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701B1 -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701B1
KR101508701B1 KR20140149608A KR20140149608A KR101508701B1 KR 101508701 B1 KR101508701 B1 KR 101508701B1 KR 20140149608 A KR20140149608 A KR 20140149608A KR 20140149608 A KR20140149608 A KR 20140149608A KR 101508701 B1 KR101508701 B1 KR 10150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module
fluid
displac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이랑
Original Assignee
(주)지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니스 filed Critical (주)지니스
Priority to KR2014014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3Control of flow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하고,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이송상태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유체가 이송되는 관로에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관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표시하고, 유량의 효율적인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사용되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로써 밸브의 개도에 따른 유량의 변화량을 연산처리하여 밸브자체의 개도값에 따라 유량값이 설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유량의 이송상태를 판별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본체와 결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통하여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상태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어부와 연결되는 밸브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제품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제어부에 구비된 제어모듈과 통신모듈의 구성을 통하여 다수개의 디지털 유량 적산 밸브 조작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중앙제어모듈을 통하여 각각의 디지털 유량 적산 밸브 조작기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유량 조절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안정적이고 정확한 유량의 이송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불필요한 장비의 교체나 교환 없이 장기가 사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장비의 재구입비용과 유지비용 등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Digital Flow integrated valve actuator}
본 발명은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고저 함에 있어, 밸브의 전단에 유량계를 설치하여 유량계의 유량값에 의하여 밸브를 조절하게 하였던 것을 밸브 자체의 고유 유량특성곡선값을 연산시켜 밸브를 조작하는 밸브조작기 자체에서 유량의 순시치와 적산량을 외부로 표시하고, 현장 또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유량 조절을 이룰 수 있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유량계란, 기체나 액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기(기계적 구성)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계는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그 구성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관로에 설치되는 유량감지기를 통하여 유체의 유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관로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량감지기의 구성을 통하여 관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의 이송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유량감지기기들은 관내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유량을 효율적으로 측정하며, 유량의 조절을 이루기 힘든 문제가 있었고, 유체 유량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문헌(3)에서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유량측정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위와 같은 문헌(1), 문헌(2), 문헌(3)과 같은 종래의 유량기기들은 관로를 흐르는 유량값만을 계산하여 유체의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원활하게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어려운 문제와, 유체의 측정값에 따른 유체의 이송속도와 양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빌딩의 기계실이나, 수처리 공정 또는 일반적인 프로세스 공정등 배관을 통하여 유체를 이송 하려면, 관로에 유량계를 설치한 다음 유량계에서 나온 신호를 전송받아 조절계를 통하여 조절밸브를 조작시켜 원하는 양만큼의 유체를 이송케 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체이송방법은 유량계와 조절계 및 조절밸브 등을 별도로 구성하므로써 설치가 복잡 하고, 설비 비용의 증대와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고특허 공고번호 제89-003898(1988.11.29)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64396(2004.10.01) (3)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28613(2001.04.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로의 내측으로 이송되는 유체의 적산치와 순시치를 측정하여 외부로 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어부의 구성을 통하여 유체의 적산치와 순시치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유체의 이송상태를 원활하게 파악하며 조절을 이룰 수 있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되는 밸브의 개도 상태에 따른 개도값을 연산처리하여 밸브의 개도값이 유량값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정확한 순시치와 적산치를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인 유체의 이송상태 관리를 이룰 수 있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 구비된 제어모듈의 구성을 통하여 유체의 양과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밸브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원활하게 파악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가 이송되는 관로에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관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와 대응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어모듈과, 상기 기어모듈과 연동하여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유동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지된 종동축의 변위를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변위모듈과, 상기 변위모듈의 전류신호를 유량신호로 연산시키는 유량연산모듈과, 상기 유량연산모듈의 