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008B1 - 퍼터 - Google Patents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008B1
KR101508008B1 KR20130101174A KR20130101174A KR101508008B1 KR 101508008 B1 KR101508008 B1 KR 101508008B1 KR 20130101174 A KR20130101174 A KR 20130101174A KR 20130101174 A KR20130101174 A KR 20130101174A KR 101508008 B1 KR101508008 B1 KR 10150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ead
grip portion
putter
universa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118A (ko
Inventor
최성재
Original Assignee
최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재 filed Critical 최성재
Priority to KR2013010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0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63B53/026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loft angle only, i.e. relative angular adjustment between the shaft and the club head about a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intended line of play when the club is in its normal address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63B53/065Heads adjustable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립부와 샤프트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배치시킴으로써, 퍼터의 퍼팅동작시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동축 경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샤프트를 진자 운동시켜 흔들림없는 정확한 퍼팅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터는 일단부에 헤드(100)가 배치되는 샤프트(200)와,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그립부(300) 및 상기 그립부(300)와 샤프트(200)의 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200)에 대한 상기 그립부(300)의 양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샤프트(200)의 진자 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퍼터에 있어서, 상기 퍼터는 상기 헤드(100)의 로프트 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400)을 구비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상기 헤드(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슬릿공(412)이 형성되는 수용공간부(410)와, 상기 샤프트(200)의 단부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부(41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타단 측에 톱니 형태의 래칫부(425)가 형성되는 수평바아(420)와, 상기 헤드(10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래칫부(425)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아(420)의 슬라이딩 동작시 치합되는 톱니부(430) 및 상기 수용공간부(410)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평바아(420)를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440)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퍼터{Putter}
본 발명은 퍼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그립부와 샤프트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배치함으로써, 퍼터의 퍼팅 동작시 샤프트의 좌,우 방향 흔들림을 억제시켜 정확한 퍼팅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은 기본적으로 우드 1, 3, 4, 5번, 아이언 3, 4, 5, 6, 7, 8, 9번, 피칭 웨지, 샌드웨지, 그리고 퍼터를 포함한 14개의 클럽이 풀 세트로 이용된다. 클럽의 하프 세트는 우드 1, 3번, 아이언 3, 5, 7, 9번, 샌드웨지, 그리고 퍼터가 주로 이용된다.
골프를 할 때 홀의 거리 및 상태에 따라 타수가 달라지지만 티샷과 퍼팅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중 티샷도 중요하지만 퍼팅은 순위를 결정짓는데, 가장 중요하다 할 것이다.
상기 퍼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린의 상태를 파악한 상태에서 홀과 골프공과 퍼터를 일치시킨 후 거리를 가늠하여 퍼팅을 한다.
상기 퍼팅을 할 때 그린의 상태, 즉 계절과 습도, 날씨, 잔디의 상태 등에 따라 퍼터와 지면과의 각도를 달리하여 퍼팅을 하는데, 이때 골퍼가 퍼팅 자세를 조절하여 퍼터의 각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골퍼가 각도를 임의로 조절 즉, 한쪽 다리를 굽히거나 상체를 숙이는 등으로 조절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로 퍼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세를 조절하지 않고 각도를 달리한 퍼터를 다수구비하여 사용하는 골퍼도 있는데 이때는 그린의 상태에 따라 장비를 각각 구입함으로써 구입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린의 상태는 수시로 변함으로도 상기 그린의 상태에 따라 퍼터를 구입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다
퍼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3-0072142호 "골프 퍼팅용 퍼터"(공개일자 : 2003.09.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구부려진 핸들을 한 손으로 흔들리지 않게 잡은 다음 다른 한 손으로는 헤드가 구비된 타격부재의 샤프트를 잡고 스윙 조작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핸들의 구부려진 각도가 정해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퍼팅 동작에 제한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퍼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430181호 "골프용 퍼터장치"(등록일자 : 2004.04.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린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고, 퍼팅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일정한 직선 길이를 가지는 지지레그와; 상기 지지레그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레그와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퍼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퍼터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퍼팅 동작시 샤프트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샤프트의 회전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지지레그 등의 보조도구로 인해 퍼팅 동작에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3-0072142호 "골프 퍼팅용 퍼터"(공개일자 : 2003.09.13)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430181호 "골프용 퍼터장치"(등록일자 : 2004.04.2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퍼터의 퍼팅 작업시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동축 경로를 따라 샤프트가 진자 운동되도록 함으로써, 흔들림없이 정확한 퍼팅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퍼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헤드가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와 샤프트의 타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에 대한 상기 그립부의 양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샤프트의 진자 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의 요크가 상기 그립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요크가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인 것이다.