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737B1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737B1
KR101507737B1 KR20080088287A KR20080088287A KR101507737B1 KR 101507737 B1 KR101507737 B1 KR 101507737B1 KR 20080088287 A KR20080088287 A KR 20080088287A KR 20080088287 A KR20080088287 A KR 20080088287A KR 101507737 B1 KR101507737 B1 KR 10150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amp
light source
source unit
bottom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481A (ko
Inventor
강상민
손준희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8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737B1/ko
Priority to US12/584,520 priority patent/US8206023B2/en
Publication of KR2010002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 G02B6/0071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with elongated shape, e.g.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따르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 유닛과, 광원 유닛의 일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바닥판과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며 복수의 절곡부가 구비되어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광원 유닛 커버를 포함하는 수납용기와,수납 용기에 수납되며 광원 유닛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수납용기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연장부와 제 1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제1 와이어를 인출하는 제1 와이어 인출부를 구비한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평판 표시 장치, 바텀 샤시, 백라이트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우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휴대폰부터 모니터, 텔레비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광 발생 유닛, 광 가이드 유닛, 탑 샤시 및 바텀 샤시 등을 포함한다. 광 발생 유닛은 램프, 램프 리플렉터 및 램프 커버를 포함한다. 평판 표시 장치는 여러 가지 부품들을 조립하는 복잡한 공정을 수반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과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조 비용이 적게 들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얇고 가벼운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용이 적게 들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얇고 가벼운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의 일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며 복수의 절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광원 유닛 커버를 포함하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상기 광원 유닛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상기 제1 와이어를 인출하는 제1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하는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상기 광원 유닛의 일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상기 와이어를 인출하는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광원 유닛 커버의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거나 상기 광원 유닛 커버부의 하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수납용기를 결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일 단부에 제 1 전극이 구비된 제 1 램프와, 상기 제 1 전극과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제 1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표시 패널로 가이드하는 도광판과,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램프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절곡부가 구비된 램프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램프와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와, 상기 바텀 샤시에 수납되며, 상기 제 1 램프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고정홈, 상기 바텀 샤시의 외부로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상기 와이어를 인출하는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하는 램프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홀더는 상기 바텀 샤시에 수납되며, 상기 제 1 램프의 일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홈, 상기 바텀 샤시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상기 와이어를 인출하는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단부에 구비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램프와 평행하게 상기 램프커버에 수납되는 제 2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홀더는 상기 제 2 램프의 일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고정홈의 깊이는 상기 제 1 고정홈의 깊이보다 더 깊을 수 있다.
이와달리, 상기 램프홀더는 상기 제 2 램프의 일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의 길이는 상기 제 1 전극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샤시는 분리가 가능한 복수의 바텀 샤시가 결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얇고 가벼우며, 제조 비용이 적게 들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600), 광원 유닛(200), 광 가이드 유닛(300), 몰드프레임(500), 탑 샤시(700) 및 바텀 샤시(10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600)은 박막 트렌지스터(Thin-Film-Transistor, 이하 TFT) 기판(601)과 컬러 필터 기판(602)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600)은 각종 구동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603)과 TFT 기판(601)과 PCB(60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CB(603)는 TFT 기판(601)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적 신호를 생성하고 FPC(604)는 PCB(603)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TFT 기판(601)로 전달한다. 한편, PCB(603)는 반도체 회로가 실장된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이하 TCP)를 통해 TFT 기판(60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달리, PCB(603)과 FPC(603)는 각종 구동회로가 실장되며 TFT 기판(601)과 직접 연결되는 연성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몰드프레임(500)은 표시 패널(600)을 수납한다. 몰드프레임(500)은 베이스 판(501)과 개구부 그리고 베이스 판(50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측벽(502)을 포함한다. 베이스 판(501)은 표시 패널(600)을 고정하기 위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드프레임(500)은 광원 유닛(200), 광 가이드 유닛(300)을 수납할 수 있도록 바텀 샤시(100)에 결합된다. 이때 PCB(603)는 몰드프레임의 측벽(502)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광원 유닛(200)은 제 1 램프(201), 제 2 램프(202), 제 1 램프홀더(203), 제 2 램프홀더(204), 제 1 와이어(205) 및 제 2 와이어(206)를 포함한다.
