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92B1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592B1 KR101508592B1 KR20130007125A KR20130007125A KR101508592B1 KR 101508592 B1 KR101508592 B1 KR 101508592B1 KR 20130007125 A KR20130007125 A KR 20130007125A KR 20130007125 A KR20130007125 A KR 20130007125A KR 101508592 B1 KR101508592 B1 KR 101508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connecting rod
- water supply
- supply pip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무미건조하고 육중한 이미지를 갖는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블록을 대신하여 친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이며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사면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안착대와, 이웃하는 상기 안착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을 구비한 제1면체; 상기 안착대의 일단에 입설 고정되는 입설대와, 이웃하는 상기 입설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을 구비한 제2면체; 상기 제2면체를 덮는 통기 및 통수성 재질의 덮개; 입설된 상기 제2면체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상기 제1면체와 제2면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체; 상기 안착대에 연결되고, 공극이 형성되도록 골재가 채워지는 'U' 단면형상의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상면을 덮는 통수 가능한 재질의 커버;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fram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retaining wall frame so as to maintain a natural,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tructurally stable slope structure in place of a concrete wall having a visually irregular and heavy image, A first prism body having a plurality of seating rods arranged in a row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seating rods adjacent to each other; A second sidewall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inlet sidewalls adjacent to each other, A cover of an air permeable and 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second sided body; A support body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planar bodies so as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second planar body; A U-shaped cross-sectional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ating stand and filled with aggregate so as to form a gap; And a water-permeable cov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무미건조하고 육중한 이미지를 갖는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블록을 대신하여 친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이며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사면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환경이 개선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식생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retaining wall fram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that can maintain a slope structure that is natural,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tructurally stable, instead of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s having visually irregular and massive images .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상기 사면에는 옹벽을 건설한다. 상기 옹벽은 사면에 직접 콘크리트를 포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면을 따라 옹벽블록을 축조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natural or artificially generated slopes from collapsing, a retaining wall is usually built on the slopes. The retaining wall may be formed by packing concrete directly on the slope, or by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lock along the slope.
하지만, 종래 옹벽은 전술한 포장공법 또는 옹벽블록의 축조공법 모두가 콘크리트로 사면을 덮는 것이므로, 외관이 인공적이고 주변 자연과 쉽게 어우러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since both the above-described paving metho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over the slope with concrete,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appearance is artificial and can not easily be combined with the surrounding nature.
한편, 근래 옹벽 시공은 축조공법이 주로 적용되는데, 상기 축조공법의 경우 하중이 큰 옹벽블록을 별도로 제작해야 함은 물론, 상기 옹벽블록을 현장으로 일일이 이송해야 하는 업무의 곤란함과 경제적 불이익 또한 있으므로, 옹벽 시공상에 불합리함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main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retaining wall block having a large load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retaining wall block to the site is also difficult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 There was an unreasonable construction on the retaining wall.
이외에도 종래 옹벽은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사면을 덮게 되므로 생태환경 조건이 열악해짐은 물론, 해당 사면과 주변 자연환경과의 어우러짐이 약하므로, 해당 구역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 또한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uses concrete to cover the slope, which not only deteriorates ecological conditions, but also interferes with the slope and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thus destroying the ecosystem of the area.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사면에 축조되는 옹벽블록에 식생공간을 인위적으로 조성해서 다양한 식물을 식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등록번호 10-0990517, 등록번호 20-0358575)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Registration No. 10-0990517, Registration No. 20-0358575) for artificially creating a vegetation space on a slope block built on a slope and allowing various plants to be planted has been proposed.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 모두 콘크리트로 사면을 포장하는 공법으로서 시각적으로 부담감이 여전하고, 시공에 있어서 전술한 불합리함 또한 잔존하며, 자연환경과의 어우러짐 또한 한계가 있으므로, 좀 더 개선된 옹벽과 시공법이 요구되었다.However, all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have a problem of visually burdened as a method of packaging slopes with concrete, the aforementioned unreasonableness remains in the construction, and the compatibilit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is also limited. Therefore, .