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515B1 - 자전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515B1
KR101507515B1 KR1020140116001A KR20140116001A KR101507515B1 KR 101507515 B1 KR101507515 B1 KR 101507515B1 KR 1020140116001 A KR1020140116001 A KR 1020140116001A KR 20140116001 A KR20140116001 A KR 20140116001A KR 101507515 B1 KR101507515 B1 KR 10150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ocking
bicycle
empty sp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일
Original Assignee
박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일 filed Critical 박흥일
Priority to KR102014011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62H5/141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by means of slidin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정적인 보관과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는, 지면에 안착되어 있고 상하 일정높이를 갖는 지지부,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타측은 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에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가 안착될 수 있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에 형성되는 스포크 사이를 통과하는 제1락킹부, 상기 제1락킹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번호입력 조작을 확인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쇠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상기 제1락킹부의 고정을 제어하는 제2락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 거치장치{a bike p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에서는 건강을 위해서는 물론, 대중 교통수단을 대체하는 교통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자전거를 보관하는 데에는 장소의 제약이나 도난의 우려 등 많은 원인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지하철 혹은 관공서 근방의 자전거 보관소의 경우 단순히 철제 프레임을 용접하여 골격을 세우고, 그 상부에 천막 형태의 지붕이 갖추어진 정도의 구조로서, 단순히 철재로만 이루어진 구조물로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자전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24198호(2012.02.29) 등록특허공보 제10-1371132호(2014.02.2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정적인 보관과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는, 지면에 안착되어 있고 상하 일정높이를 갖는 지지부,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타측은 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에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가 안착될 수 있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에 형성되는 스포크 사이를 통과하는 제1락킹부, 상기 제1락킹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번호입력 조작을 확인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쇠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상기 제1락킹부의 고정을 제어하는 제2락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고정브라켓, 일측이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설치홀에 설치되고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개방부와 연결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빈 공간에서 인출되고, 상기 빈 공간에서 인출시 상기 스포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바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중 상기 걸림쇠와 마주하는 측면의 후측에는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빈 공간과 연결되는 슬라이딩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중 상기 슬라이딩홀과 마주하는 측면의 후측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가 빈 공간에서 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빈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대칭되고, 상기 스포크 사이를 통과한 고정부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이 관통형성되는 제2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고정홀과 연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캡, 상기 고정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의 고정홀을 관통한 고정부의 일부분이 자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이와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고정되어 제1락킹부에 대한 제2락캉부의 락킹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고정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개방부와 대칭되는 타측에는 이동안내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락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락킹부에 사용자의 번호입력 조작이 확인될 경우 상기 제2락킹부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는,
일측에 구비되는 로드가 상기 이동안내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서 인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 수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는, 받침프레임에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를 통해 자전거의 바퀴를 고정시킨 상태로 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자전거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귀부는 제1락킹부에 대한 제2락킹부의 락킹이 해제될 경우 자전거의 바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전거 거치장치에 거치된 자전거를 용이하게 가져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락킹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전거의 바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고, 고정부를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걸림쇠가 자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자전거의 안정적인 보관 및 회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받침프레임과 상부받침프레임을 통해 자전거를 다단으로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자전거 및 자전거 거치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받침프레임이 레일부에서 경사진 형태로 인출될 수 있어, 자전거를 용이하게 거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상부받침프레임과 레일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2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2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2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복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 제2락킹부 및 복귀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 제2락킹부 및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상부받침프레임과 레일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2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2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2락킹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1)는, 지지부(10), 받침프레임(20), 제1락킹부(30), 제2락킹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는 후술하는 받침프레임(20)과 더불어 자전거(7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수평프레임(11),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의 상면 양측에 수직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 저면 양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과 상,하로 대칭되는 