광 가이드 유닛(300)은 도광판(301)과 복수의 광학시트들(302)을 포함한다. 도광판(301)은 제 1 및 제 2 램프(201,202)로부터 생성된 광을 받는 입광면과 상기 제공받은 광을 광학시트들(302) 및 표시 패널 방향으로 출사하는 출광면을 구비한다. 광학시트들(302)는 도광판(301)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광판(301)으로부터 표시 패널(600)으로 출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시트들(302)로 확산시트와 집광시트를 적용하여 광을 고르게 분포시키면서 휘도 를 높일 수 있다.
바텀 샤시(100)는 바닥판(103)과 램프커버(104)를 포함한다. 램프커버(104)는 바닥판(103)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판(103)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바닥판(103)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램프커버(104)는 제1 램프(201) 및 제2 램프(202)를 수납하는 커버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램프를 광원으로 하는 표시 장치(1000)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램프커버(104)는 각종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광원 유닛 커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바텀 샤시와 램프커버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비해 바텀 샤시(100)와 램프커버(104)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는 램프커버(104)를 바텀 샤시(100)에 고정하는 공정과 램프커버(104)를 바텀 샤시(10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크류 또는 접착테이프 등의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복잡한 공정을 단순화시켜 작업효율을 높일 수있다. 바텀 샤시(100)는 제 1 바텀 샤시(101)과 제 2 바텀 샤시(102)로 나누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의 조립 공정은 광원 유닛(200)과 광 가이드 유닛(300)을 바텀 샤시(100)에 수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데 이때 바텀 샤시(1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있는 램프커버(104)의 상단부가 광원 유닛(200) 또는 광 가이드 유닛(300)의 수납경로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즉, 램프커버(104)의 상단부가 바텀 샤시(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광원 유닛(200) 또는 광 가이드 유닛(300)의 수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이 가능한 바텀 샤시(100)는 램프커버의 상단부에 의한 간섭없이 조립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다. 이때 조립 공정은 광원 유닛(200)을 램프커버(104)를 포함하는 제 1 바텀 샤시(101)에 수납하는 단계, 광 가이드 유닛(300)을 제 1 바텀 샤시(102)에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바텀 샤시(101)과 제 2 바텀 샤시(102)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바텀 샤시(101)와 제 2 바텀 샤시(102)는 접착테이프로 결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바텀 샤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후크과 후크 걸림홈 또는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바텀 샤시(100)는 바닥판(103)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벽(105)은 광 가이드 유닛(300)의 수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바텀 샤시(100)의 강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텀 샤시(100)의 램프커버(104)의 상면에는 홈(1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홈(110)은 제 1 램프(20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 1 와이어(205)를 단선 또는 꼬임 등과 같은 불량으로부터 보호한다.
램프(201,202)로부터 생성된 광과 도광판(300)으로부터 표시 패널(600)의 반대방향으로 유출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바텀 샤시(100)의 내면에는 반사시트(4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 바텀 샤시(100) 자체를 반사특성이 좋은 물질로 제작하거나, 바텀 샤시(100)의 내면을 반사특성이 우수한 물질로 코팅할 수도 있다.