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블록을 대신하여 친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이며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사면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환경이 개선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식생 옹벽 시공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co-friendly retaining wall frame, which is improved in water supply environment to maintain a natural,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tructurally stable slope structure instead of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안착대와, 이웃하는 상기 안착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을 구비한 제1면체;A first sidewall having a plurality of seating pad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seating pad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안착대의 일단에 입설 고정되는 입설대와, 이웃하는 상기 입설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을 구비한 제2면체;A second sidewall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inlet sidewall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2면체를 덮는 통기 및 통수성 재질의 덮개;A cover of an air permeable and 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second sided body;
입설된 상기 제2면체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상기 제1면체와 제2면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체;A support body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planar bodies so as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second planar body;
상기 안착대에 연결되고, 공극이 형성되도록 골재가 채워지는 'U' 단면형상의 급수관; 및A U-shaped cross-sectional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ating stand and filled with aggregate so as to form a gap; And
상기 급수관의 상면을 덮는 통수 가능한 재질의 커버;을 포함하는 옹벽프레임을 제공한다.And a cover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초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forming a base layer;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격자형상의 제1면체와, 상기 제1면체에 입설 고정되는 격자형상의 제2면체와, 입설된 상기 제2면체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상기 제1면체와 제2면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제2면체를 덮는 통기 및 통수성 재질의 덮개를 포함하는 옹벽프레임을 설치하는 제2단계;A first prism body having a lattice shape that is seated on the base layer, a lattice-shaped second prism body fixed and fixed to the first prism body, and a second prism body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irst prism body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retaining wall frame including a support fixed to the bimetallic body and a cover made of a permeable and 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second planar body;
상기 제1면체와 연결되는 'U' 단면형상의 급수관을 배관하는 제3단계; 및A third step of piping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U-shaped sectional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prism; And
통수 가능한 재질의 커버로 상기 급수관의 상면을 덮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with a cover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를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의 본 발명은, 옹벽프레임을 옹벽 시공 현장에서 바로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재 운송효율을 높일 수 있고, 콘크리트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옹벽구조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인 자연친화도 개선과 더불어 실질적인 친환경 효과를 높여서 자연생태환경의 안정과 보호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retaining wall frame can be directly assembl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material transportation efficiency and to achieve a structurally s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while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concre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cological effect and thereby to stabilize and protect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또한, 옹벽프레임 후방에 구성된 식생토에 대한 안정적이면서 원활한 급수 환경을 조성하므로, 상기 식생토의 식생환경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provides a stable and smooth watering environment for the vegetation soil constructed behind the retaining wall frame, the vegetation environment of the vegetation soil is opt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으로 건설되는 옹벽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으로 건설된 다층의 옹벽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의 일부분에 대한 조립 공정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덮개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한 조립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급수관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급수관이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연결봉이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layer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ssembling processes of a part of the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lid is attached to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for anoth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ater pipe is connected to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rod formed in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으로 건설되는 옹벽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으로 건설된 다층의 옹벽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 1 is a 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of a multi-layer constructed by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옹벽 시공을 위한 기초층(10)에 옹벽블록 등을 대신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100)을 축조하고, 축조된 옹벽프레임(100)의 후방 내측에는 식생토(40)를 타설해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한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서 상기 옹벽의 기초를 이루는 통상적인 기초층(10)을 우선 시공한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a
