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271B1 - 골프공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271B1
KR101504271B1 KR20140011970A KR20140011970A KR101504271B1 KR 101504271 B1 KR101504271 B1 KR 101504271B1 KR 20140011970 A KR20140011970 A KR 20140011970A KR 20140011970 A KR20140011970 A KR 20140011970A KR 101504271 B1 KR101504271 B1 KR 10150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ensor
receiving
light em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승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승골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승골프
Priority to KR2014001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감지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골프공 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감지장치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와, 센서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케이스에는 발광센서수용부와, 발광전선수용부와, 수광센서수용부와, 수광센서전선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센서수용부는 상기 발광센서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발광센서의 빛을 외부로 안내한다. 상기 발광전선수용부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발광센서의 전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연통된다. 상기 수광센서수용부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수광센서를 수용하여 골프공으로 반사되는 상기 발광센서의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안내하며 안내되는 빛의 직진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구가 좁아지도록 단이져서 형성된다. 상기 수광전선수용부는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수광센서의 전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센서케이스에는 상기 발광센서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돌기된 고정턱과, 상기 수광센서를 상부에서 눌러서 상기 수광센서가 고정되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서 돌기된 상부돌기를 더 형성된다.

Description

골프공 감지장치{Golf ball per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골프공 감지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골프공 감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스크린 골프연습장은 골프공의 속도 및 비행각도 등의 타격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골프공의 위치를 파악하여 타석 앞에 설치된 스크린에 영상으로 출력한다. 그래서 골프공의 속도 및 비행각도 등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1184659호에 개시된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이다. 도 1에 개시된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는 센서케이스(1)의 내부에 발광센서수용부(7)와, 발광전선수용홈(9)과, 수광센서수용부(3)와, 수광전선수용홈(5)을 구비한다.
발광센서수용부(7)에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센서가 장착되며, 수광센서수용부(3)에는 상기 발광센서에 발광되어 골프공에서 반사되어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센서가 장착된다. 그리고 발광전선수용홈(9)은 상기 발광센서의 전선이 수용되고, 수광전선수용홈(5)에는 상기 수광센서의 전선이 수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는 골프 연습장에 설치되므로 수시로 골프공에 의해 가격된다. 골프공으로 계속해서 가격되다 보면 발광센서수용부 및 수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는 충격에 의하여 센서케이스 내부에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게 된다. 이 경우 센서의 위치가 정확하지 아니하므로 감지되는 골프공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는 기판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에도 골프공으로 계속해서 가격되다 보면 기판에서 흔들리게 되어 그 위치가 불안정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는 발광전선수용홈 및 수광전선수용홈에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전선들이 수용된다. 각각의 센서들에는 2개 이상의 전선들이 공급되고 이들 전선들은 발광전선수용홈 및 수광전선수용홈의 내부에서 서로 분리되어 수용된다. 하지만 계속해서 충격이 가해지면 이들 전선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쇼트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가 근접하여 있으므로 노이즈가 발생하여 서로 간섭함으로써 에러가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골프공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전선들이 서로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공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센서와 수광센서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공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감지장치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와, 센서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케이스에는 발광센서수용부와, 발광전선수용부와, 수광센서수용부와, 수광센서전선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센서수용부는 상기 발광센서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발광센서의 빛을 외부로 안내한다. 상기 발광전선수용부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발광센서의 전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연통된다. 상기 수광센서수용부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수광센서를 수용하여 골프공으로 반사되는 상기 발광센서의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안내하며 안내되는 빛의 직진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구가 좁아지도록 단이져서 형성된다. 상기 수광전선수용부는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수광센서의 전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센서케이스에는 상기 발광센서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돌기된 고정턱과, 상기 수광센서를 상부에서 눌러서 상기 수광센서가 고정되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서 돌기된 상부돌기를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골프공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케이스는 기판에서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골프공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케이스는 제1케이스부와, 제2케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부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발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수광센서수용홈과, 상기 발광전선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발광전선수용홈과, 상기 수광전선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수광전선수용홈을 구비한다. 상기 제2케이스부는 상기 제1발광센서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발광센서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발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제1수광센서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수광센서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수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제1발광전선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발광전선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전선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발광전선수용홈과, 상기 제1수광전선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수광전선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전선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수광전선수용홈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케이스는 상기 제1발광전선수용홈 및 상기 제2발광전선수용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발광전선수용홈에 삽입되는 각각의 전선을 격리시키기 위한 제1격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광전선수용홈 및 상기 제2수광전선수용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수광전선수용홈에 삽입되는 각각의 전선을 격리시키기 위한 제2격리돌기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골프공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부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발광센서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수광센서로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발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제1수광센서수용홈 사이에서 돌기된 차단막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케이스부는 상기 차단막이 삽입될 수 있는 차단홈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 및 상기 차단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절연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센서수용부 및 수광센서수용부에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고정시키는 턱 및 돌기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감지장치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골프공 감지장치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골프공을 계속해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케이스에 고정돌기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센서케이스를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홈에 격리돌기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들 전선들끼리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프공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감지장치의 센서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센서케이스에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장착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감지장치는 발광센서(21)와, 수광센서(23)와, 센서케이스(30)를 포함한다.