유량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적산시키고,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유량적산부와, 상기 유량연산모듈의 유량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유량표시부와, 상기 변위모듈, 유량연산모듈, 유량적산부, 유량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유량적산부 및 유량표시부의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출하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변위모듈, 유량연산모듈, 유량적산부, 유량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제1스위치와, 상기 변위모듈, 유량연산모듈, 유량적산부, 유량표시부의 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도를 자동으로 셋팅하는 오토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토스위치는 3초 이상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변위모듈, 유량연산모듈, 유량적산부, 유량표시부는 상기 오토스위치의 작동시, 150~240초 이내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표시하고, 유량의 효율적인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사용되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로써 밸브의 개도에 따른 유량의 변화량을 연산처리하여 밸브자체의 개도값에 따라 유량값이 설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유량의 이송상태를 판별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본체와 결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통하여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상태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어부와 연결되는 밸브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제품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제어부에 구비된 제어모듈과 통신모듈의 구성을 통하여 다수개의 디지털 유량 적산 밸브 조작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중앙제어모듈을 통하여 각각의 디지털 유량 적산 밸브 조작기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유량 조절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안정적이고 정확한 유량의 이송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불필요한 장비의 교체나 교환 없이 장기가 사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장비의 재구입비용과 유지비용 등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의 또 다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에 관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체(W)가 이송되는 관로(10)에 연결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관로(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W)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유체(W)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유체(10)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관로(10)가 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관로(10)의 일측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외부환경이나 설치상태에 따라 손쉽게 손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시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회전축(110)에 연결되는 전동모터(120)와, 상기 전동모터(120)와 대응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어모듈(121)과, 상기 기어모듈(121)과 연동하여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130)과, 상기 종동축(130)의 유동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모터(120) 및 기어모듈(121)은 도시한 도 1, 도 3, 도 6에서와 같이 관로(10)의 내측으로 흐르는 유체(W)의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종동축(130)의 상,하 변위가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어모듈(121)은 상기 전동모터(12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다수게 구비되어 상기 전동모터(120)가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경우, 상기 종동축(130)으로 전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어모듈(121)은 상기 종동축(130)이 상기 전동모터(120)를 통하여 상,하 변위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 상기 종동축(130)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종동축(130)의 상,하 방향 안내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120)의 회전을 통하여 종동축(130)이 상,하로 유동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상기 기어모듈(121)의 구성을 통하여 원활한 유동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모터(120), 기어모듈(121)의 구성은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의 흐름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120)가 회전을 이루는 경우, 상기 종동축(130)의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그 설치 상태와 결합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모터(120), 감지수단(140)은 후술할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모터(120), 감지수단(140)과 제어부(200)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관로(10)의 내측으로 흐르는 유체(W)의 이송상태에 따라 제어부(200)를 통하여 모터(120)의 회전력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140)은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종동축(130)이 상,하 유동되는 경우 그 위치(변위)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위치센서, 동작센서 등이 구비된 다양한 감지수단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200)와 본체(100), 수동핸들(300), 관로(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밸브(400)가 전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모터(120)와 관로(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밸브(400)의 조작을 전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수단(140)을 통하여 감지된 종동축(130)의 변위를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변위모듈(210)과, 상기 변위모듈(210)의 전류신호를 유량신호로 연산시키는 유량연산모듈(220)과, 상기 유량연산모듈(220)의 유량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적산시키고,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유량적산부(230)와, 상기 유량연산모듈(220)의 