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259B1 - 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259B1
KR101503259B1 KR1020140093210A KR20140093210A KR101503259B1 KR 101503259 B1 KR101503259 B1 KR 101503259B1 KR 1020140093210 A KR1020140093210 A KR 1020140093210A KR 20140093210 A KR20140093210 A KR 20140093210A KR 101503259 B1 KR101503259 B1 KR 10150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unit
vibration
reinforcing materi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준 filed Critical 최영준
Priority to KR102014009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2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3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soil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0Grouts, e.g. injection mixtures for cables for prestress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excitation apparatus capable of introducing a reinforcing material to an object, such as bedrock, ground or concrete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leaking prevention or crack reinforcement, and a method of introducing grout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excitation apparatus having a seismic excitation unit for applying micro vibration to a reinforcing material so as to effectively introduce the reinforcing material to cracks or voids of an object, and a method of introducing grout using the same. The seismic excitation apparatus includes: a seismic excitation unit for applying vibration energy to a reinforcing material to be introduced according to a reference vibration frequency; an integrat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ismic excitation unit;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troducing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outlet port of the seismic excitation unit to receive the vibrated reinforcing material and inject the reinforcing material to the cracks of the object.

Description

가진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

본 발명은 암반, 지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대상체에 대하여 개량, 누수 방지 또는 균열 보강 등의 목적으로 보강재를 주입하기 위한 가진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강재에 미세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발생부를 포함하여 대상체의 갈라진 틈이나 공동으로 보강재가 효과적으로 주입 및 침투될 수 있는 가진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itation generator for injecting a stiffener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leakage prevention, or crack reinforcement to objects such as rock mass, ground, and concrete structures, and a grouting method using the exci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citer generator capable of effectively injecting and infiltrating a stiffener through cracks or cavities of a target object, including a generating portion, and a grouting method using the same.

건물, 터널 및 지하공도 시설물 등과 같은 구조물의 굴착 과정, 또는 시공 후 내·외적 요인에 의해, 상기 구조물 및 지반 등(이하, '대상체'라 한다)에 균열이 발생한다. 상기 균열은 상기 대상체로의 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균열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서는 상기 대상체의 구조적 안전이 위협받게 되기도 한다.Cracks are generated in the structure and the gr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object") due to the excavation process of a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a tunnel and an underground highway facility, or an internal or external factor after construction. The cracks facilitate the penetration of water into the object. As the crack progresses,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object may be threatened.

이러한 균열로 인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균열에 보강재를 주입하는 그라우팅 보강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보강재료는 시멘트 등을 물에 혼합한 현탁액형이나, 물유리계 약액과 같은 용액형 등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risk of such a crack, a grouting reinforcement method for injecting a reinforcement into the crack is use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suspension type in which cement or the like is mixed with water or a solution type such as a water-based chemical solution.

상기 현탁액형으로 사용되는 포트란트시멘트 현탁액은 대상체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고강도의 발현이 용이하고 값이 싸 경제적이나, 현탁액의 점성에 의해 미세 균열(틈이 1/10 ~ 2/10 mm 범위 이하의 균열)에 대한 침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미세 균열에 대해서는 물과 시멘트가 분리되어 시멘트의 주입량이 감소 된다. 이는 상기 미세 균열에 대한 보강을 불충분해 짐을 의미한다.The cement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as the suspension type has a high strength and a low cost which are easy to develop and improv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object. However, due to the viscosity of the suspension, microcracks (gaps in the range of 1/10 to 2/10 mm The following cracks). In other words, water and cem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microcracks, and the amount of cement injected is reduced. This means that reinforcement for the microcracks is insufficient.

