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743B1 -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743B1
KR101509743B1 KR20130126201A KR20130126201A KR101509743B1 KR 101509743 B1 KR101509743 B1 KR 101509743B1 KR 20130126201 A KR20130126201 A KR 20130126201A KR 20130126201 A KR20130126201 A KR 20130126201A KR 101509743 B1 KR101509743 B1 KR 10150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measuring
gauge
measur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섭
박기태
황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2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06Special supports with preselected places to mount the resistance strain gauges; Mounting of 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2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20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in insulating material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구조물의 접합 이음부 및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부재의 표면에 전기저항의 측정이 가능한 전도체 전선이 매립된 고연성 밴드층을 부착하고, 소정의 자동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장기간 및 연속적으로 전기저항을 계측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의 균열에 의한 손상 유무 및 균열의 진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테이프 형태 등 기타 넓은 범위에 손쉬운 부착이 가능한 재료를 매개체로 사용함으로써 구조물의 국부적인 손상 및 균열뿐만 아니라 부착 길이를 넓힘에 따라 비교적 매우 넓은 범위까지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와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MOVABLE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STRUCTURAL DAMAGE AND MEASURING METHOD USING GAUGE FOR MEASUREMENT OF STRUCTURAL DAMAGE}
본 발명은 구조물 손상 측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조물의 접합 이음부 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부재의 손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연성 밴드층 내에 전기 저항측정이 가능한 전선을 매립 설치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와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한 측정 방법, 디지털 영상처리 방법에 의한 측정 방법, 레이저 이미지를 이용한 측정방법, 초음파에 의한 측정 방법, 구조물의 외부에 열을 가하고 식는 속도를 측정하여 손상위치를 파악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a는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휘스톤 브릿지 회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10)는, 캐리어(Carrier: 11), 그리드(Grid: 12), 솔더 탭(Solder Tab: 13a, 13b) 및 정렬 마크(14)를 포함하며, 이때, 솔더 탭(13a, 13b)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20a, 20b)이 측정장치(3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위에 캐리어(11)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고, 상기 캐리어(11)에 전달되는 스트레인이 그리드(12)에 전달되며, 상기 솔더 탭(13a, 13b)에 연결되어 인출되는 리드선(20a, 20b)에 측정장치(30)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장치(30) 내의 휘스톤 브릿지 이용하여, 상기 그리드(12)의 전기저항 값의 변화를 측정하게 되고, 결국, 상기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스트레인 게이지(10)는 부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40)에 부착되는 부위를 마감하고, 부착 보조용 테이프에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를 부착한다.
이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를 구조물(40)의 부착 부위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부착 보조용 테이프를 제거한다.
이때 종래 상용화된 스트레인게이지(10)는 대부분의 경우 미세한 변형률(0~2000㎛)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한 측정범위를 벗어나서 균열이 발생되고 균열폭이 증가할 경우, 도 1a에 도시된 형태의 그리드(12)의 단선이 쉽게 발생됨으로써 더 이상 스트레인게이지(10)의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고, 또한, 손상이 발생한 영역의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말굽 형태의 균열게이지의 경우에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와는 달리 균열의 진전에 따른 균열폭 측정이 가능하나, 국부적 위치에 한해서 낱개 형태로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는 균열 발생 유무 및 균열폭의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균열게이지를 예상 위치에 다수 설치할 수는 있지만, 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균열 발생의 정확한 위치파악은 사실상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일반 스트레인게이지 보다도 더 고가인 균열게이지를 다수 설치하는 것은 사실상 큰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학장비나 레이저의 이미지를 이용한 측정방법,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의 경우,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작업자에 의한 비정기적이고 일시적인 계측만이 가능하므로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외부에 열을 가하고 식는 속도를 측정하여 손상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의 경우, 측정범위가 대단히 넓은 대형 구조물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열을 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외부 기온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쉬운 단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종래 기술 중 부착 설치를 전제로 하는 스트레인게이지의 경우 작은 측정범위 및 게이지 내의 전기 전도체 단락과 같은 문제로 인해, 설치자 또는 측정자가 측정이 필요할 때마다 다시 부착 설치하여야 하므로, 대형빌딩, 교량, 원전구조물 등과 같이 대형 구조물의 경우에는 반복적인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광학장비 및 레이저의 이미지 등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매우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할 때, 구조물의 균열 유무 및 균열의 진전상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손상측정용 게이지 및 이를 이용하여 비교적 넓은 측정범위를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요구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물의 접합 이음부 및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부재의 표면에 전기저항의 측정이 가능한 전도체 전선이 매립된 고연성 밴드층을 부착하고, 소정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장기간 및 연속적으로 전기저항을 계측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의 균열에 의한 손상 유무 및 균열의 진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와 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테이프 형태 등 기타 넓은 범위에 손쉬운 부착이 가능한 재료를 매개체로 사용함으로써 구조물의 국부적인 손상 및 균열뿐만 아니라 부착 길이를 넓힘에 따라 비교적 매우 넓은 범위까지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와 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가 