유량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유량표시부(240)와,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위모듈(2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축(130)의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140)과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감지수단(140)을 통하여 감지되는 종동축(130)의 변위값을 전류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량연산모듈은(220)은 상기 변위모듈(2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유량신호로 연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유량적산부(230)와, 유량표시부(240)는 상기 유량연산모듈(220)을 통하여 측정되는 유량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함으로써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의 적산치와 순시치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설치 구성되는 관로(10)의 유체(W) 이송상태를 상기 종동축(130)의 유동되는 변위를 통하여 감지한 후,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을 통하여 유체(W)의 순시치와 적산치 값을 갖는 유량신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유량연산모듈(220)과 연결되는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구성을 통하여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의 유량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상기 제어부(20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정적인 유체(W)의 이송관리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모듈(250)의 구성을 통하여 관로(10)의 내측에 설치된 밸브(400)의 개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50)은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250)은 상술한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를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거나 사용자의 작동여부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제어모듈 구성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어모듈(250)은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251)와,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신호에 따라 밸브(400)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스위치(252)와, 상기 제어부(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400)의 개도를 자동으로 셋팅하는 오토스위치(2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위치(251)는 상기 제어부(200)에 구비된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작동을 사용자가 제어하거나 설정하고자 하는 값을 입력하여 상기 제어모듈을 통한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252)는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관로(10)의 개도값을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스위치(252)의 조절을 통하여 밸브(400)의 개도값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오토스위치(253)는 상기 제어부(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400)의 개도를 자동으로 셋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1스위치(251), 제2스위치(252)의 작동 이전에 사용자가 제어부(200)에 기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가 기초적인 작동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토스위치(253)는 3초 이상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스위치(251), 제2스위치(252),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는 상기 오토스위치(253)의 작동시, 150~240초 이내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오토스위치(253)의 동작 전에 사용자가 제1스위치(251) 및 제2스위치(252)를 작동시켜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기초 설정값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오토스위치(253)를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에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251), 제2스위치(252),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가 작동을 준비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200)에는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유량적산부(230) 및 유량표시부(240)의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출하는 통신모듈(26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모듈(260)은 상술한 유량적산부(230) 및 유량표시부(240)의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출하고자 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이러한 기능과 구성을 갖는 종래의 통신모듈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유량연산모듈(220)은 밸브 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유량특선곡선값과 밸브 전,후 차압에 의한 실유량값의 연산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및 제어부(200)는 밸브조작기의 구동방식에 따라 90도 회전용, 다회전용, 수직용등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볼밸브, 버터후라이밸브 등 다양한 형태에도 원활하게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W)의 변화량에 따라 관로(10) 내측에 설치되는 밸브(400)의 개도값을 설정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된 밸브(400)의 개도값을 유량값과 동일시하여 밸브(400)의 개도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더하여, 정전등의 경우, 제어부(200)에 의한 밸브(400) 개폐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수동핸들(300)을 조절하여 밸브(400)의 개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표 1]
(밸브의 개도값에 따른 밸브유량특선곡선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표(유체:물 , 차압:일정, 온도: 일정한 조건)
Figure 112014104821713-pat00001
[표 2]
Figure 112014104821713-pat00002