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의 타단 요크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의 로프트 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헤드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슬릿공이 형성되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부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타단 측에 톱니 형태의 래칫부가 형성되는 수평바아와,
상기 헤드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래칫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아의 슬라이딩 동작시 치합되는 톱니부와,
상기 수용공간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평바아를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는 일측면이 상면에 대해 수직각을 갖는 수직면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헤드의 일측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전,후진 동작되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나사의 전,후진 이동력을 상기 스프링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조절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그립부와 샤프트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배치함으로써, 단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퍼팅 동작시 샤프트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퍼팅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퍼터 헤드의 로프트각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퍼터로 샌드 웨지, 피칭 웨지, 퍼터의 기능을 겸비하게 되므로, 경제적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연결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이용하여 그립부를 180˚의 전,후 방향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헤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헤드의 각도 조절 후 골프공을 타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그립부와 샤프트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배치시킴으로써, 퍼터의 퍼팅동작시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동축 경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샤프트를 진자 운동시켜 흔들림없는 정확한 퍼팅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터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퍼터의 구성은 헤드(100), 샤프트(200) 및 그립부(300)로 구분되고, 샤프트(200)의 단부와 그립부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500)가 배치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니버셜 조인트(500)는 상기 그립부(300)와 샤프트(200)의 타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200)에 대한 상기 그립부(300)의 양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샤프트(200)의 진자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유니버셜 조인트(500)는 일단의 요크(502)가 샤프트(20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의 요크(504)가 그립부(300)의 단부에 연결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또한, 유니버셜 조인트(500)는 힌지축(505)을 기준으로 샤프트(200)에 대해 정,역방향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 유니버셜 조인트(500)는 그립부(300)를 파지한 상태로 샤프트(200)를 회전시킬 경우, 힌지축(505)을 기준으로 정해진 회전 경로를 따라 샤프트(200)의 진자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유니버셜 조인트(500)와 샤프트(200)의 결합구조는 일체형으로 연결되거나, 착탈식 구조로 탈 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착탈식 구조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유니버셜 조인트(500)는 일단부가 상기 그립부(3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샤프트(2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샤프트(200)의 단부에 끼움홈(205)이 형성되고, 유니버셜 조인트(500)의 타단부에 상기 끼움홈(205)과 대응되는 끼움부(510)가 형성된다.
또한, 골프장 주위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그립부(300)의 단부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근접되도록 하거나, 그립부(300)의 단부를 유니버셜 조인트(500)를 매개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거리가 먼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에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00)의 단부를 사용자의 신체 측을 향하도록 한 후에 샤프트(200)를 진자 운동시키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00)의 단부를 사용자의 신체 반대 방향측을 향하도록 한 후에 샤프트(2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는, 퍼팅 동작시 골프장 그린 상태의 경사나 장애물 등의 간섭요인을 배제한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에서 퍼팅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퍼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립부(30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샤프트(200)를 다른 손으로 파지한 후에 유니버셜 조인트(500)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200)가 유니버셜 조인트(500)의 요크 힌지축(505)의 이동 경로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진자 회전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그립부(300)와 샤프트(200)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500)가 구비됨에 따라, 퍼팅시 좌,우 방향 유동을 억제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퍼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헤드(100)의 로프트 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4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상기 헤드(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슬릿공(412)이 형성되는 