발광센서(21)는 감지할 골프공에 빛을 발광하는 수단으로 발광적외선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수광센서(23)는 골프공으로부터 반사되는 발광센서(21)의 빛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수광적외선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케이스(30)에는 발광센서수용부(31)와, 발광전선수용부(37)와, 수광센서수용부(41)와, 수광전선수용부(47)와, 고정돌기(51)가 형성된다.
발광센서수용부(31)는 발광센서(21)를 수용하고, 수용된 발광센서(21)의 빛을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수광센서수용부(41)는 발광센서수용부(31)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나란하게 위치하고 수광센서(23)를 수용하며, 골프공에서 반사되는 발광센서(21)의 빛을 수광센서(2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안내되는 빛의 직진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광센서수용부(41)는 입구가 좁아지도록 단이져서 형성된다. 발광센서(21) 및 수광센서(23)에는 전선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발광센서(21)에는 2가닥의 전선이 형성되며, 수광센서(23)에는 3가닥의 전선이 형성된다. 발광전선수용부(37)는 발광센서(21)의 전선(22)을 수용하도록 발광센서수용부(31)에 연통되며, 수광전선수용부(47)는 수광센서(23)의 전선(24)을 수용하도록 수광센서수용부(41)에 연통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골프공 감지장치는 골프연습장에 설치되므로 가끔씩 골프공에 의해서 가격된다. 그러면 발광센서수용부(31)에 수용된 발광센서(21) 및 수광센서수용부(41)에 수용된 수광센서(23)는 충격에 의해서 그 위치가 이동된다. 즉 발광센서(21) 및 수광센서(23)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충격이 가해지면 그 위치가 약간씩 변형된다. 그런데 발광센서(21) 및 수광센서(23)의 위치가 변형되면 골프공의 정확한 좌표를 감지하지 못한다. 이를 위하여 발광센서수용부(21)에는 발광센서(2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발광센서(21)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돌기된 고정턱(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광센서수용부(41)에는 수광센서(23)를 상부에서 눌러서 수광센서(23)가 고정되도록 돌기된 상부돌기(45)가 형성된다.
즉 발광센서(21)를 발광센서수용부(31)에 삽입하면 고정턱(35)이 발광센서(21)를 압박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발광센서(21)는 고정되며, 수광센서(23)를 수광센서수용부(41)에 삽입하면 상부돌기(45)가 수광센서(23)를 눌러서 수광센서(23)가 고정된다.
그리고 센서케이스(30)는 기판에 설치된다. 이때 센서케이스(30)가 기판에서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센서케이스(30)는 하부에 기판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51)가 형성된다. 고정돌기(51)는 턱이 형성되어 기판에 삽입되면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센서케이스(30)는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데 발광센서(21) 및 수광센서(23)가 센서케이스(30)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조립공정상 센서케이스(30)는 2개의 부분으로 제작되어 조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센서케이스(30)는 제1케이스부(30a) 및 제2케이스부(30b)로 제작되어 조립된다.
제1케이스부(30a)에는 제1발광센서수용홈(32)과, 제1발광전선수용홈(38)과, 제1수광센서수용홈(42)과, 제1수광전선수용홈(48)이 형성된다. 제1발광센서수용홈(32)은 발광센서수용부(31)의 일측을 형성하며, 발광센서수용부(31)의 내부에 고정턱(35)이 형성되므로 제1발광센서수용홈(32)에도 고정턱(35)이 형성된다. 제1발광전선수용홈(38)은 발광전선수용부(37)의 일측을 형성한다. 제1수광센서수용홈(42)은 수광센서수용부(41)의 일측을 형성하며, 수광센서수용부(41)의 내부에 상부돌기(45)가 형성되므로 제1수광센서수용홈(42)에도 상부돌기(45)가 형성된다. 제1수광전선수용홈(48)은 수광전선수용부(47)의 일측을 형성한다.
