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329B1 -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 Google Patents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329B1
KR101505329B1 KR1020130163987A KR20130163987A KR101505329B1 KR 101505329 B1 KR101505329 B1 KR 101505329B1 KR 1020130163987 A KR1020130163987 A KR 1020130163987A KR 20130163987 A KR20130163987 A KR 20130163987A KR 101505329 B1 KR101505329 B1 KR 10150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ipe
groove
w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장용훈
Original Assignee
서우실업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실업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서우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F16L55/17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the ring, band or sleeve being tightened by a tangentially arranged threaded pin and a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직관 및 곡관부를 비롯하여 플랜지, 압륜부 등에서 누수 발생시 단수를 하지 않고도 즉각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우수한 수밀성능을 나타내도록 설계된 부단수 누수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APPARATUS FOR WATER LEAK PREVENTION WITHOUT WATER OUTAGE}
본 발명은 누수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파이프의 직관 및 곡관부를 비롯하여 플랜지, 압륜부 등에서 누수 발생시 단수를 하지 않고도 즉각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우수한 수밀성능을 나타내도록 설계된 부단수 누수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관을 통해 유체를 이송하는데 있어서, 관로 내에 고압의 유체가 흐르면서 배관의 연결부가 느슨해지거나 고무 패킹의 마모로 인해 유체가 새어 나오게 되며, 심지어 배관의 오랜 사용 기간에 의한 배관의 부식으로도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누수현상은 발생 전 육안점검으로는 발견이 거의 불가능하여 급작스럽게 인지될 수밖에 없으며, 대부분의 주거시설이나 산업시설의 경우 누수 위치 및 누수 양에 따라 추가적인 피해를 동반하게 되므로 즉각적인 보수를 위해서는 단수조치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불가피한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상수도와 같이 다수의 인원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배관에서의 갑작스러운 단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가져와 민원을 발생시키게 되며, 상시 물공급을 필요로 하는 각종 기기를 비롯하여 각종 관로 상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단수조치 없이도 누수상황을 즉시 해결할 수 있는 기구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55415호(2002.11.25. 공고) 및 제0333386호(2003.11.15. 공고)에서는 각각 이음부 커버 및 파이프의 플랜지부 누수차단용 커버체가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선행기술의 경우 설치위치가 플랜지 연결부와 같은 이음부에 국한되어 있으며, 대규격의 파이프에서는 높은 수압에서 견고한 밀폐성능이 구현되기 위해 비교적 큰 중량의 주물로 커버가 이루어져야 하는바, 큰 중량을 갖게 되며 실제 현장에서 사용해본 결과 커버를 2 분할 체결방식으로 파이프에 설치할 경우 대규격의 파이프에서 양 커버를 가압함에 따라 고무재질의 패킹이 밀리거나 접혀 실질적으로 누수를 완전히 막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 발생시 단수를 하지 않고도 즉각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파이프의 직관 및 곡관부를 비롯하여 플랜지, 압륜부 등 다양한 누수부위에 적용가능하며 대규격의 파이프에서도 밀폐성능이 보장되는 부단수 누수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파이프를 감싸 누수를 막는 부단수 누수방지기구에 있어서, 3개가 세트가 되어 3 분할 방식으로 파이프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제1체결공이 형성된 삽입판과, 타단으로 상기 삽입판을 수용하는 형태의 삽입홈과 제2체결공이 형성된 수용판과, 상기 공간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파이프와의 접촉부 및 상기 수용판 내측으로 형성된 패킹홈과,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패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에 직접 접촉하되 상기 공간부 측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사각 단면형상의 제1실링부와, 상기 제1실링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판 내측 패킹홈에 삽입되는 원 단면형상의 제2실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링부 외측과 제2실링부와 제1실링부 내측의 순서로 점차 신축성이 높아지는 다단의 신축구조를 갖는 일체형의 패킹부; 상기 몸체부 외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파이프 표면에 접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승·하강시키는 조작부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부; 상기 관통공 중 선택되는 관통공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관통공 중 상기 밸브가 설치되는 않은 관통공을 막는 플러그;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2실링부의 일부 단면적을 증가시켜 형성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홈은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되 돌기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판은 단부에 상기 파이프의 진행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판은 단부에 상기 지지축의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축이 삽입됨에 따라 힌지처럼 작용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패킹홈의 