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341B1 -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341B1
KR101507341B1 KR20150004050A KR20150004050A KR101507341B1 KR 101507341 B1 KR101507341 B1 KR 101507341B1 KR 20150004050 A KR20150004050 A KR 20150004050A KR 20150004050 A KR20150004050 A KR 20150004050A KR 101507341 B1 KR101507341 B1 KR 10150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s
terminal block
terminal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4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양종
Original Assignee
중양산업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양산업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양산업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50004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making use of a thermal sensor, e.g. thermistor, heated by the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발전장치의 케이블과 인버터의 케이블, 인버터의 케이블과 부하의 케이블, 전력공급장치의 케이블과 부하의 케이블을 각각 접속하는 단자대를 구비하고, 단자대의 온도에 따라 단자대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접속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장치 및 전력공급장치의 공급측 단자대와 부하측 단자대의 온도를 감지하여 단자대가 과열되었을 경우 전력공급장치와 태양광발전장치의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단자대를 분리함과 아울러 공급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퓨즈도 분리함으로써 전력손실을 방지하며, 과열에 의한 단자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산화와 과열의 악순환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에 의한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Power converting apparatus for photocoltaic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분야 기술 중에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태양광발전장치의 공급측 단자대와 부하측 단자대의 온도를 감지하여 단자대가 과열되었을 경우 태양광발전장치의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단자대를 분리함과 아울러 공급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퓨즈도 분리함으로써 전력손실을 방지하며, 과열에 의한 단자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산화와 과열의 악순환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에 의한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문명의 발달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석탄, 석유, 가스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오랫동안 사용하여 왔으며,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 그리고 지구온란화 등의 문제가 지적되면서 신, 재생에너지의 개발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신, 재생에너지 중 하나로서 무한한 에너지원으로 알려진 태양에너지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난방과 온수를 얻거나 태양광 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얻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얻는 방식으로서는 태양전지로부터 얻은 직류 전력을 인버터 등에 의하여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등, 전자제품 등 여러 종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의 태양광발전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태양광발전장치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최소 단위인 셀(cell)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직렬 및 병렬로 조합하여 구성한 태양전지 어레이와, 태양전지 어레이에 단자대를 통해 연결되어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발생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태양광발전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26253호(2013.10.31. 등록) "태양광 발전기용 접속반 및 그 제어방법"('선행기술 1')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태양광 발전기용 접속반(1) 및 그 제어방법은 태양전지(20)의 각 모듈별로 각 입력단자(2)를 직렬로 연결하고, 각 입력단자(2)별 태양전지(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감시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전지(20)의 어레이별로 고장부위를 신속하게 파악함과 더불어서 원격으로 해당 입력단자(2)로의 비정상적인 전력 발생을 차단시킬 수 있음으로써 고장 난 해당 입력단자(2)를 제외한 나머지 입력단자(2)로의 정상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토록 하며, 접속반(1)의 입력단자(2)에서 컨버터(40)를 통해서 인버터(30)로 직류전력을 공급할 시 컨버터(40)로의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되면 평소 릴레이(R)를 통해서 일정하게 공급되던 전력을 차단하고, 퓨즈(F)를 통해서 직류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작동 신뢰성과 안정성의 배가 및 원격제어를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과 태양광 발전기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에서 부하측의 과부하로 인하여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가 과열되면, 우선적으로 도체부분의 산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력손실을 초래하게 되며, 화재발생으로 인한 재산상의 손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자의 과열시에는 우선적으로 급한 것이 단전이 아니라 안전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입력되는 전류를 감시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부하측의 과부하로 인하여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가 과열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자가 과열되더라도 복수개의 태양전지에서 입력되는 전력에 이상이 없는 한 계속하여 전력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단자대의 과열은 더욱 심각한 상태로 되고, 결과적으로 단자대의 도체부가 급속히 산화되어 과열을 초래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1494호 (2000.02.28. 등록) "전력분배용 단자 고정대"('선행기술 2')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동일구조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블록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의 블록 중 취사선택한 블록의 양단에 구비되면서 고정홀이 관통형성된 고정블록으로 구성되어 고정대의 설치에 따른 설치장소 및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대를 취사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단자 고정대의 설치의 편의성만을 고려한 것으로 단자 및 고정대가 과열되는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전력손실 및 화재발생으로 인한 재산상의 손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태양광발전기의 단자대의 온도를 감지하여 단자대가 정삼범위 이상으로 과열된 경우 입력측 단자와 출력측(부하측) 단자를 차단함으로써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단자대의 과열에 따른 단자대의 산화를 방지하며, 단자대의 산화와 과열의 악순환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태양광발전장치에 보조적으로 전력공급장치를 병렬로 설치한 경우 전력공급장치 측 단자대에 대해서도 정삼범위 이상으로 과열된 경우 입력측 단자와 출력측(부하측) 단자를 차단함으로써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단자대의 과열에 따른 단자대의 산화를 방지하며, 단자대의 산화와 과열의 악순환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26253호(2013.10.31. 등록) "태양광 발전기용 접속반 및 그 제어방법"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1494호 (2000.02.28. 