기초층(10)은 해당 구간을 굴착하고 지반용 골재를 타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지반용 골재는 깊이에 따라 직경이 다른 골재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층 구분이 없는 기초층(10)을 도시하였다. The
계속해서, 상기 구간에 지반용 골재가 타설되면 다른 구간과의 경계를 분명히 함은 물론 상기 지반용 골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구간의 전단(前端)을 따라 기초석(11)을 안착시킨다. 기초석(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축조되는 옹벽프레임(100)은 물론 제1,2옹벽층(1, 2)의 하중을 지지하고, 기초층(10)에 타설된 지반용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하중이 큰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이 적용된다.Subsequently, when the aggregate for the ground is laid in the above section, the
기초석(11)을 안착한 이후 빈 공간이 잔존할 경우 해당 공간에 지반용 골재를 매꿔 채울 수 있고, 기초층(10)의 표면에서는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켜서 지반용 골재를 다질 수도 있다.If the void space remains after the
옹벽의 기초를 이루는 기초층(10) 구조는 전술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으며, 형성 과정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층(10)의 구조 및 시공방법은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전술한 공정에 따라 완성된 기초층(10) 상면에는 보강부재(20)를 안착한다.The reinforcing
보강부재(20)는 기초층(10)에 타설된 지반용 골재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함은 물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서 상기 지반용 골재에 부분적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부재(20)는 격자 형태의 그리드가 적용되고, 상기 지반용 골재의 특성 등에 따라 연성 또는 강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부재(20)가 안착된 기초층(10) 상면을 따라 도 1(a)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100)을 안착한다.The
옹벽프레임(100)은 도 7(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초층(10)과 마주하게 안착되는 제1면체(110)와, 제1면체(110)와 연결돼 입설되는 제2면체(120)와, 제2면체(120)가 기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130)로 구성된다. 또한 옹벽프레임(100)은 후방 내측에 타설된 식생토(40)가 제2면체(120)를 통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면체(120)와 식생토(40)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140)를 더 포함한다. 덮개(140)는 식생토(4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걸름망(141)과, 미세 토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우수 등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직포(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체(110)는 기초층(10)에 마주하게 안착되고, 제2면체(120)는 제1면체(110)와 연결돼 입설되므로, 후방 내측에는 식생토(40)가 타설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다. 물론, 제2면체(120)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체(130)가 보강된다. 지지체(130)는 하단이 제1면체(110)에 고정되고 상단이 제2면체(120)에 고정되어서, 제2면체(120)가 기댈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결국, 제2면체(120)는 다소 기울어진 자세로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2면체(110, 120) 및 지지체(130)가 서로 결속되면서 옹벽프레임(100)은 안정된 옹벽의 기초를 이루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한편,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2면체(110, 120)는 격자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식생토(40)가 매설되면서 옹벽프레임(100) 전체가 식생토(40)에 안정적으로 매설된다. 이에 대한 제1,2면체(110, 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7, the first and
기초층(10)의 지정된 위치에 옹벽프레임(100)이 안착되면, 옹벽프레임(100) 후방으로 급수관(150)을 연장 배관한다. 급수관(150)은 제1면체(110)와 직접 연결되면서 지중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옹벽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옹벽프레임(100) 후방에 식생하는 다양한 동식물들이 충분한 양식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옹벽프레임(100)을 기초로 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별도의 급수 없이도 최적화된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변 자연환경과 쉽게 동화되어 안정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서 급수관(150)은 제1면체(11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므로, 옹벽 붕괴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급수관(150)은 효율적인 집수를 위해 상면이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보강토(30) 또는 식생토(40)에 의한 매몰시 급수관(150)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면을 통수 가능한 커버(160)로 덮는다. 커버(160)는 보강토(30) 또는 식생토(40)를 구성하는 골재를 필터링할 수 있는 망체이면 족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부직포를 제안한다.The
급수관(150)의 배관이 완료되면, 도 1(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프레임(100) 후방에 보강토(30)를 타설한다. 보강토(30)는 축조된 옹벽을 구성하는 골재로서, 식생토(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골재로 구성된다. 보강토(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프레임(100)의 제1면체(110) 말단까지만 경계가 이루어지도록 골재를 타설할 수도 있으나, 보강토(30)의 구성 골재가 제1면체(110)를 덮도록 타설할 수도 있다.When the piping of the
계속해서,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프레임(100)의 후방 내측과 보강토(30) 사이에 식생토(40)를 타설해서 제1옹벽층(1)을 완성한다. 식생토(40)는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전용 토사로서, 옹벽프레임(100)과 보강토(30) 사이에 타설되고, 다짐 작업을 통해 안정되면서도 치밀한 상태로 최종 마감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 (d), the
옹벽프레임(100)의 후방 내측에 식생토(40)가 타설되고 보강토(30)와 더불어 다짐 작업 또한 완료되면, 식생토(40)와 보강토(30)의 마감을 위해 그 상면에는 보강부재(20')를 안착한다. 결국, 식생토(40)와 보강토(30)를 이루는 골재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서 식생토(40)와 보강토(30) 상면에 각각 발생할 수 있는 홈을 최소화한다.The
