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67B1 -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167B1
KR101506167B1 KR1020130093079A KR20130093079A KR101506167B1 KR 101506167 B1 KR101506167 B1 KR 101506167B1 KR 1020130093079 A KR1020130093079 A KR 1020130093079A KR 20130093079 A KR20130093079 A KR 20130093079A KR 101506167 B1 KR101506167 B1 KR 10150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astening
rod
buffer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151A (ko
Inventor
최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프이
Priority to KR102013009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1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56Clos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aining chips, dies or 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7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kinematic members, handles or elements to be externally grip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와, 상기 로드에 대해 진퇴 이동되게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포스트 유닛; 및 상기 캡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캡의 진퇴 이동에 의한 일 위치에서 상기 캡과 체결되며 상기 캡의 진퇴 이동에 의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캡과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부시 유닛을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COUPLING ASSEMBLY OF ONE-TOUCH TYPE AND DETACHABLE BUFFER ASSEMBLY OF ONE-TOUCH TYP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에 의해 완성된 반도체 패키지는 테스트(검사) 공정을 통해 동작 특성들이 제대로 구현되는지에 대해 체크된 후 양품으로 분류된 경우에 출하된다.
이러한 검사 공정에서, 버퍼는 반도체 패키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트레이이다. 또한, 버퍼는 로더나 언로더와 같은 장비에 장착된 버퍼 베이스에 체결된다.
이러한 버퍼는 수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밀도에 따라 복수의 종류를 가져서, 반도체 패키지의 종류나 작업의 특성에 따라 버퍼 베이스에서 분리되어 다른 것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버퍼와 버퍼 베이스의 체결 및 분리는 볼트를 이용한 방식에 의존하므로, 교체 과정에서 볼트를 회전시켜 조이거나 풀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대상물 간의 체결 및 분리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퍼와 버퍼 베이스 간의 체결 및 분리를 간단한 조작 만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여, 버퍼를 교체하는 과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대해 진퇴 이동되게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포스트 유닛; 및 상기 캡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캡의 진퇴 이동에 의한 일 위치에서 상기 캡과 체결되며 상기 캡의 진퇴 이동에 의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캡과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부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은, 체결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부시 유닛은, 상기 캡이 상기 부시 유닛에 체결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 그루브에 삽입되는 탄성체인 삽입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편은,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체결 그루브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C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캡 몸체; 및 상기 캡 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는,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로드 몸체; 및 상기 로드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 몸체보다 큰 폭을 갖는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캡 몸체는, 상기 걸림편의 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로드가 결합되게 하는 걸림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홀은 상기 진퇴 이동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몸체는, 상기 로드 몸체가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되도록 개방된 하단부; 상기 로드 몸체를 덮도록 막힌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기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 그루브 및 상기 걸림홀이 형성되는 측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 몸체는, 상기 걸림편이 설치되는 상부; 및 상기 상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외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 유닛은, 상기 캡 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홀의 일 단부 측으로 편향되게 하는 편향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시 유닛은, 상기 캡이 삽입되게 형성되는 부시 몸체; 및 상기 부시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을 수용하는 수용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시 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면에서 형성되는 암나나산을 구비하는 버퍼 베이스;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단차지게 연결되는 대경부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버퍼; 및 위에서 기술된 바에 따르며 상기 수나사산은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대경부와 접촉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에 의하면, 대상물 간의 체결 및 분리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퍼와 버퍼 베이스 간의 체결 및 분리를 간단한 조작 만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여, 버퍼를 교체하는 과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100)와, 그에 사용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200)의 체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퍼 어셈블리(100)와 체결 어셈블리(200)에 대한 종 단면도이다.
도 3은 버퍼 어셈블리(100)와 체결 어셈블리(200)의 체결 상태에 대한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버퍼 어셈블리(100)와 체결 어셈블리(200)의 체결이 해제되는 일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100)와, 그에 사용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200)의 체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퍼 어셈블리(100)는, 버퍼 베이스(110)와, 버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 베이스(110)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가장 자리 영역에는 설치홈(111)이 형성된다. 버퍼(160)는 역시 대략 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중앙에는 복수의 수용부(161)가 형성된다. 수용부(161)에는 반도체 패키지가 수용된다. 버퍼(16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설치홈(1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설치홈(163)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퍼 어셈블리(100)의 버퍼 베이스(110)와 버퍼(160)의 체결(및 분리)을 위해서는, 체결 어셈블리(200)가 채용된다. 체결 어셈블리(200)는, 포스트 유닛(210)과, 부시 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스트 유닛(210)이 버퍼 베이스(110)에 설치된다면, 부시 유닛(260)은 버퍼(160)에 설치된다.