등록) "전력분배용 단자 고정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발전장치의 공급측 단자대와 부하측 단자대의 온도를 감지하여 단자대가 과열되었을 경우 태양광발전장치의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단자대를 분리함과 아울러 공급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퓨즈도 분리함으로써 전력손실을 방지하며, 과열에 의한 단자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산화와 과열의 악순환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에 의한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직류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발전장치와, 상기 태양광발전장치에서 생성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력을 공급받는 부하, 상기 태양광발전장치와 인버터 사이, 인버터와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단자대A, 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태양광발전장치는 출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a1, Ca2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c1, Cc2와 출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d1, Cd2를 구비하며, 상기 부하는 인버터의 케이블Cd1, Cd2에 케이블Ce1, Ce2를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Cg1, Cg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Ca1, Ca2, 케이블Cc1, Cc2, 케이블Cd1, Cd2, 케이블Ce1, Ce2, 의 단부에는 원통형 단자Ta1, Ta2, 단자Tc1, Tc2, 단자Td1, Td2, 단자Te1, Te2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대A, B는 상기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에 접속되는 제1 단자대와,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를 접속하는 제2 단자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단자대는 상기 케이블Ca1, Ca2의 하부, 케이블Cd1, Cd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단자대와, 상기 케이블Ca1, Ca2의 상부, 케이블Cd1, Cd2의 상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단자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단자대는 상기 케이블Cc1, Cc2의 하부, 케이블Ce1, Ce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단자대 및, 상기 케이블Cc1, Cc2의 상부, 케이블Ce1, Ce2의 상부의 상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단자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단자대는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단자Ta1, Ta2 및 단자Td1, Td2의 외주면 하반부와 퓨즈의 일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하반부가 각각 삽입 접촉되는 제1 고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승강단자대는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1 승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단자Ta1, Ta2, 단자Td1 및 Td2의 외주면 상반부와 퓨즈의 일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상반부가 각각 삽입 접촉되는 제1 승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단자대는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2 고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단자Tc1, Tc2 및 단자Te1, Te2의 외주면 하반부와 퓨즈의 타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 접촉되는 제2 고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승강단자대는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2 승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단자Tc1, Tc2 및 단자Te1, Te2의 외주면 상반부와 퓨즈의 타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상반부가 삽입 접촉되는 제2 승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 제2 고정단자대블록은 단자대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에는 상기 퓨즈를 지지하는 퓨즈지지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 단자대와 제2 단자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단자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는 선형 액튜에이터와, 상기 선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직선운동하며 각각 상기 제1 고정단자대와 제2 고정단자대과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를 관통하여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에 고정되는 승강봉이 구비된 승강구동수단 및, 각각 상기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의 상면에 상단이 고정되어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와 제1 고정단자대과 제2 고정단자대를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안내봉가 구비된 승강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감지신호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선형 액튜에이터의 승강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승강구동신호에 따라 선형 액튜에이터를 구동하는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가 구비된 제어기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의하면 태양광발전장치의 케이블과 인버터의 케이블, 인버터의 케이블과 부하의 케이블을 각각 접속하는 단자대를 구비하고, 단자대의 온도에 따라 단자대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접속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발전장치의 공급측 단자대와 부하측 단자대의 온도를 감지하여 단자대가 과열되었을 경우 태양광발전장치의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단자대를 분리함과 아울러 공급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퓨즈도 분리함으로써 전력손실을 방지하며, 과열에 의한 단자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산화와 과열의 악순환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에 의한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의 계통도,
도 2는 각 케이블의 단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단자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단자대의 사시도,
도 5는 공급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공급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제어부의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광발전장치와 전력공급장치를 부하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한 시스템을 예로 들고 있으나, 태양광발전장치만 설치된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태양광발전장치(100)와, 태양광발전장치(100)에서 발전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는, 직류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발전장치(100)와,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00)에서 생성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켜 부하(400)에 공급하는 인버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00)에 대한 보조적인 장치로서 통상의 전력회사로부터 교류전력을 공급받는 전력공급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00)에서 생성되어 인버터(300)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력과 전력공급장치(200)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부하(40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00)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바, 이는 통상적인 기술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력공급장치(200)는 통상의 전력회사로부터 교류전력을 공급받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00)와 인버터(300) 사이, 인버터(300)와 부하(400) 사이 및, 전력공급장치(200)와 부하(400)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단자대A, B, C(TNA, TNB, TN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태양광발전장치(100)는 생성된 직류전력을 출력하는 출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a1, Ca2(Ca1, Ca2)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Ca1(Ca1)은 (+)극이고 케이블Ca2(Ca2)은 (-)극이다.