이상 설명한 과정에 따라 제1옹벽층(1)을 완성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해서 제2옹벽층(2)을 제1옹벽층(1) 상에 적층해 완성한다.After completing the first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옹벽프레임(100)과 보강토(30) 사이에 식생토(40)를 타설하고 식생토(40)에 대한 다짐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제1옹벽층(1)을 완성한 이후, 보강토(30)와 식생토(40)를 덮는 보강부재(20') 안착을 시작으로 제2옹벽층(2) 시공을 시작한다. 즉, 앞서 언급한 제1옹벽층(1) 형성과정인 보강부재 안착, 옹벽프레임 안착, 급수관 배관, 커버 안착, 보강토 타설 및 식생토 타설을 반복함으로써 제2옹벽층(2)을 제1옹벽층(1) 상에 형성시키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고층의 옹벽을 완성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after completing the first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으로 완성된 옹벽이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하층인 제1옹벽층(1)의 옹벽프레임(100) 내 제2면체(120)와, 상대적으로 상층인 제2옹벽층(2)의 옹벽프레임 내 제2면체가 일렬로 연결되도록 해서, 하층의 옹벽프레임(100)이 상층의 옹벽프레임을 직접 지지하는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In order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formed b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의 일부분에 대한 조립 공정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ssembling processes of a part of the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기초하는 옹벽프레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초층(10)에 마주하게 안착되는 제1면체(110)와, 제1면체(110)와 연결되고 입설되는 제2면체(120)와, 제2면체(120)가 기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130)와, 제1면체(110)에 연장하도록 배관되는 급수관(1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면체(110)와 제2면체(120)는 식생토(40)의 구성 골재가 노출되도록 격자 형태를 이루고, 시공 현장에서 바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retaining
본 발명에 따른 제1면체(110)는 둘 이상의 안착대(111, 111')가 나란히 배치되고, 다수의 연결봉이 안착대(111, 111')를 서로 연결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여기서, 안착대(111, 111')에는 상기 연결봉이 맞물리는 다수의 제1끼움홈(H1)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했다.The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안착대(111, 111')는 제1편(P1)과 제2편(P2)이 마주하도록 형성되면서 'U' 형 단면을 이루는데, 제1끼움홈(H1)은 제1,2편(P1, P2)에 각각 마주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봉이 일정한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연결봉의 단부는 제1끼움홈(H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된 확장부(112a)로 구성되어서, 상기 연결봉의 단부가 제1끼움홈(H1)에 끼워진 후 수평방향으로는 확장부(112a)에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했다. 상기 연결봉은 길이에 따라 제1연결봉(112)과 제2연결봉(1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연결봉(112)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안착대(111, 111')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제1면체(110) 제작시 제1면체(110)의 기본 틀을 잡기 위해 한 쌍의 안착대(111, 111')를 연결할 때 활용된다. 제2연결봉(113)은 기본 틀이 잡힌 다수의 안착대(111, 111')를 모두 병렬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안착대(111, 111')를 연결할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안착대(111, 111')는 제1끼움홈(H1)이 형성된 제1편(P1)과 제2편(P2)이 서로 마주하는 형상을 이루므로, 하나의 안착대(111, 111')를 중심으로 제1연결봉(112)이 서로 대칭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of an enlarged portion 112a which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fitting groove H1 so that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H1, (112a) so as not to be separated. The connecting rod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nnecting
제1끼움홈(H1)은 상기 연결봉이 안착대(1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일단이 개구된 홈이면 족할 것이나, 상기 연결봉이 외력으로부터 안착대(111)와의 분리됨 없이 안정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인입부(111a)와 걸림부(111b)로 구성된다.The first fitting groove H1 may be a groove whose one end is opened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be engaged with the
인입부(111a)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상방으로 개구된 곳으로서, 제2면체(120)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국, 제2면체(120)가 기대고 있는 지지체(130)의 압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봉이 인입부(111a)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걸림부(111b)는 인입부(111a)의 타단에서 인입부(111a)의 경사진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절개 형성된 곳으로서, 상기 연결봉이 인입부(111a)로 1차 삽입된 후 걸림부(111b)로 방향을 전환해 2차 삽입되도록 한다. 결국, 걸림부(111b)까지 삽입된 상기 연결봉은 장력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인입부(111a)를 통해 재이탈하지 않고 제 위치를 고수하므로, 안착대(111)와의 안정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인입부(111a)의 타단과 걸림부(111b) 사이에 돌출부를 형성시켜서, 걸림부(111b)로 일단 삽입된 상기 연결봉이 자력으로 인입부(111a)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engaging
제2면체(120)와 연결되는 안착대(111)의 일단에는 삽입홈(PH1)이 형성된다. 삽입홈(PH1)은 상기 연결봉이 맞물리면서 이웃하는 안착대(111, 111')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활용됨은 물론 제2면체(12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삽입홈(PH1)은 상기 연결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방으로 개구되면 족할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삽입홈(PH1)을 통한 제1면체(110)와 제2면체(120)의 안정된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의 삽입홈(PH1)을 제안한다.An insertion groove PH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안착대(111)의 타단에는 연결홈(LH)이 형성된다. 연결홈(LH)은 급수관(150)과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홈으로서, 제1끼움홈(H1)과 같이 일단이 개구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가 폐구된 구멍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급수관(150)과의 연결은 단순히 안착대(111)와의 연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연결홈(LH)을 통하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한 물리적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안착대(111)와 급수관(150)을 연결하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상기 연결봉을 매개로 안착대(111)와 급수관(150)을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a connecting groove LH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이상 설명한 구조를 갖는 안착대(111, 111')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초기에는 제1면체(110)의 기본 틀인 4각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봉 중 이웃하는 안착대(111, 111')를 한정해 연결하는 제1연결봉(112)을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착대(111, 111')의 양단에 위치한 삽입홈(PH1)과 해당 제1끼움홈(H1)에 삽입해 고정한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제1연결봉(112)을 이용한 제1면체(110)의 기본 틀이 완성되면, 안착대(111, 111')에 잔존하는 제1끼움홈(H1)에 제2연결봉(113)을 삽입해서 다수의 안착대(111, 111')를 일체로 연결한다. 결국,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안착대(111, 111')와 제1,2연결봉(112, 113)만을 이용해서 안정된 격자형태의 제1면체(110)를 완성할 수 있다.
