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074B1 -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074B1
KR101504074B1 KR20140133082A KR20140133082A KR101504074B1 KR 101504074 B1 KR101504074 B1 KR 101504074B1 KR 20140133082 A KR20140133082 A KR 20140133082A KR 20140133082 A KR20140133082 A KR 20140133082A KR 101504074 B1 KR101504074 B1 KR 10150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mount
water tank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신
Original Assignee
유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신 filed Critical 유재신
Priority to KR2014013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은,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물탱크에 설치되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물탱크측정장치;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탱크에 대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조절장치; 및 물탱크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물탱크의 물의 양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통신장치를 통해 물공급조절장치에 물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카메라를 제어하여 물탱크의 물의 양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를 통해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수도시설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Management System for Small-scale Water Supply Establishment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고지대에 설치되어 있는 소규모 시도시설을 자주 방문하지 않더라도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물탱크에 투입되는 약품의 양 등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역 상수도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지 않는 시골 마을들에서는 대략 100~2,500명의 급수 인구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일반 수도로서 소위 "마을 상수도"라는 소규모 수도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소규모 수도 시설에서는 마을의 상수원의 물 예를 들면, 저수지의 물, 계곡의 물, 지하수 등을 펌프를 이용하여 마을의 높은 지대에 설치한 배수지의 물탱크로 올려놓고, 마을의 각 가정에 수도관을 통하여 물을 공급한다.
한편, 소규모 수도 시설은 저수지의 물, 계곡의 물, 지하수 등을 상수원으로 하여 마을의 각 가정에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식수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대장균이나 각종 미생물 등이 잔존하고 있다.
따라서, 상수원으로부터 취수되는 물에 있는 각종 세균을 제거하고, 식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고체상태 또는 액상의 염소(Cl)와 같은 각종의 약품을 투입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물이 음용수 수질기준에 적합하도록 투입되는 각종의 약품은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소규모 수도 시설은 통상적으로 해당 마을에서 관리하고 있으나, 농어촌 인구의 노령화로 인하여 고지대에 설치되어 있는 소규모 수도시설에 수시로 방문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물탱크에 투입되는 약품의 양 등을 매번 일정하게 관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관리자가 고지대에 설치되어 있는 소규모 시도시설을 자주 방문하지 않더라도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물탱크에 투입되는 약품의 양 등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은,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물탱크에 설치되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물탱크측정장치;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탱크에 대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조절장치; 및 물탱크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물탱크의 물의 양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통신장치를 통해 물공급조절장치에 물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카메라를 제어하여 물탱크의 물의 양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를 통해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수도시설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은, 약품탱크에 설치되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하는 약품탱크측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는 약품탱크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약품탱크의 약품의 양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통신장치를 통해 관리자단말기에 약품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카메라를 제어하여 약품탱크의 약품의 양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를 통해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물탱크측정장치 및 약품탱크측정장치는, 물 또는 약품의 양에 따른 부력을 이용하여 하강하려는 부력봉에 의한 무게 변화량을 측정하며, 측정되는 무게 변화량에 기초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또는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한다.
물탱크측정장치 및 상기 약품탱크측정장치는, 와이어;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된 무게추; 와이어에 대해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된 복수의 고정쇠; 및 각각의 고정쇠의 사이에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추;를 포함하며, 부력추 및 무게추의 무게의 변화에 기초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또는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전력충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는 전력충전장치에 충전된 전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및 통신장치를 제어한다.
전술한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은,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는 소규모 수도시설의 보안해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움직임감지장치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카메라를 제어하여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를 통해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의 관리방법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통신장치를 통해 물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물탱크에 대한 물공급을 조절하는 단계;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탱크의 물의 양을 촬영하는 단계;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를 통해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가 고지대에 설치되어 있는 소규모 시도시설을 자주 방문하지 않더라도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의 양 등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의 양 등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그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격지의 소규소 수도시설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물탱크 및 약품탱크를 측정하는 제1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물탱크 및 약품탱크를 측정하는 제2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의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은, 물탱크측정장치(110), 카메라(120), 통신장치(130), 수도시설제어장치(140), 약품탱크측정장치(150), 전력충전장치(160), 움직임감지장치(170) 및 물공급조절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탱크측정장치(110), 카메라(120), 통신장치(130), 수도시설제어장치(140), 약품탱크측정장치(150), 전력충전장치(160) 및 움직임감지장치(170)는 소규모 수도시설(100)에 설치되며, 물공급조절장치(210)는 저수지와 같은 상수원의 기계실(200)에 설치될 수 있다.
