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181B1 - Pot combined with water tank - Google Patents

Pot combined with water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181B1
KR101505181B1 KR1020130035931A KR20130035931A KR101505181B1 KR 101505181 B1 KR101505181 B1 KR 101505181B1 KR 1020130035931 A KR1020130035931 A KR 1020130035931A KR 20130035931 A KR20130035931 A KR 20130035931A KR 101505181 B1 KR101505181 B1 KR 10150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water
water tank
pla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0424A (en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3003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181B1/en
Publication of KR20140120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4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및 좌/우 중 선택되는 연속 배열을 통해 벽면의 일부 또는 선택적 영역에 대해 녹지를 조성시키는 화분으로서, 식물이 재배되고, 전면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 확장구조를 가지며, 내부 오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수부가 구비된 식재부; 상기 식재부 후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정수가 채워지는 수조; 상기 수조에 마련되어 수위를 제한하고 넘치는 정수를 배출시키거나, 하향 급수시키는 오버플로(overflow); 및 일단이 상기 수조에 침지되고, 타단은 상기 식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의 정수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식재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수부재;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은 수조와 식재부가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따라서 경제적 부담은 줄이고 제품의 생산력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식재부로 공급되므로, 식물로의 안정적 수분공급이 가능하고, 따라서 식물의 건식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은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공급이 이원화되어, 오수와 정수의 혼입을 방지하고, 오수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여 식물이 오염은 물론,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식물을 안정적 생육환경과 쾌적한 녹지를 조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which constitutes greenery for a part of the wall surface or a selective area through a continuous arrangement selected from top / bottom and left / right, wherein the plant is grow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has a projecting and extending structure, A pla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drainage portion for leading the discharge of wastewater; A water tank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and filled with purified water; An overflow which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limit the water level and to discharge the overflowing water, or to supply the downflow water; And at least one absorptive member for allowing the one end to be immersed in the water tank and the other end to be disposed in the planting portion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ing portion through capillary phenomenon.
Such a foot can be mass produced because the water tank and the foodstuff are made of a single synthetic resin, so that the economic burden can be reduced,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nd the water in the tank can be supplied to the foodstuff by capillary phenomen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wastewater and purified water by the discharge of wastewater and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to prevent the rapid discharge of waste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the pollution of the plants but also the offensive odor from occurring, thereby providing a stable growth environment and a pleasant greenery for the plants.

Description

수조 일체형 화분{Pot combined with water tank}{Pot combined with water tank}

본 발명은 수조와 식생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 및 좌/우 중 선택되는 연속 배열을 통해 벽면의 일부 또는 선택적 영역에 대해 벽면녹화를 조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공급이 이원화되어, 안정적 수분 공급은 물론, 오수에 의한 식물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격벽을 통해 화분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거나, 절단 시, 격벽을 이용한 마감이 가능한 수조 일체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integrally formed of a water tank and a vegetation part, and more specifically, a wall surface can be formed for a part of a wall surface or a selective area through a continuous arrangement selected from up / down and left / In addition, the discharge of sewage water and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are biased to not only provide stable water supply but also to prevent plant pollution by sewage, and to selectively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pollen through the partition w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integral pot capable of finishing.

일반적으로 화분은 각 가정 내지는 사무공간 등에서 기능적 내지는 심리적 안정을 위해 식물을 심어 가꾸거나, 주변 경관 및 행사장을 돋보이기 위한 조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pollen is used for planting and cultivating plants for functional or psychological stability in each home or office space, or as a landscape garden for enhancing surrounding scenery and event sites.

이러한 화분은 통상 지면에 세워 식물을 가꾸거나, 또는 벽면 및 난간 등에 미리 설치된 구조물에 거치함으로써, 가정 내지는 도심에서 최소한의 녹지를 조성시키기 위한 것이다.Such pollen is ordinarily placed on the ground to plant the plant, or to put on a structure preliminarily installed on the wall and railings, so as to form a minimum green area in the home or in the city center.

그러나 종래의 화분은 식물에 수분을 주기적으로 공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수분 공급의 주기가 어긋날 경우, 수분 부족으로 인한 건조피해 내지는 과잉 공급에 의한 과습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llen has the problem of periodically supplying water to plants, and when the cycle of water supply is out of order, there is a problem that moisture damage due to dry damage or over supply due to lack of water occurs.

따라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때는 일정 주기로 공급하되, 적당량의 공급량에 대해서도 적당량의 수분을 일정 주기로 공급해야만 한다.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to plants, it is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must be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for an appropriate amount of supply.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국민 등록특허 제10-0851822호(자연석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화분)가 있는데, 이는 화분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수분 공급이 모세관 현상의 원리를 통해 이루어져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51822 (flower pot for building outer wall using natural stone) has a space part for receiving water in a flowerpo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growth environment of the plant.

그러나 종래의 화분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미감을 형성하면서, 식물에 수분공급이 원활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기는 하나, 자연석의 가공이 어렵고, 화분으로의 적절한 용도와 내구성을 갖춘 석재를 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연석을 이용하므로, 화분 제작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배제할 수 없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tone with proper use and durability as pollen, although it is explained that the conventional pollen is advantageous to supply water to the plant while form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eauty by using natural stone In addition, since natural stones are used, the economic burden of producing pollen can not be excluded.

또한, 공간부를 통해 물을 수용한다고는 하나, 일정 간격을 두고 수용부에 물을 수동적으로 채워야할 뿐만 아니라, 내부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water is received through the space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passively fill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lso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therein.

그리고 자연석을 이용한 화분은 색상 내지는 무늬가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어 복수의 화분을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할 경우, 통일감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전체적 미감이 저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pots are arranged in series or in parallel, the sense of unity can not be achieved, and the overall aesthetics may be hindered because the colors or patterns of the pots using natural sto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자연석을 이용한 화분은 설치되는 벽면(예를 들어, 대리석, 드라이비트(dry vit), 콘크리트 및 목재 등)의 재질에 따라 전체적 미감을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That is, the pollen using a natural stone has a limitation in its application because it can hinder the overall aesthetic effect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installed wall (for example, marble, dry vit, concrete, wood, etc.).

