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564B1 -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564B1
KR101507564B1 KR20130073483A KR20130073483A KR101507564B1 KR 101507564 B1 KR101507564 B1 KR 101507564B1 KR 20130073483 A KR20130073483 A KR 20130073483A KR 20130073483 A KR20130073483 A KR 20130073483A KR 101507564 B1 KR101507564 B1 KR 10150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ewing
bag body
auxiliary
he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990A (ko
Inventor
김희숙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5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085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characterised by an outer package, e.g. wrappers or boxes for enclosing tea-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Abstract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제조방법은 a) 15-20수로 짜여지고, 소정의 폭을 갖는 안동 삼베를 폭보다 길이가 더 길도록 재단하되, 상기 안동 삼베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절반으로 접었을 때, 절반으로 접혀진 형상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이루도록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재단하는 단계; b) 상기 안동 삼베를 길이방향으로 접은 후에, 서로 접하는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각각 재봉으로 결합하여 주머니 형태로 형성하는 주머니 본체 형성단계; c)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가장자리에 조임용 끈 수용부를 형성한 후,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조임용 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조임용 끈 설치단계; d)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주변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손잡이 끈을 설치하는 손잡이 끈 설치단계; 및 e) 중요 한약재를 별도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보조 주머니를 제작한 후, 상기 주머니 본체의 내측 입구 영역에 설치하는 보조 주머니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재의 압착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한약재 주머니를 인체에 무해한 천연 직물인 안동 삼베로 제작함으로써, 한약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추출액을 추출할 때, 유해성분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PACKING BAG FOR HERBAL MWDICINE MATERIAL USING ANDONG HEMP CL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를 담은 후 추출기에 넣어 한약을 추출하는 경우에, 한약재를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고, 중요 약재의 재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한약은 다양한 약재들로부터 유용한 성분을 추출한 액상의 약물로, 일반적으로는 한약재를 용기 내에 넣고, 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끊이는 것에 의해 그 약성분이 추출되는 가열방식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는 약탕기에 모든 한약재를 넣은 후 물을 공급하여 가열하고, 가열이 완료되면, 삼베로 약탕기 내의 한약재를 거른 후 삼베로 한약재를 감싸 한약재에 남은 성분을 짜서 추출하고 있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100373호(공개일 : 2010.09.15)호에 한약추출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한약 추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5)가 하부에 마련된 외통체(1)의 상부에 압착판(15)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8) 장치가 마련되고, 외통체(1)의 내부에는 다공용기(4)가 설치되며, 다공용기(4)의 내부에는 한약재가 담겨지는 보자기(7)가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추출장치는, 보자기(7)에 한약재를 놓고 묶어 한약재가 빠지지 않도록 한 후, 다공용기(4)에 넣고, 외통체(1)에 물을 공급한 후 히터(5)에 열을 가하게 되면, 보자기(7)에 감싸진 한약재로부터 유효 성분이 추출된다. 그리고, 가열이 완료되면, 외통체(1) 하부에 설치된 유출관(6)을 개방한 후, 실린더(8)를 작동시켜 압착판(15)이 보자기(7)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보자기(7)에 감싸진 한약재로부터 액상의 유효성분이 추가로 추출되어 유출관(6)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추출작업이 완료되면, 압착판(15)을 상승시키고, 뚜껑(2)을 개방한 후 다공용기(4)에서 보자기(7)를 꺼내 새로운 한약재가 담긴 보자기를 다공용기(4)에 넣고 전술한 과정을 되풀이하여 한약을 추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한약재의 추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한약재를 수용하는 보자기가 부직포와 같은 합성직물로 이루어짐으로써 한약재의 추출을 위하여 고온으로 가열하는 동안 보자기로부터 유해한 성분이 용출될 수 있었다.
둘째, 보자기가 부직포와 같은 합성직물로 이루어진 경우에, 압착판으로 가압하게 되면, 보자기가 찢어져 한약재가 쏟아질 우려가 있었다.