측면으로 패킹홈과 나란히 형성되는 보조 수용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수용홈에 삽입되는 수팽창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파이프의 어떤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단수를 하지 않고도 즉각적으로 누수를 막는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누수로 인한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규격의 파이프에서도 밀폐성능이 보장되며, 비교적 무거운 중량에도 손쉽게 체결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및 패킹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판 및 수용판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부단수 누수방지기구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파이프(P)의 누수발생부위를 감싸 누수를 막게 되며, 동일한 형태를 갖는 3개의 몸체부(100)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여 3 분할 방식으로 파이프(P)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하 2 분할 방식으로 이루어진 제품의 경우, 상수도 배관과 같이 고압으로 대용량의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각 몸체부의 중량이 수십 ㎏(통상 40㎏ 이상)의 중량을 갖게 되어 설치의 어려움과 고무패킹의 밀림현상으로 틈이 발생하여 원활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각 몸체부(100)가 대규격의 배관 상에 설치되고 고압의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주물로 제작되더라도, 파이프(P) 외주면을 120도씩 3 분할 방식으로 덮도록 이루어져 각 몸체부(100)의 중량을 줄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직관뿐만 아니라 곡관부에도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및 패킹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공간부(110)와 삽입판(120)과 수용판(130)과 패킹홈(140)과 관통공(150)을 구비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에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파이프(P)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부(170)와, 상기 관통공(150)에 삽입되는 밸브(191) 또는 플러그(192)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공간부(1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중앙부 내측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플랜지부나 압륜부를 감싸거나, 새어나오는 유체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삽입판(120) 및 수용판(130)은 3개로 이루어진 각 몸체부(100)가 파이프(P)를 감싸면서 상호 결합하도록 각 몸체부(1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각 몸체부(100)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판(120)에는 제1체결공(131)이, 상기 수용판(130)에는 제2체결공(132)이 각각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한 몸체부의 삽입판이 다른 몸체부의 수용판에 맞닿은 상태로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 볼트를 관통시킨 후 너트를 체결함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몸체부(100)의 중량이 비교적 크고, 정확한 위치로 체결이 되지 않을 경우 상기 패킹부(170)의 위치가 틀어져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용판(130)에 삽입판(120)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의 삽입홈(131)을 형성하여 각 몸체부(100)의 수용판과 삽입판이 정확한 위치로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패킹홈(140)은 상기 패킹부(170)를 삽입하기 위한 홈으로, 상기 공간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파이프(P)와의 접촉부 및 상기 수용판(130) 내측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패킹홈(140)은 파이프(P)와의 접촉부 및 수용판(130) 내측을 연결하는 'ㄷ' 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각 몸체부(100)를 파이프(P)에 체결시 패킹부(170)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삽입판(120) 측에는 패킹홈(140)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관통공(150)은 상기 몸체부(10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0)를 외부와 연통시키게 되며, 상기 몸체부(100)가 파이프(P)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50)에는 선택적으로 밸브(191) 또는 플러그(192)가 설치된다. 즉 3개의 몸체부(100)가 세트를 이루므로 각 몸체부(100)에 하나씩 형성된 관통공(150) 역시 3개가 되므로, 통상 선택되는 하나의 관통공에는 밸브(191)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191)가 설치되는 않은 나머지 두 개의 관통공은 플러그(192)를 통해 막게 된다. 첨부된 도 1 내지 2에서는 관통공(150)에 플러그(192)가, 첨부된 도 3에서는 관통공(150)에 밸브(191)가 설치되는 모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기 몸체부(100)가 파이프(P)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110)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를 외부로 드레인(Drain) 시키거나, 공간부(110) 내측에 누수로 인해 수압이 형성된 경우, 상기 밸브(191)를 개방함으로 내부 압력을 낮추어 몸체부(100)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패킹부(170)는 상기 파이프(P)와 몸체부(10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패킹부(170)가 제1실링부(171)와 제2실링부(174)의 세부적인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실링부(171)는 패킹부(170)가 상기 패킹홈(14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P)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단면이 사각형상을 나타내게 되며 상기 공간부(110) 측으로 오목한 요홈부(172)가 형성된다.