물탱크측정장치(110)는 소규모 수도시설(100) 내의 물탱크(112)에 설치되며,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한다. 이때, 물탱크측정장치(110)는 부력봉(114)을 구비하며, 물탱크(112)에 저장되는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탱크측정장치(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봉(114)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때, 부력봉(114)은 물탱크측정장치(110)와 일단이 연결되어 매달린 형태로 물탱크(112)의 내부에 넣어진다. 이 경우, 부력봉(114)는 물탱크(112)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무게중심이 하단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탱크측정장치(110)는 부력봉(114)의 무게를 감지하며, 감지되는 부력봉(114)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대적인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부력봉(114)의 최하단 이하인 경우, 물탱크측정장치(110)는 수면 위에서 측정한 부력봉(114)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를 감지하게 되며, 그에 대응하여 물탱크(112)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빈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부력봉(114)의 최하단과 최상단 사이인 경우, 물탱크측정장치(110)는 수면 위에서 측정한 부력봉(114)의 무게에서 물속에 잠긴 부분만큼의 부력봉(114)의 부력에 의한 무게가 빠진 무게를 감지하게 되며, 그에 대응하여 물탱크(112)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부력봉(114)의 최상단 이상인 경우, 물탱크측정장치(110)는 수면 위에서 측정한 부력봉(114)의 무게에서 부력봉(114)의 전체 부력에 의한 무게가 빠진 무게를 감지하게 되며, 그에 대응하여 물탱크(112)의 내부에 물이 100% 찬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물탱크측정장치(110)는 부력봉(114)의 최하단을 수위 0%로 설정하고, 부력봉(114)의 최상단을 후위 100%로 설정하며, 물속에 잠긴 부력봉(114)의 부력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탱크측정장치(110)는 감지되는 부력봉(114)의 부력에 기초하여 상대적인 물의 양을 아날로그 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물탱크 및 약품탱크를 측정하는 다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물탱크측정장치(110)는 와이어(115), 무게추(116), 고정쇠(117) 및 부력추(118)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15)는 수중 또는 약품 내에서 부식이 되지 않으며, 물이나 약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을 갖지 않으며, 잘 끊어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다른 재질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무게추(116)는 와이어(115)의 하단에 고정되며, 수중 또는 약품 내에서 와이어(115)를 수직으로 세우는 역할을 한다.
고정쇠(117)는 설정된 간격으로 와이어(115)에 고정되어 복수로 설치되며, 부력추(118)는 각각의 고정쇠(117)의 사이에서 유동이 가능하게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고정쇠(117) 및 부력추(118)는 동일한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기 중에서의 와이어(115) 및 고정쇠(117)의 무게와 수중에서의 와이어(115) 및 고정쇠(117)의 무게의 차이는, 공기 중에서의 무게추(116) 및 부력추(118)의 무게와 수중에서의 무게추(116) 및 부력추(118)의 무게의 차이에 비하여 미미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물탱크측정장치(110)는 공기 중에서의 무게추(116) 및 부력추(118)의 무게와 수중에서의 무게추(116) 및 부력추(118)의 무게를 기 측정하여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물탱크측정장치(110)의 와이어(115)를 물탱크(112)의 안에 넣으면, 물탱크(112)에 채워진 물의 양에 따라 수중에 잠겨진 부력추(118)는 부력을 받아 그 무게가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물탱크측정장치(110)는 공기 중에서의 무게에 비하여 얼마만큼의 무게가 감소하였는지를 측정하며, 측정되는 값에 기초하여 몇 개의 부력추(118)가 수중에 잠겼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부력추(118)는 와이어(115)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수중에 잠긴 부력추(118)에 기초하여 물탱크(112)에 채워진 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탱크측정장치(100)는 물탱크(112)의 크기에 따라 와이어(115)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탱크(112)에 채워진 물의 양을 어느 정도로 정밀하게 측정할 것인지에 따라 부력추(118)의 개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물탱크측정장치(100)는 고정쇠(117)의 밑면에 대한 접촉 또는 상면에 대한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115)를 물탱크(112)의 내부에 넣게 되면, 수중에 잠긴 부력추(118)는 부력에 의해 뜨게 된다. 이때, 부력추(118)는 고정쇠(117) 사이에서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중에 잠긴 부력추(118)는 고정쇠(117)의 밑면에 접촉하게 되며, 공기 중에 있는 부력추(118)는 고정쇠(117)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물탱크측정장치(100)는 고정쇠(117)의 밑면에 접촉된 부력추(118)의 개수를 측정하여 물탱크(112)에 채워진 물의 약을 산출할 수도 있다.
카메라(120)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며,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를 촬영한다. 이때, 카메라(120)는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120)는 물탱크(112)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촬영할 수 있다.
