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433B1 -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433B1
KR101506433B1 KR1020150011349A KR20150011349A KR101506433B1 KR 101506433 B1 KR101506433 B1 KR 101506433B1 KR 1020150011349 A KR1020150011349 A KR 1020150011349A KR 20150011349 A KR20150011349 A KR 20150011349A KR 101506433 B1 KR101506433 B1 KR 10150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ytoncide
fir
chicken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유섬
Original Assignee
인유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유섬 filed Critical 인유섬
Priority to KR102015001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물, 곡물부산물 등을 포함하는 닭 사료에 있어서, 율마에 함유된 피톤치드의 유효성분을 첨가하여 사료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닭의 산란과 성장 및 육질을 개선하여 닭의 상품가치를 더욱 높이고 양계업계의 소득향상에도 일조함과 아울러 소비자의 건강증진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EPARING FEED FOR CHICKENS CONTAINING PHYTONCIDE EXTRACTS}
본 발명은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물, 곡물부산물 등을 포함하는 닭 사료에 있어서, 율마에 함유된 피톤치드의 유효성분을 첨가하여 사료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닭의 산란과 성장 및 육질을 개선하여 닭의 상품가치를 더욱 높이고 양계업계의 소득향상에도 일조함과 아울러 소비자의 건강증진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은 달걀과 고기와 같은 식품의 원재료를 얻기 위하여 주로 사육되는데, 건강한 닭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닭이 거주하는 계사의 온도나 습도를 알맞게 조절하고 환기 및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며, 전염병에 감염되거나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상시로 건강을 체크하고, 닭의 성장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 사료를 정확한 양으로 급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중에서 사료는 곡물이나 배합사료 등이 사용되는데, 예컨대, 단백질과 칼슘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 대두박을 적정량 사용하고, 성장률을 높이고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소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화가 늦는 전분과 불포화지방을 첨가하며, 체내 수분과 이온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하여 나트륨이나 칼륨과 같은 전해질의 양을 조절함과 아울러 닭의 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사료에 동물성 단백질은 섞지 않는 등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더욱이, 최근 들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철저한 감염 예방 조치와 함께 AI 예방용 사료 첨가제를 비롯하여 보다 건강한 사료의 공급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피톤치드(Phytoncide)는 식물이 생장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이나 해충, 박테리아로부터 자기방어를 하기 위하여 발산되는 살균 및 향기성분을 가진 물질로서, 이러한 피톤치드는 모든 식물에서 발산되고 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성분이 다르게 구성된다.
예컨대, 피톤치드는 대표적인 항균 및 활성물질인 테르펜을 비롯하여 항산화작용을 하는 페놀 화합물이나, 사람이나 동물에 현저한 약리작용을 가진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중에서도 테르펜은 디테르펜, 테트라테르펜, 폴리테르펜 등 여러 가지 종류로 이루어지며, 특히 소나무나 편백나무와 같은 침엽수에 테르펜계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식물에서 발산되는 테르펜은 그 효능도 매우 다양한 편인데, 테르펜은 휘발성이 강하므로 공기 중에 섞여 있어 산림욕을 통해 호흡하거나 피부에 접하기만 하면 신체활성에 의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심폐기능을 강화하며 피부 염증을 방지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르펜은 세포에 활력을 주고 항균작용을 하여 면역력 및 자연치유력을 높여주며, 중추신경을 자극하여 심리적인 안정을 주어 스트레스 감소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박테리아나 곰팜이, 기생충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테르펜을 포함하는 피톤치드는 살충제나 살균제 등으로 이용되거나 소염제, 피로회복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피톤치드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면서 피톤치드의 효능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피톤치드는 상기와 같이 편백나무에서 가장 많이 발산됨에 따라 종래에는 주로 편백나무에서 추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편백나무는 고가인데다가 우리나라에는 많이 심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편백나무에서 얻어지는 피톤치드 추출물도 또한 매우 고가에 취급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173902호의 "피톤치드가 함유된 무 항생제 사료 제조방법" (2012.08.08) 한국 특허공개 제2013-39404호의 "사료첨가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013.04.22) 한국 특허등록 제1168632호의 "천연 항균성 및 기능성 가축사료" (2012.07.19) 한국 특허등록 제1193576호의 "닭 사료 조성물" (2012.10.16) 한국 특허공개 제2012-138079호의 "닭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2012.12.