상기 전력공급장치(200)는 송전선을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력을 변압기에 의하여 강압하여 상용전류(220V 또는 380V)를 수용가로 배전하는 것으로, 케이블Cb1, Cb2(Cb1, Cb2)을 구비한다.
상기 인버터(300)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c1, Cc2(Cc1, Cc2)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d1, Cd2(Cd1, Cd2)을 구비한다.
상기 부하(400)는 인버터(300)의 케이블Cd1, Cd2(Cd1, Cd2)과 전력공급장치(200)의 케이블Cb1, Cb2(Cb1, Cb2)에 케이블Ce1, Ce2(Ce1, Ce2) 및 케이블Cf1, Cf2(Cf1, Cf2)을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케이블Cg1, Cg2(Cg1, Cg2)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Ca1, Ca2(Ca1, Ca2), 케이블Cb1, Cb2(Cb1, Cb2), 케이블Cc1, Cc2(Cc1, Cc2), 케이블Cd1, Cd2(Cd1, Cd2), 케이블Ce1, Ce2(Ce1, Ce2), 케이블Cf1, Cf2(Cf1, Cf2)은 세부적인 구성요소로서 도체(1)와 절연피복(2)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공통이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공통적으로 설명한다(도 2 참조).
상기 케이블Ca1, Ca2(Ca1, Ca2), 케이블Cb1, Cb2(Cb1, Cb2), 케이블Cc1, Cc2(Cc1, Cc2), 케이블Cd1, Cd2(Cd1, Cd2), 케이블Ce1, Ce2(Ce1, Ce2), 케이블Cf1, Cf2(Cf1, Cf2)의 단부에는 원통형 단자Ta1, Ta2(Ta1, Ta2), 단자Tb1, Tb2(Tb1, Tb2), 단자Tc1, Tc2(Tc1, Tc2), 단자Td1, Td2(Td1, Td2), 단자Te1, Te2(Te1, Te2), 단자Tf1, Tf2(Tf1, Tf2)가 구비된다.
상기 원통형 단자들은 설치되는 대상 케이블만 달리할 뿐 동일한 구성요소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공통적으로 설명한다(도 2 참조).
상기 원통형 단자(Ta1, Ta2), (Tb1, Tb2), (Tc1, Tc2), (Td1, Td2)는 케이블(Ca1, Ca2), (Cb1, Cb2), (Cc1, Cc2), (Cd1, Cd2)의 도체(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원통형 단자(Ta1, Ta2), (Tb1, Tb2), (Tc1, Tc2), (Td1, Td2)는 단자대A, B, C(TNA, TNB, TNC)에 접속 및 탈락되는 과정에서 도체(1)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체(1)보다 굵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Ta1, Ta2), (Tb1, Tb2), (Tc1, Tc2), (Td1, Td2)는 케이블(Ca1, Ca2), (Cb1, Cb2), (Cc1, Cc2), (Cd1, Cd2)의 도체(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케이블(Ca1, Ca2), (Cb1, Cb2), (Cc1, Cc2), (Cd1, Cd2)의 절연피복(2)을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Ca1, Ca2), (Cb1, Cb2), (Cc1, Cc2), (Cd1, Cd2)에 대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상기 단자대A, B, C(TNA, TNB, TNC)는 설치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공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자대A, B, C(TNA, TNB, TNC)는 상기 케이블Ca1, Ca2(Ca1, Ca2)과 케이블Cb1, Cb2(Cb1, Cb2) 및 케이블Cd1, Cd2(Cd1, Cd2)에 접속되는 제1 단자대(500)와, 케이블Cc1, Cc2(Cc1, Cc2)와 케이블Ce1, Ce2(Ce1, Ce2) 및 케이블Cf1, Cf2(Cf1, Cf2)를 접속하는 제2 단자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단자대(500)는 상기 케이블Ca1, Ca2(Ca1, Ca2)의 하부, 케이블Cb1, Cb2(Cb1, Cb2)의 하부, 케이블Cd1, Cd2(Cd1, Cd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단자대(510)와, 상기 케이블Ca1, Ca2(Ca1, Ca2)의 상부, 케이블Cb1, Cb2(Cb1, Cb2)의 상부, 케이블Cd1, Cd2(Cd1, Cd2)의 상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단자대(55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단자대(600)는 상기 케이블Cc1, Cc2(Cc1, Cc2)의 하부, 케이블Ce1, Ce2(Ce1, Ce2)의 하부, 케이블Cf1, Cf2(Cf1, Cf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단자대(610) 및, 상기 케이블Cc1, Cc2(Cc1, Cc2)의 상부, 케이블Ce1, Ce2(Ce1, Ce2)의 상부, 케이블Cf1, Cf2(Cf1, Cf2)의 상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단자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단자대(510)는 케이블Ca1, Ca2(Ca1, Ca2), 케이블Cb1, Cb2(Cb1, Cb2) 및 케이블Cd1, Cd2(Cd1, Cd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과,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에 결합되어 케이블Ca1, Ca2(Ca1, Ca2), 케이블Cb1, Cb2(Cb1, Cb2) 및 케이블Cd1, Cd2(Cd1, Cd2)의 단자Ta1, Ta2(Ta1, Ta2), 