3개의 몸체부(100)를 파이프(P) 상에 설치함에 있어서,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공(131) 및 제2체결공(132)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시 상기 패킹부(170)에는 전체적인 가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킹부(170)의 일부분에 밀림현상이 발생하거나 균일한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공간부(110) 내측에 수압형성시 해당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패킹부(170)에 요홈부(172)를 형성해 줌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패킹부(170)의 형태가 상기 패킹홈(140)을 벗어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로부터 수압이 형성됨에 따라 파이프(P)에 접한 패킹부에 더 많은 압축력이 작용하여 지수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제2실링부(174)는 상기 수용판(130) 내측으로 형성된 패킹홈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실링부(171)와 일체로 형성되되 원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킹부(170)는 상기 제1실링부 외측(171a)과, 제2실링부(174)와, 제1실링부 내측(171b)의 순서로 점차 신축성이 높아지는 다단의 신축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1실링부 내측(171b)의 경도가 가장 낮고, 제1실링부 외측(171a)의 경도가 가장 높으며, 제2실링부(174)는 중간 경도를 갖는 3단의 신축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패킹부(170)의 고무성형 단계에서 각각 다른 경도를 갖도록 재료의 혼합량을 다르게 하여 3차례에 걸쳐 150 내지 160도의 온도에서 성형을 함으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부(170)의 대표적인 재질로는 SBR 수도용 1종 1호의 재질을 사용하게 되며, SBR 원료에 고무용 기름(P-1 OIL)의 혼합량을 늘릴수록 패킹부(170)의 경도가 낮아지고, SBR 원료에 카본(CARBON) 혼합량을 늘릴수록 패킹부(170)의 경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제1실링부 내측(171b)은 상기 파이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경도가 높은 경우 가압 됨에 따라 밀림이나 형태변형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수밀성능을 유지하면서 곡관부에서와 같은 파이프 외경 사이즈에 대한 공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경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 외측(171a)은 상기 패킹홈(140)에 밀착되어 밀림이나 형태변형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실링부(174)는 상기 삽입판(120) 및 수용판(130)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 및 너트의 작용에 의해 직접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며 평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누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중간 경도를 갖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패킹부(170)가 삽입된 몸체부(100)가 파이프(P)의 외측에 접촉하면서 가장 경도가 낮고 신축성이 뛰어난 상기 제1실링부의 내측(171b)이 먼저 가압되면서, 패킹부(170)의 다른 부분이 상기 패킹홈(140) 내측에서 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파이프(P) 표면에 녹과 같은 이세 이물질이 잔존하더라도 경노가 낮은 상기 제1실링부의 내측(171b)이 접하게 되어 높은 지수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킹부(170)가 가압 되어 눌림에 따라 상기 제2실링부(174)에서 미세하게 횡면적 및 길이가 늘어나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2실링부(174)의 일부 단면적을 증가시켜 돌기부(173)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홈(140)에는 상기 돌기부(173)를 수용하되 돌기부(173)의 길이보다 길게 수용부(14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부(173)의 단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수용부(141) 내측에 밀착되므로 상기 패킹부(17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용부(141)를 상기 돌기부(173)보다 조금 길게 형성함으로, 상기 패킹부(170)가 가압 되면서 횡면적 및 길이가 늘어나더라도 상기 수용부(141) 및 돌기부(17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늘어난 체적을 수용함으로 상기 제2실링부(174)의 밀림이나 접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가 파이프(P)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구나 작업자의 신체와 같은 외부의 접촉 또는 충격 및 진동 등으로 상기 몸체부(100)가 파이프(P)를 따라 미세하게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경우 가압 된 상태의 패킹부(170)가 밀거나 접혀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외부의 힘이나 충격 등에도 파이프(P)에 결합된 몸체부(100)를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8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고정부(180)가 케이스(181)와, 패드(182)와, 조작부(183)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케이스(181)는 상기 몸체부(100) 외측에 결합 되어, 상기 패드(182)와 조작부(183)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가능한 상기 몸체부(100)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182)는 상기 케이스(181)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파이프(P) 표면에 접하여 파이프(P)를 가압하는 부분으로, 상기 파이프(P)의 표면과 접촉하여 높은 마찰력을 나타내도록 접촉면에 스파이크를 형성하거나 거칠게 표면 처리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18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패드(182)를 승·하강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케이스(181)를 외측으로 관통하며 내측 단부에 상기 패드(182)가 접하는 볼트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81)의 관통부에 암나사부를 형성함으로 사용자가 볼트를 돌림으로 상기 패드(182)가 파이프(P)를 가압하며 상기 몸체부(100)를 고정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수밀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패킹부(170)에 추가하여 수팽창패킹(193)을 부가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패킹홈(140)의 측면으로 패킹홈(140)과 나란히 형성되는 보조수용홈(16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조수용홈(160)에 수팽창패킹(193)을 삽입하게 된다.