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율마 추출물을 이용하여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닭의 사육과정에서 피톤치드의 유효성분을 섭취하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함과 아울러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식품 원재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율마의 활용범위를 확대하고 닭의 상품가치를 향상하여 생산자의 소득증대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은, 곡물, 곡물부산물 등을 포함하는 닭 사료에 있어서, 율마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고 수세 후 건조하는 원료 준비 단계; 상기 채취한 율마의 잎과 줄기를 파쇄하고 에탄올에 의해 추출 후 추출박과 분리되도록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고, 상기 분리된 추출박을 에탄올에 의해 추출 후 이를 다시 추출박과 분리되도록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 및 냉각하여 율마 추출액을 얻으며, 상기 율마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율마 농축액을 얻은 후 분무건조하여 피톤치드를 함유한 율마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피톤치드 추출 단계; 상기 율마 추출분말을 닭에게 급여되는 사료에 혼합하는 피톤치드 추출물 혼합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 추출 단계는 전나무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나무 추출단계는, 전나무의 잎과 가지 및 껍질을 파쇄하고 에탄올에 의해 추출 후 추출박과 분리되도록 여과하여 전나무 추출액을 얻고, 상기 전나무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전나무 농축액을 얻은 후 분무건조하여 피톤치드를 함유한 전나무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피톤치드 추출 단계에서 추출분말에 결착제를 혼합하여 과립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 추출물 혼합 단계에서 율마 추출분말은 닭에게 급여되는 전체 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5~5%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곡물, 곡물부산물 등을 포함하는 닭 사료에 있어서, 율마를 이용하여 피톤치드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닭에게 급여하는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닭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육질을 개선하여 닭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양계농가의 소득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비자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하고 고품질의 안전한 식품 원재료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대에도 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아울러, 종래에는 주로 관상용으로 사용되던 율마의 활용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은, 율마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수세 및 건조하는 원료 준비 단계; 상기 건조된 율마의 잎과 줄기를 파쇄 후 유기용매에 의해 2회에 걸쳐 추출 및 여과 후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이를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피톤치드 추출 단계;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추출분말을 공지의 닭 사료에 첨가하는 피톤치드 추출물 혼합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율마 및 부원료로서 전나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율마(Goldcrest Wilma)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관엽식물의 하나로서, 줄기가 곧게 뻗어있고 잎은 노란빛을 띈 연한 녹색으로 깃털이나 바늘처럼 가늘고 촘촘하게 나있으며 향긋한 향을 지니고 있다.
율마는 추위에 강하고 햇빛과 습기를 좋아하므로 잎이 마르지 않도록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고 통풍이 잘되는 양지에서 기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율마는 주로 관상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는 하나, 음이온 발산효과가 있는데다가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포름알데히드나 라돈과 같은 유해물질이나 담배연기 등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흡수 및 제거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실내공기정화를 위해 사용되고 불면증 해소에도 효과가 있으며, 또한 향수의 원료로 사용되거나 원예치료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전나무(Needle Fir)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 교목으로서, 잎은 길이가 길고 끝이 뾰족하며 가지에 촘촘하게 달려 나선형으로 배열된 형상이고 줄기는 곧으며 껍질은 잿빛이 도는 진한 갈색이고 암수한그루로 가지 끝의 잎겨드랑이에 원통형 수꽃이 피고 주변에 타원형의 암꽃이 2~3개 근접하여 달린다.
전나무는 추위에 강한 편이고 반그늘이나 음지, 서늘하고 다습한 고산 지대에서 잘 자란다.
이러한 전나무는 가구나 건축 또는 조경재료로 주로 사용되고, 섬유나 종이의 원료로도 사용되며, 전나무에서 분비되는 송진을 이용하여 상처 치료제나 지혈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공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원료 준비(채취)
율마는 저온이고 통풍과 습도가 적절한 환경에서 재배하여 잎이 연한 녹색을 띄었을 때 채취하며, 잎이나 줄기 모두를 채취할 수 있으나 주로 잎을 채취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채취된 율마는 흐르는 물에 수세하여 표면의 먼지와 불순물을 제거한 후 통풍이 잘되도록 한 상태에서 자연 건조한다.
이때, 피톤치드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부원료로서 전나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전나무는 잎과 가지(특히, 윗가지) 및 껍질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잎과 윗가지를 채취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채취된 전나무는 율마와 마찬가지로 흐르는 물에 수세 후 자연 건조한다.
아울러, 닭 사료의 주된 원료로서 공지의 곡물, 곡물부산물 등이 포함된다.
곡물은 산란 및 성장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옥수수, 소맥, 쌀, 보리, 수수, 귀리, 조 등을 포함한다.
곡물부산물은 소화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밀기울, 대두피, 쌀겨, 옥수수껍질, 두류껍질 등을 포함한다.