따라서, 가공이 용이하면서, 설치되는 벽면 내지는 그 주변과의 조화는 물론, 다양한 식물(등반형 내지는 하수형 등)에 대한 식재가 가능하면서, 식물로의 수분공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좌/우 내지는 상/하로의 연속 설치가 용이한 화분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plant the plant, such as the climbing-type or the sewage-type, not only in harmony with the wall surface or the periphery thereof, It is inevitable to develop a flower pot which can be easily and continuously installed up and dow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와 식재부가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따라서 경제적 부담은 줄이고 제품의 생산력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ank and a planting material which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can be ma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ank integral flower pot which can be used as a po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조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식재부로 공급되므로, 식물로의 안정적 수분공급이 가능하고, 따라서 식물의 건식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l flower pot which can supply stable water to a plant and thus prevent dry damage of the plant because the water of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planting part by the capillary phenomen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공급이 이원화되어, 오수와 정수의 혼입을 방지하고, 오수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여 식물의 오염은 물론,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과 쾌적한 녹지를 조성시킬 수 있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plants and odors by preventing the mixing of wastewater and purified water, And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l flower pot capable of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for growth and a pleasant green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조에 오버플로가 마련되어, 내부 수위를 제한하면서, 넘치는 정수가 하부로 연결되는 다른 수조로 공급되는 하향급수구조로 이루어져 원활한 수분공급이 가능한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l flowerpot which is provided with an overflow in a water tank and has a downward water supply structure which is supplied to another water tank with an overflowing water purified while limiting the internal water level,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부를 통해 벽면으로의 화분 설치가 용이하고 따라서, 건물의 실내는 물론 외벽 전체 내지는 일부에 대한 벽면 녹화가 가능한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erpot-integrated flowerpot which is easy to install pollen on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installation part and thus can wall-paint the entire inside wall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entire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메시(mesh)를 통해 등반형 식물의 줄기는 물론, 관목 및 수확 가능한 농작물에 대한 지지가 가능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ted type which can support a stem of a climbing plant as well as a shrub and a crop that can be harvested through a flower pot and a removable mesh, It is to provide po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에 메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덩굴형 식생의 경우 메시를 통하여 성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적어도 식물과 메시가 결합된 상태에서 토양으로의 이식이 용이하여, 식물의 재배 및 증식에 따른 환경적 제약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growing a plant through a mesh in the case of, for example, a vine veget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pot of water tanks that can avoid environmental constraints caused by cultivation and propagation of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을 상/하 연속 배열 시, 그 사이에 연결유닛을 더 배치하여, 상/하 화분의 적층된 결합상태를 보강하고, 오수 내지는 정수에 대한 공급 및 배출을 유도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posing pots in an up / down arrangement, further comprising connecting units therebetween to reinforce the stacked state of the upper / lower pots and induce supply / And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l po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조 및 식재부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서로 다른 식물에 대한 식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에 따라 화분을 절단하더라도, 격벽을 통해 절단된 일면의 폐쇄가 용이한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ank and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planting portion so as to be detachable so that planting of different plants is possible and even if the pot is cu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Which can be easily cl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반형 줄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실내 창가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하여 블라인드(blind)와 같은 자외선 차단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l flowerpot which can be used as an ultraviolet shielding tool such as a blind by installing pots planted with climbing stem plants at the upper or lower end of an indoor window.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재부의 전면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 확장된 구조로서, 식물의 성장에 대응하는 공간을 조성하고, 적어도 확장된 전면이 리브(rib)구조로 이루어져 토압 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front surface of a planting portion is protruded and extended forwardly and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of plants is created and at least an extended front surface is formed by a rib structure, And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l flower pot which can minimize break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을 이용한 벽면 녹화를 통해 광합성작용에 의해 CO2를 절감할 수 있고, 건물 주변의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식물과 토양이 태양열을 차단하는 등 단열효과를 지니고 있어, 냉방부하의 감소는 물론, 나아가 도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capable of reducing CO 2 by photosynthesis through wall veneering using pollen, mitigating heat island phenomenon around a building, and insulating effect such as plants and soil blocking solar heat To provide a water tank integral flower pot which can improve not only the cooling load but also the urban beau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및 좌/우 중 선택되는 연속 배열을 통해 벽면의 일부 또는 선택적 영역에 대해 녹지를 조성시키는 화분으로서, 식물이 재배되고, 전면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 확장구조를 가지며, 내부 오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수부가 구비된 식재부; 상기 식재부 후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정수가 채워지는 수조; 상기 수조에 마련되어 수위를 제한하고 넘치는 정수를 배출시키거나, 하향 급수시키는 오버플로(overflow); 및 일단이 상기 수조에 침지되고, 타단은 상기 식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의 정수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식재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수부재;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wer pot for greening a part of a wall surface or a selective area through a continuous array selected from top / bottom and left / right, A planting portion having a protruding expansion structure and having a drainage portion for inducing discharge of the internal wastewater; A water tank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and filled with purified water; An overflow which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limit the water level and to discharge the overflowing water, or to supply the downflow water; And at least one absorptive member for allowing the one end to be immersed in the water tank and the other end to be disposed in the planting portion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ing portion through capillary phenomenon.

상기 화분은, 양측에 서로 대응하는 자웅의 형태로 마련되어, 좌/우 연속된 연결을 가이드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le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in mutually corresponding morphology to guide the left / right continuous connection.

상기 화분은, 벽면으로의 고정 및 설치 가능하도록, 배면 어느 일면에 마련된 설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le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rear surfaces so that the pollen can be fixed and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상기 설치부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화분을 고정하는 브래킷이거나, 벽면에 미리 준비된 설치구와 자웅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홀 또는 고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is a bracket for fixing the flowerpot through a fastening means or a hole or a ring shape having a joining structure of an installation portion and a male portion prepared in advance on the wall surface.

상기 화분은, 내부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cell) 단위로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기 위한 화분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le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pollen bulkhead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at least one or more cells or closing one end opened by cutting.

상기 화분격벽은, 상기 식재부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재부격벽; 및 상기 수조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고, 상기 식재부격벽과 동일선상에 마련된 수조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planting compartment wall for selectively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planting section or closing one end opened by cutting; And a water tank partition wall which is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plant partition wall, and which selectively closes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tank, closes one end opened by cutting, and the like.

상기 절단은, 상기 화분의 양단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화분절단부;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화분절단부는, 음각, 양각 및 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utting is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flower cut portion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flower pot, and the flower cut portion is any one of a negative angle, a relief, and a line.

상기 화분격벽은, 상기 화분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화분 절단면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len partition wall is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ollen cut section with the pollen cut section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pollen cut face.

상기 화분격벽은, 상기 화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화분 내부에 마련된 화분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llen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llen or is detachably installed through a pollen guide provided in the pollen.

상기 식재부와 수조는, 내부 화분격막을 통해 서로 영역이 구획된 일체형인 것이며, 상기 화분격막에는 상기 흡수부재의 유동적 움직임을 제한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lanting portion and the water tank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an inner potting diaphragm, and the potting diaphragm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 restricting fluid movement of the absorbing member.

상기 화분은, 네트(net) 형태의 메시(mesh)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는, 상기 화분격막에 마련된 메시 고정홈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len may further include a mesh in the form of a net, and the mesh is preferably detachably fastened through a mesh fixing groove provided in the pollen diaphragm.

상기 거치부는, 상기 흡수부재의 양단 사이 어느 일면이 안착되는 음각의 홈이거나, 홀 형태로서, 상기 흡수부재의 유동적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is a recessed groove or a hole shape in which one sid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absorbing member is seated and restricts the fluid movement of the absorbing member.

상기 배수부는, 상기 식재부 밑면에 마련되어 내부 오수의 고임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 및 상기 식재부에 마련된 수직의 관체로서, 상기 화분이 상/하 연속 배치될 경우, 상부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유입되고, 외부 오수관을 통해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drain hol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to prevent the internal sewage from sticking; And at least one water pipe for introducing sewage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rain hole and inducing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an external sewer pipe when the flower pot is arranged up and down continuously; .

상기 화분이 상/하 연속된 배열을 이룰 때, 상기 각 화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의 상/하 결합상태를 보강하고,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하향 급수를 유도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a connection unit installed between the respective pots to reinforce the top / bottom engagement state of the pots when the pots are arranged up / down, and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wastewater and the downward supply of purified water .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화분 저면에 마련된 공간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 상기 화분의 개방된 상부 내측으로 안착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안착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onnection unit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space par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ot;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hat is seated inside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pollen;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fix the seating stat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상기 연결유닛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서, 상기 식재부와 대응하고, 상기 배수홀 배출되는 오수가 집수되는 제1영역; 상기 수조와 대응하고, 상기 오버플로를 통해 유입된 정수가 집수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유닛격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onnection unit includes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anting portion and having a top surface opened,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tank and collect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overflow; And a unit diaphragm that separates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each other.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배수관과 마주하는 제1베이스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집수된 오수를 하부에 배치된 다른 배수관으로 하향 배수시키거나, 외부 오수관이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는, 오수의 흐름이 상기 배출관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And a drain pip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facing the drain pipe to discharge the wastewater collected through the drain pipe downward to another drain pip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r to connect the external drain pipe, Preferably, the first base is inclined about the discharge pipe so that the flow of the wastewater is directed to the discharge pipe.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오버플로와 마주하는 일면으로부터 벗어난 제2베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오버플로를 통해 집수된 정수를 하부에 배치된 다른 수조로 하향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는, 정수의 흐름이 상기 공급관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공급관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supply pipe provided on a second base deviated from one face opposite to the overflow for feeding down the purified water collected through the overflow to another water tank disposed below, Preferably, the base is inclined about the supply pipe so that the flow of the purified water is directed to the supply pipe.

