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053B1 -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053B1
KR101507053B1 KR1020130075337A KR20130075337A KR101507053B1 KR 101507053 B1 KR101507053 B1 KR 101507053B1 KR 1020130075337 A KR1020130075337 A KR 1020130075337A KR 20130075337 A KR20130075337 A KR 20130075337A KR 101507053 B1 KR101507053 B1 KR 10150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battery cell
unit
terminal
prote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043A (ko
Inventor
김한균
이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3007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0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은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케이스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 접속되는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셀을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외부장치로 전력을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단자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식별을 위한 식별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부는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로부터의 무선충전전력을 미리 지정된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셀로 공급하기 위한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를 통한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식별단자부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배터리팩에 설치되는 식별단자를 통해 단말장치로 무선충전 중임을 알릴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WIRELESS CHARGING DISCERNING BATTERY PACK}
본 발명은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팩 내에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시키고,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팩에 설치되는 식별단자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식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충전 중임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너형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을 포함하는 피시비 기판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 내에 수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에 장착된다.
즉,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피시비 기판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포장된 구조이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최근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음성통화뿐만이 아니라 인터넷, 화상통화 및 다양한 문서작업들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성능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방식은, 충전기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단자가 접촉되도록 하여 충전하거나, 충전기의 커넥터와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부를 직접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근래에는, 충전기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충전기의 커넥터와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기에 올려놓거나 충전기의 부근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충전방식이 개발되었다.
상기 무선충전방식은 크게 자기공명방식과 전자기유도방식이 있는데, 자기공명방식은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의 송수신단 간에 주파수를 통해 전력을 보내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전자기유도방식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개의 코일 간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방식으로서, 두 코일의 권선 수와 코일간의 거리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 내에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시키고,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팩에 설치되는 배터리팩 식별단자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식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충전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은,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케이스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 접속되는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셀을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외부장치로 전력을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단자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식별을 위한 식별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로부터의 무선충전전력을 미리 지정된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셀로 공급하기 위한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를 통한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식별단자부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단자부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 연결되는 제 1 저항과 상기 무선충전회로부에 연결되는 제 2 저항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는 플렉시블피시비기판(FPCB) 상에 실장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피시비기판과 상기 배터리셀 사이에는 페라이트코어부재(Ferrite Core)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는 상기 플렉시블피시비기판 상에 동심원적 원형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배터리팩에 설치되는 식별단자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알릴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배터리팩의 구성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배터리팩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배터리팩은 양극단자(2)와 음극단자(4)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10)과, 상기 배터리셀(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20)와, 상기 배터리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3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와 상기 홀더(3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4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 접속되는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셀을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외부장치로 전력을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단자부(25)와 상기 배터리셀의 식별을 위한 식별단자부(26)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로부터의 무선충전전력을 미리 지정된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셀로 공급하기 위한 무선충전회로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80)를 통한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식별단자부(26)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셀(1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구성되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는 양극단자인 상부판(2)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2)에는 셀 전해액 주입을 위한 전해액주입구와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분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른 배터리와 비교시 크기에 대해 대용량 전압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 전원공급이 장시간 동안 지속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관리가 용이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팩은 보호회로부(23) 및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로부터의 무선충전전력을 미리 지정된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충전회로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부(23) 및 무선충전회로부(80)는 보호회로모듈(20)와는 별도로 배터리팩 내에 포함되거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모듈부(2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회로부(23)를 통해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여 상기 배터리 셀(10)의 폭발을 방지하고, 상기 무선충전회로부(80)를 통해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충전회로부(80)는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단말장치에 이용되는 DC 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정류부(82) 및 전압조절부(84)와 무선충전에 필요한 충전회로부(88) 및 제어부(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양극단자판(22)은 상기 배터리셀(10)의 양극단자(2)를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음극단자판(25)은 배터리셀의 음극단자(4)를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양극단자판(22)과 음극단자판(25)은 상기 배터리셀(10)의 양극단자(2) 및 음극단자(4)와 레이져 스팟용접(Laser Spot Weld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져 스팟 용접은 고도의 에너지가 집적된 직진성이 양호한 빛을 이용하여 모재를 용접하는 방법으로써, 모재의 열변형이 적고, 이중금속의 용접이 가능하여 상기 단자판(22, 25)과 배터리셀(10)의 양극/음극단자(2, 4)와의 정밀한 용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판(22, 25)과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홀더(3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와 상기 배터리셀(10) 사이에 마련되며, 양면테이프(32)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배터리셀(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와 홀더(30)와 양, 음극단자판(22, 25) 등은 커버케이스(40)에 의해 수용되는데, 상기 홀더(30)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40)에는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30)와 커버케이스(40)가 끼움결합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30)는 상기 커버케이스(40)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케이스(40)는 상기 배터리셀(10)에 장착되는 보호회로모듈부(20) 및 양, 음극단자판(22, 25) 등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이에 의해, 전체적인 배터리 팩의 강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케이스(40)는 상기 배터리셀(1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배터리셀(10) 과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셀을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외부장치로 전력을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단자부(25) 및 상기 배터리셀의 식별을 위한 식별단자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부(20)에 설치되는 식별 저항(R1)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단자부(26)를 통해 단말장치에서 상기 식별 저항(R1) 값을 인식하여 각 단말장치 별로 이용되는 특정 배터리팩인지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커버케이스(40)에는 상기 단자부들의 외부 노출을 위한 단자노출개구(45, 46)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셀(10)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71)가 양면테이프(75) 또는 이외의 접착부재(76)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배터리셀(10)의 측면에는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가 배치되어,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는 상기 무선충전회로부(80)로 접속된다.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는 상기 배터리셀(10)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구성이며, 무선충전 송신부로부터 전자기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는 플렉시블(Flexible) 피시비기판(52) 상에 배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선은 상기 플렉시블 피시비 기판(52) 상에 형성되는 구리 또는 구리합금 선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선은 상기 기판(52) 상에 에칭 또는 도금 등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는 상기 기판(52) 상에 동심원적 원형으로 배치되어, 사각 형상의 기판(52) 상에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동심원적 원형이라 함은 동심원적인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외에도 상기 기판(52) 상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판(52)과 상기 배터리셀(10) 사이에는 페라이트코어부재(Ferrite Core)(60)가 설치된다.
상기 페라이트코어부재의 재료로서는 니켈-아연계 페라이트코어, 망간-아연계 페라이트코어, 메탈폴리머 페라이트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셀(10)이 영향을 받거나, 상기 배터리셀(10)에 의해 전자기력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하면서 전자기력이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판(52)과 배터리셀(10) 및 상기 커버케이스(40)와 하부케이스(71)의 외부를 포장지(90)로 감쌈으로서 전체 배터리팩이 구성된다.
한편, RF 전파 또는 전자기파로 수신되는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54)로부터의 전력은 상기 무선충전회로부(80)에 의해 단말기에 이용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로 필터링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링된 전자기파는 교류 상태이므로, 이를 정류부(82)를 통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이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은 전압조절부(84)를 통해 소정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상기 배터리셀(1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충전회로부(80)에 포함되는 충전회로부(88)는 상기 배터리셀(10)을 무선충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회로부를 의미하며, 배터리셀의 전압감지회로, 충전조절회로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식별단자부(26)와 무선충전회로부(80) 사이에 연결되는 무선충전식별저항(R2)와 상기 식별 저항(R1)이 병렬의 연결 상태로 되어, 단말장치는 상기 식별단자부(26)를 통해 저항 R1 값이 아닌 또 다른 미리 지정된 저항 값을 인식하게 된다.
즉, 무선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식별 저항 R1 의 값만을 상기 식별단자부(26)를 통해 인식하지만,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식별 저항 R1 과 무선충전식별저항 R2 가 병렬로 연겨된 상태의 저항값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무선충전식별저항(R2)을 통해 단말장치는 무선충전 중임을 식별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배터리셀
20: 보호회로모듈부
30: 홀더
40: 커버케이스
52: 기판
60: 페라이트코어부재