박류는 단백질을 공급함과 아울러 장 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이신 함량이 많은 대두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두박 외에도 해바라기씨박, 주정박, 두부박, 귀리박 등을 포함한다.
당밀(식품가공부산물)은 당분이 함유되어 사료에 단맛을 내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효소는 탄수화물을 잘게 분해하여 장내 소화를 촉진하여 생체 흡수력을 높이고 장내 세균총(flora)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이외에도 섬유질, 조단백질, 칼슘, 섬유, 회분, 인 등이 적정량 첨가될 수 있다.
[2] 피톤치드 추출
이어서, 상기 율마와 전나무로부터 피톤치드의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용매는 피톤치드를 추출할 수 있도록 유기용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이 사용된다.
⑴ 율마 추출
우선, 채취한 율마의 잎과 줄기(이하 율마라 함)를 파쇄한 후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다. 이때, 파쇄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율마를 미리 건조된 상태이다.
율마에 70~80%의 에탄올을 율마의 중량대비 5~7배 투입한 후 온도 20~65℃에서 18~36시간동안 교반하여 1차 추출하여 율마로부터 유효성분을 얻고, 이를 여과과정을 통해 추출박과 분리하여 1차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분리된 추출박에 다시 60~70%의 에탄올을 추출박의 중량대비 2~3배 투입한 후 온도 35~50℃에서 12~20시간동안 교반하여 2차 추출하며, 이를 다시 여과하여 추출박과 분리함으로써 2차 추출액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하여 냉각 후 율마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율마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온도 45~50℃에서 농도 60~70%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함으로써 율마 농축액(에센셜 오일)을 얻는다. 이어서, 공지의 분무건조방식에 의해 상기 율마 농축액을 건조하여 피톤치드를 함유한 율마 추출분말(추출물Ⅰ)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상기 율마 추출분말(추출물Ⅰ)은 급여 및 보관이 용이하고 분산(dispersion)을 줄이기 위하여 덱스트린이나 젤라틴과 같은 결착제를 혼합하여 과립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결착제는 율마 추출분말의 중량대비 15~25% 혼합한다.
⑵ 전나무 추출
전나무는 잎, 윗가지 등(이하 전나무라 함)을 파쇄한 후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데, 파쇄된 전나무에 80~90%의 에탄올을 전나무 중량대비 5~10배 투입한 후 온도 35~70℃에서 24~72시간동안 교반 추출하여 전나무로부터 유효성분을 얻고 이를 여과하여 전나무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전나무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온도 45~50℃에서 농도 60~70%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전나무 농축액을 얻은 후 공지의 분무건조방식에 의해 건조함으로써 피톤치드를 함유한 전나무 추출분말(추출물Ⅱ)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율마 추출분말과 마찬가지로 전나무 추출분말에 덱스트린이나 젤라틴과 같은 결착제를 혼합하여 과립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결착제는 전나무 추출분말의 중량대비 15~25% 혼합한다.
[3] 피톤치드 추출물 혼합
상기 [2]공정을 통해 얻어진 율마 추출분말(추출물Ⅰ)을 공지의 곡물, 곡물부산물, 박류, 당밀, 효소 등과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율마 추출분말(추출물Ⅰ)은 닭에게 급여되는 전체 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5~5% 포함한다.
아울러, 피톤치드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율마 추출분말 외에도 부원료로서 전나무 추출분말(추출물Ⅱ)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때, 전나무 추출분말(추출물Ⅱ)은 상기 전체 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1~1.5%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사료는 닭장 바닥면 등에 살포하여 닭에게 급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료는 피톤치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 따라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스트레스 완화 등에 의해 닭의 질병 예방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닭의 맛과 육질 등 품질을 향상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추출물이 함유된 사료를 급여한 닭의 품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육질개선 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우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톤치드 추출물 및 기타 원료성분(중량% 기준)을 하기 표1의 조성으로 배합하였다.