상기 연결유닛은, 양단 사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한 개방면을 폐쇄하는 유닛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ne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unit barrier wall partition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tween both ends, or closing an open face by cutting.

상기 절단은, 상기 연결유닛의 양단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절단부;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유닛절단부는, 음각, 양각 및 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utting is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unit cut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unit, and the unit cutting portion is preferably any one of a negative angle, a relief, and a line.

상기 유닛격벽은, 상기 유닛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연결유닛 절단면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barrier ribs are provi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unit cut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cut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상기 유닛격벽은, 상기 연결유닛에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마련된 유닛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unit or is detachably installed through a unit guide provided therein.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은 수조와 식재부가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따라서 경제적 부담은 줄이고 제품의 생산력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water tank and the planting part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can be mass-produced,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수조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식재부로 공급되므로, 식물로의 안정적 수분공급이 가능하고, 따라서 식물의 건식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water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planting portion by the capillary phenomenon, stable water supply to the plant is possible, and thus dry damage of the plan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공급이 이원화되어, 오수와 정수의 혼입을 방지하고, 오수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여 식물의 오염은 물론,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과 쾌적한 녹지를 조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plants and odors from occurring by preventing the mixing of wastewater and purified water, There is an effect that green space can be formed.

본 발명은 수조에 오버플로가 마련되어, 내부 수위를 제한하면서, 넘치는 정수가 하부로 연결되는 다른 수조로 공급되는 하향급수구조로 이루어져 원활한 수분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smooth water supply because the overflow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and the down water supply structure is provided to the other water tank where the overflow w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water tank while limiting the internal water lev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부를 통해 벽면으로의 화분 설치가 용이하고 따라서, 건물의 실내는 물론 외벽 전체 내지는 일부에 대한 벽면 녹화가 가능한 수조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erpot-integrated flowerpot which is easy to install pollen on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installation part and thus can wall-paint the entire inside wall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entire wall.

본 발명은 화분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메시(mesh)를 통해 등반형 식물의 줄기는 물론, 관목 및 수확 가능한 농작물에 대한 지지가 가능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table growth environment of a plant by supporting the stem of a climbing plant as well as a shrub and a crop that can be harvested through a flower pot and a detachable mesh.

본 발명은 화분에 메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덩굴형 식생의 경우 메시를 통하여 성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적어도 식물과 메시가 결합된 상태에서 토양으로의 이식이 용이하여, 식물의 재배 및 증식에 따른 환경적 제약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mesh can be fixed to the polle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vine vegetation, the plant is allowed to grow through the mesh, and at the same time, the plant is easily transplanted into the soil in the state where the plant and the mesh are bonded, It is possible to avoid an environmental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화분을 상/하 연속 배열 시, 그 사이에 연결유닛을 더 배치하여, 상/하 화분의 적층된 결합상태를 보강하고, 오수 내지는 정수에 대한 공급 및 배출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rranging further connecting units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pots to arrange the tops and bottoms of the pots in order to reinforce the laminated bonding state of the tops and bottoms and to supply and discharge the wastewater or the purified water.

본 발명은 수조 및 식재부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서로 다른 식물에 대한 식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에 따라 화분을 절단하더라도, 격벽을 통해 절단된 일면의 폐쇄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tion wall separating a water tank and an inner space of a planting portion is detachably installed to enable planting of different plants, and even if pollen is cu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은 등반형 줄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실내 창가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하여 블라인드(blind)와 같은 자외선 차단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flower pot planted with a climbing stem plant can be installed at the upper or lower end of an indoor window to be used as an ultraviolet shielding tool such as a blind.

본 발명은 식재부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 확장된 구조로서, 식물의 성장에 대응하는 공간을 조성하고, 적어도 확장된 전면이 리브(rib)구조로 이루어져 토압 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front surface of a planting portion is protruded and extended forward, and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of a plant is formed, and at least an extended front surface is formed of a rib structure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earth pressure or external impa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본 발명은 화분을 이용한 벽면 녹화를 통해 광합성작용에 의해 CO2를 절감할 수 있고, 건물 주변의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식물과 토양이 태양열을 차단하는 등 단열효과를 지니고 있어, 냉방부하의 감소는 물론, 나아가 도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CO2 by photosynthesis action through wall pollen screening, can mitigate heat island phenomenon around a building, and has insulation effect such as blocking solar heat by plants and soil,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city as well as reduction of the cit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 투영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 투영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플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와 오버플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에 의한 배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1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에 의한 정수의 하향 공급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2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설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화분의 다른 설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poll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s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lan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s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water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ver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rainage section and an overf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rrier rib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oll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irs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state by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econ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wnward supply of purified water by a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po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poll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installation of poll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조 일체형 화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water tank integral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화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pollen.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은 도 14와 같이 상/하 및 좌우로의 선택적 배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분(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cell) 단위로의 절단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4, the pollen pot 100 can be selectively arrang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14, and the pollen pot 100 can be cut into at least one or more cells.

이때, 화분(100)은 식재부(110)와 수조(1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작방식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적 부담과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출가공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llen (100) is formed by integrating the planting part (110) and the water tank (120),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production metho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ss produce, It is highly desirable to be an injection process.

이러한 화분(100)은 설치장소 내지는 그 영역에 따라 화분의 선택적 길이 조절은 물론, 적어도 하나 이상 셀 단위로의 절단이 요구될 경우, 절단이 용이하도록 양단 사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절단부(101)가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The pollen (100) has at least one or more pollen cutting portions (101) between both ends for facilitating the cutting, when cutting at least one cell unit is required, as well as the selective length adjustment of polle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lace or its area .

화분절단부(101)는 설치 환경에 따라 요하는 화분(100)의 각도 등의 절단 위치를 표시하여 설치환경에 대응되게 화분(1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표시된 것이다.The pollen cutting unit 101 displays cutting positions such as the angle of the pollen 100 requir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is displayed so as to adjust the size of the pollen 100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또한, 화분절단부(10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의 생산과정(예를 들어, 사출제작 시)에 미리 표시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화분(100)에 즉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The pollen cutter 101 may also be displayed beforehand in the production process (e.g.,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pollen 100 as shown in FIG. 2A, or may be displayed on the pollen 100 on the spot .

이러한, 화분절단부(101)는 음각, 양각 및 절단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절단 가능한 음각의 홈(예를 들어, 칼집)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때, 절단된 화분(100)의 일면은 도 8과 같이 화분격벽(130)을 통해 폐쇄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tting section 101 is any one of an engraved, embossed, and a cut line,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engraved potting section 101 is a grooved engraved (for example, a sheath) that can be cut without using a tool.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ut pollen 100 is closed through the pollen partition wall 130 as shown in FIG. 8,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stitution.

또한, 화분(100)은 도 2b와 같이 좌/우 연속 배열 가능하도록 양측에 자웅의 연결부재(102)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ollen pot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male connection members 102 on both sides so that the pollen 100 can be continuously arrange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2B.