미세 균열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미세 균열에 대한 침투성이 우수한 초미립자시멘트(평균입자 크기가 10㎛로서 용액형에 버금가는 침투성을 가지며 고강도의 발현이 가능) 현탁액이나 용액형의 보강재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고가여서 비 경제적이다. 나아가, 용액형 보강재는 시멘트 현탁액에 비하여 대상체에 대한 보강 강도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reinforce microcracks, ultra-fine particle cement having an excellent permeability to microcrack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 탆 and permeability equivalent to that of a solution type, capable of high-strength development) suspension or solution type reinforcement is used. However, all of these are expensive and uneconomical. Furthermore, the solution type reinforcing material has a problem that the reinforcing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cement suspension are inferior to the cement suspens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37237호(2010.01,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37237 (Jan. 15, 20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보다 경제적이면서 고강도의 발현이 가능한 고점성 고농도의 보강재를 미세 균열에도 효과적으로 주입 및 침투시킬 수 있는 가진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citer generator capable of efficiently injecting and infiltrating a high-viscosity high-strength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more economical and capable of exhibiting high strength, into fine cracks, and a grouting method using the same. It has its purpos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가진 발생장치는, 유입되는 보강재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 진동 주파수에 따라 진동 에너지를 부여하는 가진발생부; 상기 가진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부; 상기 가진발생부의 입구 측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보강재를 상기 가진발생부로 공급하는 보강재공급부; 및 상기 가진발생부의 출구 측과 연통되어 가진된 보강재를 전달받고 이를 보강할 대상체에 주입하는 보강재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citation generator including: a excitation generator for imparting vibration energy to an incoming stiffener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oscillation frequency; An integrat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xcitation generator; A reinforcing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side of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and supplying a stiffener to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je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sid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to receive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injec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into a target object to be reinforced.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가진발생부는,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 및 유입되는 보강재를 수용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부여되는 동력에 의해 보강재에 포함된 입자가 여기 상태(excited state)가 되도록 상기 보강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승강 왕복 운동하는 진동봉; 상기 진동봉에 의해 힘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진동봉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보강재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진동봉이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공간 및 상기 진동판 하측의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보강재가 상기 진동판의 충격에 의해 가진되는 가진공간를 포함하는 내부공간과, 상기 가진공간에서 가진된 보강재를 배출하는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that applies power; And a vibr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inflowing reinforcing member and applies vibration to the reinforcing member so that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reinforcing member are excited by the power applied from the driving motor, A vibrating rod connected to the motor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 diaphragm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scillating bar reciprocates at a position where the oscillating rod can receive a force; An inner spac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flows, an elevating and lowering space arranged to be reciproca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scillating bar, and an excitation space excited by the impact of the diaphragm introduced into the space below the diaphragm, And a housing includ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an excited stiffener in the excitation space.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승강공간에서 상기 진동봉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illess bearing configur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scillating bar in the lifting space.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가진발생부는, 상기 보강재공급부와 가진발생부 사이에 게재되어 보강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에 포함될 수 있는 불규칙한 진동 에너지를 소산하기 위한 안정화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abiliz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generating unit and the stiffener supplying unit to dissipate irregular vibration energy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tiffener supplied from the stiffener supplying unit.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보강재공급부는, 상기 가진발생부의 입구 측과 연통하는 공급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안정화 유닛은, 상기 공급파이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큐물레이터(accumulat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stiffener supply unit may include a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an inlet side of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and the stabiliz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accumulator mounted on the supply pipe .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진동판은, 하방향의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진공간에 장착되는 테두리부로 구성되되, 상기 가진공간에는 원주방향으로 요홈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부가 완충부재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phragm may include a downward bend portion and a rim portion formed on a rim of the bend portion and mounted in the vibrating space, wherein the vibrating plate is formed with a groove having a groove sha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dge of the diaphragm can be attached to the groove by the buffer member.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장착홈에는 상, 하면에 요홈 형상의 소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소산홈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소산홈의 끝단부에 삽입되는 장착돌기가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mounting grooves are formed with recessed groov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The cushioning member has a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sipating groove and attached to the rim of the diaphragm, And a mounting protrusion protruded and inserted into an end of the dissipating groove.

