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998B1 -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998B1
KR101505998B1 KR1020150021127A KR20150021127A KR101505998B1 KR 101505998 B1 KR101505998 B1 KR 101505998B1 KR 1020150021127 A KR1020150021127 A KR 1020150021127A KR 20150021127 A KR20150021127 A KR 20150021127A KR 101505998 B1 KR101505998 B1 KR 10150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guide groove
block
connec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해만
Original Assignee
(주)선진전력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진전력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선진전력기술단
Priority to KR102015002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제1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설치블록; 복수 개의 상기 설치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패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고압선에 대향되는 면에 복수 개의 설치돌기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박스본체; 상기 제1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삽입되고 제1가압경사면이 구비되는 제1연결블록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설치블록과 상기 박스본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박스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전주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고압선을 감싸는 복수 개의 구속편과, 상기 구속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박스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브래킷; 상기 설치돌기가 압입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박스본체에 연결시키는 고정패널; 상기 설치블록과 상기 박스본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박스본체를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상기 설치블록, 상기 박스본체 또는 상기 연결대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패널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대와 고정패널을 결합시키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DEVICE FOR PREVENTION OF AERIAL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선을 지지하는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주에 지지되는 고압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주에 전달되는 풍하중 및 케이블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송전철탑 등을 사용한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전송되어 여러 단계의 변압 과정을 거친 후 전주의 배전선로를 따라 일반 수용가(가정)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에는 뇌(雷), 써지(surge) 등 이상전압에 의한 기기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 전기재해 방지를 위하여 배전선에서의 물질 확보 및 양호한 접지를 필요로 하였고, 접지는 전력이나 낙뢰로부터 인간 및 전력설비 보호기능을 갖는다.
종래의 송배전선로는 지중이나 공중에 설치되는 데, 공중에 설치될 경우 철탑 또는 전주 등의 지지물을 이용하여 가공 설치하게 된다.
지지물 중 전주에 설치되는 송배전선로는 3상 4선식, 3상 3선식 또는 단상 2선식으로 전주 1본에 주로 3선1조로 하여 전주의 상하단으로 설치되는 데, 이 경우에는 최대 2회선으로 제한되고, 송전탑을 이용한 송전선로일 경우에는 3회선 이상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가공 케이블을 이용할 경우에는 1회선당 3~4선 1조로 하여 전선로가 구성됨에 따라 전주의 설치공간과 전주의 길이 등의 요인에 따라 전주 1본에 설치할 수 있는 회선이 2회선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가 측 각 전주의 송배전 전선은 전주 상단으로 횡설되는 상부지지대(완금)에 팽팽한 긴장력을 갖도록 배선되고, 상부 지지대에 고정된 라인 포스트 애자(Line post:핀애자)를 통해 점퍼선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송배전 전선은 자체 하중과 외기의 영향에 의해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늘어지는 현상이 초래되어 도심 경관을 크게 저해하였음은 물론이고 바람과 같은 외부 기후 요인에 의해 쉽게 흔들려 마찰에 의한 합선 사고와 단전 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9397호(2012년 03월 2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는, 지지박스와 연결봉을 연결하거나 연결봉과 기초블록을 연결할 때에 다수 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봉을 지지박스 또는 기초블록에 연결해야 하고, 홀더부재와 지지박스를 연결할 때에도 다수 개의 체결부재가 소요되기 때문에 처짐방지장치의 설치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고압선을 지지하는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주에 지지되는 고압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주에 전달되는 풍하중 및 케이블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주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제1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설치블록; 복수 개의 상기 설치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패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고압선에 대향되는 면에 복수 개의 설치돌기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박스본체; 상기 제1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삽입되고 제1가압경사면이 구비되는 제1연결블록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설치블록과 상기 박스본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박스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전주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고압선을 감싸는 복수 개의 구속편과, 상기 구속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박스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브래킷; 상기 설치돌기가 압입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박스본체에 연결시키는 고정패널; 상기 설치블록과 상기 박스본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박스본체를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상기 설치블록, 상기 박스본체 또는 상기 연결대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패널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대와 고정패널을 결합시키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연결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연결블록; 상기 설치블록 또는 상기 박스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블록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부; 상기 제1가이드홈부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스토퍼가 구비되며 제1작동경사면이 구비되는 제1구속돌기; 상기 제1가이드홈부 내벽에 형성되는 홀부의 내벽과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가압경사면과 상기 