셋째, 고온으로 가열된 고온의 한약재가 담겨진 보자기를 다공용기로부터 꺼내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뜨거운 열기와 고온의 추출액을 함유한 한약재 찌거기가 담겨진 보자기를 손으로 집어 올리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에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갈고리로 보자기를 걸어 꺼내는 과정에서는 보자기가 찢어지거나 올 사이가 벌어져 내용물, 즉 한약재가 쏟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넷째, 하나의 보자기에 모든 한약재가 섞인 상태로 감싸짐으로써, 추출 후 필요 약재를 구분하여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100373호(공개일 : 2010.09.15)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의 압착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한약재 주머니를 인체에 무해한 안동 삼베로 제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약재 주머니를 한약 추출장치에 넣거나 한약 추출 후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탕이 필요한 중요 약재를 다른 일반 약재와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고, 액상 추출이 완료된 후에는 중요 약재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약재 주머니가 자립할 수 있도록 하여 한약재를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 소정의 폭을 갖는 안동 삼베를 폭보다 길이가 더 길도록 재단하되, 상기 안동 삼베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절반으로 접었을 때, 절반으로 접혀진 형상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이루도록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재단하는 단계; b) 상기 안동 삼베를 길이방향으로 접은 후에, 서로 접하는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각각 재봉으로 결합하여 주머니 형태로 형성하는 주머니 본체 형성단계; c)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가장자리에 조임용 끈 수용부를 형성한 후,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조임용 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조임용 끈 설치단계; d)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주변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손잡이 끈을 설치하는 손잡이 끈 설치단계; 및 e) 중요 한약재를 별도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보조 주머니를 제작한 후, 상기 주머니 본체의 내측 입구 영역에 설치하는 보조 주머니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b) 단계는, b-1) 서로 접하는 상기 안동 삼베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1차로 재봉하여 결합한 후, 뒤집어서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1차 재봉선을 감싼 상태에서 1차 재봉선이 감춰지도록 2차로 재봉하여 재봉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주머니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b-2) 상기 주머니 본체의 바닥을 평편하게 펼쳐 상기 재봉 결합부가 위치한 상기 바닥의 양쪽 코너 영역을 각각 평편하게 형성한 후, 상기 바닥 영역이 장방형을 이루어 상기 주머니 본체가 자립 되도록 상기 각 코너 영역을 평편한 상태로 재봉하는 단계; 및 b-3) 상기 각 코너 영역을 상기 코너 영역에 형성된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은 후, 재봉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주머니 본체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보조 걸이부재를 재봉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연결끈의 일단을 결합하는 단계; 및 e-2) 상기 연결끈의 타단을 보조 조임용 끈을 구비한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 영역에 재봉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영역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보조 조임용 끈의 각 일단부를 재봉으로 결합하되, 상기 각 보조 조임용 끈의 중간부를 재봉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보조 주머니에 결합되는 두 가닥의 조임부로 구분하는 단계; e-2)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조여 폐쇄하거나 풀어 개방하도록 상기 보조 조임용 끈의 조임부를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에 설치하는 단계; 및 e-3) 상기 조임부가 상기 보조 주머니로부터의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조임부의 각 단부에 매듭을 형성하거나 각 단부를 묶어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주머니 본체의 내부에 종류가 다른 각각의 한약재를 각각 구분하여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격벽은, 격자형 또는 방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동 삼베는, 대마로부터 추출된 실로 직조된 삼베로 이루어지거나, 인견사 50 - 65% : 대마로부터 추출된 대마실 50 - 35%로 직조된 삼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안동 삼베가 아닌 천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주머니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안동 삼베를 폭보다 길이가 더 길도록 재단한 후, 상기 안동 삼베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접어 서로 접하는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각각 재봉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안동 삼베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1차로 재봉하여 결합한 후, 뒤집어서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1차 재봉선을 감싼 상태에서 1차 재봉선이 감춰지도록 2차로 재봉하여 재봉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주머니 본체를 포함하고,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조임용 끈을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를 조이거나 풀어 개폐하도록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조임용 끈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주변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손잡이 끈이 설치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영역에는, 