포스트 유닛(210)은, 로드(220), 캡(230), 및 편향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220)는 버퍼 베이스(110)의 설치홈(111)에 설치되어, 버퍼 베이스(110)의 주면(main surface)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캡(230)은 로드(220)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진퇴의 방향은 버퍼 베이스(110)의 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V)을 따를 수 있다. 편향체(240)는 캡(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캡(230)이 로드(220)에 대해 가장 멀어진 위치로 캡(230)을 편향시키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캡(230)의 외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 그루브(235)가 형성된다. 캡(230)의 측부(234, 도 2)에는 진퇴 방향(V)을 따른 장홀형의 걸림홀(236)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홀(236)에는 로드(220)의 걸림편(225)의 단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부시 유닛(260)은 버퍼(160)의 설치홈(163)에 끼워진다. 이러한 부시 유닛(260)은 대체로 관 형상을 가져서, 진퇴 방향(V)을 따른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이러한 부시 유닛(260)의 개방된 양단부에 의해서, 포스트 유닛(210)은 부시 유닛(260)을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부시 유닛(260)은 포스트 유닛(210), 구체적으로 캡(23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포스트 유닛(210)과, 부시 유닛(26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버퍼 어셈블리(100)와 체결 어셈블리(200)에 대한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포스트 유닛(210)의 로드(220)는, 로드 몸체(221)와, 걸림편(225)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몸체(221)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로드 몸체(221)는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상부(222)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하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223)에는 수나사산(224)이 형성되고, 수나사산(224)은 버퍼 베이스(110)의 설치홈(111)의 암나사산(115)과 나사 결합된다. 상부(222)가 직경이 큼으로 인하여, 상부(222)의 저면은 버퍼 베이스(110)의 주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걸림편(225)은 로드 몸체(221)에 설치되며, 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걸림편(225)은 로드 몸체(221)의 상부(222)의 수평한 홈에 끼워지는데, 걸림편(225)의 폭(길이)은 상부(2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그에 의해, 걸림편(225)의 양단부는 각각 상부(222)의 외면에서 돌출된다.
로드(220)와 함께 포스트 유닛(210)을 구성하는 캡(230)은, 캡 몸체(231)와, 체결 그루브(235)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몸체(231)는, 로드 몸체(221)를 수용하는 사이즈의 중공부가 내부에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캡 몸체(231)는, 상단부(232)와, 하단부(233)와, 측부(234)를 갖는다. 상단부(232)는 로드 몸체(221)의 상부(222)의 상측에 위치하며, 막힌 형태이다. 하부(223)는 상단부(232)에 반대되며, 개방된 형태이다. 로드(220)는 하부(223)를 통해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측부(234)는 상단부(232)와 하부(223)를 연결하며, 대체로 파이프 형태를 가진다. 측부(234)에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체결 그루브(235)와, 걸림홀(236)이 형성된다.
체결 그루브(235)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캡 몸체(23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체결 그루브(235)는 캡 몸체(231)의 외주면에서 캡 몸체(2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리세스되어(recessed) 형성된다. 체결 그루부(235)의 깊이는, 걸림편(225)의 단부의 연장선[진퇴 방향(V)을 따른 연장선]과 이격되는 레벨에서 결정된다. 그에 의해, 체결 그루브(235) 내에 위치하게 될 삽입편(265)이, 진퇴 방향(V)으로 상대 이동되는 걸림편(225)과 간섭하지 않게 된다.
로드(220), 및 캡(230)과 함께 포스트 유닛(210)을 구성할 수 있는 편향체(240)는, 캡 몸체(2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편향체(240)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편향체(240)는 로드 몸체(221)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부는 캡 몸체(231)의 하단부(233)를 지지한다. 편향체(240)의 하부는 버퍼 베이스(110)의 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부시 유닛(260)은, 부시 몸체(261)와, 수용 그루브(262)와, 삽입편(265)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시 몸체(261)는 대체로 파이프 형태를 갖는다. 그에 의해, 부시 몸체(261)는 캡(230)이 내부로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부시 몸체(261)의 하부에는 플랜지부(263)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63)는, 소경부와 대경부가 이어져서 형성된 체결홀(163) 중에서 상기 대경부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경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부시 몸체(261)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면, 부시 몸체(261)가 체결홀(163)에 대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수용 그루브(262)는 부시 몸체(261)의 중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부시 몸체(261)가 파이프 형태를 가지면, 수용 그루브(262)는 대체로 링 형상의 채널을 이룰 수 있다.
