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015B1 - 바이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015B1
KR101507015B1 KR1020120047732A KR20120047732A KR101507015B1 KR 101507015 B1 KR101507015 B1 KR 101507015B1 KR 1020120047732 A KR1020120047732 A KR 1020120047732A KR 20120047732 A KR20120047732 A KR 20120047732A KR 101507015 B1 KR101507015 B1 KR 10150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parator
cell
defectiv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098A (ko
Inventor
이호일
안인구
정도화
강윤희
안순호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47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01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음극/양극 또는 음극/양극/음극의 기본 적층 구조를 가진 바이셀(bi-cell)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전극에 분리막과 제 2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2 전극에 분리막과 제 3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조립체에서 제 3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셀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Bi-cell}
본 발명은 양극/음극/양극 또는 음극/양극/음극의 기본 적층 구조를 가진 바이셀(bi-cell)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전극에 분리막과 제 2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2 전극에 분리막과 제 3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조립체에서 제 3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는 그것의 구조에 따라 크게 젤리-롤형(권취형)과 스택형(적층형)으로 구분된다.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집전체로 사용되는 금속 호일에 전극 활물질 등을 코팅하고 건조 및 프레싱한 후, 소망하는 폭과 길이의 밴드 형태로 재단하고 분리막을 사용하여 음극과 양극을 격막한 후 나선형으로 감아 제조된다.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원통형 전지에는 적합하지만,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극 활물질의 박리 문제, 낮은 공간 활용성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스택형 전극조립체는 다수의 양극 및 음극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로서, 각형의 형태를 얻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제조과정이 번잡하고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전극이 밀려서 단락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일정한 단위 크기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양극(음극)/분리막/음극(양극)/분리막/양극(음극) 구조의 바이셀(bicell)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고, 이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82058호, 제2001-82059호, 제2001-82060호 등에 개시된 바가 있다. 본 출원에서는 이러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로서 칭한다.
상기 바이셀의 기존 제조방법은 전극을 3단으로 분리막과 함께 적층하여 라미네이션하고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바이셀은 최소 3단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바이셀의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2단계 라미네이션을 통하여 불량 검사를 2단계로 진행함으로써 외부 전극 뿐만 아니라 내부 전극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극/음극/양극 또는 음극/양극/음극의 기본 적층 구조를 가진 바이셀(bi-cell)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전극에 분리막과 제 2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2 전극에 분리막과 제 3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조립체에서 제 3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바이셀은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의 단위 구조 및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의 단위구조와 같이 셀의 양측에 동일한 전극이 위치하는 셀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구조의 셀을 dC형 바이셀d로서 칭하고,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셀을 dA형 바이셀d로서 칭한다. 즉, 양측에 양극이 위치하는 셀을 "C형 바이셀"이라 하고, 양측에 음극이 위치하는 셀을 "A형 바이셀"이라 한다.
이러한 바이셀들은 셀 양측의 전극이 동일한 구조라면 그것을 이루는 양극 및 음극과 분리막의 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셀은 양극 및 음극을 그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호 결합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결합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는 열융착 방식을 들 수 있다.
바이셀에서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 및 프레싱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리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 + xMn2 - 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 - 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반면에,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을 도포, 건조 및 프레싱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와 같은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등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 - 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리막 필름은 상기 분리막과 동일한 소재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기존 바이셀의 라미네이션 공정은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을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하여 라미네이션하고,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바이셀의 라미네이션 공정을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함으로써,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도 2단계로 구분하여 내부 및 외부 전극에 대하여 모두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할 수 있다.
여러 바이셀을 스택/폴딩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은 전지 자체 또는 전지모듈 등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불량인 전극의 사용으로 인하여 분리막의 손상, 나아가 전지의 폭발을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검사는,
전극의 형태 및 위치를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 신호를 하기 제어부로 보내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로부터 수신된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전극의 형태 및 배열 상태를 확인하여, 하기 선별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불량인 조립체를 선별하는 선별기;
를 포함하는 비전(vision) 검사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 된 전극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전극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검사부는 전극 자체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극의 전체를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화상 신호의 전극 형태 및 배열을 기설정 형태 및 배열과 비교하여, 전극 형태 및 배열이 기설정 배열과 차이가 있는 경우, 선별기가 불량으로 선별하도록 신호를 송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 배열이란 전극에 대해 해당 공정에 표준화된 형태 및 정배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바, 제어부는 화상 신호에서 취득된 전극의 형태 및 배열을 상기 기설정 배열과 중첩시켜 비교하는 방식으로, 전극의 형태 및 배열이 기설정 배열에서 어긋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검사부가 전극의 형태 및 배열을 촬영하여 화상 신호를 만드는 경우에는, 제어부에는 그러한 전극에 대한 표준화된 형태 및 정배열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이를 검사부로부터의 전극 형태 및 배열과 비교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바이셀을 제공하고, 상기 바이셀을 유닛셀로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유닛셀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쌓여 있는 스택형 전극조립체, 또는 유닛셀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으로 구성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으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은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해액으로는 비수계 유기용매, 유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수계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FEC(Fluoro-Ethylene carbonate), PRS(Propene sultone)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팩은 중대형 디바이스 및/또는 파워 툴(power tool)의 전원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예로는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 제조방법은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의 불량을 판별할 수 있어,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 바이셀의 제조방법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셀의 제조방법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전(vision) 검사부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기존 바이셀의 제조방법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셀의 제조방법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바이셀 제조방법은, 양극(111, 112)과 음극(120)이 분리막(131, 1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적층된 상태로 라미네이션하여 바이셀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바이셀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한, 검사부(141, 142)를 통하여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제조된 바이셀의 내부에 위치하는 음극(120)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할 수 없다. 