수용공간부(410)와, 상기 샤프트(200)의 단부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부(41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타단 측에 톱니 형태의 래칫부(425)가 형성되는 수평바아(420)와, 상기 헤드(10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래칫부(425)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아(420)의 슬라이딩 동작시 치합되는 톱니부(430)와, 상기 수용공간부(410)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평바아(420)를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440)로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헤드(100)는 상면에 수평바아(420)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릿공(412)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공(412)은 양측 상부에 헤드(100)의 회전시 샤프트(20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단턱진 단턱홈(412a)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바아(420)는 샤프트(200)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태로 구성되고, 일단 부위가 스프링부재(440)와 접촉되고 타단 부위에 복수의 톱니 구조를 갖는 래칫부(425)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톱니부(430)는 수용공간부(410)의 타측 내부에 복수의 톱니부(43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래칫부(425)와 톱니부(430)는 복수의 산과 골을 갖는 톱니형 기어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톱니형 기어의 기어잇수 및 피치 간격에 따라 로프트 각의 정밀 조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즉, 래칫부(425)와 톱니부(430)의 기어 맞물림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2˚또는 5˚)씩 원하는 각도로 조절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헤드(100)는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상부면의 폭이 하부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헤드(100)는 일측에 상부면과 수직각도의 수직면(110)이 형성되고, 타측에 테이퍼지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12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헤드(100)의 골프공 타격을 위해 경사면(120)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골프장 잔디와의 간섭을 배제한 상태에서 퍼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용공간부(410)는 헤드(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터널 형태로 형성되고, 수평바아(420)를 타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수용공간부(410)의 일측에 스프링부재(440)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수용공간부(410)의 일측에는 스프링부재(440)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헤드(100)의 일측에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 동작되는 조절나사(450)와, 상기 조절나사(45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나사(450)의 전,후진 이동력을 상기 스프링부재(440)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조절판(455)으로 구성된다.
이때, 조절나사(450)는 조절나사(450)의 머리 부위가 헤드(100) 내부로 진입되도록 육각 무드렌치에 의해 전,후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근력을 고려하여 헤드(100)의 로프트 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샤프트(200)의 수평바아(420)는 수용공간부(410) 내에 진입되어 수용된 상태로 샤프트(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헤드(100)부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게 될 경우, 헤드(100)가 좌,우로 이동 가능한 상태를 갖는다.
이는 헤드(100) 부위의 경사각, 즉 로프트 각을 조절하기 위해 래칫부(425)와 톱니부(430) 간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헤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헤드(100)의 로프트 각의 조절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샤프트(200)를 파지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하여 헤드(100)의 일측 부위를 타측으로(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서 스프링부재(440)를 압축시키면서 이동시키면, 헤드(100)의 톱니부(430) 부위가 래칫부(430)로부터 멀어지면서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헤드(100)와 샤프트(200) 간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헤드(100)의 로프트 각을 사용자가 골프장의 환경이나 공이 놓여진 장소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에, 헤드(100)의 일측 부위를 미는 힘을 해제시키면 압축되었던 스프링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바아(420)의 래칫부(425)가 톱니부(430)에 다시 맞물림 결합된다.
래칫부(425)와 톱니부(430)의 맞물림 상태가 되면, 헤드(100) 부위로 골프공(10)을 타격하더라도 헤드(100) 부위가 샤프트(200)를 기준으로 유동 또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터를 약 60˚각도의 로프트 각으로 조절함에 따라 샌드 웨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피칭 웨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샌드 웨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퍼터는 로프트 각이 약 60˚의 각도로 공을 타격함에 따라 골프공(10)이 상측으로 쉽게 띄울 수 있게 되어 벙커 또는 헤저드 등의 장소를 탈출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헤드(100)의 로프트 각은 90˚이하의 각도에서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퍼터로 피칭(pitching)웨지, 샌드 웨지, 퍼터 3가지의 기능을 구비하게 되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 착탈식 구조의 퍼터는 퍼터의 퍼팅동작시에만 그립부(300)와 유니버셜 조인트(500)를 샤프트(200)에 결합시킨 상태로 사용하고, 피칭 웨지나 샌드 웨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유니버셜 조인트(500)와 그립부(300)를 샤프트(20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샤프트(200)를 이용하여 피칭 웨지나 샌드 웨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퍼팅 동작시 샤프트(20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퍼팅동작을 수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퍼터 헤드(100)의 로프트 각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퍼터로 샌드 웨지, 피칭 웨지, 퍼터의 기능을 겸비하게 되므로, 경제적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프 라운딩시 지참해야 하는 골프 클럽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샤프트(200) 부위를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헤드(10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헤드(100)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한 후에, 헤드(100)에 가하는 압력을 제거하면 헤드(100) 부위가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각도 조절방식이 간편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10 : 골프공 100 : 헤드