삽입편(265)은 체결 그루브(235)에 삽입되는 탄성체이다. 구체적으로, 삽입편(265)은 무부하 상태에서 체결 그루브(235)[및 수용 그루브(26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삽입편(265)은, 예를 들어 C형 스프링일 수 있다. 그에 의해, C형 스프링은 신장될 때, 수용 그르부(262)의 중심에서 방사상 방향(E)으로 연장되어, 체결 그루부(235)에서 벗어나 수용 그루브(262) 내로 변위된다.
이상의 체결 어셈블리(200)를 체용한 버퍼 에셈블리(100)의 체결 상태, 및 체결 해제 상태에 대해 각각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버퍼 어셈블리(100)와 체결 어셈블리(200)의 체결 상태에 대한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퍼 베이스(110) 상에 버퍼(160)가 적층되고, 그들은 체결 어셈블리(200)에 의해 서로에 대해 체결된 상태이다.
이를 위해, 체결 어셈블리(200)의 포스트 유닛(210)은 부시 유닛(260)와 체결 상태에 있다. 이때, 포스트 유닛(210)은 부시 유닛(260)의 중공부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나아가, 캡(230)은 부시 유닛(26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부시 유닛(260)을 거치지 않고, 캡(230)을 바로 누를 수 있게 된다.
포스트 유닛(210)에 있어서, 캡(230)은 편향체(240)에 의해 지지되어 로드(220)에 대해 최대한 멀어진 상태이다. 걸림편(225)이 편향체(240)의 편향력을 이기고서, 캡(230)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에 의해, 걸림편(225)은 걸림홀(236)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삽입편(265)은 캡(230)의 체결 그루브(232)에 수용되는 무부하 상태에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편(265)의 단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측은 체결 그루브(235)에, 외측은 수용 그루브(262)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러하게 삽입편(265)이 캡(230)과 부시 유닛(260) 양자의 그루브(235 및 262) 모두에 삽입됨에 의해, 캡(230)이 부시 유닛(26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캡(230), 나아가 포스트 유닛(210)과 부시 유닛(260)이 서로 체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3에서 버퍼 어셈블리(100)와 체결 어셈블리(200)의 체결이 해제되는 일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포스트 유닛(210)을 부시 유닛(26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캡(230)을 진퇴 방향(V) 중 전진 방향(하강 방향)을 따라 눌러주면 된다.
그러면, 캡(230)이 하강 방향으로 삽입편(265)을 가압하게 된다. 그에 의해, 삽입편(265)은 수용 그루브(262)의 방사 방향(E)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되게 된다. 그 결과, 삽입편(265)은 체결 그루브(235)에서 이탈되어 수용 그루브(262) 내로 변위된다. 그 이후, 캡(230)은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강하며, 편향체(240)를 압축하게 된다. 그러나, 캡(230)의 하강은 걸림편(225)이 걸림홀(236)의 상단에 접촉됨에 의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퍼(160)를 들어내면, 버퍼(160)는 버퍼 베이스(1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는 또한, 부싱 유닛(260)이 포스트 유닛(210)으로부터 분리됨을 의미한다. 그에 의해, 버퍼(160)와 버퍼 베이스(110)[포스트 유닛(210)과 부시 유닛(260)]간의 분리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캡(23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캡(230)은 편향체(240)에 의해 편향되어 다시 도 3과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포스트 유닛(210)을 부시 유닛(260)에 체결하려면, 삽입편(265)이 캡(23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 그루브(262) 내로 변위된 상태에서 부시 유닛(260)이 하강하게 하면 된다. 상기 하강 중에, 수용 그루브(262)가 체결 그루브(235)에 일치하려는 순간에, 삽입편(265)은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수용 그루브(262) 뿐만 아니라 체결 그루브(235)에도 삽입되게 된다. 이는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포스트 유닛(210)과, 부시 유닛(26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110: 버퍼 베이스
160: 버퍼 200: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210: 포스트 유닛 220: 로드
221: 로드 몸체 225: 걸림편
230: 캡 231: 캡 몸체
235: 체결 그루브 240: 편향체
260: 부시 유닛 261: 부시 몸체
262: 수용 그루브 265: 삽입편

Claims (12)

  1. 로드와, 상기 로드에 대해 진퇴 이동되게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포스트 유닛; 및
    상기 캡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캡의 진퇴 이동에 의한 일 위치에서 상기 캡과 체결되며 상기 캡의 진퇴 이동에 의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캡과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부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체결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부시 유닛은, 상기 캡이 상기 부시 유닛에 체결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 그루브에 삽입되는 탄성체인 삽입편을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체결 그루브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C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캡 몸체; 및
    상기 캡 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그루브를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로드 몸체; 및