형성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는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의 손상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의 외부 전극단자에 각각 접속하는 검측봉; 상기 검측봉이 상기 외부 전극단자에 각각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검측봉 길이를 조절하는 검측봉 길이 조절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측정신호로부터 전류 및 전압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 내의 전도체 전선의 저항 변화를 산출하여 상기 구조물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 데이터 처리부, 디스플레이, 데이터 저장부, 구동부 및 검측봉 길이 조절부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는 상기 구조물의 넓은 범위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물의 균열의 발생 유무와 그 진전 정도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는, 전도체 전선 및 내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 상부층 및 하부층으로 이루어진 밴드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가 매립되고, 상기 구조물의 손상에 기인하는 상기 전도체 전선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고연성 밴드층; 상기 고연성 밴드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연성 밴드층 구조물에 접착하는 접착층;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의 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의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전극단자; 및 상기 단위 전도체의 내부 전극단자를 상기 외부 전극단자에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 내에 매립 형성되는 내부 연결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를 이용하여 수신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균열 유무 및 균열 폭을 판단하고, 상기 구조물의 각종 이음부의 손상 및 건전도를 평가하며, 상기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손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는, 측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손상 측정장치가 측정하고자 하는 손상 위치에 정확히 배열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손상 측정장치 간의 간격유지 및 측정빈도 조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레일 위에 표시된 식별용 마킹을 인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구동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확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에 송신하는 위치확인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는,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로부터 측정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측정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가 형성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상기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가 구동될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를 상기 구조물의 손상 측정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e)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의 검측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의 단위 전도체에 연결된 외부 전극단자에 연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가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는 상기 구조물의 넓은 범위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물 균열의 발생 유무와 그 진전 정도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은, g) 상기 구조물의 다음 손상 측정 위치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를 이동하여 상기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접합 이음부 및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부재의 표면에 전기저항의 측정이 가능한 전도체 전선이 매립된 고연성 밴드층을 부착하고, 소정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장기간 및 연속적으로 전기저항을 계측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의 균열에 의한 손상 유무 및 균열의 진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층 빌딩, 교량, 원전구조물 등 대형 구조물의 균열 유무 및 균열의 진전상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손상측정용 게이지 및 이를 이용하여 비교적 넓은 측정범위를 자동 측정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형태 등 기타 넓은 범위에 손쉬운 부착이 가능한 재료를 매개체로 사용함으로써 구조물의 국부적인 손상 및 균열뿐만 아니라 부착 길이를 넓힘에 따라 비교적 매우 넓은 범위까지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스트레인게이지에 비해 균열 폭의 측정 가능 범위가 크기 때문에 전도체 전선이 단선될 위험이 적고, 비교적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의 단위 전도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구조물의 수평 방향으로 부착하여 설치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부착하여 설치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100)]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에 사용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A-A 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의 단위 전도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단위 전도체(110), 고연성 밴드층(120), 접착층(130), 내부 연결 전선(140a, 140b) 및 외부 전극단자(150a, 150b)를 포함한다.
단위 전도체(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각의 단위 전도체(110)는 전도체 전선(111) 및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각각 구비한다. 이때,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전도체 전선(111)은 상기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저항이 변하는 전도 저항체로서 소정의 굴곡을 갖는 플렉시블 전선(Flexible Wire)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컨대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가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저항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고연성 밴드층(120)은 상부층(120a) 및 하부층(120b)으로 이루어진 밴드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매립된다. 이때,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은 구조물의 손상에 기인하는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고연성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은 상기 소정의 굴곡을 갖는 전도체 전선(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매립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의 손상 및 균열의 폭이 큰 경우에도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단선 없이 연속적으로 손상 및 균열을 측정하도록 상기 구조물의 넓은 범위에 부착 가능한 테이프 형태의 접착층과 접착한다.
접착층(130)은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을 구조물에 접착한다.
내부 연결 전선(140a, 140b)은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상기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 내에 매립 형성된다.