When the basic frame of the firs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덮개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lid is attached to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면체(120)를 구성하는 입설대(121)는 제1면체(110)와 동일하게 연결봉의 맞물림을 위한 제2끼움홈(H2)이 형성되고, 제1면체(110)와 연결되는 일단에는 삽입홈(PH2)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면체(120)의 입설대(121) 또한 제1편(P2)과 제2편(P2)이 마주하도록 형성되면서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제2끼움홈(H2)은 제1,2편(P1, P2)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봉이 맞물릴 수 있도록 될 수 있다.The inlet 121 constituting the
제1끼움홈(H1)은 상기 연결봉이 입설대(1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된 홈이면 족할 것이나, 상기 연결봉이 외력으로부터 입설대(121)와의 분리됨 없이 안정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인입부(121a)와 걸림부(121b)로 구성된다.The first fitting groove H1 may be a groove partially opened to allow the connecting rod to engage with the mouthpiece 121. In order that the connecting rod can maintain a stable binding without separating from the mouthpiece 121 from external forc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tituted of a lead-in
인입부(121a)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된 곳으로서, 제1면체(110)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국, 제2면체(120)가 기대고 있는 지지체(130)의 압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봉이 인입부(121a)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걸림부(121b)는 인입부(121a)의 타단에서 인입부(121a)의 경사진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절개 형성된 곳으로서, 상기 연결봉이 인입부(121a)로 1차 삽입된 후 걸림부(121b)로 방향을 전환해 2차 삽입되도록 한다. 결국, 걸림부(121b)까지 삽입된 상기 연결봉은 장력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인입부(121a)를 통해 재이탈하지 않고 제 위치를 고수하므로, 입설대(121)와의 안정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입설대(121)에 형성된 제2끼움홈(H2)에서 상기 연결봉의 이동 모습은 제1면체(110)와 제2면체(120)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한다.The engaging
이상의 구조를 갖는 입설대(121)에 상기 연결봉을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은 제1면체(110)를 설명하면서 제시한 제1연결봉(112) 및 제2연결봉(113)과 동일한 제1연결봉(122) 및 제2연결봉(123)이 적용된다.The connecting rod is engaged with the inlet base 121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connecting
입설대(121)와 상기 연결봉을 통해 격자형태의 제2면체(120)가 완성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덮개(140)를 도포한다. 제2면체(120)는 옹벽 시공시 정면으로 드러나는 부분이므로, 옹벽프레임 후방 내측에 타설되는 식생토(40)가 제2면체(12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덮개(140)는 제2면체(120)에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격자 구멍을 폐구하면서도 통기는 원활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해서, 식생토(40)에서 원활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lattice-shaped second
덮개(140)는 통상적인 지오그리드로 활용되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걸름망(141)과 부직포(142)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식생토(40)의 인입출을 차단하면서 통기가 가능한 재질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덮개(140)는 연결봉에 직접 끼워질 수도 있을 것이나, 별도의 고정부재(143)를 매개로 상기 연결봉과 체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43)는 상기 연결봉에 밀착된 덮개(140)를 일체로 묶는 방식으로 상호 결속하는 부재가 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통상적인 와이어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한 조립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ing process of anoth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초층(10)에 안착된 제1면체(110) 상에, 덮개(140)가 결합된 제2면체(120)를 입설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면체(110)와 제2면체(120)의 연결이 안착대(111)의 삽입홈(PH1)에 삽입된 연결봉으로 입설대(121)의 삽입홈(PH2)이 삽입되면서 이루어진다. 즉, 제1면체(110)와 제2면체(120)는 안착대(111)의 삽입홈(PH1)과 입설대(121)의 삽입홈(PH2)이 동일한 연결봉과 맞물리면서 제2면체(120)의 자중으로 결속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안착대(111)와 입설대(121)가 'U' 단면 형상을 이루므로, 각각의 제1편(P1, P2)과 제2편(P1', P2')의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결속된다. 또한 안착대(111) 또는 입설대(121) 중 하나는 그 폭이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다른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될 수도 있다.A second