Claims (5)

  1.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와,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케이스와;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 접속되는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와;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로부터의 무선충전전력을 미리 지정된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셀로 공급하기 위한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셀을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외부장치로 전력을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단자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식별을 위한 식별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는 플렉시블피시비기판(FPCB) 상에 실장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외면에 배치되되,
    상기 플렉시블피시비기판과 상기 배터리셀 사이에는 페라이트코어부재(Ferrite Core)가 설치되며,
    상기 식별단자부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부에 연결되는 제 1 저항과 상기 무선충전회로부에 연결되는 제 2 저항이 연결되어,
    상기 무선충전회로부를 통한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식별단자부를 통해 무선충전 중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코일안테나부는 상기 플렉시블피시비기판 상에 동심원적 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배터리팩.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75337A 2013-06-28 2013-06-28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KR10150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337A KR101507053B1 (ko) 2013-06-28 2013-06-28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337A KR101507053B1 (ko) 2013-06-28 2013-06-28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43A KR20150002043A (ko) 2015-01-07
KR101507053B1 true KR101507053B1 (ko) 2015-03-31

Family

ID=5247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337A KR101507053B1 (ko) 2013-06-28 2013-06-28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583B1 (ko) * 2020-04-24 2022-04-04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779B1 (ko) * 2004-07-21 2006-01-2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내장형 배터리팩 및 그내장형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
JP5168404B1 (ja) * 2011-12-07 2013-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779B1 (ko) * 2004-07-21 2006-01-2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내장형 배터리팩 및 그내장형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
JP5168404B1 (ja) * 2011-12-07 2013-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43A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8066B2 (en) Contactles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contactless battery charger
US8115447B2 (en) Battery pack with a secondary coil electromagnetically rechargeable by magnetic induction effect
JP4707626B2 (ja) 無接点の充電器とこの充電器と携帯電子機器の組み合わせ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KR100877646B1 (ko) 복수의 코일 패드를 구비한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EP3089313A1 (en) Circuit device, portable device, and charging system and the like
JP2010098861A (ja) 携帯電子機器の充電装置
KR101499331B1 (ko) 엔에프씨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JP2008206287A (ja) 非接触充電式電子機器
KR20140067185A (ko)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KR101470438B1 (ko) 다용도 무선충전 배터리 케이스
JP2019514324A (ja) 無線充電式エネルギーストア
KR101469463B1 (ko) 무선충전 배터리팩
KR20140056606A (ko)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배터리팩
KR20150025369A (ko)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 겸용 단자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치
KR101507053B1 (ko)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KR20140011556A (ko) 무선충전 배터리팩
KR20140083452A (ko) 엔에프씨 겸용 무접점 무선충전 배터리팩
KR101563263B1 (ko)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을 위한 안테나패치
KR101469466B1 (ko) 조립 성능이 개선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팩
KR100949006B1 (ko) 배터리 팩
KR101430901B1 (ko) 부품간 결합력이 개선된 배터리팩
KR200473444Y1 (ko) 보호회로모듈지지부를 갖는 커버케이스를 포함하는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KR200473445Y1 (ko)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KR200472639Y1 (ko) 브릿지형 접속플레이트를 갖는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