상부수평프레임(13),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4)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은 후술되는 하부받침프레임(21)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앙카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2)은 후술되는 상부받침프레임(22) 및 상부받침프레임(22)에 고정된 자전거(7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의 상면에 볼팅 또는 용접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10)는 상하 일정높이를 갖는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2)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 본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의 길이 및 상기 수직프레임(12)의 간격은 자전거(70)의 거치 대수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3)은 상기 수직프레임(12)들의 연결기능 및 상부받침프레임(22)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상면에 볼팅 또는 용접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3)은 하부수평프레임(1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4)은 지지부(10)의 하중 및 자전거(7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각 수직프레임(12)의 양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판(15)을 통해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15)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과 동일하게 앙카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4)은 상기 수직프레임(12)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4)은 상기 수직프레임(12)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지면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넓어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4)은 상기 각 수직프레임(12)의 양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지지부(10)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자전거 거치장치(1)에 거치되는 자전거(70)의 하중에 의해 수직프레임(12)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지지부(10)에는 받침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프레임(20)은 자전거(70)의 받침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하부받침프레임(21)과 상부받침프레임(2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은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자전거(7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받침프레임(21)은 일측이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의 상면에 볼팅 또는 용접결합되며 상부면에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가 안착될 수 있는 밑판(211), 상기 밑판(211) 양측에서 수직하게 위치되는 측판(212), 상기 측판(212)의 상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위치한 지지판(213)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부받침프레임(21)의 구조에 의해 상기 밑판(211)과 측판(212)의 사이에는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가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는 상기 밑판(211)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양측면이 측판(212)에 지지되어 전도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측판(212)은 상기 밑판(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자전거(70)의 앞바퀴(71)가 위치되는 부분과 뒷바퀴(72)가 위치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은 상기 지지부(10)에 다수개의 자전거(70)를 다단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부(23)를 통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3)에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23)는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3)의 상면에 볼팅 또는 용접결합되는 밑판(231), 상기 밑판(231)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위치되는 측판(23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일부(23)는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과 대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에 거치되는 자전거(70)와 상부받침프레임(22)에 거치되는 자전거(7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부(23)의 구조에 의해 밑판(231)과 측판(232)의 사이에는 상부받침프레임(22)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은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자전거(7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23)보다도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의 일부분은 상기 레일부(23)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은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과 동일하게 밑판(221), 상기 밑판(221)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위치되는 측판(222), 상기 측판(22)의 상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위치한 지지판(223)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받침프레임(22)은 상기 레일부(23)의 빈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밑판(221)이 레일부(23)의 밑판(231)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측판(22)은 레일부(23)의 측판(232)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지지판(223)은 상기 레일부(23)의 측판(232)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이때, 상기 레일부(23)의 밑판(231) 상면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의 밑판(221) 저면에는 제자리 회전 가능한 롤러(미도시)들을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하고,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 중 레일부(23)의 외부로 돌출되는 끝단에 손잡이(미도시)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레일부(23)의 양 측판(232)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슬라이딩안내부(23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의 양 측판(222)에는 상기 슬라이딩안내부(233)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레일홀(222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안내부(233)는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의 슬라이딩 및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일부(23)의 측판(232)에 수평설치되며 상기 레일홀(2221)에 수용되고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몸체부(2331)와, 상기 몸체부(2331)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홀(22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부(23)의 빈 공간에 위치되는 머리부(23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2331)는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이 레일부(23)에서 인출 시 원활하게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332)는 도3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부(2331)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몸체부(2331)의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측판(232) 중 몸체부(2331)가 결합되는 부분에 나선홀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을 레일부(23)의 빈 공간에 수용시킨 다음 상기 몸체부(2331)를 측판(232)에 용이하게 나선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이 슬라이딩안내부(233)를 통해 상기 레일부(23)의 빈 공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은 상기 레일부(23)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레일부(23)의 빈 공간에서만 슬라이딩 된다.