탑 샤시(700)는 표시 패널(6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바텀 샤시(100)와 결합된다. 한편, 탑 샤시(700)는 몰드프레임(500)과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탑샤시(700), 몰드프레임(500) 및 바텀 샤시(100)는 각각 하나의 수납 용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결합에 의해서 상술한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수납 용기는 각각의 탑샤시(700), 몰드프레임(500) 및 바텀 샤시(100)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그들의 결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램프홀더(203)는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의 일 단부를 고정하며, 제 1 와이어(205)를 가이드한다. 제 1 램프홀더(203)는 램프커버(104)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연장부(207)를 포함한다. 연장부(207)는 램프커버(104)의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있으며 연장부(207)의 상면에는 와이어 인출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와이어(205)의 일단부는 제 1 램프(201)의 전극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1 램프(201)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광원 구동 유닛(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와이어(205)는 와이어 인출부(208)을 통과하여 제 2 램프홀더(204)를 향하도록 절곡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램프홀더(204)는 제 1 램프홀더(203)에 의해서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타단부를 고정하며, 제 1 램프홀더(203)의 와이어 인출부(208)로부터 인출된 제 1 와이어(205) 및 상기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에 연결된 제 2 와이어(206)을 가이드 한다. 제 2 램프홀더(204)는 램프커버(104)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제 1 램프홀더(203)와 제 2 램프홀더(204)는 램프커버(104)의 두 가장자리에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위치한다. 제 2 램프홀더(204)는 램프커버(104)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더 돌출된 연장부(209)를 포함하며, 연장부(209)의 상면에는 와이어 인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램프홀더(204)의 상면에는 제 1 와이어(205)를 와이어 인입 부(210)로 가이드 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램프홀더(204)의 측면에는 제 1 와이어 인출부(213)와 제 2 와이어 인출부(212)가 형성된다. 제 1 와이어(205)는 와이어 인입부(210)를 통하여 제 2 램프홀더(204)의 내부로 인입되고, 제 1 와이어 인출부(213)을 통하여 제 2 램프홀더(204) 외부로 인출된다. 제 2 와이어(206)는 제 1 램프(201)의 제 1 와이어(205)가 연결된 전극의 반대방향에 있는 전극과 일단부가 연결되며 제 2 램프홀더(204)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 후 광원 구동 유닛(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와이어(206)의 타 단부는 광원 구동 유닛(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램프홀더(203)는 제 1 램프 고정홈(214)과 제 2 램프 고정홈(215)을 포함한다. 제 1 램프 고정홈(214)은 제 1 램프(201)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제 2 램프 고정홈(215)은 제 1 램프(201)의 하부에 배치된 제 2 램프(202)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제 2 램프 고정홈(215)은 제 1 램프 고정홈(214)보다 더 깊게 제 1 램프홀더(203)의 내측으로 파여있어서, 제 2 램프(202)는 제 1 램프(201)보다 더 깊이 제 1 램프홀더(20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램프홀더(203)의 고정홈(214,215)의 깊이에 편차를 줌으로써, 제 2 램프(202)가 제 1 램프(201)보다 상기 편차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동하게 한다. 본 실시예를 따르면, 제 1 램프의 전극(216), 상기 전극(216)과 연결된 제 1 와이어(205a)와 상기 제 1 전극이 구비된 제 1 램프(201)의 단부는 제 2 램프(202)와 연결된 제 1 와이어(205b)와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와이어(205a) 및 상기 제 2 램프(202)와 연결된 와이어(205b)는 제 1 램프홀더(203)의 상단부에 형 성되어 있는 와이어 인출부(208)를 통과할 때 램프들로부터 와이어 인출부(208)을 통과하기까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손쉽게 인출될 수 있다. 램프의 전극과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솔더링(Soldering) 방법을 통해서 연결된다. 이때 두개의 램프의 솔더(Solder)부분이 서로 가까워질수록 상호 영향을 주어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인접한 솔더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압이 솔더가 견딜 수 있는 내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램프홀더(208)에 삽입되는 제 2 램프(203)의 일단부는 제 1 램프(202)의 대응되는 단부보다 더 깊숙이 삽입되어 두 램프의 솔더간의 거리가 충분히 이격되어 인접한 솔더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불량들, 예를 들어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스파크 발생 가능성과 내전압 이상으로 인한 전압상승 등의 불량 발생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제 2 램프홀더(204)는 제 1 램프 고정홈(218)와 제 2 램프 고정홈(219)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램프 고정홈(218)의 깊이는 제 2 램프 고정홈(219) 보다 더 깊다. 제 2 램프홀더(204)의 측면에는 제 2 와이어 인출부(2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램프(201)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와이어(206a)와 제 2 램프(202)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제 2 와이어(206b)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손쉽게 인출될 수 있다.
