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613B1 - 노즈 마스크 - Google Patents

노즈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613B1
KR101509613B1 KR20140105175A KR20140105175A KR101509613B1 KR 101509613 B1 KR101509613 B1 KR 101509613B1 KR 20140105175 A KR20140105175 A KR 20140105175A KR 20140105175 A KR20140105175 A KR 20140105175A KR 101509613 B1 KR101509613 B1 KR 10150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ody
air
mask
port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2014010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613B1/ko
Priority to PCT/KR2015/006106 priority patent/WO2016024711A1/ko
Priority to TW104121723A priority patent/TWI57360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공기의 흡입 및 배기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노즈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 바디(mask body); 상기 마스크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입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및 상기 마스크 바디의 전면에 형성되어 배기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의 흡기구 주변에는 상기 흡기구로 흡입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배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즈 마스크{NOSE MASK}
본 발명은 노즈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공기의 흡입 및 배기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노즈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오염지역의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이러한 방독면은 정화통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의 호흡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오염지역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독면은 소방용, 군사용, 화생방용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이러한 방독면은 풀 페이스 쉴드(full face shield), 필터링 페이스피스(filtering facepiece), 하프 페이스 마스크(half face mask) 또는 하프 페이스피스 방독면(half facepiece respirator), 풀 페이스피스 방독면(full facepiece respirator), 후드 방독면(hood repirator)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독면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독면(투시창 또는 안면부)의 하부 내측에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밀폐하는 노즈 마스크가 마련되어 있고, 노즈 마스크는 흡입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및 배기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가진다.
노즈 마스크의 상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노즈 마스크의 전방에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노즈 마스크와 방독면 사이에는 방독면의 정화통을 거쳐 정화된 흡입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흡입공기 통로를 통과한 흡입공기가 노즈 마스크의 흡기구로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노즈 마스크는 방독면의 정화통을 거쳐 흡입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흡입공기가 노즈 마스크의 하부로 흘러감으로써 흡기구로 흡입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노즈 마스크는 그 내부공간에서 흡입공기와 배기공기의 공기 흐름을 구획하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아 배기공기의 일부가 흡기구 측으로 흘러감에 따라 방독면의 착용 시에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노즈 마스크는 고무재 등과 같이 연질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착용 도중에 노즈 마스크의 상부가 쉽게 눌려지고, 이렇게 노즈 마스크의 상부가 눌려질 경우에는 노즈 마스크와 방독면 사이의 흡입공기 통로가 안정되게 유지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흡기구로 흡입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10-0058504 A(2010.06.03)
본 발명은 상기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흡기구 측으로 흡입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함으로써 흡입공기의 흡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노즈 마스크의 내부공간에서 배기공기가 배기구 측으로 안정되게 유도함으로써 배기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노즈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화통을 가진 방독면의 내측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를 밀폐하는 노즈 마스크로서,
마스크 바디(mask body);
상기 마스크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입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및
상기 마스크 바디의 전면에 형성되어 배기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의 흡기구 주변에는 상기 흡기구로 흡입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배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배플은, 상기 흡기구를 중심으로 상기 마스크 바디의 전면 상부에서 상기 흡기구의 하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배플은 예컨대, 상기 마스크 바디의 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스크 바디의 후방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된 후방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에서 후방부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 바디의 흡기구에 인접한 상부면에는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마스크 바디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흡기구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흡기구의 상부측 강성을 보강한다. 