통신장치(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의 통신기기와 데이터를 할 수 있다. 이때, 통신장치(130)는 인터넷,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접속모듈로 구현되거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 접속모듈로 구현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장거리의 경우 CDMA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물공급조절장치(210)는 통신장치(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장치(13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탱크(112)에 대한 물의 공급을 조절한다. 이때, 물공급조절장치(210)는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통신장치(130)와 동일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2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통신장치(220)를 통해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물탱크(112)에 대한 물공급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물탱크(112)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측정되는 물탱크(112)의 물의 양이 제1설정 값 이하가 되면, 통신장치(130)를 통해 물공급조절장치(210)에 물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측정되는 물탱크(112)의 물의 양이 제2설정 값 이상이 되면, 통신장치(130)를 통해 물공급조절장치(210)에 공급차단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40% 이하가 된 것으로 측정되면, 통신장치(130)를 통해 물공급조절장치(210)에 물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물탱크(112)의 물의 양이 95% 이상이 된 것으로 측정되면, 통신장치(130)를 통해 물공급조절장치(210)에 공급차단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된, 수도시설제어장치(140)가 물공급조절장치(210)에 물공급 요청신호 및 공급차단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기준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카메라(120)의 영상촬영에 의한 메모리 및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특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측정되는 물탱크(112)의 물의 양이 제1기준 값 이하가 되거나, 제2기준 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물탱크(112)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촬영하도록 카메라(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관리자단말기(3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관리자의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컴퓨터, 서버 등의 네트워크 상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관리자단말기(300)의 식별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물의 부족이나 지나침에 대한 물탱크(112)의 현재의 상황을 관리자단말기(300)에 영상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약품탱크측정장치(150)는 약품탱크(152)에 설치되며,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한다. 이때, 약품탱크측정장치(150)는 약품탱크(152)에 저장되는 약품이 액체인 경우 부력봉(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약품탱크(152)에 저장되는 약품의 부력을 이용하여 약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약품탱크측정장치(1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탱크측정장치(110)의 원리를 이용하여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한 약품의 양의 측정원리는 전술한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한 물의 양의 측정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측정되는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1기준설정 값 이하가 되면,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약품탱크(152)는 별도의 약품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약품공급 관으로 연결되며,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측정되는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에 기초하여 약품저장탱크로부터 약품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즉,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1기준설정 값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면, 약품저장탱크로부터 약품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2기준설정 값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면, 약품저장탱크로부터의 약품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측정되는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2기준설정 값 이상이면,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로써,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자동으로 약품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약품의 부족이나 지나침에 대한 약품탱크(152)의 현재의 상황을 관리자단말기(300)에 영상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충전장치(16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한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전력충전장치(160)에 충전된 전력에 기초하여 물탱크측정장치(110), 카메라(120), 통신장치(130), 약품탱크측정장치(150) 등을 제어한다.
움직임감지장치(170)는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움직임감지장치(170)는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출입문(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보안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보안해제가 되지 않은 경우에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보안해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움직임감지장치(170)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내부를 촬영하며,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수도시설의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소규모 수도시설의 관리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물탱크측정장치(110)는 소규모 수도시설(100) 내의 물탱크(112)에 설치되며,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한다(S110). 이때, 물탱크측정장치(110)는 부력봉(114)을 구비하며, 물탱크(112)에 저장되는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탱크측정장치(110)는 부력봉(114)의 무게를 감지하며, 감지되는 부력봉(114)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제1설정 값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면(S120),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통신장치(130)를 통해 물공급조절장치(210)에 물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물탱크(112)에 물이 공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물공급조절장치(210)는 수도시설제어장치(140)로부터 수신한 물공급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물탱크(112)에 연결된 물공급 관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물탱크(112)에 물이 공급되도록 조절한다(S130).
이때,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제1설정 값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면,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140).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되는 물탱크(112)의 물의 양에 대한 영상을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50). 이때, 물탱크측정장치(110), 카메라(120), 통신장치(130), 수도시설제어장치(140) 등의 동작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은 전력충전장치(160)를 통해 태양광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제2설정 값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면,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물탱크(112)의 물의 양에 대한 영상촬영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관리자는 최소한의 전력을 이용하여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제1설정 값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최소 설정 값 이하가 된 상태에서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에 의해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제3설정 값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면,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하며, 물공급조절장치(210)에 물공급의 차단에 대한 공급차단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물공급조절장치(210)는 수도시설제어장치(140)로부터 수신한 공급차단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물탱크(112)에 공급되는 물을 차단 제어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최소한의 전력을 이용하여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제3설정 값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 물탱크(112)에 저장된 물의 양이 최대 설정 값 이상이 된 상태에서 물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차단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약품탱크측정장치(150)는 약품탱크(152)에 설치되며,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S160). 이때, 약품탱크(152)에 저장되는 약품이 액체인 경우, 약품탱크측정장치(150)는 물탱크측정장치(110)와 마찬가지로 부력봉(154)을 이용하여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측정되는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1기준설정 값 이하가 되면(S170),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촬영할 수 있다(S180).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90).
