008181897A (ja) 押釦スイッチ
KR20190063983A (ko) 곡면형 터치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EP1293999A1 (en) Keyswitch for an electronic instrument
KR101295181B1 (ko)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298685Y1 (ko) Pcb 일체형 smt용 돔형 스위치
KR101477695B1 (ko) 다방향 택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