연결부재(102)는 화분(100)의 일 측면에 마련된 음각(102-1)과, 타 측면에 마련된 음각(102-1)에 대응하는 양각(102-2)의 형태로 존재한다.The connecting member 102 is present in the form of a relief 102-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llen 100 and a relief 102-2 corresponding to the relief 102-1 provided on the other side.

즉, 두 개의 화분(100)을 좌/우 연결할 때, 서로 마주하는 면과 면의 위치가 일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여, 통일된 배열은 물론, 안정된 설치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two pollen pot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guid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facing surfaces and the surfaces thereof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uniform installation as well as a stable installation environment.

이때, 연결부재(102)는 도시된 일례와 같이 동일 제품에 한하여 음/양각의 위치가 서로 대칭되게 적용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member 102 is appli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negative / positive angle for the same product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한편, 연결부재(102)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자웅체로서, 서로 접하는 면과 면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자웅의 단추, 벨크로 및 슬라이드 결합구조 등)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설치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member 102 may be a structure (for example, a button of a male, a velcro, a slide coupling structure, or the like) capable of detachably coupling a surface and a surface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Which is preferably applied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또한, 화분(100)은 자중, 토압 및 수압 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내지는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리브(rib)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llen pot 100 preferably has a rib structure to minimize damage or deformation due to its own weight, earth pressure, water pressure or external impact.

여기서, 리브구조는 일부 내지는 전체 두께를 키우거나, 또는 연속된 굴절에 의해 생성되거나, 보강살이거나, 재질이 다른 보강재(예를 들어, 금속, 목재 및 합성수지 등)를 덧붙여 보강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화분(100) 제작시(예를 들어 사출) 인서트 사출에 의해 보강재를 내장시키는 등 통상의 방식으로부터 도출 가능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rib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r whole thickness is increased, or a reinforcement material (for example, metal, wood, synthetic resin, etc.) Or a structure in which a stiffener is built in at least when the pot 100 is manufactured (for example, injection) by insert injection,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화분(100)은 화분(100)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부(10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pollen pot 100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part 105 for fixing the pollen pot 100 to a wall surfac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105)는 벽면과 마주하는 수조(120)의 후면에 마련되어 화분(100)을 이용한 벽면녹화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unting part 10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tub 120 facing the wall surface to facilitate the wall surface recording using the pollen 100.

이러한 설치부(10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미리 설치된 설치구(F)와 걸림 구조를 갖는 고리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ortion 105 may be in the form of an annulus having an attachment hole F and an engagement structure previously provided on a wall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 일례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조(120)의 후면에 천공홀이 형성되어, 앵커 등의 체결수단을 통한 설치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통상적 고정방식 예를 들어, 화분(100)의 상/하 및 좌/에 돌출 형성되는 브래킷과 스크루 내지는 못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erfora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tub 120 and may be installed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n anchor. In addition, And may be fixed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or a nail and a bracket projecting to the left / right.

한편, 화분(100)은 주로 등반형 줄기식물에 대한 식재 및 재배가 용이하게 식물 줄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net) 형태의 메시(mssh)(200)가 더 설치되는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4, the netting (mssh) 200 is further installed to support the plant stem so that planting and planting of the climbing stems can be easily supported by the pots 1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s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200)는 화분(100)과 메시 체결돌기(210)가 메시 고정홈(220)에 슬라이드 결합하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메시 고정홈(220)은 식재부(110)의 일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중 화분격막(103)에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As shown, the mesh 2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mesh fixing groove 22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ollen 100 and the mesh fastening protrusion 2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sh fixing grooves 220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110,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esh fixing grooves 220 are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in the pollen diaphragm 103.

이러한 메시(200)는 주로 등반형 줄기식물에 대한 식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는 관목 내지는 고추, 토마토 및 가지 등과 같이 수확 가능한 농작물의 줄기 또는 가지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Such mesh 200 is primarily intended to facilitate planting on climbing stem pla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esh 200 may be used to fix stem or branches of harvestable crops such as shrubs, peppers, tomatoes,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즉, 과실에 대한 하중을 지탱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별도 전용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메시(200)만으로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정은 물론, 사무공간과 생활학습의 일환으로 유치원 등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using it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ad on fruit, it is possible not only to securely fix the mesh 200 only by itself, but also to the home, as well as office space, It can also be used to cultivate crops.

한편, 화분(100)은 녹화 이전에 메시(200)를 이용한 덩굴식물 등의 재배에서도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하여, 식물을 어느 정도 성장시킨 후, 녹화가 필요한 장소에 그대로 이식할 수 있어, 신속한 녹화조성은 물론, 식물의 손상 및 기존 식물의 이식에 따른 부조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미려한 조경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pollen 100 provides a stable growth environment even in the cultivation of the vine plants using the mesh 200 prior to the greening, so that the plants can be transplanted intact at a place where the greening is necessary after the plants are grown to some ext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plant and the inconsistency due to the transfer of the existing plant, as well as the composition, so that the landscape can be more beautiful than the conventional one.

또한, 메시(200)는 건물의 내/외 벽면에 녹지를 조성할 경우, 넓을 면적에 대한 녹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분(100)에 대한 설치빈도를 줄여 경제적 녹지조성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green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e mesh 200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record on a large area, and the installation frequency for the flowerpot 100 is reduced, .

상기 구조의 화분(100)은 크게 식재부(110), 수조(120), 수조(120)의 수위를 제한하는 오버플로(overflow)(121) 및 수조(120)의 정수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식재부(110)로 공급되도록 하는 흡수부재(170)를 포함하며, 식재부(110)와 수조(120)는 내부 화분격막(103)을 통해 서로 영역이 구획된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pollen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a large part by the planting part 110, the water tank 120, the overflow 121 for limi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ting portion 110 and the water tub 120 are integral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ner potting diaphragm 1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 투영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lan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부(110)는 식물성장에 대응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면이 단계적 내지는 일부가 전면으로 돌출된 확장부(111) 및 내부 우수의 고임 방지하여 오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lanting unit 110 includes an enlarged portion 111 whose front surface is stepped or partly protruded in the foreground so as to provide a space corresponding to plant growth, And a drainage section (113).

확장부(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어 식물 성장에 대응하는 형태인 것이며, 상면 일부가 사면을 이루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nsion part 111 protrudes in a round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rrespond to plant growth, and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upper part forms a slope.

이때, 사면은 특히,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기식물일 경우, 화분(100)의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을 통해 줄기식물의 하향성장을 유도하여 더욱 자연스러운 벽면녹화를 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slope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pollen 100, as well as induce the downward growth of the stem plants through the slope in the case of a stem plant, as shown in FIG. 16,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배수부(113)는 식재부(110) 밑면에 마련되어 내부 오수의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115)과, 식재부(110)에 마련된 수직의 관체로서, 도 16 내지 18과 같이 화분이 상/하 연속 배치될 경우, 상부 배수홀(115)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유입과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ainage section 11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section 110 and includes at least one drainage hole 115 and a vertical pipe body provided in the planting section 110 so that the internal sewage can be quickly discharged. And at least one drain pipe (117) for introducing the wastewate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rain hole (115) and discharging the wastewater to the outside when the pollen is continuously arranged up / down.

배수홀(115)은 식재부(110) 밑면 각 요소에 배치되어 식재부(110) 내부 오수의 신속한 배출과, 식물 오염은 물론,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과 쾌적한 녹지를 조성시킬 수 있다.The drain hole 115 is disposed in each element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planting portion 110 to rapidly discharge the sewage in the planting portion 110 an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odors as well as the contamination of plants, .