중요 한약재를 별도로 수용하도록 형성된 보조 주머니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 주머니는, 일단부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영역에 재봉으로 결합되고 중간부에서 두 가닥으로 연장된 조임부로 이루어진 보조 조임용 끈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가닥의 조임부는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를 조이거나 풀어 개폐하도록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주머니 본체는, 바닥 영역이 장방형을 이루어 상기 주머니 본체가 자립되도록 상기 재봉 결합부가 위치한 상기 바닥의 양쪽 코너 영역을 각각 평편하게 형성한 후, 각 코너 영역을 평편한 상태로 재봉하고, 상기 각 코너 영역을 상기 코너 영역에 형성된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은 후, 재봉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재의 압착 추출장치에 사용되는 한약재 주머니를 인체에 무해한 천연 직물인 안동 삼베로 제작함으로써, 한약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추출액을 추출할 때, 유해성분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약재 주머니를 한약 추출장치에 넣거나 한약 추출 후 꺼낼 때, 갈고리 등으로 손잡이 끈이나 보조 걸이부재를 걸어 꺼낼 수 있음으로써, 주머니를 추출장치로부터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주머니에 재탕이 필요한 중요 약재를 넣어 추출하게 되므로, 중요 약재가 다른 일반 약재와 섞이지 않게 되어 회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약 주머니 본체의 바닥이 평편하게 형성됨으로써, 주머니가 자립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주머니에 한약재를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약 주머니를 형성하는 재봉 결합부가 주머니의 외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한약재 찌꺼기가 재봉 결합부에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약 주머니를 인견사와 대마실을 혼용하여 직조함으로써, 한약 주머니의 가격을 낮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대중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한약 추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를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보조 걸이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주머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를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보조 걸이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는,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주머니 본체(100)와, 이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에 설치되어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된 조임용 끈(120)과,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양쪽에 설치되는 손잡이 끈(130)과,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내측에 마련되는 보조 주머니(20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머니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가장자리가 재봉 결합부(140)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구되어 입구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주머니 본체(100)는 안동 삼베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안동 삼베는 대략 10 -11 새것을 사용한다. 1새[升]는 80올을 이루는 것이므로, 10새는 800올, 11새는 880올을 의미하므로, 10새에서 11새의 삼베는 조직이 매우 치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조직이 치밀하도록 짜여진 것을 이용하는 것은, 한약재의 찌꺼기가 베어 나오지 않도록 하고,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한약 추출장치는 강한 압력으로 한약재가 든 주머니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조직이 치밀하지 않으면 가압력에 의해 터지기 때문이다.
한편, 안동 삼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마로부터 추출된 실로 직조된 삼베 자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직조된 삼베 결과물을 기준으로, 인견사 50 - 65% : 대마로부터 추출된 대마실 50 - 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인견사 50 - 65%와 대마실 50 - 35%, 바람직하게는, 인견사 65%와 대마실 35%로 직조된 삼베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고가의 대마실이 증가될 수록 삼베원단의 가격이 상승하여, 한약 주머니의 대중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즉, 삼베를 이루는 대마실 사용을 35% 정도로 제한하여 한약 주머니의 가격이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대중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주머니 본체(100)의 재봉 결합부(14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재봉 결합부(140)에 한약 찌꺼기가 끼는 현상이 방지되며, 2중으로 재봉됨으로써, 한약 추출장치의 압착시 재봉부위가 터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에는 조임용 끈(120)이 설치되는데, 이 조임용 끈(120)은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임용 끈(120)은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에 설치되어 조이거나 푸는 동작으로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임용 끈(120)은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를 말아 형성한 조임용 끈 수용부(1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임용 끈(120)의 양 단부는 매듭이 형성되거나 서로 묶여진다. 이는 양 단부가 조임용 끈 수용부(121)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 끈(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용 끈(120)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주변에 재봉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 끈(1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입구 양쪽에 각각 설치되며,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다.