계속해서, 제1면체(110)와 제2면체(120)가 서로 고정되면 입설된 제2면체(120)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체(130)가 보강된다. 지지체(130)는 일단이 제1면체(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면체(120)에 고정되어서 다소 기울어진 제2면체(120)가 기댈 수 있도록 한다. 지지체(130)의 양단에는 상기 연결봉과 맞물리기 위한 결속홈(131, 131')이 각각 형성되는데, 결속홈(131, 131')은 상기 연결봉과 일단 맞물린 이후엔 발생한 외력으로 재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봉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이룬다. 결국, 상기 연결봉의 길이방향으로 제2면체(120)가 제1면체(110)를 향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해도, 상기 연결봉은 결속홈(131, 13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제1,2면체(110, 120)의 고정상태를 보장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한편, 입설된 상태의 제2면체(120) 내 연결봉은 자체 하중에 의해서 1차적으로 걸림부(121b)로 이동해서 현 위치를 고수한다. 그런데, 지지체(130)와 연결된 해당 연결봉의 경우 제2면체(1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연결봉은 인입부(121a)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인입부(121a)의 타단까지 이동한다. 하지만, 옹벽프레임(100)의 후방 내측에 식생토(40)가 타설될 경우 지지체(130)는 식생토(40)로부터 지속적인 압력을 받게 되고, 상기 압력을 받는 연결봉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끼움호(H2)에서 걸림부(121b)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제2면체(120)는 식생토(40)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으로 인해서 제1면체(110)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력이 발생하므로, 상기 연결봉은 걸림부(121b)에 대한 위치를 고수하면서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 결국, 지지체(130)를 매개로 한 안착대(111)와 입설대(121) 간의 결속은 견고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조립 또한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rod in the
참고로, 지지체(130)가 제2면체(120)의 연결봉과 결속하기 위해서는 제2면체(120)에 구성된 덮개(140)를 관통해야 하므로, 지지체(130)를 제2면체(130)에 고정하기 전 지지체(130)가 위치하는 덮개(140)의 해당 지점을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절개해서, 지지체(130)가 원활히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bind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급수관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급수관이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pipe is connected to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ater pipe is connecte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옹벽프레임(100)이 기초층(10) 상에 안착되면, 제1면체(110)의 후방으로 급수관(150)을 배관한다. 급수관(150)은 'U' 단면형상을 갖는 안착대(111)에 대응하는 'U' 단면형상을 갖는 관으로서, 안착대(111)와 연통하도록 연결되어서 급수가 안착대(111)로 직접 이루어지도록 된다. 결국, 급수관(150)을 통해 안착대(111)로 공급된 지하수는 안착대(111)의 제1끼움홈(H1) 등을 통해 배출돼 식생토(40)로 공급되면서, 식생토(40)에 서식하는 다양한 동식물의 생장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When the
한편, 급수관(150)은 다수 개를 일렬로 연결할 수 있고, 제1면체(110)에 구성된 안착대(111) 모두 또는 일부분에 연결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급수관(150)은 지하수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상면이 개구된 구조를 이루므로, 보강토(30) 또는 식생토(40)의 구성 골재가 급수관(15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통수 가능한 재질의 커버(160)로 급수관(150) 상면을 덮는다. 커버(160)는 통수 가능하면서 일정한 지지력을 갖는 재질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한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부직포를 제안한다.The
참고로, 안착대(111) 또한 급수관(150)과 동일한 'U' 단면형상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루고, 보강토(30) 또는 식생토(40)의 구성 골재가 안착대(111)로 유입되지 않도록 보조커버(160')로 안착대(111) 상면을 덮는다. 여기서, 보조커버(160') 역시 커버(160)와 마찬가지로 통수 가능한 재질이 적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부직포를 제안한다.The
계속해서, 급수관(150)에는 지하수를 필터링하면서 지지력을 갖도록 일정 크기의 입자가 채워질 수도 있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입자는 자갈과 같은 골재가 적용되어서 일정한 공극을 갖도록 하고, 아울러 급수관(150)이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급수관(150)은 안착대(111)와 단순히 연통하도록 배관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연결봉을 매개로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급수관(150)을 안착대(111)와 물리적으로 연결할 경우 급수관(150)은 보강토(30)의 하중을 지지 기반으로 하여 옹벽프레임(100)의 고정성을 높인다. 즉, 식생토(40) 등의 자중으로 발생하는 수평력에 의해 옹벽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구조적 결함을 급수관(150)이 보완함으로써, 옹벽프레임(1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연결봉이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rod formed on a retaining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제1,2옹벽층(1, 2)을 경계하면서 보강토(30) 등의 골재 간 결속을 보강하는 보강부재(20)의 보강기능을 보조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급수관(150')을 연결봉(153)으로 연결해서 격자형태의 망 구조를 완성한다. 