배수관(117)은 도 5의 A-A을 기준한 단면도인 도 6과 같이 식재부(110)를 관통하는 관체로서,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이 상/하 연속배치될 경우, 상부에 배치된 식재부(110)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유입되는 관체인 것이며, 이러한 관체는 원형의 파이프이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사각의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적어도 파이프 형태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부(110)의 일면을 이루는 화분격막(103)에 밀착된 형태이거나, 일체의 구조로 존재할 수도 있다.6,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the drain pipe 117 is a pipe passing through the planting portion 110. When the pollen is continuously arrang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S. 16 to 18, The tubular body may be a circular pipe or a square pipe as shown in FIG. 9, and at least in the form of a pipe, as shown in FIG. 9, O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llen diaphragm 103 constituting one surface of the part 110, or may exist in an integral structure.

한편, 식재부(110)에는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수조(120)의 정수가 식재부(110)로 공급되도록 흡수부재(17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흡수부재(170)는 일단이 수조(120)에 침지되고 타단은 식재부(11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모세관 현상을 통해 수조(120)의 정수가 식재부(110)로 공급되는 것이다.The absorbent member 170 is disposed in the food preparation unit 110 such that the purified water of the water tank 120 is supplied to the food preparation unit 110 through the capillary phenomenon. And the other end of the water tub 120 is disposed inside the planting unit 110 so that the purified water of the water tub 120 is supplied to the planting unit 110 through the capillary phenomenon.

이때, 흡수부재(170)는 식재부(110)와 수조(120)를 경계하는 화분격막(103)에 지지되되, 유동적 움직임을 제한하여 안정적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의 홈 형태이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홀 형태의 거치부(104)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bsorptive member 170 is supported on the pollen diaphragm 103, which is bounded by the planting section 110 and the water tub 120, and is shaped like a depressed groove as shown in FIG. Or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be seated in the hole-shaped mounting portion 104.

한편, 흡수부재(170)의 일단이 침지된 수조(12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tank 120 in which one end of the absorbing member 170 is immer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 투영도이다.FIG. 7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water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20)는 함체형태로서, 내부에 수조(120)의 수위를 제한하여, 정수가 과잉공급될 경우에도, 정수가 식재부(110)로의 월류를 방지하는 오버플로(121)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tank 120 is an enclosure type,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120 is limited within the water tank 120 so that even when the purified water is excessively supplied, the overflow 121, which prevents the overflow to the planting portion 110, .

이러한 오버플로(121)는 도 7의 B-B를 기준한 단면도인 도 8과 같이 수조(120)를 관통하는 관체인 것이며, 개방된 상단의 높이는 적어도 화분격막(103)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overflow 121 is a pipe passing through the water tub 120 as shown in FIG. 8,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BB in FIG. 7, and the height of the opened top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ollen diaphragm 103 desirable.

또한, 오버플로(121)는 화분(100)이 도 16 내지 18과 같이 상/하 연속 배치될 경우, 넘치는 정수가 하부 수조(120)로 공급되는 하향 급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파이프이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사각의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적어도 사각의 파이프 형태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20)의 일면을 이루는 화분격막(103)에 밀착된 형태이거나, 일체의 구조로 존재할 수도 있다.16 to 18, the overflow 121 has a downwardly extending water supply structure in which overflowing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water tank 120. As shown in the figure, 9, or at least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it may be in the form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ollen diaphragm 103 constituting one surface of the water tub 120 as shown in the figure, Structure.

한편, 화분(100)은 도 1과 같이 내부 공간을 셀 단위로 구획하거나, 절단(화분절단부(101))에 의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기 위한 화분격벽(10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llen pot 100 includes a pollen partition wall 103 for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into cells or closing one end opened by the pollen cutting section 101 as shown in Fig. 1, 10.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격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llen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격벽(130)은 식재부(110)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식재부격벽(131)과, 수조(12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조격벽(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llen partition wall 130 includes a plant partition wall 131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planting unit 110 and a water tank partition 135 separating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tank 120.

식재부격벽(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부(110) 내부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도 8b와 같이 화분(100)을 절단할 경우, 수조격벽(135)과 함께 화분(100)의 절단면을 폐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8B, when the pot 100 is cut as shown in FIG. 8B, the plant partition wall 131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space with a flowerpot 100 Is used for closing the cut surface of the gasket.

또한, 식재부격벽(131)은 하나의 화분(100)에 특성이 다른(예를 들어, 수분공급량 내지는 토양 및 생육환경) 식물을 식재할 경우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셀 단위로 구획된 각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수부재(170)는 물론, 배수부(1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plant partition barriers 131 may be applied when plant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xample, water supply amount or soil and growth environment) are planted in one pot 1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not only at least one absorptive member 170 but also a drain portion 113 is provided.

한편, 식재부격벽(131)은 화분(100)의 성형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부가이드(133)를 통해 탈착 되도록 구성됨이 매우 바람직하다.The plant partition wall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e together with the pollen 100, and may be detached through the planting unit guide 133 as shown in FIG. desirable.

이때, 식재부가이드(133)는 화분(100)의 성형과 함께 미리 형성되거나, 또는 후공정을 통해 필요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즉, 규격화된 설치장소에서는 화분(100)이 절단되는 단위에 식재부가이드(133)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비 규칙적 설치환경에서 별도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ting part guide 133 is formed in advance with the shaping of the pollen 100, or can be arranged at a necessary position through a post-processing. That is, So that the planting unit guide 133 can be positioned in the unit to be cut, or can be separately arranged in an irregular installation environment.

또한, 식재부가이드(133)는 식재부(110)에 수용된 토양과 수분 내지는 식물 성장에 의해 발생하는 측부압력으로부터 식재부(110)의 왜곡과 토양과 수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식재부격벽(131)의 테두리를 소정 감싸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재질은 식재부격벽(131)과 동일한 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이거나, 차폐가 용이한 고무, 실리콘 및 우레탄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planting part guide 133 is provided to prevent the planting part 110 from being distorted and the soil and water from leaking out from the soil contained in the planting part 110 and side pressure generated by moisture or plant growth, The material may be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synthetic resin) as that of the food part barrier ribs 131 or rubber, silicone, urethane or the like which is easy to be shielded may be applied have.

그리고, 도 10b와 같이 화분 절단에 의해 개방면을 폐쇄할 때는 별도의 고정수단(예를 들어, 실리콘 및 접착수단 등)을 통해 식재부격벽(131)이 식재부(110)와 일체화되도록 하여 그 사이로 토양과 수분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0B, when the open side is closed by pollen cutting, the plant partition partitions 131 are integrated with the planting part 110 through separate fixing means (for example, silicone and adhesive means) It is preferable to prevent water leakage between the soil and the water.

한편, 수조격벽(135)은 수조(120)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각 영역의 수위를 달리하여 식재부로 공급(흡수부재(170)에 의한 모세관 현상)되는 수분량이 조절되도록 하거나, 도 10b와 같이 화분 절단 시, 식재부격벽(131)과 함께 절단면을 폐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water tank partition wall 135 divides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20 so that the water amount to be supplied to the planting portion (capillary phenomenon by the absorption member 170) is controlled by varying the water level of each region, And is used for closing the cut surface together with the plant partition wall 131 at the time of cutting.

즉, 수조격벽(135)은 서로 다른 특성 즉, 수분 보충 주기와 그 량이 다른 종을 함께 식재할 경우, 수분의 공급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획된 각 영역의 수위를 달리하고, 따라서, 식물의 건식 및 과습피해는 물론, 다종의 각 식물에 대한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the water tank partition wall 135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is, when the water replenishment cycle and the species with different amounts are planted togeth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so that the water level of each divided area is differ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a stable growth environment for various plants as well as dry and humid damage.

이때, 수조격벽(135)은 수조(120)와 일체형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수조가이드(137)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tank partition wall 135 exists integrally with the water tank 120, or is detachable structure, and it is highly preferable to be detachable through the water tank guide 137.