단자Tb1, Tb2(Tb1, Tb2), 단자Td1, Td2(Td1, Td2)의 외주면 하반부와 퓨즈(F)의 일측 퓨즈단자(FT1)의 외주면 하반부가 각각 삽입 접촉되는 제1 고정단자편(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승강단자대(550)는 케이블Ca1, Ca2(Ca1, Ca2), 케이블Cb1, Cb2(Cb1, Cb2) 및 케이블Cd1, Cd2(Cd1, Cd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과, 상기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에 결합되어 케이블Ca1, Ca2(Ca1, Ca2), 케이블Cb1, Cb2(Cb1, Cb2) 및 케이블Cd1, Cd2(Cd1, Cd2)의 단자Ta1, Ta2(Ta1, Ta2), 단자Tb1, Tb2(Tb1, Tb2), 단자Td1, Td2(Td1, Td2)의 외주면 상반부와 퓨즈(F)의 일측 퓨즈단자(FT1)의 외주면 상반부가 각각 삽입 접촉되는 제1 승강단자편(5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고정단자대(610)는 케이블Cc1, Cc2(Cc1, Cc2), 케이블Ce1, Ce2(Ce1, Ce2) 및 케이블Cf1, Cf2(Cf1, Cf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과, 상기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에 결합되어 케이블Cc1, Cc2(Cc1, Cc2), 케이블Ce1, Ce2(Ce1, Ce2) 및 케이블Cf1, Cf2(Cf1, Cf2)의 단자Tc1, Tc2(Tc1, Tc2), 단자Te1, Te2(Te1, Te2) 및 단자Tf1, Tf2(Tf1, Tf2)의 외주면 하반부와 퓨즈(F)의 타측 퓨즈단자(FT2)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 접촉되는 제2 고정단자편(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승강단자대(650)는 케이블Cc1, Cc2(Cc1, Cc2), 케이블Ce1, Ce2(Ce1, Ce2) 및 케이블Cf1, Cf2(Cf1, Cf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과, 상기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에 결합되어 케이블Cc1, Cc2(Cc1, Cc2), 케이블Ce1, Ce2(Ce1, Ce2) 및 케이블Cf1, Cf2(Cf1, Cf2)의 단자Tc1, Tc2(Tc1, Tc2), 단자Te1, Te2(Te1, Te2) 및 단자Tf1, Tf2(Tf1, Tf2)의 외주면 상반부와 퓨즈(F)의 타측 퓨즈단자(FT2)의 외주면 상반부가 삽입 접촉되는 제2 승강단자편(6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 및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은 합성수지 등의 전기절연체로 구성되며, 제1 고정단자편(530), 제2 고정단자편(630), 제1 승강단자편(570) 및 제2 승강단자편(670)은 동합금 등의 도전체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 및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고정단자편(530), 제2 고정단자편(630), 제1 승강단자편(570) 및 제2 승강단자편(670)을 인서트(insert)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 및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은 보강을 위하여 보강프레임(521, 621, 561, 661)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521, 621, 561, 661)도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 및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아웃서트(outsert)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521, 621, 561, 661)은 금속재질로 구성하여 보강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외표면을 절연코팅하여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는 단자대 베이스플레이트(BP)에 관통되는 고정볼트(522, 622)를 제1 고정단자대블록(520) 및 제2 고정단자대블록(62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단자대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에는 상기 퓨즈(F)를 지지하는 퓨즈지지대(580, 6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퓨즈지지대(580, 680)는 상기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과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581, 681)과, 상기 연결부(581, 681)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면에 퓨지지지홈(583. 