도 5는 4의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램프홀더(203)는 제 1 램프 고정홈(214)와 제 2 램프 고정홈(215)를 포함하며, 두 고정홈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서로 같다. 제 1 램프(201)의 전극(216)의 길이는 제 2 램프(202)의 전극(217)의 길이보다 더 짧아서 제 1 램프(201)의 제 1 전극(216)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와이어(205a)와 제 2 램프(202)의 제 2 전극(217)에 연결되어있는 제 1 와이어(205b)는 각각 연결된 램프전극으로부터 와이어 인출부로 인출되기까지 서로 간섭 받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램프커버(104)는 바텀 샤시(100)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이때, 램프커버(104)는 바닥부(106), 제 1 벤딩부(107)와 제 2 벤딩부(108)를 포함한다. 바닥부(106)는 제 2 벤딩부(108)와 중첩되지 않는 노출부(109)를 포함한다. 램프홀더(203)는 램프 고정홈(214,215)와 와이어 인출부(208)을 포함하며, 바닥부(106)의 일단부 상에 구비되며 램프홀더(203)의 적어도 일부분은 노출부(109)와 중첩된다. 이때 제 1 램프 고정홈(214) 및 제2 램프 고정홈(215)과 와이어 인출부(208)는 동일한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제 1 와이어(205a, 205b)는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의 전극(216,217)에 연결되며 와이어 인출부(208)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다. 램프홀더(203)의 두께는 램프커버(104)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보다 구체적으로 램프홀더(203)의 두께는 램프커버(104)의 두께와 제 1 와이어(205a, 205b)의 지름의 합보다 더 크다. 이때, 와이어 인출부(208)는 램프홀더(203)의 측면 중 램프커버(104)의 상단부 즉, 제 2 벤딩부(108)의 상단보다 더 높은 영역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 2 벤딩부(108) 단부가 날카로울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불량, 예를 들어, 와이어 인출부(208)를 통해 인출되는 제 1 와이어(205a, 205b)가 상기 단부에 의해서 끊기는 단선불량이나, 외부 피복이 벗겨져 발생되는 쇼트불량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램프홀더(203) 바닥부(106), 제 1 벤딩부(107) 및 제 2 벤딩부(108)과 접하는 결합부(2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와이어(205a, 205b)는 와이어 인출부(208)가 제 1 와이어(205a, 205b)가 연장될 방향을 미리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와이어(205a, 205b)를 와이어 인출부(208)에서 인출된 이후 원하는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벤딩 공정이나 부품을 삭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램프홀더(203)에서 램프 고정홈(214,215)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24)와 와이어 인출부(208)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가이드부(225) 사이에 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인출부(208)가 램프커버(104) 상단에 위치하며, 램프커버(104)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더 진출해 있기 때문에 제 1 와이어(205)는 램프커버(104)의 단부가 날카롭더라도 단선, 쇼트 불량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홈(220)은 램프홀더(203)를 램프커버(104)에 보다 견고히 결합시키는 역할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램프홀더(203) 및 제2 램프홀더(204)는 바텀 샤시(100)의 하면보다 더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07', 209')를 포함한다. 이때, 와이어 인출부(208)는 제1 램프홀더(203)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2 램프홀더(204)는 관통홀(208a)과 와이어 가이드 홈(211'b)을 포함한다. 와이어 가이드 홈(211')은 제 1 와이어(205)의 벤딩부(230)를 고정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와이어(205)는 양면 접착부재(221)를 이용해 와이어 가이드 홈(211')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램프홀더(203)는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의 단부를 고정하며, 각각의 램프의 상기 단부와 연결된 제1 와이어(231,232)를 가이드한다. 제 1 램프홀더(203)는 램프커버(104)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램프커버(104)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장부(207)와 램프홀더(20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인출부(208)을 더 포함한다.