이를 위해 급수관(150')에는 연결봉(153)이 맞물리는 고정홈(15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체(110)의 후방으로 급수관(150')이 배관되면, 급수관(150')에 형성된 고정홈(151)으로 연결봉(153)을 끼워 고정해서 이웃하는 급수관(15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보강토(30)의 타설로 급수관(150')과 연결봉(153)이 함께 매몰되면서 단단히 결속되므로, 옹벽프레임(100')의 고정성이 향상됨은 물론 이를 통해 옹벽 자체의 안정도가 보장된다.The neighboring water supply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not shown) so as to assist the reinforcing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연결봉(153)은 양단이 확장된 확장부를 갖추고, 고정홈(151)은 상기 확장부가 걸릴 수 있는 폭을 갖는 홈을 예시하였지만, 연결봉(153)은 양단이 볼트 또는 핀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이웃하는 급수관(150')에 직접 체결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급수관(150')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커버(160)를 연결봉(153)의 설치 이후 안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커버(160)를 우선 설치한 후 해당 위치에 연결봉(153)을 설치하는 순서로 진행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기초층 11; 기초석 20, 20'; 보강부재
30; 보강토 40; 식생토 100, 100'; 옹벽프레임
110; 제1면체 111, 111'; 안착대 111a; 인입부
111b; 걸림부 112; 제1연결봉 113; 제2연결봉
120; 제2면체 121; 입설대 121a; 인입부
121b; 걸림부 122; 제1연결봉 123; 제2연결봉
130; 지지체 131, 131'; 결속홈 140; 덮개
141; 걸름망 142; 부직포 143; 고정부재
150, 150'; 급수관 151; 고정홈 153; 연결봉10; A
30; Reinforcing
110; First faces 111 and 111 ';
111b; A locking
120; A second sided body 121;
121b; A locking
130;
141; A
150, 150 '; A
Claims (9)
상기 안착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와, 상기 인입부와 걸림부 사이에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안착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입설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2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봉은, 단부가 상기 제1,2끼움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어서, 상기 제1,2끼움홈 및 삽입홈에 각각 삽입돼 조립되며;
상기 지지체는, 양단부에 상기 연결봉을 하방으로 덮도록 절개된 결속홈이 각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A first sidewall having a plurality of seating pad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seating pads adjacent to each other; A second sidewall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inlet sidewalls adjacent to each other, A cover of an air permeable and 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second sided body; A support body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planar bodies so as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second planar body; A U-shaped cross-sectional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ating stand and filled with aggregate so as to form a gap; And a cover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seat has a 'U'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s as both side walls;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that is inclined in a direction to open toward the second face, And a first fitting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two pieces;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opening,
The mouthpiece has a "U"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s as both side walls; And a second fitting groove form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the mouthpiece so as to have an inlet section sloped in a direction to open toward the first prism body and a hook section cut at the other end of the inlet section, ;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n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is open;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grooves and the insertion groove, respectively, with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extending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grooves;
Wherein the supporting body is formed with bind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cover the connecting rod downwardly;
The retaining wall frame being characterized by:
이웃하는 상기 급수관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adjacent water supply pipes.
상기 급수관은 상기 연결봉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의 단부는 상기 고정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has a fixing groove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nd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is extended relative to a width of the fixing groove.