683)을 가지는 퓨즈지지편(582, 682)들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퓨즈지지대(580, 680)는 단자대가 닫힌 상태, 즉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퓨즈(F)가 퓨즈지지홈(583, 683)에 삽입, 지지되지 않고 상부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단자대가 열린 상태, 즉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퓨즈(F)를 퓨즈지지홈(583, 683)에 삽입된 상태로 퓨즈지지편(582, 682)에 얹혀지게 하여 퓨즈(F)의 양측 퓨즈단자(Ft1, Ft2)가 제1 고정단자대(510)의 제1 고정단자편(530)과 제2 고정단자대(610)의 제2 고정단자편(63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는 제1 단자대(500)와 제2 단자대(6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S1, S2)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S1, S2)는 제1 단자대(500)와 제2 단자대(600)의 어느 부위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승강 작동하는 부분인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에 설치하는 경우 전선 등의 연결이 복잡하게 되므로 제1 고정단자대(510)와 제2 고정단자대(6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수단(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700)은 상기 단자대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면에 고정되는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와, 상기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에 의하여 상하로 직선운동하며 각각 상기 제1 고정단자대(510)와 제2 고정단자대(610)과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를 관통하여 제1 승강단자대(510)와 제2 승강단자대(610)에 고정되는 승강봉(720, 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는 솔레노이드, 유, 공압실린더, 모터와 전동용 스크루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는 상단에 플랜지(711, 731)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711, 731)를 관통하는 고정볼트(712, 732)를 단자대 베이스 플레이트(BP)의 하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단자대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승강봉(720, 740)의 상단에는 각각 결합용 플랜지(721, 741)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결합용 플랜지(721, 741)를 관통하는 결합볼트(722, 742)를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의 상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승강봉(720, 740)과 제1 승강단자대(550)와 제2 승강단자대(65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수단(700)는 제1 단자대(500)과 제2 단자대(600)에 대하여 각각 2개씩의 선행 액튜에이터(710, 730)와 승강봉(720, 74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승강안내수단(8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안내수단(800)은 각각 상기 제1 승강단자대(550)와 제2 승강단자대(650)의 상면에 상단이 고정되어 제1 승강단자대(550)와 제2 승강단자대(650)과 제1 고정단자대(510)과 제2 고정단자대(610)를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안내봉(810, 8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안내봉(810, 8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811, 821)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812, 822)를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승강안내봉(810, 820)의 상단을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단자대(510)와 제2 고정단자대(610)과 제1 승강단자대(550) 및 제2 승강단자대(650)에는 상기 승강안내봉(810, 820)이 관통되는 승강안내공이 형성되는바, 이들 승강안내공은 도면에는 도시하되 이에 대한 도면부호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안내봉(810, 820)의 하단에는 선행 액튜에이터(710, 730)의 오동작으로 과도하게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813, 823)가 구비된다. 도시예에서는 승강안내봉(810, 820)의 하단에 수나사부(814, 824)를 형성하고 스토퍼(813, 823)를 너트로 구성하였으나, 통상적인 와셔와 멈춤링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단자대의 온도에 따라 승강구동수단(700)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기모듈(900)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모듈(900)은 상기 온도감지센서(S1, S2)의 온도감지신호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700)을 구성하는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의 승강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10)와, 상기 제어부(910)의 승강구동신호에 따라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를 구동하는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7 참조).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양광발전장치(100)에서 발전된 직류전력은 인버터(300)에 의하여 교류전력으로 변환되어 부하(400)에 공급되며, 전력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교류전력은 그대로 부하(400)에 공급된다.