제1작동경사면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구속돌기를 상기 제1가이드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구속돌기로부터 상기 설치블록 또는 상기 박스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구비되는 제1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지지대 단부에 형성되고 제2가압경사면이 형성되며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블록; 상기 제2연결블록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블록이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내측 단부에 복수 개의 호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부를 구비하는 제2가이드홈부; 상기 회전공간부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가압경사면에 대향되는 제2작동경사면이 구비되며 제2스토퍼가 형성되는 제2구속돌기; 상기 회전공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구속돌기가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홀부 내벽과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구속돌기로부터 상기 고정패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는, 제1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연결대와 박스본체 또는 설치블록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대를 박스본체 또는 설치블록에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제2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고압선을 감싸는 브래킷과 박스본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처짐방지장치의 설치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는, 전주(1)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제1가이드홈부(73)가 형성되는 설치블록(3)과, 복수 개의 설치블록(3)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패널(16)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14)가 형성되며 고압선(5)에 대향되는 면에 복수 개의 설치돌기(12)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좌우방향으로 제1가이드홈부(73)가 형성되는 박스본체(10)와, 제1가이드홈부(73)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삽입되고 제1가압경사면(72a)이 구비되는 제1연결블록(72)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설치블록(3)과 박스본체(10)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박스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대(64)와, 전주(1)를 따라 연장되는 고압선(5)을 감싸는 복수 개의 구속편(62a), 및 구속편(62a)으로부터 연장되고 박스본체(10)에 연결되는 지지대(62b)를 포함하는 브래킷(62)과, 설치돌기(12)가 압입되는 연결홀부(52)가 형성되고 지지대(62b)를 박스본체(10)에 연결시키는 고정패널(50)과, 설치블록(3)과 박스본체(10) 또는 복수 개의 박스본체(10)를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설치블록(3), 박스본체(10) 또는 연결대(64)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70)와, 지지대(62b)가 고정패널(50)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고 지지대(62b)를 회전시키면 지지대(62b)와 고정패널(50)을 결합시키는 제2착탈부(80)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처짐방지장치를 전주(1)와 전주(1) 사이에 설치할 때에는 전주(1)의 상부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설치블록(3)에 각각 연결대(64)를 슬라이딩시켜 삽입한다.
이때, 제1착탈부(70)의 작동에 의해 연결대(64)는 설치블록(3)에 원처치 방식으로 결합되고, 자유단으로 노출되는 연결대(64)의 단부를 설치블록(3)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부(83)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삽입시켜 연결대(64)와 박스본체(10)를 연결하며, 이때도 제1착탈부(70)의 작동에 의해 연결대(64)와 박스본체(10)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방법을 반복하여 복수 개의 박스본체(10)를 복수 개의 연결대(64)에 의해 연결하고, 마지막에 자유단으로 노출되는 연결대(64)의 단부는 다른 지주에 설치되는 설치블록(3)에 연결하여 다수 개의 연결대(64)와 다수 개의 박스본체(10)에 의해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지주의 설치블록(3)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다수 개의 박스본체(10)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대(64)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 후에, 브래킷(62)을 고압선(5)의 둘레면에 밀착시키도록 결합시켜 브래킷(62)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62b)를 고정패널(5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부(83)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제2착탈부(80)의 작동에 의해 브래킷(62)과 고정패널(50)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후에, 고정패널(50)에 형성되는 연결홀부(52)에 박스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설치돌기(12)를 압입시켜 박스본체(10)와 고정패널(50)을 연결하여 고압선(5)을 연결대(64) 및 박스본체(10)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또한, 박스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14)는 상면에 개구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자는 삽입공간부(14) 내부에 다수 개의 보강리브(18)가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보강패널(16)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대(64) 및 지지대(62b)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박스본체(10) 및 고정패널(5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고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연결대(64) 및 지지대(62b)가 박스본체(10) 또는 고정패널(50)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박스본체(10)에 삽입되는 보강패널(16)에 의해 박스본체(10)가 기후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착탈부(70)는, 연결대(64)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연결블록(72)과, 설치블록(3) 또는 박스본체(10)에 형성되고 제1연결블록(72)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부(73)와, 제1가이드홈부(73)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스토퍼(76)가 구비되며 제1작동경사면(74a)이 구비되는 제1구속돌기(74)와, 제1가이드홈부(73) 내벽에 형성되는 홀부의 내벽과 제1스토퍼(76) 사이에 개재되어 제1가압경사면(72a)과 제1작동경사면(74a)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제1구속돌기(74)를 제1가이드홈부(73)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77)와, 구속돌기로부터 설치블록(3) 또는 박스본체(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구비되는 제1레버부재(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가압경사면(72a)이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1연결블록(72)을 제1가이드홈부(73) 내부로 슬라이딩시키며 삽입하면 제1가압경사면(72a)이 제1작동경사면(74a)을 밀어 제1구속돌기(74)가 제1가이드홈부(73)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탄성부재(77)를 압축시킨다.