보조 주머니(200)는, 중요 한약재를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에 일반 한약재와 섞이지 않도록 별도로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안동 삼베로 제작된다. 이 보조 주머니(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영역에 재봉으로 결합되고 중간부(212)에서 두 가닥으로 연장된 조임부(214)로 이루어진 보조 조임용 끈(210)에 의해 주머니 본체(100)에 결합된다. 즉, 보조 조임용 끈(210)은 고정부(216)와 조임부(214)로 구분되고, 고정부(216)와 조임부(214)는 중간부(212)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구분되며, 조임부(214)는 두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216)은 한가닥 또는 두 가닥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보조 조임용 끈(210)의 고정부(216) 단부는 주머니 본체(100)에 재봉으로 결합되고, 조임부(214)는 보조 주머니(200)의 입구에 결합되어 보조 주머니(20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 조임용 끈(2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조임부(214)가 보조 주머니(200)의 입구에 설치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별도의 끈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부(212)의 재봉선이 형성되므로, 두 가닥의 조임부(214)를 조여 묶는 동작으로 보조 주머니(200)의 입구가 닫혀 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주머니(200)는,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연결끈(260)에 의해 주머니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끈(260)의 일단이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에 재봉으로 결합되고, 연결끈(260)의 타단은 보조 주머니(200)의 입구 영역 또는 상단 영역에 재봉으로 결합된 것이다. 이때, 보조 주머니(200)는 보조 조임끈(270)을 구비한다.
한편, 주머니 본체(100)의 하부, 즉 바닥(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다각형으로 평편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주머니 본체(100)가 자립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양쪽 가장자리의 재봉 결합부(140)가 위치한 바닥(150)의 양쪽 코너 영역(152)을 각각 평편하게 형성한 후, 각 코너 영역(152)을 평편한 상태로 재봉하고, 각 코너 영역(152)을 코너 영역(152)에 형성된 재봉선(153)을 기준으로 바닥(15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은 후, 재봉하여 고정한 것이다. 이러한 바닥(150)의 구조에 의해 주머니 본체(100)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머니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보조 걸이부재(300)가 재봉에 의해 부착된다. 이 보조 걸이부재(300)들은, 가열된 상태로 한약 추출장치의 내통(다공용기)에 담겨지는 주머니 본체(100)를 갈고리 등으로 걸어 꺼낼 때, 갈고리가 용이하게 삽이되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를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 안동 삼베 재단단계
먼저,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략, 15-20수로 짜여지고, 소정의 폭(대략 30-40cm)을 갖는 안동 삼베를 폭(W)보다 길이(L)가 더 길도록 재단하되, 안동 삼베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절반으로 접었을 때, 절반으로 접혀진 형상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이루도록 폭(W)보다 길이(L)가 더 길게 재단한다. 이러한 재단은,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 깊이가 폭(W)보다 깊도록 하여, 한약재가 안정적으로 수용되고, 조임용 끈(120)으로 입구를 조이고 묶었을 때, 주머니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b) 주머니 본체 형성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안동 삼베가 재단되면, 재단된 안동 삼베를 길이방향으로 접은 후에, 서로 접하는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각각 재봉으로 결합하여 주머니 형태로 형성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로 접하는 안동 삼베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1차로 재봉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1차 재봉으로 형성된 주머니 본체(100)를 뒤집어서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1차 재봉선을 감싼 상태에서 1차 재봉선이 감춰지도록 2차로 재봉하여 재봉 결합부(140)가 외부로 노출되는 주머니 본체(100)를 형성한다. 이 과정으로 재봉 결합부(140)는 주머니 본체(100)의 외부 양쪽 가장자리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재봉 결합부(140)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한약재 찌꺼기가 재봉 결합부(140)에 끼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재봉 결합부(140)가 외부로 노출되면, 주머니 본체(100)의 바닥을 평편하게 펼쳐 재봉 결합부(140)가 위치한 바닥(150)의 양쪽 코너 영역(152)을 각각 평편하게 형성한다. 즉, 주머니 본체(100)를 세운 후 양쪽의 바닥(150)을 지면에 밀착시켜, 이 작업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코너 영역(152)을 평편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바닥(150)의 영역이 장방형을 이루어 주머니 본체(100)가 자립되도록 각 코너 영역(152)을 평편한 상태로 재봉한다.