제 2 램프홀더(204)는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의 제 1 램프홀더(203)에 의해서 고정되는 단부의 반대편 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의 상기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제2 와이어(233,234)를 가이드한다. 또한, 제 2 램프홀더(204)는 램프커버(104)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연장 부(209)와 제 2 램프홀더(204)의 상면에 형성된 와이어 인출부(208')를 더 포함한다.
제1 와이어(231,232) 및 제2 와이어(233,234)는 각각 대응되는 제 1 램프홀더(203) 또는 제 2 램프홀더(204)를 통과 및 가이드되어 제 1 및 제 2 램프(201,20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중앙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와이어(231,232) 및 제2 와이어(233,234)는 램프커버(104)의 상부에서 서로 만난 후 각각의 램프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램프 구동 유닛(미도시)에 연결되기 위해 외부 방향으로 벤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램프홀더(203,204)는 각각 제 1 램프 고정홈(214,218)과 제 2 램프 고정홈(215,219)을 포함한다. 제 1 램프 고정홈(214,218)의 깊이와 제 2 램프 고정홈(215,219)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같다. 제 1 램프의 전극(216,222)은 제 2 램프의 전극(217,223) 보다 길이가 짧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램프의 전극(216,222)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위치와 제 2 램프의 전극(217,223)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위치가 두 램프의 전극의 길이가 같을 때보다 멀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제1 와이어(231,232) 및 제2 와이어(233,234)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41)가 실장된 기판(240)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241)은 도광판(301)의 입광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 1 홀더(243)와 제 2 홀더(244)는 바텀 샤시(100)에 배치되어 기 판(240)의 두 단부를 고정한다. 와이어(245)는 일단부가 기판(24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발광 다이오드(24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닛(미도시)과 연결된다. 제 1 홀더(243) 및 제 2 홀더(244)는 기판(24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기판(240)을 고정하는 홈을 구비하고, 제 2 홀더(244)는 와이어(245)를 가이드하여 인출시키는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인출부(는 바텀 샤시(100)의 하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어 있는 제 1 홀더(243)의 연장부(24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바텀 샤시, 램프홀더 및 도광판의 일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바텀 샤시 및 램프홀더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0 : 표시 장치 100 : 바텀 샤시
101 : 제 1 바텀 샤시 102 : 제 2 바텀 샤시
103 : 바닥판 104 : 램프커버
105 : 바텀샤시의 측벽 200 : 광원 유닛
201 : 제 1 램프 202 : 제 2 램프
203 : 제 1 램프홀더 204 : 제 2 램프홀더
205, 205a, 205b : 제 1 와이어 206, 206a, 206b : 제 2 와이어
207,209 : 연장부 208 : 와이어 인출부
210 : 와이어 인입부 211, 211' : 와이어 가이드 홈
212 : 제 2 와이어 인출부 213 : 제 1 와이어 인출부
214,218 : 제 1 램프 고정홈 215,219 : 제 2 램프 고정홈
216,222 : 제 1 램프의 전극 217,223 : 제 2 램프의 전극
241 : 발광 다이오드
240 :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판
243 : 제 1 홀더 244 : 제 2 홀더
249 : 와이어 인출부 300 : 광 가이드 유닛
500 : 몰드프레임 501 : 몰드프레임의 베이스 판
502 : 몰드프레임의 측벽 600 : 표시 패널
700 : 탑 샤시

Claims (25)

  1.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의 일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며 복수의 절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광원 유닛 커버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상기 광원 유닛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상기 제1 와이어를 인출하는 제1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하는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광원 유닛 커버의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광원 유닛 커버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광원 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출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출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와이어를 가이드하고 고정하는 와이어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 홈의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출부와 상기 고정홈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구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 커버는 상면에 상기 광원 유닛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와이어를 고정하는 홈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면에 상기 광원 유닛과 평행하며 상기 광원 유닛 커버의 상면을 수납하는 홈이 구비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광원 유닛 커버의 하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어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출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인출부와 상기 고정홈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구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광원 유닛 커버의 내면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광원 유닛 커버를 포함하는 제 1 수납용기; 및
    상기 제 1 수납용기와 분리되는 제 2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의 상기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수납 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와이어가 인입되는 와이어 인입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상기 와이어 인입부로 인입된 제1 와이어와 상기 광원 유닛의 타 단부와 연결된 제2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상기 와이어 인입부로 인입된 제1 와이어가 인출되는 제 1 와이어 인출부, 및 상기 광원 유닛의 타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와이어 가 인출되는 제 2 와이어 인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어 인출부와 상기 제 2 와이어 인출부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구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18. 표시 패널;
    일 단부에 제 1 전극이 구비된 제 1 램프;