이러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흡기구를 중심으로 상기 흡기구의 상부 양측에 복수를 이루면서 대칭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마스크 바디의 내부공간에는 배기공기가 흡기구로 흘러감을 차단하는 차단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 격벽은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 격벽은 예컨대, 상기 마스크 바디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고정단을 이루면서 상기 흡기구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로 배기되는 배기공기가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독면의 정화통를 거쳐 흡입된 흡입공기가 가이드배플에 의해 마스크 바디의 하부로 흘러내려감이 차단되어 흡입공기가 흡기구로 매우 원활하게 유도됨으로써 방독면 착용 시에 호흡이 매우 원활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강리브에 의해 마스크 바디의 상부면에 대한 강성이 높아져 임의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마스크 바디의 상부면이 쉽게 눌려지지 않으므로 마스크 바디와 방독면 사이의 흡입공기 통로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흡입공기가 흡기구로 매우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으므로 호흡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배플이 마스크 바디의 좁은 전방폭 및 넓은 후방폭에 대응하여 넓은 폭의 전방부 및 좁은 폭의 후방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스크 바디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흡입공기를 가이드배플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흡기구 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공기를 차단하는 면적, 즉 반사하는 면적을 후방부보다 전방부에 넓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 바디의 내부공간에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배기공기가 차단 격벽에 차단되어 흡기구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호흡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격벽이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에 의해, 배기공기가 흡기구로 흘러감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구를 통한 흡입공기의 흡입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격벽이 수평부 및 수직부가 서로 연결된 "L"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배기공기가 흡기구로 흘러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차단 격벽의 후방에 수직부가 구비되므로 차단 격벽의 후방을 통해 흡입구로 배기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즈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노즈 마스크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노즈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즈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노즈 마스크(10)는 마스크 바디(11, mask body)와, 마스크 바디(11)의 상부에 형성된 흡기구(12)와, 마스크 바디(11)의 하부에 형성된 배기구(13)를 포함한다.
마스크 바디(11)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미도시)을 가진 방독면(1)의 내측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를 밀폐하도록 성형된다.
흡기구(12)는 마스크 바디(11)의 상부에 형성되고, 흡기구(12)에는 흡입공기의 흡입만을 허용하고 그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6)가 설치되며, 이러한 흡기구(12)를 통해 방독면(1)의 정화통(미도시)을 통과하는 흡입공기가 흡입된다.
배기구(13)는 마스크 바디(11)의 전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배기구(13)에는 배기밸브를 가진 배기유닛(미도시)이 장착되어 배기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마스크 바디(11)의 상부 특히, 흡기구(12)의 주변에는 흡기구(12)로 흡입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배플(21)이 형성된다. 가이드배플(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2)를 중심으로 마스크 바디(11)의 전면 상부에서 흡기구(12)의 하부 양측에 마련된다. 가이드배플(21)은 마스크 바디(11)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1)의 정화통을 거쳐 흡입된 흡입공기는 가이드배플(21)에 걸려 마스크 바디(11)의 하부로 흘러내려가지 않으며 마스크 바디(11)의 상부로 반사된 이후에 흡기구(12)로 안정되게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독면(1)의 정화통를 거쳐 흡입된 흡입공기가 가이드배플(21)에 의해 마스크 바디(11)의 하부로 흘러내려감이 차단되어 흡입공기가 흡기구(12)로 매우 원활하게 유도됨으로써 방독면 착용 시에 호흡이 매우 원활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배플(21)의 전방부(21a) 및 후방부(21b)는 마스크 바디(11)의 외부윤곽(좁은 전방폭 및 넓은 후방폭)에 대해 서로 다른 폭을 형성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배플(21)의 전방부(21a)는 마스크 바디(11)의 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배플(21)의 후방부(21b)는 전방부(12a)에서 연장되어 마스크 바디(11)의 후방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가이드배플(21)의 전방부(21a)는 마스크 바디(11)의 좁은 전방폭에 대해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배플(21)의 후방부(21b)는 마스크 바디(11)의 넓은 후방폭에 대해 점차 좁아지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 바디(11)의 좁은 전방폭 및 넓은 후방폭에 대해 가이드배플(21)은 넓은 폭의 전방부(21a) 및 좁은 폭의 후방부(21b)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스크 바디(11)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흡입공기를 가이드배플(21)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흡기구(12)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즉, 가이드배플(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21b)가 전방부(21a)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공기를 차단하는 면적을 후방부(21b)보다 전방부(21a)에 넓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배플(21)은 마스크 바디(11)의 상부 좌우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흡기구(12)로 흡입공기의 흐름을 보다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마스크 바디(11)의 흡기구(12)에 인접한 상부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23)가 일직선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스크 바디(11)의 상부면에 대한 강성이 높아져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특히, 보강리브(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2)를 중심으로 마스크 바디(11)의 좌우 양측에 복수를 이루면서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고무재 마스크 바디(11)의 상부면에 대한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바디(11)의 상부면과 방독면(1) 사이에는 정화통(미도시)을 거친 흡입공기가 통과하는 흡기공기 통로(15)가 형성된다. 