다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50)을 평편하게 한 후 코너 영역(152)과 바닥(150)의 경계를 재봉하여 재봉선(153)을 형성한다. 즉, 이 재봉 작업으로 코너 영역(152)이 입체적으로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 공간과 코너 영역(152)의 내부공간이 연통되지 않도록 재봉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과정으로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코너 영역(152)의 내부공간과 재봉선(153)에 의해 구분되기 때문에, 주머니 본체(100)에 담겨지는 한약재가 코너 영역(152)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각 코너 영역(152)을 코너 영역(152)에 형성된 재봉선(153)을 기준으로 바닥(15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은 후, 재봉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양쪽의 코너 영역(152)이 바닥(15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진 후 재봉되어 고정되므로, 주머니 본체(100)의 바닥(150)은 다각형의 입체 구조를 갖게 되므로, 지면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자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 조임용 끈 설치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주머니 본체(100)의 제작이 완료되면,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가장자리에 조임용 끈 수용부(121)를 형성한 후,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조임용 끈(120)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때, 조임용 끈(120)이 수용되는 조임용 끈 수용부(121)는 주머니 본체(100)를 형성하기 전 단계에서 미리 만들 수도 있다.
d) 손잡이 끈 설치단계
조임용 끈(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주변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손잡이 끈(130)을 재봉으로 설치한다. 이 손잡이 끈(130)은 주머니 본체(100)를 들어 이동하거나 한약 추출장치의 내통에서 꺼낼 때, 갈고리 등이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주머니 본체(100)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보조 걸이부재(300)를 재봉으로 부착한다. 보조 걸이부재(300)는 일정하지 않은 방향, 그리고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어느 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갈고리가 걸릴 수 있거나, 작업자가 손가락을 넣어 주머니 본체(10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구조와 형상이면 만족한다.
e) 보조 주머니 설치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조임용 끈(120)이나 손잡이 끈(1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보조 주머니(200)를 설치한다. 보조 주머니(200)는 중요 한약재가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에서 일반 한약재와 섞이지 않도록 별도로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보조 주머니를 제작한 후, 주머니 본체(100)의 내측 입구 영역에 설치하여 주머니 본체(100)를 완성한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영역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보조 조임용 끈(210)의 각 일단부를 재봉으로 결합하고, 각 보조 조임용 끈(210)의 중간부(212)를 재봉으로 결합하여, 중간부(212)를 기준으로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에 고정되는 고정부(216)와, 보조 주머니(200)에 결합되는 두 가닥의 조임부(214)로 구분한다. 즉, 두 가닥의 보조 조임용 끈(210)의 중간을 제봉하여 중간부(212)를 형성하고, 서로 결합된 고정단(216)의 단부를 주머니 본체(100)에 재봉으로 결합한 후, 두 가닥의 조임부(214)는 보조 주머니(200)의 입구에 조임 구조로 설치한다. 그리고, 조임부(214)의 단부는 매듭을 짓거나 서로 묶어 보조 주머니(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216)은 보조 주머니(200)가 주머니 본체(100) 내부에 원활하게 수용되거나, 꺼낸 후 그 입구를 풀어 약재를 꺼내거나 다시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길이(대략 10 - 20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의 제작이 완료되며, 제작이 완료된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머니 본체(100)를 지면에 안착시켜 세운 후, 그 내부로 한약재를 넣는다. 그리고, 보조 주머니(200)에는 일반 약재와 섞이지 않아야 할 중요 약재를 넣은 후 조임부(214)를 조여 보조 주머니(200)의 입구를 닫은 후,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로 넣는다.
이어서, 조임용 끈(120)을 이용하여 주머니 본체(100)의 입구 닫는다.