제2케이스부(30b)에는 제2발광센서수용홈(34)과, 제2발광전선수용홈(39)과, 제2수광센서수용홈(44)과, 제2수광전선수용홈(50)이 형성된다. 제2발광센서수용홈(34)은 제1발광센서수용홈(32)과 결합하여 발광센서수용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발광센서수용부(31)의 타측을 형성하고, 제2발광센서수용홈(34)에도 고정턱(35)이 형성된다. 제2발광전선수용홈(39)은 제1발광전선수용홈(38)과 결합하여 발광전선수용부(37)를 형성하도록 발광전선수용부(37)의 타측을 형성한다. 제2수광센서수용홈(44)은 제1수광센서수용홈(42)과 결합하여 수광센서수용부(41)를 형성하도록 수광센서수용부(41)의 타측을 형성하며, 제2수광센서수용홈(44)에도 상부돌기(45)가 형성된다. 제2수광전선수용홈(50)은 제1수광전선수용홈(48)과 결합하여 수광전선수용부(47)를 형성하도록 수광전선수용부(47)의 타측을 형성한다.
한편 발광전선수용부(37)에는 발광센서(21)의 전선(22)이 삽입되고, 수광전선수용부(47)에는 수광센서(23)의 전선(24)이 삽입된다. 이때 전선(22, 24)들은 여러 가닥으로 구성되므로 발광전선수용부(37) 및 수광전선수용부(47)에는 여러 가닥의 전선이 삽입된다. 센서케이스(30)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들 전선이 움직이게 되고 결국 이들이 서로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이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광전선수용부(37)에는 제1격리돌기(53)가 형성되고, 수광전선수용부(47)에는 제2격리돌기(5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발광전선수용홈(38) 및 제2발광전선수용홈(39)에 발광전선수용부(37)에 수용되는 전선(22)들을 서로 격리시킬 수 있도록 제1격리돌기(53)가 형성된다. 즉 제1격리돌기(53)가 발광전선수용부(37)에 수용된 전선(22)들을 서로 분리시켜서 이들이 접촉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발광센서(21)의 전선(22)은 2가닥이므로 이들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1격리돌기(53)는 제1발광전선수용홈(38) 및 제2발광전선수용홈(39)의 중앙에 각각 하나씩 돌기된다.
그리고 제1수광전선수용홈(48) 및 제2수광전선수용홈(50)에 수광전선수용부(47)에 수용되는 전선(24)들을 서로 격리시킬 수 있도록 제2격리돌기(55)가 형성된다. 즉 제2격리돌기(55)가 수광전선수용부(47)에 수용된 전선(24)들을 서로 분리시켜서 이들이 접촉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광센서(23)의 전선(24)은 3가닥이므로 이들을 각각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2격리돌기(55)는 제1수광전선수용홈(48) 및 제2수광전선수용홈(50)에 각각 두 개씩 돌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골프공 감지장치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발광센서(21) 및 수광센서(2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22, 24)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센서케이스(30)가 기판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케이스(30)는 제1케이스부(30a) 및 제2케이스부(30b)로 제작되어 제1케이스부(30a) 및 제2케이스부(30b)가 조립되어 완성된다. 이때 제1케이스부(30a)와 제2케이스부(30b)의 결합면에 틈이 존재한다. 이 경우 발광센서(21)에서 발광된 빛이 모두 발광센서수용부(3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1케이스부(30a)와 제2케이스부(30b)의 결합면에 형성된 틈으로 방출되어 수광센서수용부(47)로 유입된다. 이 경우 수광센서(23)의 감지능력이 감소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케이스부(30a)에는 발광센서(21)에서 발광된 빛이 수광센서(23)로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발광센서수용홈(32)과 제1수광센서수용홈(34) 사이에서 돌기된 차단막(5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부(30b)에는 차단막(57)이 삽입될 수 있는 차단홈(59)이 형성된다. 그래서 발광센서(21)에서 발광된 빛이 제1케이스부(30a)와 제2케이스부(30b)의 결합면으로 방출되더라도 차단막(57)이 이를 차단하여 수광센서(23)에서 감지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발광센서(21)와 수광센서(23)는 서로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발광센서(21)와 수광센서(23)에서 발생한 노이즈 들이 서로 간섭하여 에러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막(57)과 차단홈(59)에 절연막(미도시)이 형성된다. 절연막은 차단막(57) 또는 차단홈(59)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또는 차단막(57) 및 차단홈(59)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테이프로 도포되거나 절연페인트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에 의하여 발광센서(21)와 수광센서(23)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센서케이스 3 : 수광센서수용부
5 : 수광전선수용홈 7 : 발광센서수용부
9 : 발광전선수용홈 21 : 발광센서
22 : 발광센서 전선 23 : 수광센서
24 : 수광센서 전선 30 : 센서케이스
30a : 제1케이스부 30b : 제2케이스부
31 : 발광센서수용 부 32 : 제1발광센서수용홈
34 : 제2발광센서수용홈 35 : 고정턱
37 : 발광전선수용홈 38 : 제1발광전선수용홈
39 : 제2발광전선수용홈 41 : 수광센서수용부
42 : 제1수광센서수용홈 44 : 제2수광센서수용홈
45 : 상부돌기 47 : 수광전선수용부
48 : 제1수광전선수용홈 50 : 제2수광전선수용홈
51 : 고정돌기 53 : 제1격리돌기
55 : 제2격리돌기 57 : 차단막
59 : 차단홈

Claims (4)

  1.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발광센서의 빛을 외부로 안내하는 발광센서수용부와,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발광센서의 전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연통된 발광전선수용부와,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수광센서를 수용하여 골프공으로 반사되는 상기 발광센서의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안내하며 안내되는 빛의 직진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구가 좁아지도록 단이져서 형성된 수광센서수용부와,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수광센서의 전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연통된 수광전선수용부와, 상기 발광센서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돌기된 고정턱과, 상기 수광센서를 상부에서 눌러서 상기 수광센서가 고정되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서 돌기된 상부돌기와, 기판에서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센서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케이스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발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수광센서수용홈과, 상기 발광전선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발광전선수용홈과, 상기 수광전선수용부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수광전선수용홈을 구비한 제1케이스부와,