상기 안착대는 상기 급수관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at cush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안착대의 상면을 덮는 통수 가능한 재질의 보조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ver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상기 제1면체는 안착대와 연결봉이 격자형상으로 조립돼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체는 입설대와 연결봉이 격자형상으로 조립돼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와, 상기 인입부와 걸림부 사이에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안착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입설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2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봉은, 단부가 상기 제1,2끼움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어서, 상기 제1,2끼움홈 및 삽입홈에 각각 삽입돼 조립되며;
상기 지지체는, 양단부에 상기 연결봉을 하방으로 덮도록 절개된 결속홈이 각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공방법.A first step of forming a base layer; A first prism body having a lattice shape that is seated on the base layer, a lattice-shaped second prism body fixed and fixed to the first prism body, and a second prism body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irst prism body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retaining wall frame including a support fixed to the bimetallic body and a cover made of a permeable and permeable material covering the second planar body; A third step of piping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U-shaped sectional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prism; And a fourth step of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with a cover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Wherein the first prism body is formed by assembling the seating plate and the connecting rod in a lattice shape, and the second prism body is formed by assembling the inlet and the connecting rod in a lattice shape;
The seat has a 'U'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s as both side walls;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that is inclined in a direction to open toward the second face, And a first fitting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two pieces;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opening,
The mouthpiece has a "U"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s as both side walls; And a second fitting groove form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the mouthpiece so as to have an inlet section sloped in a direction to open toward the first prism body and a hook section cut at the other end of the inlet section, ;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n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is open;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grooves and the insertion groove, respectively, with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extending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grooves;
Wherein the supporting body is formed with bind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cover the connecting rod downwardly;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제4단계 후, 상기 제1면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옹벽프레임의 후방에 보강토를 타설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옹벽프레임과 보강토 사이에 식생토를 타설하고 다짐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ifth step of pouring a reinforcing soil behind the retaining wall frame to expose the first prism body after the fourth step; And
A sixth step of arranging and compaction of vegetation soil between the retaining wall frame and the reinforcing soil;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급수관을 연결봉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neighboring water supply pipes with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상기 제2단계와 제6단계 사이에서, 통수 가능한 재질의 보조커버로 상기 안착대의 상면을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table with an auxiliary cover of a passable material between the second step and the sixth ste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7125A KR101508592B1 (en) | 2013-01-22 | 2013-01-22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7125A KR101508592B1 (en) | 2013-01-22 | 2013-01-22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373A KR20140094373A (en) | 2014-07-30 |
KR101508592B1 true KR101508592B1 (en) | 2015-04-14 |
Family
ID=5174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07125A KR101508592B1 (en) | 2013-01-22 | 2013-01-22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859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6905B1 (en) * | 2018-04-06 | 2019-10-25 | 임동영 | Apparatus preventing soil outflow for flower garden boundary block |
KR102036903B1 (en) * | 2018-04-11 | 2019-10-25 | 임동영 | Apparatus preventing soil outflow having good support for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2965A (en) | 1999-01-26 | 2000-08-02 | Toray Ind Inc | Slope fra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anking |
KR200258951Y1 (en) | 2001-10-09 | 2001-12-29 | 윤성호 | Reinforcing structure for a slope of ground cutted area |
KR100414779B1 (en) * | 2001-09-27 | 2004-01-16 | 윤성호 | Reinforcing structure for a slope of ground cutted area |
KR20100027693A (en) * | 2008-09-03 | 2010-03-11 | 시우건설(주) | Reinforcing method us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slope |
-
2013
- 2013-01-22 KR KR20130007125A patent/KR10150859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2965A (en) | 1999-01-26 | 2000-08-02 | Toray Ind Inc | Slope fra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anking |
KR100414779B1 (en) * | 2001-09-27 | 2004-01-16 | 윤성호 | Reinforcing structure for a slope of ground cutted area |
KR200258951Y1 (en) | 2001-10-09 | 2001-12-29 | 윤성호 | Reinforcing structure for a slope of ground cutted area |
KR20100027693A (en) * | 2008-09-03 | 2010-03-11 | 시우건설(주) | Reinforcing method us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slo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373A (en) | 2014-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258B1 (en) |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with retaining wall block and geogrid | |
KR101071572B1 (en) |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vegetation us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JP2013518200A (en) | Vertical wall and high slope surface revegetation method, and aggregate container, lathe assembly and water supply device used therefor | |
KR101508592B1 (en)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JP2008144440A (en) |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earth retainer | |
KR101633853B1 (en) | An eco-friendly gabibolck for retaining wall with modular retaining wall | |
KR101231123B1 (en) | Ecological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body-supporting vegetational gabion and vegetational gabion therewith | |
KR101250304B1 (en) | Body-supporting vegetational gabion | |
KR101005351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83624B1 (en) | Retaining Wall Having Natural R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US20110135391A1 (en) | Synthetic materials for water drainage systems | |
KR101508591B1 (en)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KR101071535B1 (en) | Eco-friendly block on slope | |
KR100995097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block | |
KR101508590B1 (en)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KR101311313B1 (en) | A vegitation-oriented gabion mat assembly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KR101699440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1434594B1 (en) |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KR20110042410A (en) | Plant block, plant block fixing anchor, reta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 |
KR100999185B1 (en) | Blo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by | |
KR100526753B1 (en) | Slope surface construction structure of river for ecosystem restoration | |
KR101908294B1 (en) | gabion having muddy water filtering function and preventing the leakage sand | |
JPH11107238A (en) | Structural wall for slope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 |
KR20060075707A (en) | Vegetation mat construction using anchor-type gab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for stability and afforestation of sloping surface | |
KR102334837B1 (en) | Breast wall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