한편, 화분격벽(130)은 화분절단부(101)를 통해 화분(100)을 절단할 경우,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절단부(101)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되어, 화분(100)을 절단하더라도, 화분절단부(101) 사이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절단면에 대한 폐쇄작업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며, 이는 주로, 규격화된 설치장소에서 절단 위치가 미리 지정될 경우,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1 and 2, the pollen partition wall 130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pollen cutter 101 interposed therebetween to cut the pollen 100 through the pollen cutter 101,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for the cut surface since the space between the potted portions 101 is closed.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cutting position is previously specified in the standardized installation place, .

이와 같은, 구성의 화분(100)은 좌/우 및 상/하 연속된 결합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서, 도 9와 같이 직각의 형태 내/외측 코너의 연속된 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len 100 of the constitution is not limited to the left / right and up / down continuous bond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이러한, 화분(100)은 특히 확장부(111)의 형태가 일정간격을 두고 라운드 형태(9a)로 돌출되거나, 또는 만곡(9b)의 내지는 직각(9b)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는 설치장소에 가장 부합되는 형태를 선택 적용함이 매우 바람직하다.The pollen 100 may be in the form of a rounded shape 9a or a shape of a curved line 9b or a right angle 9b, It is highly desirable to apply the most suitable form.

한편, 화분(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연속 배치할 경우, 상/하부 화분 사이에 설치되어 결합상태를 보강하면서,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하향 급수를 유도하는 연결유닛(140)이 더 구비되는데, 이는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pollen pot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llen pots to reinforce the combined stat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140)은 상/하부 화분(100)의 결합상태를 보강함과 동시에,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공급이 이원화되어, 오수와 정수의 혼입을 방지하고, 오수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여 식물 오염은 물론,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과 쾌적한 녹지를 조성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on unit 140 reinforces the combined state of the upper / lower pollen 100, and the discharge of the wastewater and the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are biased to prevent mixing of wastewater and purified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the occurrence of plant pollution but also the generation of offensive odor in advance, and also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able growth environment of plants and a pleasant greenery.

이러한 연결유닛(140)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서, 상/하부에 배치되는 화분(100)과 자웅의 결합구조를 이루며, 걸림턱(163)을 사이에 두고, 화분(100)의 저면에 마련된 공간부(106)와 자웅 결합하는 제1연결부(159)와, 화분(100)의 개방된 상부 내측으로 안착되는 제2연결부(161)를 포함하며, 이때, 걸림턱(163)은 제2연결부(161)의 안착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necting unit 140 is an enclosur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is formed with a joining structure of the pollen 100 disposed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nd having a joining protrusion 163 interposed therebetween, A first connection portion 159 for joining the space portion 106 to the space portion 106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61 to be seated inside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flowerpot 100. At this time, To limit the depth at which the seat 161 is seated.

또한, 연결유닛(140)은 함체 내부 공간이 유닛 격막에 의해 제1영역(143)과 제2영역(149)으로 구획되는데, 이는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lso, the connection unit 140 is divided into the first area 143 and the second area 149 by the unit diaphragm,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together.

도 1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140)은 식재부(110)와 대응하고 배수홀(115)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집수되는 제1영역(143)과, 수조(120)와 대응하고 오버플로(121)를 통해 유입된 정수가 집수되는 제2영역(149)으로 구획되며, 각 영역은 유닛격막(141)에 의해 구획된다.13A, the connect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area 143 corresponding to the planting part 110 and discharging the sewag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15, a second area 143 corresponding to the water tank 120, And a second region 149 in which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ath 121 is collected, and each region is partitioned by the unit diaphragm 141.

제1영역(143)은 배수관(117)과 마주하는 제1베이스(145) 일면에 마련되어 배수관(117)을 통해 집수된 오수를 하부에 배치된 다른 배수관(117)으로 하향 배수시키거나, 외부 오수관(190)이 연결되는 배출관(147)을 포함하며, 이때, 제1베이스(145)는 오수의 흐름이 배출관(147)으로 유도되도록 배출관(147)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rea 143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145 facing the drain pipe 117 to discharge the wastewater collected through the drain pipe 117 downward to another drain pipe 117 disposed at the lower part, The first base 145 is preferably tilted about the discharge pipe 147 so that the flow of the wastewater is led to the discharge pipe 147. The discharge pipe 147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47,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부(110) 내부 오수는 배수홀(115)을 통해 신속 배출되고, 배출된 오수는 제1영역(143)에 집수된 후, 제1베이스(145)의 사면을 따라 배출관(147)을 거처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관(117)으로 유입되는 하향 배수구조를 이루며, 최하단에 배치되는 제1영역(143)에 오수가 집수되고, 그 집수된 오수는 배출관(1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배출관(147)에 오수관(190)이 더 연결되어 타 영역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sewage in the planting section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15, and the discharged sewage is collected in the first area 143, The sewage is collected in the first area 143 disposed at the lowermost stage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147. The discharge pipe 147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17, Or the drain pipe 147 is further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47 to be led to another area and discharged.

따라서, 식재부(110)는 오수에 대한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식재부(110)의 수분을 제한하여, 적어도 수분의 과잉으로 인한 과습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lanting section 110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sewage, thereby restricting the water content of the planting section 110 and advantageously preventing moisture damage due to at least an excess of water.

제2영역(149)은 오버플로(121)와 마주하는 일면으로부터 벗어난 제2베이스(151)에 마련되어, 오버플로(121)를 통해 집수된 정수를 하부에 배치된 다른 수조(120)로 하향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53)을 포함하며, 이때, 제2베이스(151)는 정수의 흐름이 공급관(153)으로 유도되도록 공급관(153)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region 149 is provided in the second base 151 which is offset from the one face facing the overflow 121 so that the purified water collected through the overflow 121 is supplied to the other water tank 120 The second base 151 is preferably tilted about the supply pipe 153 such that the flow of the purified water is guided to the supply pipe 153. In this case,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80)을 통해 공급되는 정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140)을 통해 공급되거나, 수조(120)로 직접 공급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5,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180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40 or directly to the water tank 120 as shown in FIG.

이후, 공급된 정수가 오버플로(121) 이상 공급되면, 오버플로(121)를 통해 정수는 하향 급수되어 하부 제2영역(149)에 집수된 후, 제2베이스(151)의 사면을 따라 공급관(153)을 거처 하부 수조(120)로 정수가 공급하는 하향 급수구조를 이룬다.When the supplied purified water is supplied over the overflow 121,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overflow 121 to be collected in the lower second region 149, and then flows along the slope of the second base 151, Water supply structure for supplying water to the lower water tank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3.

따라서, 적어도 상/하 배치구조의 화분(100)에 정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수조(120)로의 급수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not only the purified water supply to the pots 100 of the up / down arrangement structure can be smoothly performed, but also convenience for water supply to the water tub 120 can be provided.

한편, 연결유닛(140)은 도 10과 같이 화분(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거나, 절단에 따른 개방면을 폐쇄는 도 13b와 같이 유닛격벽(155)에 의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unit 140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pot 100 as shown in FIG. 10, and closes the open side according to the cutoff by the unit partition 155 as shown in FIG. 13B.

유닛격벽(155)은 화분(100)절단에 대응하여, 연결유닛(140)을 절단할 경우, 절단면을 폐쇄하기 위한 용도인 것이며, 연결유닛(140)의 절단은 음각, 양각 및 절단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닛절단부(165)를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unit barrier rib 155 is used to close the cut surface when the connection unit 140 is cut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of the pollen 100. The cutting of the connection unit 140 is performed by selecting one of the engrav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cut-off portion 165 is formed by the cut-out portion.