Figure 112015007472943-pat00001

상기 시험구 및 대조구의 배합비율에 의해 만들어진 사료를 6개월 동안 닭에게 급여하여 사육하였고, 상기 시험구 및 대조구의 기호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육된 닭을 물과 소금만을 넣고 조리한 후 맛, 향, 식감 및 색상에 대하여 10인의 관능검사자에 의해 기호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07472943-pat00002
상기 표2의 결과에 따르면, 색상에 있어서는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조금 우위로 나타난 반면, 맛과 향 및 식감에 있어서는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월등히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시험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감칠맛이 있는데다가 고기 특유의 냄새가 전혀 나지 않고 풍미가 좋았으며 씹을 때에도 육질이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곡물, 곡물부산물 등을 포함하는 닭 사료에 있어서,
    율마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고 수세 후 건조하는 원료 준비 단계;
    상기 채취한 율마의 잎과 줄기를 파쇄하고 에탄올에 의해 추출 후 추출박과 분리되도록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고,
    상기 분리된 추출박을 에탄올에 의해 추출 후 이를 다시 추출박과 분리되도록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 및 냉각하여 율마 추출액을 얻으며,
    상기 율마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율마 농축액을 얻은 후 분무건조하여 피톤치드를 함유한 율마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피톤치드 추출 단계;
    상기 율마 추출분말을 닭에게 급여되는 사료에 혼합하는 피톤치드 추출물 혼합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톤치드 추출 단계는 전나무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나무 추출단계는, 전나무의 잎과 가지 및 껍질을 파쇄하고 에탄올에 의해 추출 후 추출박과 분리되도록 여과하여 전나무 추출액을 얻고,
    상기 전나무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전나무 농축액을 얻은 후 분무건조하여 피톤치드를 함유한 전나무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톤치드 추출 단계에서 추출분말에 결착제를 혼합하여 과립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톤치드 추출물 혼합 단계에서 율마 추출분말은 닭에게 급여되는 전체 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5~5%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150011349A 2015-01-23 2015-01-23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KR10150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349A KR101506433B1 (ko) 2015-01-23 2015-01-23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349A KR101506433B1 (ko) 2015-01-23 2015-01-23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433B1 true KR101506433B1 (ko) 2015-03-26

Family

ID=5302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349A KR101506433B1 (ko) 2015-01-23 2015-01-23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4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24B1 (ko) 2007-02-06 2007-10-17 금산축산업협동조합 인삼엽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110138086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현진기업 피톤치드가 함유된 무 항생제 사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24B1 (ko) 2007-02-06 2007-10-17 금산축산업협동조합 인삼엽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110138086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현진기업 피톤치드가 함유된 무 항생제 사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divié-Navarro et al. Review of Moringa oleifera as forage meal (leaves plus stems) intended for the feeding of non-ruminant animals
Nuhu Effect of Moringa leaf meal (MOLM)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carcass and blood indices of weaner rabbits
KR20170051890A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가축 사료첨가제 분말의 제조방법
El-Badawi et al. Response of growing New Zealand white rabbits to ration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of Moringa oleifera dry leaves
Abd El-Hack et al. Pharmacological, nutritional and antimicrobial uses of Moringa oleifera Lam. leaves in poultry nutrition: an updated knowledge
Gouri et al. Importance of azolla as a sustainable feed for livestock and poultry-A review
KR20180117841A (ko) 면실류, 미강, 비트펄프 및 유황이 함유된 참나무톱밥 배지에서 생산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이용한 굼벵이 양식용 사료 제조방법
KR20180117837A (ko) 면실류, 미강, 비트펄프 및 유황이 함유된 참나무톱밥 배지에서 생산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한 굼벵이 양식용 유황 발효 톱밥 및 그 유황 톱밥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1207A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01918483B1 (ko) 식용곤충 및 약용식물의 숙성액을 이용한 성형쌀 제조방법
US20120288578A1 (en) Herbal calf starter compositions
Alagbe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EUCALYPTUS CAMALDULENSIS ESSENTIAL OIL (ECEO)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CAECAL FERMENTATION OF WEANED RABBITS.
Alagbe Role of Moringa olifera leaf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poultry/African catfish–a review
KR20200071427A (ko)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KR101506433B1 (ko) 피톤치드가 함유된 닭 사료의 제조방법
Mwai et al. Mulberry leaves as a feed source for livestock in Kenya: A Review
Alagbe et al. Effects 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Azolla pinnata, Polyalthia longifolia, Tithonia diversifolia, Moringa olifera, Azadiracta indica leaf meal infusion as an organic supplement on the performance and nutrient retention of growing grass cutters
KR100485057B1 (ko) 감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Sowiński et al. Forage legumes for human, animals, and environment
Amad et al. Moringa (M. oleifera) leaf meal in diets for broilers and laying hens: A review
Amad et al. The use of Moringa oleifera in ruminant feeding and its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Adewole Production economy of bitter leaf (Vernonia amygdalina) as dietary additive fed to Clarias gariepinus
Alagbe et al. Growth respons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weaner grass cutter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Polyalthia longifolia seed oil as a natural growth promoter
Chamuah et al. Effective diversified uses of tapioca (Manihot esculenta Crantz.) and borkesseru (Ailanthus excelsa Roxb.): the promising secondary host plants of eri silkw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