보강리브(23)에 의해 마스크 바디(11)의 상부면에 대한 강성이 높아져 임의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마스크 바디(11)의 상부면이 쉽게 눌려지지 않으므로 마스크 바디(11)와 방독면(1) 사이의 흡입공기 통로(15)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흡입공기가 흡기구(12)로 매우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으므로 호흡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스크 바디(11)의 내부공간에는 배기공기가 흡기구로 흘러감을 차단하는 차단 격벽(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마스크 바디의 내부공간에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배기공기가 차단 격벽(18)에 차단되어(도 5의 화살표 E 참조) 흡기구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호흡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격벽(18)은 도 5와 같이 흡기구(12)와 배기구(13)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렇게 차단 격벽(18)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에 의해, 배기공기가 흡기구로 흘러감을 차단(도 5의 화살표 E 참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구를 통한 흡입공기의 흡입(도 5의 화살표 I 참조)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격벽(1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2)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18a)와, 수평부(18a)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18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차단 격벽(18a, 18b)이 수평부(18a) 및 수직부(18b)가 연결된 "L"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배기공기가 흡기구(12)로 흘러감을 원천적으로 차단(도 6의 화살표 E 참조)할 수 있고, 흡기구(12)를 통한 흡입공기의 흡입(도 6의 화살표 I 참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차단 격벽(18a, 18b)은 후방에 수직부(18b)가 구비되므로 배기구(13)에서 배기되는 배기공기가 후방을 통해 흡입구(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차단 격벽(18a, 18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8a)가 마스크 바디(11)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므로 일단이 고정단을 이루며, 이에 따라 수직부(18b)가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을 이룬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노즈 마스크 11: 마스크 바디
12: 흡기구 13: 배기구
18: 차단 격벽 18a: 수평부
18b: 수직부 21: 가이드배플
23: 보강리브

Claims (3)

  1. 정화통을 가진 방독면의 내측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를 밀폐하는 노즈 마스크로서,
    마스크 바디(11: mask body);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입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12); 및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전면에 형성되어 배기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3);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흡기구(12) 주변에는 상기 흡기구(12)로 흡입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배플(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내부공간에는 배기공기가 흡기구로 흘러감을 차단하는 차단 격벽(18)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 격벽(18)은 상기 흡기구(12)와 배기구(13)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스크 바디(11)는,
    상기 흡기구(12)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흡기구(12)의 상부측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리브(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23)는,
    상기 흡기구(12)를 중심으로 상기 흡기구(12)의 상부 양측에 복수를 이루면서 대칭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단격벽(18)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고정단을 이루면서 상기 흡기구(12)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8a); 및
    상기 수평부(18a)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기구(13)로 배기되는 배기공기가 상기 흡기구(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부(18b);를 포함하는 노즈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플(21)은,
    상기 흡기구(12)를 중심으로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전면 상부에서 상기 흡기구(12)의 하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배플(21)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전방부(21a); 및
    상기 전방부(21a)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후방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된 후방부(21b);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부(21b)는,
    상기 전방부(21a)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에서 후방부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즈 마스크.