또한 유닛격벽(155)은 연결유닛(140)과 일체형이거나, 유닛가이드(157)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unit barrier ribs 155 may be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unit 140 or may be detachable through the unit guide 157.

한편, 집수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47)과, 정수의 하향 급수를 위한 공급관(153)은 그 위치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117)과 오버플로(1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즉,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143)과 제2영역(149)의 일면을 이루는 유닛격막(141)에 밀착된 형태이거나, 일체의 구조로 존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ipe 147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wastewater and the supply pipe 153 for the downward supply of purified water ar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ipe 117 and the overflow 121 as shown in FIG. 9 That is,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nit diaphragm 141 constitu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43 and the second region 149 as shown in FIG. 13C, or may exist in an integral struc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분(100)을 통해 건물의 내/외 벽면 녹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가정은 물론, 사무공간에서의 활용도가 높은데,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With the poll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inside / outside wall of the building can be videotaped, but also the utilization in the office space as well as the home is high,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설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1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poll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은 창호(W) 상단에 설치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는 블라인드의 대체수단으로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16 (a), the pollen pot 10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window W and is applied as an alternative means for blinds to block ultraviolet rays.

즉, 등반형 식물을 활용한 예로서, 화분(100)에 등반형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 줄기의 하향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창호(W)를 감싸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다.That is, as an example of using the climbing type plant, the climbing type plant is planted in the pot 100 and the downward growth of the plant stem is induced, thereby blocking the ultraviolet rays by wrapping the window W.

이때, 화분(100)은 창호(W)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는 갖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100)이 좌/우 연속 배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len pot 10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window W, or that at least one pollen pot 100 is arranged in left / right succession.

또한, 화분(100)을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및 좌우로 연속 배치하고, 내/외 벽면 전체 내지는 일부에 녹지를 조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ts 100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as shown in Fig. 16B, and green papers may be formed on the entire inner / outer wall surface or a part thereof.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200)가 설치된 화분(100)을 창호(W)의 하단에 설치하여 식물에 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 a flower pot 100 provided with the mesh 20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dow W to expect ultraviolet blocking effect by plants.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메시(200)를 등반하여 창호(W)를 감싸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창호(W)는 개방가능한 도어창이거나, 픽스창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픽스창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ant climbs the mesh 200 to cover the window W so as to block the ultraviolet rays. At this time, the window W is preferably an openable door window or a fix window, It is highly desirable to be a fix window.

그리고 메시(200)가 구비된 화분(100)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외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건물 내/외 벽면에 녹지를 조성시킬 수 있는데, 이때, 식물은 등반형 줄기식물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8, the flower pot 100 provided with the mesh 20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form a green space on the inside / outside wall of the building. Is preferably a climbing stem pla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100)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외 벽면 전체 내지는 일부에 녹지를 조성함으로써, 식물의 광합성작용에 의해 CO2를 절감할 수 있고, 건물 주변의 열섬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식물과 토양이 태양열을 차단하는 등 단열효과를 지니고 있어, 냉방부하의 감소는 물론, 나아가 도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p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2 by the photosynthesis action of the plant and to mitigate the heat island phenomenon around the building by forming greenery on all or part of the inner /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 The plant and soil have a heat insulating effect such as blocking the solar heat, so that the cooling load can be reduced, and further, the beauty of the city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화분 101 : 화분절단부
102 : 연결부재 103 : 화분격막
104 : 거치부 105 : 설치부
106 : 공간부 110 : 식재부
111 : 확장부 113 : 배수부
115 : 배수홀 117 : 배수관
120 : 수조 121 : 오버플로(overflow)
130 : 화분격벽 131 : 식재부격벽
133 : 식재부가이드 135 : 수조격벽
137 : 수조가이드 140 : 연결유닛
141 : 유닛격막 143 : 제1영역
145 : 제1베이스 147 : 배출관
149 : 제2영역 151 : 제2베이스
153 : 공급관 155 : 유닛격벽
157 : 유닛가이드 159 : 제1연결부
161 : 제2연결부 163 : 걸림턱
165 : 유닛 절단부 170 : 흡수부재
180 : 급수관 190 : 오수관
200 : 메시(mesh) 210 : 메시 체결돌기
220 : 메시 고정홈
100: Flowerpot 101: Flowerpot cutter
102: connecting member 103: pollen diaphragm
104: mounting part 105: mounting part
106: Space part 110: Planting part
111: extension part 113: drain part
115: drain hole 117: drain pipe
120: water tank 121: overflow
130: Pollen barrier 131: Plant barrier
133: planting material guide 135: water tank bulkhead
137: water tank guide 140: connection unit
141: unit diaphragm 143: first region
145: first base 147: discharge pipe
149: second region 151: second base
153: supply pipe 155: unit partition wall
157: unit guide 159: first connection part
161: second connection part 163:
165: unit cutting portion 170: absorbing member
180: water pipe 190: water pipe
200: mesh 210: mesh fastener
220: mesh fixing groove

Claims (22)