상기 수팽창패킹(193)은 수팽창성의 고분자물질을 원료로 하는 패킹으로 물과 접촉하면 체적이 증가하여 수밀성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를 통해 가령 상기 패킹부(170)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팽창패킹(193)에 물 접촉시 체적 팽창이 이루어져 2차적으로 수밀성능이 구현된다.
상기 보조수용홈(160)은 상기 패킹홈(140)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 6에서는 상기 패킹홈(140)의 외측에 보조수용홈(160)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는 주물로 제작됨으로 상당히 큰 중량을 갖게 된다. 이에 3개의 몸체부(100)를 파이프(P)에 결합시 정확한 위치를 맞춰 상기 제1체결공(131) 및 제2체결공(132)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작업에서 작업자가 몸체부(100)를 일정시간 지지하게 되며,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상당한 피로를 느끼게 함과 동시에 자칫 결합위치가 틀어져 상기 패킹부(170)의 밀림 및 접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되는 삽입판(120) 및 수용판(130)을 임시로 힌지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고 각 몸체부(100)가 정확한 위치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판 및 수용판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삽입판(120) 및 수용판(130)이 일시적으로 힌지 형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삽입판(120)의 단부에 상기 파이프(P)의 진행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축(1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판(130)의 단부에 상기 지지축(122)의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축(122)이 삽입됨에 따라 힌지처럼 작용하는 고리 형상의 지지부(133)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제1체결공(131) 및 제2체결공(132)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 시 먼저 삽입판(120)의 지지축(122)을 대응하는 수용판(130)의 지지부(133)에 결합시켜 삽입판(120)이 형성된 몸체부(100)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힘을 줄이면서 정확한 위치로 삽입판(120)과 수용판(13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100: 몸체부 110: 공간부
120: 삽입판 121: 제1체결공
122: 지지축 130: 수용판
131: 삽입홈 132: 제2체결공
133: 지지부 140: 패킹홈
141: 수용부 150: 관통공
160: 보조수용홈 170: 패킹부
171: 제1실링부 172: 요홈부
173: 돌기부 174: 제2실링부
180: 고정부 181: 케이스
182: 패드 183: 조작부
191: 밸브 192: 플러그
193: 수팽창패킹 P: 파이프

Claims (4)

  1. 파이프(P)를 감싸 누수를 막는 부단수 누수방지기구에 있어서,
    3개가 세트가 되어 3 분할 방식으로 파이프(P)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내측으로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일단으로 제1체결공(131)이 형성된 삽입판(120)과, 타단으로 상기 삽입판(120)을 수용하는 형태의 삽입홈(131)과 제2체결공(132)이 형성된 수용판(130)과, 상기 공간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파이프(P)와의 접촉부 및 상기 수용판(130) 내측으로 형성된 패킹홈(140)과, 상기 공간부(110)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공(150)을 구비하는 몸체부(100);
    상기 패킹홈(140)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P)에 직접 접촉하되 상기 공간부(110) 측으로 요홈부(172)가 형성된 사각 단면형상의 제1실링부(171)와, 상기 제1실링부(17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판(130) 내측 패킹홈에 삽입되는 원 단면형상의 제2실링부(17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링부 외측(171a)과 제2실링부(174)와 제1실링부 내측(171b)의 순서로 점차 신축성이 높아지도록 재료의 혼합량을 달리하여 복수의 성형공정을 걸쳐 제작되는 일체형의 패킹부(170);
    상기 몸체부(100) 외측에 고정되는 케이스(181)와, 상기 케이스(181)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파이프(P) 표면에 접하는 패드(182)와, 상기 패드(182)를 승·하강시키는 조작부(183)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부(180);
    상기 관통공(150) 중 선택되는 관통공에 설치되는 밸브(191);