외부 전극단자(150a, 150b)는 예컨대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의 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과 접착되는 접착층(130)의 부착강도 및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전도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 내에 매립 설치하며, 이때,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전도체 전선(111)의 형상,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가로방향 길이 및 세로방향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구조물의 손상 측정의 정밀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도체(110)의 경우, 전도체 전선(111)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도체 전선(111')이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전도체 전선(111)의 길이(L)는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의 허용 길이 및 상기 구조물의 균열 예상 범위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가로 방향으로의 겹침 수 및 가로 방향 전체 길이는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종류,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의 사용 전압 및 측정의 정확도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구조물의 수평 방향으로 부착하여 설치한 것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평면도이도, 도 5의 b)는 B-B 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부착하여 설치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구조물의 넓은 범위의 균열 측정을 위해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5는 구조물의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수평 방향 손상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 경우 균열발생 유무 및 균열 폭의 측정뿐만 아니라 균열이 발생된 범위의 측정이 가능하다.
도 6은 구조물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설치하여 구조물에 발생한 다수의 균열을 측정할 수 있다.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100)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기 전의 변형률을 엄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물의 균열의 발생 유무와 균열의 진전 정도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균열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의 전기적 정밀도의 허용범위도 정해진 범위에서 비교적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대형구조물의 경우, 작업자가 매번 게이지를 부착하여 균열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하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00) 위를 이동할 수 있는 측정장치(3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것은 구조물(500)의 균열의 진전 정도를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측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를 이용하여 구조물(500)의 세로 방향의 손상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7b는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를 이용하여 구조물(500)의 가로 방향의 손상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형성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이용하여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하는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로서, 데이터 수신부(310), 디스플레이(320), 데이터 처리부(330), 데이터 저장부(340), 구동부(350), 검측봉(360a, 360b), 검측봉 길이 조절부(370), 배터리(380), 위치확인 시스템부(390), 데이터 송신부(395)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구조물(500)의 손상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전도체 전선(111) 및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 상부층(120a) 및 하부층(120b)으로 이루어진 밴드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매립되고,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에 기인하는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고연성 밴드층(120);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을 구조물(500)에 접착하는 접착층(130);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의 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전극단자(150a, 150b); 및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상기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 내에 매립 형성되는 내부 연결 전선(140a, 140b)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32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한다.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에 의해 수신된 측정신호로부터 전류 및 전압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 내의 전도체 전선(111)의 저항 변화를 산출하여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를 이용하여 수신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구조물(500)의 균열 유무 및 균열 폭을 판단하고, 상기 구조물(500)의 각종 이음부의 손상 및 건전도를 평가하며, 상기 구조물(500)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손상이 상기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모니터링된다. 또한, 위치확인 시스템부(390)의 보조를 받아 상기 측정장치(300)가 측정위치에 정확히 배열될 수 있도록 구동부(350)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는 전류 및 전압 측정부, 저항 산출부, 손상 판단부, 구동부 조정부 등 세부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34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동부(350)는 상기 구조물(500)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레일(400) 위에는 식별용 마킹(410)가 표시된다.
검측봉(360a, 360b)은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의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접속한다.
검측봉 길이 조절부(370)는 상기 검측봉(360a, 360b)이 상기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검측봉(360a, 360b)의 길이를 조절한다.
배터리(38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처리부(330), 디스플레이(320), 데이터 저장부(340), 구동부(350) 및 검측봉 길이 조절부(370), 위치확인 시스템부(390), 데이터 송신부(395)에 전원을 제공한다.