110 : 수직면 120 : 경사면
200 : 샤프트 205 : 끼움홈
300 : 그립부 400 : 각도조절수단
410 : 수용공간부 412 : 슬릿공
412a : 단턱홈 420 : 수평바아
425 : 래칫부 430 : 톱니부
440 : 스프링부재 450 : 조절나사
455 : 가압조절판 500 : 유니버셜 조인트
510 : 끼움부

Claims (6)

  1. 일단부에 헤드(100)가 배치되는 샤프트(200)와,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그립부(300) 및 상기 그립부(300)와 샤프트(200)의 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200)에 대한 상기 그립부(300)의 양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샤프트(200)의 진자 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퍼터에 있어서,
    상기 퍼터는 상기 헤드(100)의 로프트 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400)을 구비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상기 헤드(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슬릿공(412)이 형성되는 수용공간부(410)와, 상기 샤프트(200)의 단부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부(41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타단 측에 톱니 형태의 래칫부(425)가 형성되는 수평바아(420)와, 상기 헤드(100)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래칫부(425)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아(420)의 슬라이딩 동작시 치합되는 톱니부(430) 및 상기 수용공간부(410)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평바아(420)를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4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의 요크(502)가 상기 그립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요크(504)가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요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505)으로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05)과,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500)의 타단 요크(504)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05)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510)를 구비하여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500)가 상기 샤프트(2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공(412)의 양측 상부에는 헤드(100)의 회전시 샤프트(200)와 간섭을 방지하는 단턱홈(412a)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퍼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100)는 일측면이 상면에 대해 수직각을 갖는 수직면(11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도록 경사면(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440)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헤드(100)의 일측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전,후진 동작되는 조절나사(450)와,
    상기 조절나사(45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나사(450)의 전,후진 이동력을 상기 스프링부재(440)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조절판(45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KR20130101174A 2013-08-26 2013-08-26 퍼터 KR10150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174A KR101508008B1 (ko) 2013-08-26 2013-08-26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174A KR101508008B1 (ko) 2013-08-26 2013-08-26 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18A KR20150024118A (ko) 2015-03-06
KR101508008B1 true KR101508008B1 (ko) 2015-04-07

Family

ID=5302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174A KR101508008B1 (ko) 2013-08-26 2013-08-26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0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28Y1 (ko) * 2004-08-02 2004-11-17 진성인 골프 퍼터
KR200368094Y1 (ko) * 2004-09-06 2004-11-17 쉐신이 헤드 추향을 제어할 수 있는 퍼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28Y1 (ko) * 2004-08-02 2004-11-17 진성인 골프 퍼터
KR200368094Y1 (ko) * 2004-09-06 2004-11-17 쉐신이 헤드 추향을 제어할 수 있는 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18A (ko) 201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661B1 (en) Modular golf swing and putting trainer
US8974314B2 (en) Golf club swinging apparatus
US9375622B2 (en) Perfect swing baseball training apparatus
US9061190B2 (en) Baseball swing training apparatus
US20200406117A1 (en) Sports training aid
US20150217175A1 (en) Multipurpose golf training aid
CA2750667A1 (en) Golf plane training devices
US20150051010A1 (en) Golf Divot Simulator Apparatus
US8100778B2 (en) Golf training device
TWI351974B (ko)
US8425339B2 (en) Systems and devices of enhancing power grip on an athletic apparatus
KR101499931B1 (ko) 로프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퍼터
KR101508008B1 (ko) 퍼터
US7261653B2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100917899B1 (ko) 벤딩그립을 가진 골프크럽
US7846035B2 (en) Golf swing exercising/train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CA2866928C (en) Golf swing training club
US7104898B1 (en) Golf putt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20100118410A (ko) 골프스윙연습기
US20220105407A1 (en) Feedback-Based Swing Trainer
US201601442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a Golf Game
US20100311515A1 (en) Apparatus for improving a golf swing
KR200442667Y1 (ko) 퍼팅 연습 보조구
KR200361934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100693883B1 (ko) 연습용 골프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