이상 설명한 상부받침프레임(22)에 자전거(70)를 거치하고자 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아 당겨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이 레일부(23)에서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은 슬라이딩안내부(233)의 안내를 받아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231) 중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이 인출되는 일측 끝부분(A)은 절개되어, 상기 상부받침프레임(22)은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인출될 수 있으며, 손잡이는 지면과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가 상부받침프레임(22)의 밑판(221)을 따라 순차적으로 타고 올라가게 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상부받침프레임(22)을 들어 올려 레일부(23)와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밀어 상부받침프레임(22)이 레일부(23)의 빈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지지부(10)에 다수개의 자전거(70)를 다단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락킹부(30)는 하부받침프레임(21) 및 상부받침프레임(22)에 거치된 자전거(70)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브라켓(31)과 제2고정브라켓(35)과 하우징(32)과 고정부(33)와 이동부(3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락킹부(30)는 자전거(70)의 앞바퀴(71)가 위치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앞바퀴(71)에 형성되는 스포크(711)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앞바퀴(71)를 고정하거나 또는, 자전거(70)의 뒷바퀴(72)가 위치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뒷바퀴(72)에 형성되는 스포크(721)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뒷바퀴(72) 고정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락킹부(30)가 자전거(70)의 뒷바퀴(72)만 고정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브라켓(31)은 정면에서 바라본 모양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도6을 기준으로 하부받침프레임(21) 및 상부받침프레임(22)의 오른쪽에 위치된 측판(212,222)의 상부면에 용접 또는 볼팅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브라켓(31)의 중앙부분에는 후술되는 하우징(32)의 일부분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홀(311)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35)은 정면에서 바라본 모양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도6을 기준으로 하부받침프레임(21) 및 상부받침프레임(22)의 왼쪽에 위치된 측판(212,222)의 상부면에 용접 또는 볼팅결합되며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 및 상부받침프레임(22)의 빈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31)과 대칭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35)에는 후술되는 자전거(70)의 뒷바퀴(72)에 형성되는 스포크(721)를 통과한 고정부(33)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홀(351)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2)은 후술되는 고정부(33)의 보호 및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브라켓(31)의 설치홀(311)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측판(212,222)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2)의 형상은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2) 중 통과홀(311)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개방부(3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개방부(321)와 연결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빈 공간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32)의 형상과 동일한 원 형상,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은 후술되는 제2락킹부(40)와 마주하는 측면에 걸림쇠(41)가 통과하는 통과홀(322)이 관통형성 된다.
상기 고정부(33)는 자전거의 뒷바퀴(7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 형상과 동일한 원 형상, 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3)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33)는 전체가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
이러한 고정부(33)는 후술되는 이동부(34)를 통해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에서 인출되며,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에서 인출시 자전거(70)의 뒷바퀴(72)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통과홀(322)이 형성된 측면과 대향되는 측면에 슬라이딩홀(32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홀(323)은 하우징(32)의 빈 공간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3) 중 상기 슬라이딩홀(323)과 마주하는 측면 후측에는 제2삽입홈(3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34)는 원 형상의 바 형상 또는 사각형 형상의 바 형상 등 상기 제2삽입홈(332)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34)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홀(323)을 통과하여 상기 제2삽입홈(332)에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4) 중 상기 하우징(32)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외주연에는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에 의해 형성되는 파지부(341)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의 빈 공간에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를 거치 시킨 다음 상기 파지부(341)를 잡고 이동부(34)를 상기 슬라이딩홀(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34)와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33)가 하우징(32)의 빈 공간에서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3)가 빈 공간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고정부(33)의 후측은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수용되고, 이와 대향되는 전측은 상기 스포크(721)의 사이와 제2고정브라켓(35)의 고정홀(351)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전측과 후측의 사이 부분은 상기 스포크(721)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뒷바퀴(72)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을 제한시키면서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고정부(33)는 상기 제2락킹부(40)와 마주하는 측면의 후측에 제1삽입홈(3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331)에는 제2락킹부(40)의 걸림쇠(41)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33)가 자전거(70)의 뒷바퀴(72)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락킹부(40)는 상기 제1락킹부(30)의 고정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1락킹부(30)의 제1고정브라켓(31)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락킹부(40) 중 상기 고정부(33)의 