이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의 흐름을 감지하고, 관로(10)의 내측에 설치 구성되는 밸브(400)를 통하여 유체(W)의 이송상태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표 1],[표 2]에서와 같이, 측정된 유체(W)의 측정값과 밸브(400)의 개도되는 값이 동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밸브(400)의 개도과정에서 유체(W)의 이송 양과 흐름이 변화되어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종동축(130)과 제어부(200), 밸브(400)의 연결되는 구조를 통하여 밸브(400)의 개도값이 유체(W)의 유량값으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밸브(400)의 개도값에 의한 정확한 유체(W)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밸브(400)의 원활한 조절을 통하여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의 흐름을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연산모듈(220)은 다양한 종류의 밸브(400)와 이에 따른 유량의 특성곡선을 이루는 데이터값이 기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밸브(400)의 개도값을 얻고자 하는 경우, 입력된 값과 비교하며 유체(10)의 순시치와 적산치 값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1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W)의 흐름을 원활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으며, 유체(10)의 흐름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고 효율적인 조절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본체 110: 회전축
120: 전동모터 121: 기어모듈
130: 종동축 140: 감지수단
200: 제어부 210: 변위모듈
220: 유령연산모듈 230: 유량적산부
240: 유량표시부 250: 제어모듈
251: 제1스위치 252: 제2스위치
253: 오토스위치 260: 통신모듈
300: 수동핸들 400: 밸브

Claims (6)

  1. 유체(W)가 이송되는 관로(10)에 연결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관로(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W)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유체(W)의 순시치와 적산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수단(140)을 통하여 감지된 종동축(130)의 변위를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변위모듈(210)과,
    상기 변위모듈(210)의 전류신호를 유량신호로 연산시키는 유량연산모듈(220)과,
    상기 유량연산모듈(220)의 유량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적산시키고,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유량적산부(230)와,
    상기 유량연산모듈(220)의 유량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유량표시부(240)와,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5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250)은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제1스위치(251)와,
    상기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의 신호에 따라 밸브(400)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스위치(252)와,
    상기 제어부(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기 설정된 값에 따라 밸브(400)의 개도를 자동으로 셋팅하는 오토스위치(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회전축(110)에 연결되는 전동모터(120)와,
    상기 전동모터(120)와 대응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기어모듈(121)과,
    상기 기어모듈(121)과 연동하여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축(130)과,
    상기 종동축(130)의 유동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어모듈(250)과 연결되어 유량적산부(230) 및 유량표시부(240)의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출하는 통신모듈(26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스위치(253)는 3초 이상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스위치(251), 제2스위치(252), 변위모듈(210), 유량연산모듈(220), 유량적산부(230), 유량표시부(240)는 상기 오토스위치(253)의 작동시, 150~240초 이내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KR20140149608A 2014-10-30 2014-10-30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KR10150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9608A KR101508701B1 (ko) 2014-10-30 2014-10-30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9608A KR101508701B1 (ko) 2014-10-30 2014-10-30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701B1 true KR101508701B1 (ko) 2015-04-14

Family

ID=5303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9608A KR101508701B1 (ko) 2014-10-30 2014-10-30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6132A (zh) * 2021-04-20 2021-07-27 苏州卡美利多仪器有限公司 稳流结构及总有机碳分析仪用进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841A (ja) * 1992-07-28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量制御装置
JPH1137812A (ja) * 1997-07-15 1999-02-12 Saginomiya Seisakusho Inc 積算バッチ流量計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積算バッチ流量計制御プログラム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841A (ja) * 1992-07-28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量制御装置
JPH1137812A (ja) * 1997-07-15 1999-02-12 Saginomiya Seisakusho Inc 積算バッチ流量計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積算バッチ流量計制御プログラム記憶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6132A (zh) * 2021-04-20 2021-07-27 苏州卡美利多仪器有限公司 稳流结构及总有机碳分析仪用进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68730B2 (en) A valv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valve
CN105263847B (zh) 真空管提升设备和提升软管以及用于控制真空管提升设备的方法
CN201559195U (zh) 机器人
US20120216893A1 (en) Household Electronic Mixing-Valve Device
EP3953668A1 (en) Calibration method for liquid flowmeter
KR101508701B1 (ko) 디지털 유량적산 밸브 조작기
DE102010033428A1 (de) Steuerung für ein Stellglied
US20240159031A1 (en) Fluid-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N207609852U (zh) 自动调节阀
CN205306758U (zh) 一种能监测容器内水位的结构及水壶
KR100264220B1 (ko) 전자밸브용 액츄에이터의 제어시스템
CN103713658B (zh) 铸轧机铝液液位模拟控制系统
JP6663957B2 (ja) 弁監視装置
KR20150102628A (ko) Bldc모터를 장착한 펌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0962A (ko) 전동 조작 밸브 제어 시스템
CN202402775U (zh) 一种触摸按键冷热水出水控制器
RU2518923C2 (ru) Сместитель потоков воды
KR101087090B1 (ko) 전동식 엑츄레이터 위상제어장치
TR201619294A2 (tr) Bi̇r temi̇zli̇k donanimi
TH13482C3 (th) เครื่องควบคุมแรงดูดลมและของเหลวอัตโนมัติในงานผ่าตัด
TH13482A3 (th) เครื่องควบคุมแรงดูดลมและของเหลวอัตโนมัติในงานผ่าตัด
JP2004212268A (ja) 背圧による残量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