    상기 제1발광센서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발광센서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발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제1수광센서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수광센서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수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제1발광전선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발광전선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전선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발광전선수용홈과, 상기 제1수광전선수용홈과 결합하여 상기 수광전선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광전선수용부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수광전선수용홈을 구비한 제2케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케이스는 상기 제1발광전선수용홈 및 상기 제2발광전선수용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발광전선수용홈에 삽입되는 각각의 전선을 격리시키기 위한 제1격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광전선수용홈 및 상기 제2수광전선수용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수광전선수용홈에 삽입되는 각각의 전선을 격리시키기 위한 제2격리돌기가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부는 상기 발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발광센서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수광센서수용부에 수용된 수광센서로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발광센서수용홈과 상기 제1수광센서수용홈 사이에서 돌기된 차단막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케이스부는 상기 차단막이 삽입될 수 있는 차단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차단막 및 상기 차단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절연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감지장치.
  3. 삭제
  4. 삭제
KR20140011970A 2014-02-03 2014-02-03 골프공 감지장치 KR10150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970A KR101504271B1 (ko) 2014-02-03 2014-02-03 골프공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970A KR101504271B1 (ko) 2014-02-03 2014-02-03 골프공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271B1 true KR101504271B1 (ko) 2015-03-19

Family

ID=5302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1970A KR101504271B1 (ko) 2014-02-03 2014-02-03 골프공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2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770U (ko) * 1985-08-22 1987-03-04
KR20100111559A (ko) * 2009-04-07 2010-10-15 윤문수 스크린 골프연습장용 센서장치
KR20120052481A (ko) * 2010-11-16 2012-05-24 이종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위한 골프공 감지장치
KR101184659B1 (ko) 2012-01-12 2012-09-20 주식회사 유니골프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770U (ko) * 1985-08-22 1987-03-04
KR20100111559A (ko) * 2009-04-07 2010-10-15 윤문수 스크린 골프연습장용 센서장치
KR20120052481A (ko) * 2010-11-16 2012-05-24 이종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위한 골프공 감지장치
KR101184659B1 (ko) 2012-01-12 2012-09-20 주식회사 유니골프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0066B2 (en) Apparatus for making a distance determination
US10281334B2 (en) Temperature measurement applianc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CN117930194A (zh) 校准飞行时间系统的方法和飞行时间系统
CN102656423B (zh) 具有校准装置的光学距离测量设备
TW201539011A (zh) 可操作以辨認偽反射及補償由偽反射所造成之錯誤的光電模組
WO2020038053A1 (zh) 飞行时间模组及其控制方法、控制器和电子装置
US6879407B2 (en) Displacement sensor
JP2010048606A (ja) 光学式測距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KR20040021632A (ko) 조준 장치를 구비한 레인지 파인더
US9274202B2 (en) Optical time-of-flight system
JP6264934B2 (ja) 光電センサ
TW202127061A (zh) 鐳射測距裝置與機器人
US11320310B2 (en) Multispectral sensor and method for multispectral light sensing
US20220113127A1 (en) A detect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object
KR101504271B1 (ko) 골프공 감지장치
US10634609B2 (en) Sensor system for measuring a snowpack profile
KR20200114164A (ko) 카메라 모듈형 센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20140132956A1 (en) Object detecting device and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KR101184659B1 (ko) 골프연습기의 공 감지장치
KR20180136987A (ko)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EP3540473B1 (en) Photoelectric sensor
JP6505506B2 (ja) 光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US7504611B2 (en) Moving object detecting photointerrupt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4731403A (zh) 坐标输入装置及其方法
JP7101529B2 (ja) 光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