제1삽입홈(331)과 마주하는 부분의 내부에는 걸림쇠(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쇠(41)는 전진시 상기 제2락킹부(4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하우징(32)의 통과홀(322)을 통과한 다음 상기 고정부(33)의 제1삽입홈(3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33)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제2락킹부(40)는 공지의 도어락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동으로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를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의 빈 공간에 거치 시킨 다음 상기 고정부(33)를 스포크(721)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락킹부(40)에 형성된 번호버튼(42)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2락킹부(4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확인 및 저장한 다음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쇠(41)를 전진시켜 상기 고정부(33)의 제1삽입홈(331)에 삽입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고정부(33)의 고정에 의해 뒷바퀴(72)가 하부받침프레임(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1)에 자전거(70)를 거치시킬 경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락킹부(40) 번호버튼(42)은 0 내지 9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락킹부(40)에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자릿수는 4자리 내지 6자리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락킹부(40)에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자릿수는 4자리 내지 6자리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전거 거치장치에 거치된 자전거(70)를 가져가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에 자전거(7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2락킹부(40)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락킹부(4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가 하부받침프레임(21)에 자전거(70)를 거치시켰을때 입력했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고정부(33)의 제1삽입홈(331)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쇠(41)를 후진시켜 다시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이동부(34)를 파지한 다음 고정부(33)가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므로서, 자전거 거치장치(1)에 거치된 자전거(70)를 가져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락킹부(40)는 최초 입력된 비밀번호와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에 자전거(70)를 거치시켰을 때 입력했던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경고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으며, 입력된 비밀번호와 3회 이상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작동이 정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락킹부(40)의 작동이 정지될 경우 제2락킹부(40)의 번호버튼(42) 하부에 형성된 인식부(43)에 키(미도시)를 접촉시키므로서,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에 자전거(70)를 거치시켰을 때 입력했던 비밀번호가 초기화 되도록 하면서 상기 걸림쇠(41)가 후진되도록하여 제2락킹부(4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복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 제2락킹부 및 복귀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13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락킹부(30)는 고정부(33)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캡(36)과 자석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33)에는 제1락킹부(30)에 대한 제2락킹부(40)의 락킹이 해제될 경우 고정부(33)가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복귀부(5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캡(36)은 상기 제2고정브라켓(36)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36)과 마주하는 부분의 내부에 상기 제2고정브라켓(36)의 고정홀(351)과 연결되는 고정홈(36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361)의 형상은 상기 고정부(33)의 형상과 동일한 원, 형상,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제2고정브라켓(35)의 고정홀(351)을 관통한 다음 상기 고정홈(361)에 수용된다.
상기 자석부(37)는 상기 고정캡(36)의 고정홈(361)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자석부(37)에 부착될 수 있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캡(36)의 고정홈(361)에 수용된 고정부(33)는 자석부(37)에 자력을 통해 부착고정되어 부동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자전거(70)의 뒷바퀴(72)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자석부(37)는 상기 고정캡(36)의 고정홈(361) 대신 상기 고정홈(361)에 수용되는 고정부(33)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캡(36)은 상기 고정부(33)의 끝단에 형성된 자석부(37)에 부착될 수 있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복귀부(50)는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32)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이외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고정부(33)의 후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복귀부(50)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를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의 빈 공간에 거치 시킨 다음 파지부(341)를 잡고 이동부(34)를 이동시켜 고정부(33)가 하우징(32)에서 인출되어 제2고정브라켓(35)의 고정홀(351) 및 자전거(70) 뒷바퀴(72)의 스포크(721)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3)는 제2고정브라켓(35)의 고정홀(351)을 통과한 다음 상기 고정캡(36)의 고정홈(36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석부(37)에 부착고정되며, 상기 복귀부(50)는 상기 고정부(33)가 하우징(32)에서 인출됨에 따라 팽창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제2락킹부(40)에 형성된 번호버튼(42)을 입력하여 걸림쇠(41)가 상기 고정부(33)의 제1삽입홈(331)에 삽입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자전거(70)의 뒷바퀴(72)가 하부받침프레임(21)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전거 거치장치에 거치된 자전거(70)를 가져가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에 자전거(7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2락킹부(40)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걸림쇠(41)가 제2락킹부(4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복귀부(50)가 원래의 형상으로 압축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33)가 자동으로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수용되어, 사용자는 자전거 거치장치에 거치된 자전거(70)를 용이하게 가져갈 수 있다.