상/하 및 좌/우 중 선택되는 연속 배열을 통해 벽면의 일부 또는 선택적 영역에 대해 녹지를 조성시키는 화분으로서,
식물이 재배되고, 전면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 확장구조를 가지며, 내부 오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수부가 구비된 식재부;
상기 식재부 후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정수가 채워지는 수조;
상기 수조에 마련되어 수위를 제한하고 넘치는 정수를 배출시키거나, 하향 급수시키는 오버플로(overflow);
일단이 상기 수조에 침지되고, 타단은 상기 식재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의 정수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식재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수부재; 및
상기 화분이 상/하 연속된 배열을 이룰 때, 상기 각 화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의 상/하 결합상태를 보강하고, 오수의 배출과 정수의 하향 급수를 유도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유닛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서, 상기 식재부와 대응하고,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집수되는 제1영역;
상기 수조와 대응하고, 상기 오버플로를 통해 유입된 정수가 집수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서로 구획하는 유닛격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A flowerpot for forming a green zone for a part of the wall surface or a selective region through a continuous arrangement selected from up / down and left / right,
A planting portion having a drainage portion in which plants are cultivated, at least a part of the planting portion having a projecting expansion structure projecting forward, and inducing discharge of internal sewage;
A water tank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and filled with purified water;
An overflow which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limit the water level and to discharge the overflowing water, or to supply the downflow water;
At least one absorptive member for allowing the one end to be immersed in the water tank and the other end to be disposed in the planting portion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ing portion through a capillary phenomenon; And
A connect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respective pots to reinforce the top / bottom engagement state of the pots when the pots are arranged up / down, and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wastewater and the downward water supply of purified water;
≪ / RTI >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anting portion and collect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age portion;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tank and collect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overflow; And
And a unit diaphragm that separates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양측에 서로 대응하는 자웅의 형태로 마련되어, 좌/우 연속된 연결을 가이드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And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form of male and female corresponding to both sides to guide left and right continuous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벽면으로의 고정 및 설치 가능하도록, 배면 어느 일면에 마련된 설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so as to be fixed and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화분을 고정하는 브래킷이거나, 벽면에 미리 준비된 설치구와 자웅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홀 또는 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The mounting portion
And a bracket for fixing the flowerpot through a fastening means or a hole or a ring shape having a joining structure of an installation hole and a male spring prepared in advance on the wal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내부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cell) 단위로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기 위한 화분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And a pollen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into at least one or more cells or closing one end opened by cutt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격벽은,
상기 식재부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재부격벽; 및
상기 수조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해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고, 상기 식재부격벽과 동일선상에 마련된 수조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bove-
At least one planting compartment wall for selectively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planting section or closing one end opened by cutting; And
And a watertight bulkhead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plant partition wall to selectively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tank or to close one end opened by cut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상기 화분의 양단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화분절단부;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화분절단부는, 음각, 양각 및 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cutting,
And at least one flower cut section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flower pot,
Wherein the potted portion is one of an intaglio, a relief, and a l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격벽은,
상기 화분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화분 절단면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bove-
Wherein the pollen-cut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ollen-cut portion, and the closed state of the pollen-cut surface can be maintain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격벽은,
상기 화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화분 내부에 마련된 식재부 가이드 및 수조 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bove-
Wherein the po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t or is detachably installed through a food guide and a water tank guide provided in the p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와 수조는,
내부 화분격막을 통해 서로 영역이 구획된 일체형인 것이며,
상기 화분격막에는 상기 흡수부재의 유동적 움직임을 제한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nting portion and the water tank,
Which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ner potting diaphragm,
Wherein the pollen diaphragm further comprises a mount for restricting fluid movement of the absorbent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네트 형태의 메시(mesh)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는, 상기 화분격막에 마련된 메시 고정홈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llen
Further comprising a mesh in the form of a net,
Wherein the mesh is detachably fastened through a mesh fixing groove provided in the potting diaphrag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흡수부재의 양단 사이 어느 일면이 안착되는 음각의 홈이거나, 홀 형태로서, 상기 흡수부재의 유동적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Characterized in that either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absorbing member is an engraved groove on which one side is seated, or in the form of a hole, the floating movement of the absorbing member is restri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식재부 밑면에 마련되어 내부 오수의 고임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 및
상기 식재부에 마련된 수직의 관체로서, 상기 화분이 상/하 연속 배치될 경우, 상부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유입되고, 외부 오수관을 통해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age section
At least one drain hol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to prevent the internal sewage from sticking; And
At least one water pipe for introducing sewage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rain hole and inducing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ernal sewer pipe when the pollen is continuously arranged up and down; Wherein the water-tank-integrated flowerpot is composed of a water tank integral po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화분 저면에 마련된 공간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
상기 화분의 개방된 상부 내측으로 안착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안착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space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ollen;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hat is seated inside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pollen; And
And a locking jaw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fix the seating stat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배수관과 마주하는 제1베이스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집수된 오수를 하부에 배치된 다른 배수관으로 하향 배수시키거나, 외부 오수관이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는, 오수의 흐름이 상기 배출관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region comprises:
And a drain pi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facing the drain pipe and draining down the wastewater collected through the drain pipe to another drain pip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r connected to the external drain pipe,
Wherein the first bas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ipe such that a flow of sewage is led to the discharg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오버플로와 마주하는 일면으로부터 벗어난 제2베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오버플로를 통해 집수된 정수를 하부에 배치된 다른 수조로 하향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는, 정수의 흐름이 상기 공급관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공급관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gion comprises:
And a supply pipe provided on a second base opposite to the one face facing the overflow for downwardly supplying purified water collected through the overflow to another water tank disposed below,
Wherein the second base is tilted about the supply pipe so that a flow of purified water is directed to the supply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양단 사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획하거나, 절단에 의한 개방면을 폐쇄하는 유닛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unit barrier wall partition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tween both ends, or closing the opening by cutt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상기 연결유닛의 양단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절단부;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유닛절단부는, 음각, 양각 및 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20.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cutting,
And at least one unit cut portion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unit,
Wherein the unit cut portion is one of an engraved angle, a relief, and a lin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격벽은,
상기 유닛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연결유닛 절단면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unit barrier ribs,
Wherein the unit cut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cutting face of the connecting uni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격벽은,
상기 연결유닛에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마련된 유닛가이드를 통해 탈착 가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일체형 화분.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unit barrier ribs,
Wherein the connection uni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onnection unit or is detachably installed through a unit guide provided in the connection unit.
KR1020130035931A 2013-04-02 2013-04-02 Pot combined with water tank KR101505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931A KR101505181B1 (en) 2013-04-02 2013-04-02 Pot combined with water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931A KR101505181B1 (en) 2013-04-02 2013-04-02 Pot combined with water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24A KR20140120424A (en) 2014-10-14
KR101505181B1 true KR101505181B1 (en) 2015-03-25

Family

ID=5199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931A KR101505181B1 (en) 2013-04-02 2013-04-02 Pot combined with water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1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94Y1 (en) * 2020-06-19 2022-11-03 대한민국 Foldable irrigation water 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08B1 (en) * 2015-02-13 2016-10-07 함재영 Frame type flowerpot
WO2019153368A1 (en) * 2018-02-12 2019-08-15 苏州大学张家港工业技术研究院 Modular vertical greening system employing water storage
KR102214775B1 (en) * 2018-12-05 2021-02-10 주식회사 도구다 Apparatus for growing crops
KR102081448B1 (en) * 2019-04-24 2020-02-26 합자회사 거광산업 Expension type garden system
KR102101997B1 (en) * 2019-07-18 2020-04-17 주식회사 그린공간 Plant system having vertical layered structure
KR102047475B1 (en) * 2019-08-08 2019-11-21 김태호 Layer type planting pot assembly
KR102162634B1 (en) * 2020-02-24 2020-10-07 김태호 Layer type planting po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69Y1 (en) 2001-03-23 2001-10-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Dripping Type Flower Pot for Street Beautification
KR200309852Y1 (en) * 2003-01-15 2003-04-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A self-water supply flowerport and flower-tower that is constructed of it
KR200367577Y1 (en) 2004-08-25 2004-11-15 (주) 녹지원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JP3109861U (en) * 2005-01-17 2005-06-02 株式会社丹勝 Vegetation planting equipment with support 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69Y1 (en) 2001-03-23 2001-10-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Dripping Type Flower Pot for Street Beautification
KR200309852Y1 (en) * 2003-01-15 2003-04-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A self-water supply flowerport and flower-tower that is constructed of it
KR200367577Y1 (en) 2004-08-25 2004-11-15 (주) 녹지원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JP3109861U (en) * 2005-01-17 2005-06-02 株式会社丹勝 Vegetation planting equipment with support 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94Y1 (en) * 2020-06-19 2022-11-03 대한민국 Foldable irrigation water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24A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181B1 (en) Pot combined with water tank
KR100976764B1 (en) Multipurpose planting foundation
KR101164891B1 (en) Prefabricated flower garden
CN202444860U (en) Wall type flowerpot
JP5050134B2 (en) Hydroculture bowl
KR101508736B1 (en) Vegetation plate using fixing-frame and soil-mat and the green structure therewith
KR101187406B1 (en) Moss panel and method for greening artificia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TWI413496B (en) Container unit for planting trees and method of planting trees by using the container
KR101331404B1 (en)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1203135B1 (en) planter apparatus and method for wall afforestation
KR101594419B1 (en) Gabion type planting structure
WO2014000062A1 (en) Flower box
JP2011142835A (en) Water-saving type wooden planter
JP2006174829A (en) Simplified hydroponics container
KR20190064058A (en)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KR200432495Y1 (en) a plant planting fence
JPH1118563A (en) Cultivating box for chinese yam, etc., and cultivation of yam, etc., by using the same
KR101948754B1 (en) Garden composition model guide frame
JPH06165621A (en) Cultivation box for growing plant of side surface of space such as building
KR200416035Y1 (en) A flowerpot for beautiful scenery
JP2007037408A (en) Method and device for cultivating moss
KR200420667Y1 (en) A Flowerpot With a Built-in Waterspout
KR100747515B1 (en) An assemble type flowerpot for growing gardening
CN219437665U (en) Environment-friendly convenient landscape plant planting tool
JP2007197993A (en) Wall surface installation type pla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