    상기 관통공(150) 중 상기 밸브(191)가 설치되는 않은 관통공을 막는 플러그(19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170)는 상기 제2실링부(174)의 일부 단면적을 증가시켜 형성한 돌기부(17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홈(140)은 상기 돌기부(173)를 수용하되 돌기부(17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용부(1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120)은 단부에 상기 파이프(P)의 진행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축(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판(130)은 단부에 상기 지지축(122)의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축(122)이 삽입됨에 따라 힌지처럼 작용하는 지지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패킹홈(140)의 측면으로 패킹홈(140)과 나란히 형성되는 보조수용홈(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수용홈(160)에 삽입되는 수팽창패킹(19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KR1020130163987A 2013-12-26 2013-12-26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KR10150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87A KR101505329B1 (ko) 2013-12-26 2013-12-26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87A KR101505329B1 (ko) 2013-12-26 2013-12-26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329B1 true KR101505329B1 (ko) 2015-03-23

Family

ID=5302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87A KR101505329B1 (ko) 2013-12-26 2013-12-26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3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4655A (zh) * 2018-12-21 2019-03-01 上海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 低温液化车用燃料罐车操作箱截止阀与管道连接堵漏弯头
JP2019157890A (ja) * 2018-03-07 2019-09-19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管接続部の離脱防止構造
KR102352798B1 (ko) 2021-10-18 2022-01-18 서우실업 주식회사 패킹 밀림방지 구조를 갖는 누수 방지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032A (ko) * 1993-02-18 1994-09-15 와다 고지 보수용 파이프 커플링
KR20110061233A (ko) * 2009-12-01 2011-06-09 진원개발 주식회사 부단수 활정자관
KR20120002285A (ko) * 2010-06-30 2012-01-05 지원건설(주)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98088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성원테크 고압 유압배관의 연결부보수용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032A (ko) * 1993-02-18 1994-09-15 와다 고지 보수용 파이프 커플링
KR20110061233A (ko) * 2009-12-01 2011-06-09 진원개발 주식회사 부단수 활정자관
KR20120002285A (ko) * 2010-06-30 2012-01-05 지원건설(주)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98088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성원테크 고압 유압배관의 연결부보수용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7890A (ja) * 2018-03-07 2019-09-19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管接続部の離脱防止構造
CN109404655A (zh) * 2018-12-21 2019-03-01 上海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 低温液化车用燃料罐车操作箱截止阀与管道连接堵漏弯头
KR102352798B1 (ko) 2021-10-18 2022-01-18 서우실업 주식회사 패킹 밀림방지 구조를 갖는 누수 방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329B1 (ko) 부단수 누수방지기구
KR100692102B1 (ko)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KR101424730B1 (ko) 호스밴드를 이용한 배관의 부분 보수장치
US4194721A (en) Plumbing test fitting
AU2018274852A1 (en) Expanding gate valve assembly with pressure equalization system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102352798B1 (ko) 패킹 밀림방지 구조를 갖는 누수 방지기구
US1926422A (en) Pipe joint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KR20100135637A (ko) 관 연결장치
JP7321527B2 (ja) 流体機器用撤去治具
KR102000733B1 (ko) 조임력이 변경되더라도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KR20100066734A (ko) 관 보수 장치
KR102215052B1 (ko) 강화된 조임력을 부여할 수 있는 배관용 연결 이음장치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US20050205134A1 (en) Valve housing, cover, seal and method
JP3658161B2 (ja) 水道管の止水栓
KR102475769B1 (ko) 유니언 너트를 보호하는 클램프
CN213839945U (zh) 一种便于更换的耐磨型法兰头
KR200399106Y1 (ko) 무빙시트를 가진 버터플라이밸브의 누수차단장치
KR20150137820A (ko) 밸브를 포함한 관로보수 장치
KR100576992B1 (ko) 상수도 보수관과 가지밸브간의 연결 및 밀폐장치
KR200273458Y1 (ko) 볼밸브의 누수차단장치
KR200339759Y1 (ko) 파형강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