    상기 로드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 몸체보다 큰 폭을 갖는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캡 몸체는, 상기 걸림편의 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로드가 결합되게 하는 걸림홀을 더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상기 진퇴 이동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홀로 형성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는,
    상기 로드 몸체가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되도록 개방된 하단부;
    상기 로드 몸체를 덮도록 막힌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기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 그루브 및 상기 걸림홀이 형성되는 측부를 갖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몸체는,
    상기 걸림편이 설치되는 상부; 및
    상기 상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외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하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유닛은,
    상기 캡 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홀의 일 단부 측으로 편향되게 하는 편향체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유닛은,
    상기 캡이 삽입되게 형성되는 부시 몸체; 및
    상기 부시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을 수용하는 수용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12.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면에서 형성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는 버퍼 베이스;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단차지게 연결되는 대경부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버퍼; 및
    제11항에 따르며, 상기 수나사산은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대경부와 접촉되는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KR1020130093079A 2013-08-06 2013-08-06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KR10150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079A KR101506167B1 (ko) 2013-08-06 2013-08-06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079A KR101506167B1 (ko) 2013-08-06 2013-08-06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51A KR20150017151A (ko) 2015-02-16
KR101506167B1 true KR101506167B1 (ko) 2015-03-30

Family

ID=5304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079A KR101506167B1 (ko) 2013-08-06 2013-08-06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041A (ko) * 1992-03-04 1993-10-19 마이클 제이.밴터스코 파스너(fastener) 조립체
JP2008163961A (ja) * 2006-12-27 2008-07-17 Piolax Inc 部品の固定装置
JP2009115166A (ja) 2007-11-05 2009-05-28 Nabeya Iron & Tool Works Ltd 締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041A (ko) * 1992-03-04 1993-10-19 마이클 제이.밴터스코 파스너(fastener) 조립체
JP2008163961A (ja) * 2006-12-27 2008-07-17 Piolax Inc 部品の固定装置
JP2009115166A (ja) 2007-11-05 2009-05-28 Nabeya Iron & Tool Works Ltd 締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51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746B1 (ko)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US9423191B2 (en)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for heat sink mounting
US10040232B2 (en) Locking device and mold using same
CN108281932A (zh) 自转位螺母板
US20150041516A1 (en) Structure of stapling device
KR101506167B1 (ko) 원터치 체결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원터치 착탈형 버퍼 어셈블리
JP2016137853A (ja) 車両用バッテリホルダ
KR101958452B1 (ko) 방충망 또는 안전망 고정장치
US10995904B2 (en) Optical module having retractable structure
KR102007935B1 (ko) 앵커 재긴장 장치
KR101136099B1 (ko)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029920A1 (ja) 上プレート付勢ユニット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CN110449513B (zh) 一种冲头固定结构及快换冲头组件
EP2668408B1 (en) Quick-nut extraction
KR101187022B1 (ko) 볼트를 이용한 조립구조
CN211088675U (zh) 一种固定式电气装置电器附件安装结构
CN110359526B (zh) 一种水槽连接结构及连接方法
KR102048447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CN212625509U (zh) 一种扩晶环及扩晶装置
KR101223550B1 (ko) 엔진오일용 드레인플러그의 체결구조
KR101653909B1 (ko) 유압 밀림방지 실린더
KR200462767Y1 (ko) 라인밸브 및 스프링클러용 고정구
KR101469196B1 (ko) 서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복수의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캠 플레이트 어셈블리
KR101017932B1 (ko) 정션박스에 차체결합용 볼트를 장착하는 장치
CN219886402U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