  3. 삭제
KR20140105175A 2014-08-13 2014-08-13 노즈 마스크 KR10150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175A KR101509613B1 (ko) 2014-08-13 2014-08-13 노즈 마스크
PCT/KR2015/006106 WO2016024711A1 (ko) 2014-08-13 2015-06-17 노즈 마스크
TW104121723A TWI573609B (zh) 2014-08-13 2015-07-03 鼻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5175A KR101509613B1 (ko) 2014-08-13 2014-08-13 노즈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613B1 true KR101509613B1 (ko) 2015-04-08

Family

ID=5303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5175A KR101509613B1 (ko) 2014-08-13 2014-08-13 노즈 마스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9613B1 (ko)
TW (1) TWI573609B (ko)
WO (1) WO201602471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621B1 (ko) * 2019-12-27 2020-08-28 홍석표 방진용 안전 헬멧
KR102249558B1 (ko) * 2020-04-29 2021-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진환자용 자가 격리 led 마스크
KR102272032B1 (ko) * 2020-11-29 2021-07-02 김형준 외기호흡보조기
KR20220026762A (ko) * 2020-08-26 2022-03-07 조극래 안티바이러스 시스템, 이를 구비한 방역장비 및 생 바이러스와 열상 바이러스 포집기
KR20220038219A (ko) 2020-09-18 2022-03-28 정선순 공기호흡기 면체의 밸브 동결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191142A1 (ko) * 2022-03-31 2023-10-05 변진영 강제 송풍식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호흡용 공기 순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63A (ja) * 2001-05-11 2005-05-26 マイン セイフティ アプライアンセス カンパニー 呼吸器用面体
JP2008113922A (ja) * 2006-11-07 2008-05-22 Fumio Kasai 鼻吸気口呼気専用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6107B1 (fr) * 1998-11-25 2001-02-16 Sextant Avionique Masque inhalateur d'oxygene avec dispositif de prise de son
KR100914303B1 (ko) * 2007-11-23 2009-08-28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DE102009003213A1 (de) * 2009-05-19 2010-11-25 Robert Bosch Gmbh Restluftspaltscheibe
KR101163509B1 (ko) * 2010-06-25 2012-07-09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EP2588201B1 (en) * 2010-07-02 2018-05-09 MSA Technology, LLC Facepiece with open 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63A (ja) * 2001-05-11 2005-05-26 マイン セイフティ アプライアンセス カンパニー 呼吸器用面体
JP2008113922A (ja) * 2006-11-07 2008-05-22 Fumio Kasai 鼻吸気口呼気専用マスク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621B1 (ko) * 2019-12-27 2020-08-28 홍석표 방진용 안전 헬멧
KR102249558B1 (ko) * 2020-04-29 2021-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진환자용 자가 격리 led 마스크
KR20220026762A (ko) * 2020-08-26 2022-03-07 조극래 안티바이러스 시스템, 이를 구비한 방역장비 및 생 바이러스와 열상 바이러스 포집기
KR102636916B1 (ko) 2020-08-26 2024-02-14 조극래 안티바이러스 시스템, 이를 구비한 방역장비 및 생 바이러스와 열상 바이러스 포집기
KR20220038219A (ko) 2020-09-18 2022-03-28 정선순 공기호흡기 면체의 밸브 동결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72032B1 (ko) * 2020-11-29 2021-07-02 김형준 외기호흡보조기
WO2023191142A1 (ko) * 2022-03-31 2023-10-05 변진영 강제 송풍식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호흡용 공기 순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5508A (zh) 2016-02-16
WO2016024711A1 (ko) 2016-02-18
TWI573609B (zh) 201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13B1 (ko) 노즈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CN1933875B (zh) 呼吸器
JP2006500142A (ja) 呼吸マスク
JP2015134165A (ja) 呼吸保護マスク
JP2007529254A5 (ko)
FI74615C (fi) Luftstyrning foer respirator.
US3343535A (en) Breathing mask seal
JP4317457B2 (ja) 呼吸用保護具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US11052208B2 (en) Exhaust valve shroud for a personal protection respiratory device
KR20140013788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2001438B1 (ko) 방연마스크
KR20170122646A (ko) 방독겸용 방연마스크
KR102104886B1 (ko)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CN112572734A (zh) 全罩式面罩
TWI632935B (zh) 面罩
CN104548333B (zh) 一种呼吸通气阀及其使用方法
KR102629895B1 (ko) 공기유동을 따른 편안한 호흡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장치
KR100661436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US20230390594A1 (en) A Bi-Valve Air Filter Mask
CN112351823B (zh) 口罩用过滤器保持件及包括其的口罩
US20220249881A1 (en) Face mask
TWM515888U (zh) 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