위치확인 시스템(390)은 측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손상 측정장치(300)가 측정하고자 하는 손상 위치에 정확히 배열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수의 손상 측정장치(300) 간의 간격유지 및 측정빈도 조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레일(400) 위에 표시된 식별용 마킹(410)을 인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가 상기 구동부(350)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확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330)에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부(395)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측정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되는 측정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상기 구조물(500)의 넓은 범위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350)에 의해 상기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물(500)의 균열의 발생 유무와 그 진전 정도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의 경우, 구조물(500)의 균열 측정이 가능한 이동장치를 이용하며, 구조물(500)의 균열 발생 유무 및 이의 장기적이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의 경우, 부착재가 상대적으로 늘어날 때 발생하는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하는 원리를 사용함으로써, 구조물(500)의 균열 발생뿐만 아니라 부재 이음부(예를 들면, 볼트 이음, 용접 이음 등)의 건전성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된다.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100)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손상 측정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형성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이용하여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물(500)에 적합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준비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상기 구조물(500)에 부착한다(S120). 이때,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상기 구조물(500)의 넓은 범위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350)에 의해 상기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물(500)의 균열의 발생 유무와 그 진전 정도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계측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물(500)의 일측에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가 구동될 레일(400)을 설치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레일(400) 상에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를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 측정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를 정렬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의 검측봉(360a, 360b)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의 단위 전도체에 연결된 외부 전극단자에 연결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가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저장한다(S160). 이때, 상기 측정 데이터는 데이터 송신부(395)를 통해 외부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물(500)의 다음 손상 측정 위치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를 이동하여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할 수 있다(S17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전도체 전선(111) 및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 상부층(120a) 및 하부층(120b)으로 이루어진 밴드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매립되고,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에 기인하는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고연성 밴드층(120);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을 구조물(500)에 접착하는 접착층(130);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300)의 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전극단자(150a, 150b); 및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상기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 내에 매립 형성되는 내부 연결 전선(140a, 14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를 이용하여 수신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구조물(500)의 균열 유무 및 균열 폭을 판단하고, 상기 구조물(500)의 각종 이음부의 손상 및 건전도를 평가하며, 상기 구조물(500)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손상이 상기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접합 이음부 및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부재의 표면에 전기저항의 측정이 가능한 전도체 전선이 매립된 고연성 밴드층을 부착하고, 소정의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장기간 및 연속적으로 전기저항을 계측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의 균열에 의한 손상 유무 및 균열의 진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형태 등 기타 넓은 범위에 손쉬운 부착이 가능한 재료를 매개체로 사용함으로써 구조물의 국부적인 손상 및 균열뿐만 아니라 부착 길이를 넓힘에 따라 비교적 매우 넓은 범위까지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스트레인게이지에 비해 균열 폭의 측정 가능 범위가 크기 때문에 전도체 전선이 단선될 위험이 적고, 비교적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대형구조물의 경우 작업자가 측정 때마다 매번 게이지를 설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균열에 대해 비교적 내구성이 높은 손상측정용 게이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1회 시공으로도 장기간 사용가능하고, 비교적 넓은 범위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손상을 레일 위로 이동하는 자동 손상 측정장치에 의해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
110: 단위 전도체
111. 111': 전도체 전선
112a, 112b: 내부 전극단자
120, 120a, 120b: 고연성 밴드층
130: 접착층
140a, 140b: 내부 연결 전선
150a, 150b: 외부 전극단자
300: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
310: 데이터 수신부
320: 디스플레이
330: 데이터 처리부
340: 데이터 저장부
350: 구동부
360a, 360b: 검측봉
370: 검측봉 길이 조절부
380: 배터리
390: 위치확인 시스템부 395: 데이터 송신부
400: 레일
410: 식별용 마킹 500: 구조물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형성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이용하여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하는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구조물(500)의 손상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10);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의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접속하는 검측봉(360a, 360b);
    상기 검측봉(360a, 360b)이 상기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검측봉(360a, 360b)의 길이를 조절하는 검측봉 길이 조절부(370);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에 의해 수신된 측정신호로부터 전류 및 전압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 내의 전도체 전선(111)의 저항 변화를 산출하여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330);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20);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40);
    상기 구조물(500)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50);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처리부(330), 디스플레이(320), 데이터 저장부(340), 구동부(350) 및 검측봉 길이 조절부(370)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충전 가능한 배터리(380)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상기 구조물(500)의 넓은 범위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350)에 의해 상기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물(500)의 균열의 발생 유무와 그 진전 정도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를 이용하여 수신한 측정신호로부터 상기 구조물(500)의 균열 유무 및 균열 폭을 판단하고, 상기 구조물(500)의 각종 이음부의 손상 및 건전도를 평가하며, 상기 구조물(500)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손상이 상기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모니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측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손상 측정장치(300)가 측정하고자 하는 손상 위치에 정확히 배열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손상 측정장치(300) 간의 간격유지 및 측정빈도 조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레일(400) 위에 표시된 식별용 마킹(410)을 인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데이터 처리부(330)가 상기 구동부(350)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확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330)에 송신하는 위치확인 시스템(390)을 추가로 포함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측정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되는 측정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395)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전도체 전선(111) 및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 상부층(120a) 및 하부층(120b)으로 이루어진 밴드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매립되고,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에 기인하는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고연성 밴드층(120);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을 구조물(500)에 접착하는 접착층(130);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의 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전극단자(150a, 150b); 및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상기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 내에 매립 형성되는 내부 연결 전선(140a, 140b)을 포함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형성된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이용하여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물(500)에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를 상기 구조물(500)에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구조물(500)의 일측에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가 구동될 레일(400)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레일(400) 상에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를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 측정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e)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의 검측봉(360a, 360b)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의 단위 전도체에 연결된 외부 전극단자에 연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가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에 저장하거나, 데이터 송신부(395)에 의해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상기 구조물(500)의 넓은 범위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구동부(350)에 의해 상기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물(500)의 균열의 발생 유무와 그 진전 정도를 장기간 연속적으로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100)는,
    전도체 전선(111) 및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
    상부층(120a) 및 하부층(120b)으로 이루어진 밴드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도체(110)가 매립되고,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에 기인하는 상기 전도체 전선(111)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고연성 밴드층(120);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을 구조물(500)에 접착하는 접착층(130);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300)의 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의 외부로 노출된 외부 전극단자(150a, 150b); 및
    상기 단위 전도체(110)의 내부 전극단자(112a, 112b)를 상기 외부 전극단자(150a, 150b)에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고연성 밴드층(120) 내에 매립 형성되는 내부 연결 전선(140a, 140b)을 포함하며,
    g) 상기 구조물(500)의 다음 손상 측정 위치로 상기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장치(300)를 이동하여 상기 구조물(500)의 손상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방법.