상기 음극(120)의 불량이 존재하는 경우, 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 제조방법은, 제 1 양극(211)과 음극(220) 사이에 제 1 분리막(231)을 위치하여 적층하고 라미네이션한 뒤, 상게 제조된 중간 조립체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한, 제 1 검사부(241) 및 제 2 검사부(242)를 통하여 제 1 양극(211) 및 음극(220)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고, 다음 단계에서 상기 음극(220) 위에 제 2 분리막(232) 및 제 2 양극(212)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 하여 바이셀을 제조한 후, 제 3 검사부(243)를 통하여 제 2 양극(212)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함으로써, 전극의 불량에 의한 전지의 안전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전(vision) 검사부의 구성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검사부(310), 제 2 검사부(320) 및 제 3 검사부(330)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부(340)에 연결되어 있다. 즉, 각 검사부에서 촬영한 화상 신호가 제어부(340)로 전송되고, 제어부(340)에서는 촬영된 화상 신호의 전극 형태 및 배열을 기설정 형태 및 배열과 비교하여, 전극 형태 및 배열이 기설정 배열과 차이가 있는 경우, 선별기(350)가 불량으로 선별하도록 신호를 송부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양극/음극/양극 또는 음극/양극/음극의 기본 적층 구조를 가진 바이셀(bi-cell)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전극에 분리막과 제 2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의 조립체에서 제 2 전극에 분리막과 제 3 전극을 적층하여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조립체에서 제 3 전극의 불량 여부 및 정위치 배열을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는,
    전극의 형태 및 위치를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 신호를 하기 제어부로 보내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로부터 수신된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전극의 형태 및 배열 상태를 확인하여, 하기 선별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불량인 조립체를 선별하는 선별기;
    를 포함하는 비전(vision) 검사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상 신호의 전극 형태 및 배열을 기설정 형태 및 배열과 비교하여, 전극 형태 및 배열이 기설정 배열과 차이가 있는 경우, 선별기가 불량으로 선별하도록 신호를 송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47732A 2012-05-04 2012-05-04 바이셀의 제조방법 KR10150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32A KR101507015B1 (ko) 2012-05-04 2012-05-04 바이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32A KR101507015B1 (ko) 2012-05-04 2012-05-04 바이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098A KR20130124098A (ko) 2013-11-13
KR101507015B1 true KR101507015B1 (ko) 2015-03-31

Family

ID=4985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732A KR101507015B1 (ko) 2012-05-04 2012-05-04 바이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624A (ko) * 2017-11-07 2019-05-15 (주) 피토 극판 검사 기능을 포함하는 2차전지 제조장치의 극판이송장치
KR20190091746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22149830A1 (ko) * 2021-01-08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셀 제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15B1 (ko) * 2016-03-29 202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불량검출시스템 및 불량검출방법
KR20170130855A (ko) 2016-05-19 201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819449B2 (ja) * 2017-04-28 2021-0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の検査方法
KR102555500B1 (ko) 2017-12-18 2023-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KR102403813B1 (ko) * 2018-01-10 2022-05-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기본단위체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EP4369447A1 (en) * 2022-01-07 2024-05-15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Electrode plate stac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ack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058A (ko) * 2000-02-08 2001-08-29 성재갑 중첩 전기 화학 셀
KR20110048749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의 이종 패턴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058A (ko) * 2000-02-08 2001-08-29 성재갑 중첩 전기 화학 셀
KR20110048749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의 이종 패턴 검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624A (ko) * 2017-11-07 2019-05-15 (주) 피토 극판 검사 기능을 포함하는 2차전지 제조장치의 극판이송장치
KR101992467B1 (ko) * 2017-11-07 2019-06-24 (주)피토 극판 검사 기능을 포함하는 2차전지 제조장치의 극판이송장치
KR20190091746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445958B1 (ko) 2018-01-29 2022-09-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22149830A1 (ko) * 2021-01-08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셀 제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098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015B1 (ko) 바이셀의 제조방법
KR101726785B1 (ko) 스티치 커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KR101822841B1 (ko) 탭-리드 결합부가 일측에 접하는 구조를 가진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0118B1 (ko) 전극조립체의 불량 유무 선별용 가압장치 및 불량 유무 선별방법
KR101558250B1 (ko) 전극조립체의 불량 유무 선별용 고정장치 및 불량 유무 선별방법
KR101830286B1 (ko) 활성화 과정 중 전극조립체를 가압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KR101643593B1 (ko)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5231A (ko) 전극조립체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및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634772B1 (ko) 지그재그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101995292B1 (ko) 중심에 노칭부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를 이용하여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
KR20170055144A (ko) 이중 절곡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490845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KR101843823B1 (ko) 전지셀 이송 장치
KR101517885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이차전지
KR101933950B1 (ko) 지그재그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102025564B1 (ko) 전지 소자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단위셀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684336B1 (ko) 하이브리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70082239A (ko) 확장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70036227A (ko) 극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500520B1 (ko)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
KR101645463B1 (ko) 하이브리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61254B1 (ko) 하이브리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22098B1 (ko) 하이브리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30116513A (ko)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24162A (ko) 외력으로 인한 전극조립체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