도 4 및 도 5는 단자대의 온도가 설정치인 정상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보인 것으로, 태양광발전장치(100)의 케이블Ca1, Ca2(Ca1, Ca2)의 단자Ta1, Ta2(Ta1, Ta2), 케이블Cb1, Cb2(Cb1, Cb2)의 단자Tb1, Tb2(Tb1, Tb2), 케이블Cd1, Cd2(Cd1, Cd2)의 단자Td1, Td2(Td1, Td2) 및 퓨즈(F)의 일측 퓨즈단자(Ft1)가 각각 제1 고정단자대(510)의 제1 고정단자편(530)과 제1 승강단자대(550)의 제1 승강단자편(570)에 삽입, 접촉되고, 케이블Cc1, Cc2(Cc1, Cc2)의 단자Tc1, Tc2(Tc1, Tc2), 케이블Ce1, Ce2(Ce1, Ce2)의 단자Te1, Te2(Te1, Te2), 케이블Cf1, Cf2(Cf1, Cf2)의 단자Tf1, Tf2(Tf1, Tf2) 및 퓨즈(F)의 타측 퓨즈단자(Ft2)가 각각 제2 고정단자대(610)의 제2 고정단자편(630)과 제1 승강단자대(650)의 제2 승강단자편(670)에 삽입, 접촉되어 태양광발전장치(100)과 전력공급장치(200)의 전력이 부하(400) 측으로 공급된다.
온도센서(S1, S2)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정상범위인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910)는 승강구동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920)는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를 구동하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전력공급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태양광발전장치(100), 전력공급장치(200) 또는 부하(400) 측의 문제로 인하여 과부하가 걸려서 제1 단자대(500)와 제2 단자대(600)의 온도가 정삼범위인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온도센서(S1, S2)의 온도감지신호가 제어부(910)에 전달되고, 제어부(910)는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920)에 상승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920)는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를 상승 구동시키게 된다.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가 상승 구동되면, 승강봉(720, 740)가 상승하게 되고, 승강봉(720, 740)의 상단에 결합된 제1 승강단자대(550)와 제2 승강단자대(650)가 상승하게 된다.
제1 승강단자대(550)가 상승하면, 제1 승강단자편(570)이 케이블Ca1, Ca2(Ca1, Ca2)의 단자Ta1, Ta2(Ta1, Ta2), 케이블Cb1, Cb2(Cb1, Cb2)의 단자Tb1, Tb2(Tb1, Tb2), 케이블Cd1, Cd2(Cd1, Cd2)의 단자Td1, Td2(Td1, Td2) 및 퓨즈(F)의 일측 퓨즈단자(Ft1)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제2 승강단자대(650)가 상승하면, 제2 승강단자편(670)이 케이블Cc1, Cc2(Cc1, Cc2)의 단자Tc1, Tc2(Tc1, Tc2), 케이블Ce1, Ce2(Ce1, Ce2)의 단자Te1, Te2(Te1, Te2), 케이블Cf1, Cf2(Cf1, Cf2)의 단자Tf1, Tf2(Tf1, Tf2) 및 퓨즈(F)의 타측 퓨즈단자(Ft2)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제1 승강단자대(550)의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과 제2 승강단자대(650)의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퓨즈지지대(580, 680)가 상승하면서 퓨즈지지편(582, 682)가 퓨즈(F)를 들어 올리게 되어 퓨즈(F)의 양측 퓨즈단자(Ft1, Ft2)가 제1 고정단자편(530)과 제2 고정단자편(63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a1, Ca2(Ca1, Ca2)과 케이블Cc1, Cc2(Cc1, Cc2)이 차단되고, 케이블Cd1, Cd2(Cd1, Cd2)와 케이블Ce1, Ce2(Ce1, Ce2)이 차단되며, 케이블Cb1, Cb2(Cb1, Cb2)와 케이블Cf1, Cf2(Cf1, Cf2)이 차단되어 부하(400)에 대한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단자대가 과열된 상태에서 태양광발전장치(100)과 전력공급장치(200)의 전력을 부하(400)측으로 계속 공급함에 따른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과열에 의한 단자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산화와 과열의 악순환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에 의한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태양광발전장치(100), 전력공급장치(200) 및 부하(40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되고, 단자대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로 강하하면, 제어부(910)가 하강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920)가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를 하강 구동하여 승강봉(720, 740)이 하강하게 된다.