제1연결블록(72)의 삽입을 지속하여 제1연결블록(72)이 제1구속돌기(74)를 통과하면 제1탄성부재(77)의 복원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74)가 제1가이드홈부(73)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제1연결블록(72)과 제1구속돌기(74)가 걸림결합되어 제1연결블록(72)이 제1가이드홈부(73)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착탈부(70)의 작동에 의해 연결대(64)의 일단부는 설치블록(3)에 연결하고, 연결대(64)의 타단부는 박스본체(10)의 일단부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다수 개의 박스본체(10) 타단부와 박스본체(10)의 일단부 사이에 각각 연결대(64)를 연결하여 다수 개의 연결대(64) 및 다수 개의 박스본체(10)를 교호로 연속되게 배치시키면서 간격을 유지하며 시공되는 전주(1)의 설치블록(3)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된 박스본체(10)를 교체하기 위하여 연결대(64)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제1레버부재(78)를 박스본체(10) 외측으로 당기면 제1탄성부재(77)가 압축되면서 제1구속돌기(74)와 제1연결블록(72)의 걸림결합을 해제하므로 작업자가 연결대(64)를 제1가이드홈부(73)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착탈부(80)는, 지지대(62b) 단부에 형성되고 제2가압경사면(82a)이 형성되며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블록(82)과, 제2연결블록(82)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고정패널(50)에 형성되고 제2연결블록(82)이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내측 단부에 복수 개의 호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부(83a)를 구비하는 제2가이드홈부(83)와, 회전공간부(83a)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가압경사면(82a)에 대향되는 제2작동경사면(84a)이 구비되며 제2스토퍼(86)가 형성되는 제2구속돌기(84)와, 회전공간부(83a)로부터 연장되고 제2구속돌기(84)가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홀부 내벽과 제2스토퍼(86)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87)와, 제2구속돌기(84)로부터 고정패널(50)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레버부재(88)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대(62b)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블록(82)을 좌우방향으로 길게 눕혀서 제2가이드홈부(83)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에 지지대(62b)를 회전시키면 제2연결블록(82)이 회전되면서 제2구속돌기(84)의 제2작동경사면(84a)을 밀어 제2탄성부재(87)가 압축되면서 제2연결블록(82)이 회전된다.
제2연결블록(82)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2탄성부재(87)의 복원력에 의해 제2구속돌기(84)가 회전공간부(83a)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제2연결블록(82)의 단부와 제2구속돌기(84)의 단부가 걸림결합되어 지지대(62b)와 고정패널(5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한 쌍의 구속편(62a)이 고압선(5)을 감싸도록 밀착시켜 고정시키면 고압선(5)이 박스본체(10)에 지지되어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브래킷(62)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제2레버부재(88)를 상승시켜 제2탄성부재(87)를 압축시키면 제2연결블록(82)과 제2구속돌기(84)의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작업자가 지지대(62b)를 회전시켜 제2가이드홈부(83) 외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고압선을 지지하는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주에 지지되는 고압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주에 전달되는 풍하중 및 케이블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처짐방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주 3 : 설치블록
5 : 고압선 10 : 박스본체
12 : 설치돌기 14 : 삽입공간부
16 : 보강패널 18 : 보강리브
50 : 고정패널 52 : 연결홀부
62 : 브래킷 62a : 구속편
62b : 지지대 64 : 연결대
70 : 제1착탈부 72 : 제1연결블록
72a : 제1가압경사면 73 : 제1가이드홈부
74 : 제1구속돌기 74a : 제1작동경사면
76 : 제1스토퍼 77 : 제1탄성부재
78 : 제1레버부재 80 : 제2착탈부
82 : 제2연결블록 82a : 제2가압경사면
83 : 제2가이드홈부 83a : 회전공간부
84 : 제2구속돌기 84a : 제2작동경사면
86 : 제2스토퍼 87 : 제2탄성부재
88 : 제2레버부재

Claims (3)

  1. 전주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제1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설치블록;
    복수 개의 상기 설치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패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고압선에 대향되는 면에 복수 개의 설치돌기가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박스본체;
    상기 제1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삽입되고 제1가압경사면이 구비되는 제1연결블록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설치블록과 상기 박스본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박스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전주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고압선을 감싸는 복수 개의 구속편과, 상기 구속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박스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브래킷;
    상기 설치돌기가 압입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박스본체에 연결시키는 고정패널;
    상기 설치블록과 상기 박스본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박스본체를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상기 설치블록, 상기 박스본체 또는 상기 연결대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패널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대와 고정패널을 결합시키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연결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연결블록;