이 과정으로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에 한약재가 담겨지면, 주머니 본체(100)를 한약 추출장치의 내통에 넣은 후 물을 공급하고 가열한다. 가열공정에서, 주머니 본체(100)는 천연재료 제작된 안동 삼베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가열공정에서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는다.
이후, 가열 과정이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압착판으로 주머니 본체(100)를 가압하여 압착 추출을 실시한다.
압착 추출이 실시될 때, 주머니 본체(100)는 조직이 치밀한 안동 삼베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압력에 의한 주머니 본체(100)의 터짐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압착 추출이 완료되면, 추출장치의 뚜껑을 개방하고, 내통으로부터 주머니 본체(100)를 꺼내되,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에 고온으로 가열된 한약재가 담겨진 상태이므로, 갈고리를 이용하여 보조 걸이부재(300)를 걸어 올리거나 손잡이 끈(130)을 걸어 올린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하게 추출장치로부터 주머니 본체(100)를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는,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에 종류가 다른 각각의 한약재를 각각 구분하여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격벽(500)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격벽(500)은, 격자형 또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중앙에는 보조 주머니(200)가 수용되기 위한 보조 주머니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머니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격벽(500)이 설치됨으로써, 한약재를 구분하여 넣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주머니 본체 120 : 조임용 끈
130 : 손잡이 끈 140 : 재봉 결합부
150 : 바닥 152 : 코너 영역
153 : 재봉선 200 : 보조 주머니
210,270 : 보조 조임끈 212 : 중간부
214 : 조임부 216 : 고정부
260 : 연결끈 300 : 보조 걸이부재
500 : 격벽

Claims (10)

  1. a) 대마로부터 추출된 실로 직조된 삼베로 이루어지거나, 인견사 50 - 65% : 대마로부터 추출된 대마실 50 - 35%로 직조된 삼베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을 갖는 안동 삼베를 폭보다 길이가 더 길도록 재단하되, 상기 안동 삼베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절반으로 접었을 때, 절반으로 접혀진 형상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이루도록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재단하는 단계;
    b) 상기 안동 삼베를 길이방향으로 접은 후에, 서로 접하는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각각 재봉으로 결합하여 주머니 형태로 형성하되, 서로 접하는 상기 안동 삼베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1차로 재봉하여 결합한 후, 뒤집어서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1차 재봉선을 감싼 상태에서 1차 재봉선이 감춰지도록 2차로 재봉하여 재봉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주머니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바닥을 평편하게 펼쳐 상기 재봉 결합부가 위치한 상기 바닥의 양쪽 코너 영역을 각각 평편하게 형성한 후, 상기 바닥 영역이 장방형을 이루어 상기 주머니 본체가 자립되도록 상기 각 코너 영역을 평편한 상태로 재봉하며, 상기 각 코너 영역을 상기 코너 영역에 형성된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은 후, 재봉하여 고정하는 주머니 본체 형성단계;
    c)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가장자리에 조임용 끈 수용부를 형성한 후,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조임용 끈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조임용 끈 설치단계;
    d)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주변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손잡이 끈을 설치하는 손잡이 끈 설치단계; 및
    e) 중요 한약재를 별도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보조 주머니를 제작한 후,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영역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보조 조임용 끈의 각 일단부를 재봉으로 결합하되, 상기 각 보조 조임용 끈의 중간부를 재봉으로 결합하여,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보조 주머니에 결합되는 두 가닥의 조임부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조여 폐쇄하거나 풀어 개방하도록 상기 보조 조임용 끈의 조임부를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에 설치하며, 상기 조임부가 상기 보조 주머니로부터의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조임부의 각 단부에 매듭을 형성하거나 각 단부를 묶어 상기 주머니 본체의 내측 입구 영역에 상기 보조 주머니를 설치하는 보조 주머니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주머니 본체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보조 걸이부재를 재봉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주머니 본체의 내부에 종류가 다른 각각의 한약재를 각각 구분하여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격벽은, 격자형 또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소정의 폭을 갖는 안동 삼베를 