승강봉(720, 740)이 하강하면, 상술한 상승작동시와 역방향 작동으로 제1 승강단자대(550)와 제2 승강단자대(650)가 하강하게 되고, 정상적인 전력공급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제1 승강단자대(550)와 제2 승강단자대(65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제1 승강단자대블록(560)과 제2 승강단자대블록(660)에 일체로 형성되어 퓨즈지지편(582, 682)에 퓨즈(F)를 지지하고 있던 퓨즈지지대(580, 680)가 하강하게 되고, 퓨즈(F)의 양측 퓨즈단자(Ft1, Ft2)가 제1 고정단자편(530)과 제2 고정단자편(630)에 이르게 되면, 퓨즈(F)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퓨즈지지대(580, 680)는 제1 승강단자편(570)이 각각 케이블Ca1, Ca2(Ca1, Ca2)의 단자Ta1, Ta2(Ta1, Ta2), 케이블Cb1, Cb2(Cb1, Cb2)의 단자Tb1, Tb2(Tb1, Tb2)와 케이블Cd1, Cd2(Cd1, Cd2)의 단자Td1, Td2(Td1, Td2) 및 퓨즈(F)의 일측 퓨즈단자(Ft1)에 접하고, 제2 승강단자편(670)이 케이블Cc1, Cc2(Cc1, Cc2)의 단자Tc1, Tc2(Tc1, Tc2), 케이블Ce1, Ce2(Ce1, Ce2)의 단자Te1, Te2(Te1, Te2), 케이블Cf1, Cf2(Cf1, Cf2)의 단자Tf1, Tf2(Tf1, Tf2) 및 퓨즈(F)의 타측 퓨즈단자(Ft2)에 접하게 될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승강작동은 단자대의 온도와 무관하게 진행될 수 있다. 즉, 입력부(930)에 상승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10)가 상승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920)가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를 상승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어 상술한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의 상승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입력부(930)에 하강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910)가 하강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920)가 선형 액튜에이터(710, 730)를 하강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어 상술한 제1 승강단자대(550)과 제2 승강단자대(650)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태양광발전장치 200 : 전력공공급장치
300 : 인버터 400 : 부하
Ca1, Ca2 : 케이블Ca1, Ca2 Cb1, Cb2 : 케이블Cb1, Cb2
Cc1, Cc2 ; 케이블Cc1, Cc2 Cd1, Cd2 : 케이블Cd1, Cd2
Ce1, Ce2 : 케이블Ce1, Ce2 Cf1, Cf2 : 케이블Cf1, Cf2
Cg1, Cg2 : 케이블Cg1, Cg2 Ta1, Ta2 : 단자Ta1, Ta2
Tb1, Tb2 : 단자Tb1, Tb2 Tc1, Tc2 : 단자Tc1, Tc2
Td1, Td2 ; 단자Td1, Td2 Te1, Te2 : 단자Te1, Te2
Tf1, Tf2 : 단자Tf1, Tf2 F : 퓨즈
Ft1, Ft2 : 퓨즈단자 S1, S2 : 온도감지센서
500 : 제1 단자대 600 : 제2 단자대
510, 610 : 제1 및 제2 고정단자대 520, 620 : 제1 및 제2 고정단자대블록
530, 630 : 제1 및 제2 단자편 550, 650 : 제1 및 제2 승강단자대
560, 660 : 제1 및 제2 승강단자대블록
570, 670 : 제1 및 제2 승강단자편 580, 680 : 퓨즈지지대
700 : 승강구동수단 710, 730 : 선형 액튜에이터
720, 740 : 승강봉 810, 820 : 승강안내봉
900 : 제어기모듈 910 : 제어부
920 :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 930 : 입력부

Claims (1)

  1. 직류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발전장치와, 상기 태양광발전장치에서 생성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력을 공급받는 부하, 상기 태양광발전장치와 인버터 사이, 인버터와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단자대A, 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태양광발전장치는 출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a1, Ca2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c1, Cc2와 출력단에 연결되는 케이블Cd1, Cd2를 구비하며, 상기 부하는 인버터의 케이블Cd1, Cd2에 케이블Ce1, Ce2를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Cg1, Cg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Ca1, Ca2, 케이블Cc1, Cc2, 케이블Cd1, Cd2, 케이블Ce1, Ce2, 의 단부에는 원통형 단자Ta1, Ta2, 단자Tc1, Tc2, 단자Td1, Td2, 단자Te1, Te2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대A, B는 상기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에 접속되는 제1 단자대와,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를 접속하는 제2 단자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단자대는 상기 케이블Ca1, Ca2의 하부, 케이블Cd1, Cd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단자대와, 상기 케이블Ca1, Ca2의 상부, 케이블Cd1, Cd2의 상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단자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단자대는 상기 케이블Cc1, Cc2의 하부, 케이블Ce1, Ce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단자대 및, 상기 케이블Cc1, Cc2의 상부, 케이블Ce1, Ce2의 상부의 상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단자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단자대는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단자Ta1, Ta2 및 단자Td1, Td2의 외주면 하반부와 퓨즈의 일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하반부가 각각 삽입 접촉되는 제1 고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승강단자대는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1 승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a1, Ca2 및 케이블Cd1, Cd2의 단자Ta1, Ta2, 단자Td1 및 Td2의 외주면 상반부와 퓨즈의 일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상반부가 각각 삽입 접촉되는 제1 