한편, 본 발명의 가진 발생장치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은 시공 대상체에 대한 천공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에 상술한 가진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가진된 보강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함에 특징이 있다.
Meanwhile, the grout injection method using the excitat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boring the object to be constructed, and a step of injecting an excited reinforcement using the excitation generator described above in the perfo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진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은, 보강재를 가진되게 하여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발생부를 구비함에 따라 미세 균열에 대한 침투가 어려운 고밀도 고점성의 시멘트류 현탁액의 겉보기 점성을 낮춰서 이들도 대상체의 갈라진 틈이나 공동에 효과적으로 침투 및 주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citat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outing method using the same have an excitation generating part for imparting vibration by exciting a reinforcing material, thereby lowering the apparent viscosity of a high density and high viscosity cement suspension which is difficult to penetrate microcracks. Can be effectively infiltrated and injected into the cracks or cavities of the object.

또한 시멘트류 현탁액은 저가이나 고강도 발현이 가능하기에 본 발명의 가진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내구성이 좋게 그라우팅 보강을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so, since the cement suspension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and high strength, grouting reinforcement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economically and durably using the excitat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보강재에 대한 진동을 부여함에 있어 가진발생부는 안정화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보강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에 포함될 수 있는 불규칙한 진동 에너지를 소산시킴으로써 균일할 진동에너지를 포함하는 보강재만을 제공함에 따라 보강재의 침투 및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articularly, in providing the vibration to the stiffener, the generating unit dissipates the irregular vibration energy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tiffener supplied from the stiffener supply unit due to the stabilizing unit, thereby providing only the stiffener including the uniform vibration energ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j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진 발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진발생부와 통합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진발생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진발생부에 있어 가진 유닛의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진된 보강재의 주입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인공시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citing unit in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tificial test piece for testing injection performance of an excited stiff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진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가진 발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공급부(10)와 가진발생부(20) 및 보강재주입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cit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nerator 20 having a stiffener supply unit 10 and a stiffener injection unit 30 as shown in FIG.

상기 보강재공급부(10)는 상기 가진발생부(20)의 선단에 구비되어 대상체에 보강을 실시하기 위한 보강재를 상기 가진발생부(20)로 공급한다.The stiffener supply unit 1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excitation generator 20 to supply a stiffener to the excitation generator 20 for reinforcing the target object.

이러한 보강재공급부(10)는 상기 가진발생부(20)의 입구(2003)와 연통되어 상기 보강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파이프(100)와 보강재를 수용하는 저장탱크(110)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저장탱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보강재가 복수의 조성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조성물을 분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einforcing material supply unit 10 includes a supply pipe 100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2003 of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20 to transport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a storage tank 110 for receiving the reinforcing material. At least one tank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sitions, each composition can be separated and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 보강재공급부(1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내부에 교반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저장탱크(110)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강재를 교반하게 되며, 교반이 완료된 보강재를 상기 공급파이프(100)를 통해 상기 가진발생부(20)의 입구(2003)측으로 공급하도록 한다.The stiffener supply unit 10 is not shown in the figure but is provided with stirring means to stir the stiffener including at least one composition contained in the at least one storage tank 110, To the inlet (2003) side of the excitation generator (20) through the pipe (100).

여기서 상기 보강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포트란트 또는 일반 시멘트 현탁액과 같은 현탁액형 보강재일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상기 보강재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반, 지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보강재가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a suspension type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 commonly used portland or general cement suspens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but may be a reinforcing material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object such as a rock, Lt; / RTI > can be selected.

상기 공급파이프(100)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펌프(120)는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또는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된 보강재를 상기 가진발생부(20)로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 에너지를 부여한다. The pump 120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pipe 100 imparts a moving energy for flowing the stiffen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10 or stirred by the stirring means to the generation unit 20.

또한 상기 보강재공급부(10)에는 공급파이프(100)에 장착되는 압력계(130)와 유량계(140) 및 리턴밸브(150)를 포함하여 상기 가진발생부(20)로 공급되는 보강재의 양이나 펌핑 압력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추후 보강재공급부(10)의 펌프의 출력량, 보강재의 공급량 및 보강재의 공급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The stiffener supply unit 1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130 mounted on the supply pipe 100 and a flow meter 140 and a return valve 150. The amount of the stiffener supplied to the generation unit 20, And such data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controlling the output amount of the pump of the stiffener supply unit 10, the supply amount of the stiffener, the supply pressure of the stiffener, and the like.