한편,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에 적용된 제1락킹부, 제2락킹부 및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16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의 외부에는 고정부(33)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60)는 상기 제2락킹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락킹부(40)에 사용자의 번호입력 조작이 확인될 경우 제2락킹부(40)의 걸림쇠(41)와 연동되어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개방부(321)와 대칭되는 타측면에는 이동안내홀(3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60)는 일측에 구비되는 로드(61)가 상기 하우징(32)의 외부에서 상기 이동안내홀(324)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33)의 끝단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6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60)의 로드(61)가 전진될 경우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하우징(32)의 외부로 인출되며, 로드(61)가 후진될 경우 상기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
즉, 사용자는 자전거(70)의 앞바퀴(71)와 뒷바퀴(72)를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의 빈 공간에 거치 시킨 상태에서 제2락킹부(40)에 형성된 번호버튼(42)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2락킹부(4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확인 및 저장한 다음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60)의 로드(61)가 전진되도록 하여 고정부(33)가 제2고정브라켓(35)의 고정홀(351) 및 자전거(70) 뒷바퀴(72)의 스포크(721)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락킹부(40)의 내부에 구비된 걸림쇠(41)가 상기 제1삽입홈(331)에 삽입되도록 하여 자전거(70)의 뒷바퀴(72)가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거치장치(1)에 자전거(70)를 거치 시킬 경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전거 거치장치에 거치된 자전거(70)를 가져가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에 자전거(7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2락킹부(40)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락킹부(4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가 하부받침프레임(21) 또는 상부받침프레임(22)에 자전거(70)를 거치시켰을때 입력했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고정부(33)의 제1삽입홈(331)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쇠(41)를 후진시켜 다시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로드(61)가 후진되도록 하여 고정부(33)가 하우징(32)의 빈 공간에 다시 수용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는 자전거 거치장치(1)에 거치된 자전거(70)를 가져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지지부 11 : 하부수평프레임
12 : 수직프레임 13 : 상부수평프레임
14 : 지지프레임 15 : 고정판
20 : 받침프레임 21 : 하부받침프레임
211, 221, 231 : 밑판 212, 222, 232 : 측판
213, 224: 지지판 22 : 상부받침프레임
2221 : 레일홀 233 : 슬라이딩안내부
2331 : 몸체부 2332 : 머리부
30 : 제1락킹부 31 : 제1고정브라켓
311 : 설치홀 32 : 하우징
321 : 개방부 322 : 통과홀
323 : 슬라이딩홀 324 : 이동안내홀
33 : 고정부 331 : 제1삽입홈
332 : 제2삽입홈 34 : 이동부
341 : 파지부 35 : 제2고정브라켓
351 : 고정홀 36 : 고정캡
361 : 고정홈 37 : 자석부
40 : 제2락킹부 41 : 걸림쇠
42 : 번호버튼 43 : 태그부
50 : 복귀부 60 :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
61 : 로드 70 : 자전거
71 : 앞바퀴 711, 721 : 스포크
72 : 뒷바퀴

Claims (7)

  1. 지면에 안착되어 있고 상하 일정높이를 갖는 지지부,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고 타측은 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에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가 안착될 수 있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에 형성되는 스포크 사이를 통과하는 제1락킹부,
    상기 제1락킹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번호입력 조작을 확인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쇠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상기 제1락킹부의 고정을 제어하는 제2락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고정브라켓,
    일측이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설치홀에 설치되고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개방부와 연결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빈 공간에서 인출되고, 상기 빈 공간에서 인출시 상기 스포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바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받침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대칭되고, 상기 스포크 사이를 통과한 고정부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이 관통형성되는 제2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자전거 거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 중 상기 걸림쇠와 마주하는 측면의 후측에는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자전거 거치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빈 공간과 연결되는 슬라이딩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중 상기 슬라이딩홀과 마주하는 측면의 후측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가 빈 공간에서 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빈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는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거치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2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고정홀과 연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캡,
    상기 고정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의 고정홀을 관통한 고정부의 일부분이 자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석부
    를 포함하는 자전거 거치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이와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고정되어 제1락킹부에 대한 제2락캉부의 락킹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고정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
    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거치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개방부와 대칭되는 타측에는 이동안내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락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락킹부에 사용자의 번호입력 조작이 확인될 경우 상기 제2락킹부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락킹부제어용실린더는,
    일측에 구비되는 로드가 상기 이동안내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서 인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장치.