    상기 제 1 전극과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제 1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표시 패널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램프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절곡부가 구비된 램프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램프와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에 수납되며, 상기 제 1 램프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고정홈, 상기 바텀 샤시의 외부로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상기 와이어를 인출하는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하는 램프홀더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일 단부에 제 2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램프와 평행하게 상기 램프커버에 수납되는 제 2 램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는 상기 제 2 램프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제 2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홈은 상기 제 1 고정홈 보다 더 깊게 형성된 표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램프는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의 깊이 차 만큼 상기 제 1 램프 보다 더 깊게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된 표시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는 상기 제 2 램프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제 2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의 길이는 상기 제 1 전극의 길이보다 더 긴 표시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램프커버의 내면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램프커버를 포함하는 제 1 바텀 샤시; 및
    상기 제 1 바텀 샤시와 분리되는 제 2 바텀 샤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텀 샤시 및 제 2 바텀 샤시와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몰드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 표시 패널의 주변부를 덮는 탑 샤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88287A 2008-09-08 2008-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50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8287A KR101507737B1 (ko) 2008-09-08 2008-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2/584,520 US8206023B2 (en) 2008-09-08 2009-09-08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8287A KR101507737B1 (ko) 2008-09-08 2008-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81A KR20100029481A (ko) 2010-03-17
KR101507737B1 true KR101507737B1 (ko) 2015-04-03

Family

ID=4179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8287A KR101507737B1 (ko) 2008-09-08 2008-09-0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06023B2 (ko)
KR (1) KR101507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3374B2 (ja) * 2010-03-12 2016-02-09 オムロン株式会社 照明装置
US8545036B2 (en) * 2011-11-18 2013-10-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thereof
KR102073649B1 (ko) * 2013-11-11 2020-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60048296A (ko) 2014-10-23 2016-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074A (ko) * 2004-09-02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617B1 (ko) * 2000-04-07 2007-05-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100434325B1 (ko) * 2001-12-26 2004-06-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램프 와이어 설치구조체
KR100595304B1 (ko) * 2001-12-26 2006-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lcd)의 램프 와이어 고정구조체
KR100837564B1 (ko) * 2003-06-03 2008-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램프 와이어 설치구조
US7190424B2 (en) * 2003-06-10 2007-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wire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secured in trenches extending at an angle to a plate sidewall
US6929503B2 (en) * 2003-08-20 2005-08-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Mounting structure for lamp wires of a back light module
TW594181B (en) * 2003-09-12 2004-06-21 Quanta Display Inc Side chassis back light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7717606B2 (en) * 2006-06-15 2010-05-18 Chunghwa Picture Tubes, Ltd. Cables fixing apparatus for backlight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074A (ko) * 2004-09-02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81A (ko) 2010-03-17
US8206023B2 (en) 2012-06-26
US20100061117A1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012B1 (ko)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US7789687B2 (en)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38159B1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이의 결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JP4941862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JP5144989B2 (ja) ランプアセンブリ、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112221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6013124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6066359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WO2003065115A1 (fr) Dispositif de retroeclairage
KR10150773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53771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US8591091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JP5678298B2 (ja) 光源ユニット
EP1995833B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KR10129587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53205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16587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2440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77956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00073A (ko) 표시 장치
KR20080065054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3604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