KR20130126201A 2013-10-22 2013-10-22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 KR10150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201A KR101509743B1 (ko) 2013-10-22 2013-10-22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201A KR101509743B1 (ko) 2013-10-22 2013-10-22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743B1 true KR101509743B1 (ko) 2015-04-07

Family

ID=5303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6201A KR101509743B1 (ko) 2013-10-22 2013-10-22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9814A (ja) * 2019-02-27 2020-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ラックセンサ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27Y2 (ja) * 1988-09-30 1994-10-12 清水建設株式会社 ひび割れ計測処理装置
KR20040020261A (ko) * 2002-08-30 2004-03-09 한창수 영상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 탐지장치 및 방법
KR20070075123A (ko) * 2006-01-12 2007-07-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율 계측이 가능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그의 제조방법및 그를 이용한 변형율 측정방법
KR20110105026A (ko) * 2010-03-18 2011-09-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반도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 힘 또는 압력센서 어레이의 제조방법 및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힘 또는 압력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27Y2 (ja) * 1988-09-30 1994-10-12 清水建設株式会社 ひび割れ計測処理装置
KR20040020261A (ko) * 2002-08-30 2004-03-09 한창수 영상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 탐지장치 및 방법
KR20070075123A (ko) * 2006-01-12 2007-07-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율 계측이 가능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그의 제조방법및 그를 이용한 변형율 측정방법
KR20110105026A (ko) * 2010-03-18 2011-09-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반도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 힘 또는 압력센서 어레이의 제조방법 및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힘 또는 압력 측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9814A (ja) * 2019-02-27 2020-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ラックセンサシステム
JP7194046B2 (ja) 2019-02-27 2022-12-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ラックセンサ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1788C2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напряжений для железных дорог
US1161913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ltrasonic rock bolt condition monitoring
JP5004955B2 (ja) ひずみ検知装置及びひずみ検知システム
JP4799267B2 (ja) 疲労センサおよび疲労損傷度推定方法
JP5936276B2 (ja) 亀裂監視装置
US20130054156A1 (en) Strain measuring and monitoring device
JP2007263674A (ja) 亀裂検出センサ
JP2952576B2 (ja) 構造材料の疲労損傷検知方法およびその検知装置
JP5917161B2 (ja) 橋梁の亀裂監視方法及び亀裂監視システム
JPH1031002A (ja) 構造物及び構造物のひび割れ検出法
KR101509743B1 (ko)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를 이용한 이동식 구조물 손상 측정 장치와 측정 방법
JP2007078364A (ja) ひずみ感知センサ
US20150042355A1 (en) Cable System and Test Cable Therefore
JP5192095B2 (ja) ひずみ感知センサ
KR101617414B1 (ko) 균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모니터링 시스템
JP6059943B2 (ja) 構造物のき裂監視装置
JP5070174B2 (ja) 鋼矢板の打設管理装置及びその打設管理方法
CN111174662B (zh) 一种位移传感装置及其应用
JP2008164515A (ja) き裂長さ検出方法およびき裂長さ検出装置
JP2005156552A (ja) 亀裂検出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で利用可能な接着剤及び線状検出具
KR101609787B1 (ko) 구조물 손상 측정용 게이지
JP2001272319A (ja) 疲労損傷予知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315810A (ja) 繰返し応力センサ
CN210487468U (zh) 混凝土受拉裂缝宽度监测和区域自定位装置
CN203772205U (zh) 桥梁位移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