    상기 설치블록 또는 상기 박스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블록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부;
    상기 제1가이드홈부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스토퍼가 구비되며 제1작동경사면이 구비되는 제1구속돌기;
    상기 제1가이드홈부 내벽에 형성되는 홀부의 내벽과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가압경사면과 상기 제1작동경사면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구속돌기를 상기 제1가이드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구속돌기로부터 상기 설치블록 또는 상기 박스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구비되는 제1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지지대 단부에 형성되고 제2가압경사면이 형성되며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블록;
    상기 제2연결블록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블록이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내측 단부에 복수 개의 호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부를 구비하는 제2가이드홈부;
    상기 회전공간부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가압경사면에 대향되는 제2작동경사면이 구비되며 제2스토퍼가 형성되는 제2구속돌기;
    상기 회전공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구속돌기가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홀부 내벽과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구속돌기로부터 상기 고정패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20150021127A 2015-02-11 2015-02-11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150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127A KR101505998B1 (ko) 2015-02-11 2015-02-11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127A KR101505998B1 (ko) 2015-02-11 2015-02-11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998B1 true KR101505998B1 (ko) 2015-03-25

Family

ID=5302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127A KR101505998B1 (ko) 2015-02-11 2015-02-11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9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14B1 (ko) * 2015-05-12 2016-02-02 (주) 미래이앤지 송배전선로의 처짐방지장치
KR101713272B1 (ko) * 2016-07-22 2017-03-07 (주)비에스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2369470B1 (ko) * 2021-06-22 2022-03-04 (주)대경기전 특고압 배전가공 전선의 연결애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64B1 (ko) 2009-02-18 2009-06-26 (주)영종합기술단 송배전 전선의 처짐 방지 시설물
KR101066637B1 (ko) 2011-05-20 2011-09-21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의 처짐 방지 장치
KR101129395B1 (ko) 2012-02-08 2012-03-26 (주)혜광 고압선의 처짐 방지 장치
KR101129397B1 (ko) 2012-02-03 2012-03-27 (주)신라감리단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64B1 (ko) 2009-02-18 2009-06-26 (주)영종합기술단 송배전 전선의 처짐 방지 시설물
KR101066637B1 (ko) 2011-05-20 2011-09-21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의 처짐 방지 장치
KR101129397B1 (ko) 2012-02-03 2012-03-27 (주)신라감리단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
KR101129395B1 (ko) 2012-02-08 2012-03-26 (주)혜광 고압선의 처짐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14B1 (ko) * 2015-05-12 2016-02-02 (주) 미래이앤지 송배전선로의 처짐방지장치
KR101713272B1 (ko) * 2016-07-22 2017-03-07 (주)비에스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2369470B1 (ko) * 2021-06-22 2022-03-04 (주)대경기전 특고압 배전가공 전선의 연결애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998B1 (ko)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KR101973768B1 (ko)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US8272883B1 (en)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and system
WO2008145324A3 (de) Hochspannungsschaltanlage
EP0159554B1 (de) Geräteeinbaueinheit für Sockelleisten-Installationskanäle
CN108475859A (zh) 屏蔽式插塞连接装置
US2725541A (en) Bus duct current distribution apparatus
KR10148516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US2641636A (en) Bus duct and plug-in unit
KR101123909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배전반
US3015795A (en) Busway power take-off plug
US2356006A (en) Bus bar supporting clamp
KR101324735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US3431349A (en) Cable terminal enclosure with grounding cross bar
US2783299A (en) Weather-and pressure-tight enclosure for isolated phase bus bar
KR101315495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781116B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KR100952126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1834449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80034266A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KR101391121B1 (ko) 케이블 보호덮개
KR101419492B1 (ko) 케이블 고정구
DE102016010713A1 (de) Kabel-, Geräteeinbau- und Installationskanalsystem
KR200472139Y1 (ko) 전신주 체결밴드에 사용되는 착탈식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