KR1020140116001A 2014-09-02 2014-09-02 자전거 거치장치 KR10150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01A KR101507515B1 (ko) 2014-09-02 2014-09-02 자전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01A KR101507515B1 (ko) 2014-09-02 2014-09-02 자전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515B1 true KR101507515B1 (ko) 2015-03-31

Family

ID=5302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001A KR101507515B1 (ko) 2014-09-02 2014-09-02 자전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5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614U (ko) * 1997-12-31 1999-07-26 윤해중 자전거 이단보관장치
JP3118420U (ja) * 2005-11-08 2006-01-26 石橋貿易株式会社 二輪車用錠
JP2006150995A (ja) 2004-11-25 2006-06-15 Tajima Metalwork Co Ltd 自転車の盗難防止並びに無断駐輪防止錠を備えた駐輪ラ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614U (ko) * 1997-12-31 1999-07-26 윤해중 자전거 이단보관장치
JP2006150995A (ja) 2004-11-25 2006-06-15 Tajima Metalwork Co Ltd 自転車の盗難防止並びに無断駐輪防止錠を備えた駐輪ラック
JP3118420U (ja) * 2005-11-08 2006-01-26 石橋貿易株式会社 二輪車用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609B1 (ko) 잠금장치 및 그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보관장치
US7631525B1 (en) Wheel lock apparatus
US10058086B1 (en) Ice fishing pole carrier for all terrain vehicles, snowmobiles and the like
KR101003831B1 (ko) 자전거를 수직으로 주차시키는 개인 보관함
KR100976608B1 (ko) 직립형 자전거 주차장치
CN113453977B (zh) 用于将自行车锁定到包括电子锁的支架的自行车停放支架
KR101507515B1 (ko) 자전거 거치장치
JP2018003531A (ja) 防護柵およびその取り扱い方法、防護柵を取り扱う操作部材、ならびに防護柵システム
US10843752B2 (en) Integrated bicycle rack and lock station
US20170130484A1 (en) Padlock retaining device
US20210094640A1 (en) Integrated bicycle rack and lock station
US20170190369A1 (en) Bike reten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2111244A (ja) 駐輪装置
US20230399866A1 (en) Parking system for parking bicycles
US2022018541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Bicycle, A Scooter Or A Frame
KR101546682B1 (ko) 기립형 자전거 거치대
US9896141B2 (en) BikeSeatBoost power seat, fits all bicycles
KR101124198B1 (ko) 수직거치식 자전거 주차장치
CN210401700U (zh) 一种用于检测车辆底盘的无线安检装置
JP2014177198A (ja) 自転車保管器具構造
JPH0337348Y2 (ko)
KR101736761B1 (ko)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
CN106364594B (zh) 电动车及其电池双重防盗装置
US201600900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scooter in a vehicle
KR20160046379A (ko) 자전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