폭보다 길이가 더 길도록 재단한 후, 상기 안동 삼베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접어 서로 접하는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각각 재봉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안동 삼베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1차로 재봉하여 결합한 후, 뒤집어서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1차 재봉선을 감싼 상태에서 1차 재봉선이 감춰지도록 2차로 재봉하여 재봉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바닥 영역이 장방형을 이루어 주머니 본체가 자립되도록 상기 재봉 결합부가 위치한 상기 바닥의 양쪽 코너 영역을 각각 평편하게 형성한 후, 각 코너 영역을 평편한 상태로 재봉하고, 상기 각 코너 영역을 상기 코너 영역에 형성된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은 후, 재봉하여 고정한 주머니 본체를 포함하고,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조임용 끈을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를 조이거나 풀어 개폐하도록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조임용 끈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주변에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손잡이 끈이 설치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영역에는, 중요 한약재를 별도로 수용하도록 형성된 보조 주머니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 주머니는, 일단부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입구 영역에 재봉으로 결합되고 중간부에서 두 가닥으로 연장된 조임부로 이루어진 보조 조임용 끈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가닥의 조임부는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를 조이거나 풀어 개폐하도록 상기 보조 주머니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10. 삭제
KR20130073483A 2013-06-26 2013-06-26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 KR10150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483A KR101507564B1 (ko) 2013-06-26 2013-06-26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483A KR101507564B1 (ko) 2013-06-26 2013-06-26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90A KR20150000990A (ko) 2015-01-06
KR101507564B1 true KR101507564B1 (ko) 2015-04-07

Family

ID=5247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483A KR101507564B1 (ko) 2013-06-26 2013-06-26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8128A (zh) * 2018-03-26 2018-07-27 合肥学院 一种具有定位功能的滤渣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988A (ko) * 2004-12-28 2007-11-15 야마나카 산교 가부시키 가이샤 커피 및 차류 추출용 백
JP2012231973A (ja) 2011-05-02 2012-11-29 Kataoka & Co Ltd 簡易型濾過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988A (ko) * 2004-12-28 2007-11-15 야마나카 산교 가부시키 가이샤 커피 및 차류 추출용 백
JP2012231973A (ja) 2011-05-02 2012-11-29 Kataoka & Co Ltd 簡易型濾過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90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6123C (zh) 棉被护套
EP2760762B1 (en) Bag for a beverage preparation
US20080030033A1 (en) Pet waste scooping device
KR101507564B1 (ko) 안동 삼베를 이용한 한약재 주머니 및 그 제조방법
US1920824A (en) Draw string 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960979B1 (ko) 다운 주머니, 그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다운 제품 제조 방법
KR20090068445A (ko) 원두커피 티백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원두커피 티백
AU766007B2 (en) Support-equipped extraction bag, extraction-subject material containing support-equipped extraction bag, and sheet complex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85897B1 (ko) 훼이스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5313652B2 (ja) 透水性の袋
JP2011168939A (ja) リバーシブル構造の一部式立体縫製きもの及びきものセット
JP3157066U (ja) 鉢植え用のラッピング袋およびラッピング鉢植え
CN106809536B (zh) 包括可进入开口的茶包
AU2016368693B2 (en) A bag for pet burial or cremation or for holding cremation ashes
CN206871530U (zh) 一种包装盒
US4783855A (en) Infant presentation wrap
CN213801116U (zh) 一种一体式自热包装盒
KR200496372Y1 (ko) 다기능 배달 보자기
US20180160860A1 (en) Upside-Down Container Bag
US2796686A (en) Tag
JP3232593U (ja) 折り畳み式コンパクトバッグ
CN212817187U (zh) 一种中药煎药包
US2138642A (en) Hat
NL1028714C2 (nl) Een pruimzakje (een Kruidenbuiltje waarop gekauwd kan worden).
CN203001024U (zh) 医用记忆缝合线包装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