승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단자대는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2 고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단자Tc1, Tc2 및 단자Te1, Te2의 외주면 하반부와 퓨즈의 타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 접촉되는 제2 고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승강단자대는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단자대블록과, 상기 제2 승강단자대블록에 결합되어 케이블Cc1, Cc2 및 케이블Ce1, Ce2의 단자Tc1, Tc2 및 단자Te1, Te2의 외주면 상반부와 퓨즈의 타측 퓨즈단자의 외주면 상반부가 삽입 접촉되는 제2 승강단자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단자대블록, 제2 고정단자대블록은 단자대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에는 상기 퓨즈를 지지하는 퓨즈지지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 단자대와 제2 단자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단자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는 선형 액튜에이터와, 상기 선형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직선운동하며 각각 상기 제1 고정단자대와 제2 고정단자대과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를 관통하여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에 고정되는 승강봉이 구비된 승강구동수단 및, 각각 상기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의 상면에 상단이 고정되어 제1 승강단자대와 제2 승강단자대와 제1 고정단자대과 제2 고정단자대를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안내봉가 구비된 승강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감지신호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선형 액튜에이터의 승강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승강구동신호에 따라 선형 액튜에이터를 구동하는 선형 액튜에이터 구동부가 구비된 제어기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KR20150004050A 2015-01-12 2015-01-12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KR10150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4050A KR101507341B1 (ko) 2015-01-12 2015-01-12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4050A KR101507341B1 (ko) 2015-01-12 2015-01-12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341B1 true KR101507341B1 (ko) 2015-04-02

Family

ID=5303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04050A KR101507341B1 (ko) 2015-01-12 2015-01-12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3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067A (ja) * 1993-03-01 199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ヒューズ取付装置
JPH08251818A (ja) * 1995-01-13 1996-09-27 Omron Corp 逆流防止装置、整流装置並びに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2216392A (ja) 2011-03-31 2012-11-08 Panasonic Corp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装置
JP2013125864A (ja) 2011-12-14 2013-06-24 Sanyo Electric Co Ltd 電力変換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067A (ja) * 1993-03-01 199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ヒューズ取付装置
JPH08251818A (ja) * 1995-01-13 1996-09-27 Omron Corp 逆流防止装置、整流装置並びに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2216392A (ja) 2011-03-31 2012-11-08 Panasonic Corp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装置
JP2013125864A (ja) 2011-12-14 2013-06-24 Sanyo Electric Co Ltd 電力変換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1471C (zh) Dc/dc转换器和包括dc/dc转换器的分散型发电系统
CN1902808B (zh) 分散型发电系统及其操作方法
CA2845664C (en) Dc-ac inverter for photovoltaic systems
EP2863053B1 (en) Single piece electric assembly for conn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with an electric subsea cable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CN102939660B (zh) 在危险情况下限制光伏设备发电机电压的方法和光伏设备
WO2015087638A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02163851A (zh) 用于电力转换器系统的控制方法
JP5453158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電力変換装置および集電箱
CN106803650A (zh) 35kV风电用紧凑型箱变结构
KR101266963B1 (ko)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JP2015198508A (ja) 太陽光発電装置
CN104158518A (zh) 一种自取能电源装置
JP6231900B2 (ja) 系統連系用太陽光発電設備
CN110518479B (zh) 66kV电压等级风力发电华氏升压变电站
KR101507341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CN104967035A (zh) 光伏发电专用逆配变一体化智能集成式预装变电站
KR101266629B1 (ko) 전력변환장치
CN115663782A (zh) 一种发电厂供电系统
CN114665509B (zh) 一种发电建材用离散式逆变器系统和运行控制方法
CN204741208U (zh) 光伏发电专用逆配变一体化智能集成式预装变电站
CN114243528A (zh) 一种储能逆变升压一体机
CN204928738U (zh) 一种集成式光伏逆变器
CN202444409U (zh) 一种三相功率单元模块化矿用隔爆型变频器
CN117318160B (zh) 光伏逆变供电控制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201904741U (zh) 光伏阵列防雷汇流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