한편, 약품탱크(152)는 별도의 약품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약품공급 관으로 연결되며,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측정되는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에 기초하여 약품저장탱크로부터 약품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1기준설정 값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면, 약품저장탱크로부터 약품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2기준설정 값 이상인 것으로 측정되면, 약품저장탱크로부터의 약품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측정장치(150)에 의해 측정되는 약품탱크(152)의 약품의 양이 제2기준설정 값 이상이면,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통신장치(13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로써, 수도시설제어장치(140)는 약품탱크(152)에 저장된 약품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자동으로 약품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약품의 부족이나 지나침에 대한 약품탱크(152)의 현재의 상황을 관리자단말기(300)에 영상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소규모 수도시설(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소규모 수도시설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물탱크측정장치;
    상기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통신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물탱크에 대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조절장치;
    상기 물탱크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물탱크의 물의 양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물공급조절장치에 물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의 양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수도시설제어장치; 및
    약품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하는 약품탱크측정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수도시설제어장치는 상기 약품탱크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약품탱크의 약품의 양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약품공급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약품탱크의 약품의 양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물탱크측정장치 및 상기 약품탱크측정장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된 무게추; 상기 와이어에 대해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된 복수의 고정쇠; 및 각각의 상기 고정쇠의 사이에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추;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추 및 상기 무게추의 무게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양 또는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전력충전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도시설제어장치는 상기 전력충전장치에 충전된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통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도시설제어장치는 상기 소규모 수도시설의 보안해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움직임감지장치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소규모 수도시설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설정된 주기로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7. 삭제
KR20140133082A 2014-10-02 2014-10-02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50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3082A KR101504074B1 (ko) 2014-10-02 2014-10-02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3082A KR101504074B1 (ko) 2014-10-02 2014-10-02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074B1 true KR101504074B1 (ko) 2015-03-19

Family

ID=5302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3082A KR101504074B1 (ko) 2014-10-02 2014-10-02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71A (ko) 2017-12-06 2019-06-14 (주) 동우엔지니어링 소규모 수도 시설용 스마트 배전반
KR20190066670A (ko) 2017-12-06 2019-06-14 (주) 동우엔지니어링 소규모 수도 시설용 로컬 통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148A (ko) * 2001-02-15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케미컬 공급장치
KR101177029B1 (ko) * 2012-06-04 2012-08-24 청정테크주식회사 상수도 통합관리 감시 시스템
KR101194167B1 (ko) * 2012-05-22 2012-10-24 (주)버들시스템 소규모 수도시설의 침입감지 및 영상녹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148A (ko) * 2001-02-15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케미컬 공급장치
KR101194167B1 (ko) * 2012-05-22 2012-10-24 (주)버들시스템 소규모 수도시설의 침입감지 및 영상녹화 시스템
KR101177029B1 (ko) * 2012-06-04 2012-08-24 청정테크주식회사 상수도 통합관리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71A (ko) 2017-12-06 2019-06-14 (주) 동우엔지니어링 소규모 수도 시설용 스마트 배전반
KR20190066670A (ko) 2017-12-06 2019-06-14 (주) 동우엔지니어링 소규모 수도 시설용 로컬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6599B2 (en) Smart water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58792B2 (en) Smart swimming pool or hot tub monitor
KR101200895B1 (ko) 무선통신 모뎀을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4074B1 (ko) 소규모 수도시설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U2017232651A1 (en) Chemical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KR101177029B1 (ko) 상수도 통합관리 감시 시스템
US20210012638A1 (en) Wireless Leak Alarm Camera and Sensors, and Wireless Valv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70032152A (ko) 양어장의 급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6001022B2 (ja) 屋外遠隔水質測定装置及び方法
US20200209092A1 (en) Sump Pump Tracking Device
US20140267705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feed amount
EP36967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softener salt level detection using smart sensor
KR20170033164A (ko) 스마트 양식장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양식장 관리 방법
KR101888602B1 (ko) 수족관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194167B1 (ko) 소규모 수도시설의 침입감지 및 영상녹화 시스템
US10794026B2 (en) Dock management system
BRPI1002465A2 (pt) método de controle de um conjunto de piscinas, centro de gestão para um conjunto de piscinas, dispositivo para controle e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da qualidade da água
CN105094006A (zh) 通过微机电系统驱动的无线设备及其方法
KR101011093B1 (ko) 관정 내장형 지하수 수질 관측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21258105A1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connected pool devices
KR101892726B1 (ko) Lpwa통신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 및 토양 수분 관제시스템
US9494978B2 (en) Power line docking station apparatus
EP1771043A1 (en)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 device
JP2019100785A (ja)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および携帯端末
JP2019039793A (ja) 熱中症予防装置および熱中症予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