한편, 상기 가진발생부(20)는 상기 보강재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에 대하여 진동 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진동이 부여된 보강재를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강재주입장치(30)로 전달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20 is configured to impart vibration energy to the reinforc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reinforcing material supplying unit 10,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to which the vibration is applied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jecting apparatus 30 .

상기 가진발생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유닛(200)과 구동모터(210) 및 안정화 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20 includes a vibration unit 200, a driving motor 210, and a stabilization unit 220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진동유닛(200)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가진발생부(20)에 보강재가 유입되기 직전의 위치에는 역류방지 유닛(230)과 유량계(2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유닛(230)은 상기 진동유닛(200)에서 가진된 진동 에너지 또는 보강재가 상기 보강재공급부(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230 and the flow meter 24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stiffener is introduced in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20 before the vibration unit 200 is described.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230 prevents the vibration energy or the stiffener excited in the vibration unit 200 from flowing back to the stiffener supply unit 10.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 유닛(230)으로는 볼 밸브(Ball valv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량계(240)는 상기 진동유닛(200)으로 유입되는 보강재의 유량을 확인하게 되고 이러한 유량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유닛(200)의 제어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As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230, a ball valve or the like may be used. The flow meter 240 confirms the flow rat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flowing into the vibration unit 200. The flow rate data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200 as described above.

상기 진동유닛(200)은 하우징(2000)과 진동봉(2010)과 진동판(2020)을 포함한다.The vibration unit 200 includes a housing 2000, a vibration rod 2010, and a diaphragm 2020.

상기 하우징(20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는 중공체로, 그 내부에는 내부공간(200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2001)에는 상기 진동봉(2010)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공간(2001-1)과 진동판(2020) 하측의 공간으로 유입된 보강재가 가진되는 가진공간(2001-2)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housing 2000 is a hollow body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ternal space 2001 is formed therein and the vibrating rod 2010 is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xcitation space 2001-2 excited by a reinforcement introduced into the space below the diaphragm 2020. The excitation space 2001-2 is a space in which the excitation space 2001-2 is disposed.

이때, 상기 승강공간(2001-1)은 상기 진동봉(20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200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상기 진동봉(2010)의 수직도를 유지함은 물론 승강공간(2001-1)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마찰과 진동 및 충격하중 등의 기계적 저하 요인으로부터 승강공간(2001-1)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elevating space 2001-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illess bearing 2002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brating rod 2010, The durability against the lifting space 2001-1 can be improved due to mechanical degradation factors such as friction, vibration and impact load which may occur due to the nature of the lifting space 2001-1 as well as the lifting space 2001-1.

한편 상기 진동유닛(200)의 하우징(2000)에는 그 상부에 상기 공급 파이프(100)와 연통되는 입구(2003) 및 상기 하우징(20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되 상기 입구(2003)와 상기 가진공간(2001-2)을 연통하는 유입통로(2004)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유입통로(2004)의 경우 상기 하우징(2000) 내부의 상부에서 환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구(2003)와 연통되는 환형통로(2004-1)와, 상기 하우징(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환형통로(2004-1)와 연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길이통로(2004-2) 및 상기 길이통로(2004-2) 끝단에서 상기 가진공간(2001-2)과 연통하는 토출구(2004-3)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2000 of the vibra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inlet 2003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pipe 10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inlet 200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00, An inlet channel 2004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2001-2 is formed. In the case of the inlet channel 2004, the inlet channel 2004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t the upper part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0, At least two longitudinal passages (2004-2) communicating with the annular passage (200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00), and at least two longitudinal passages And a discharge port 2004-3 communicating with the vibrating space 2001-2.

이러한 유입통로(2004)의 구성에 의해 상기 입구(2003)로 유입된 보강재는 순차적으로 상기 환형통로(2004-1)와 길이통로(2004-2)를 거쳐 토출구(2004-3)로 토출됨으로써 상기 가진공간(2001-2)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let passage 2004, the stiffener introduced into the inlet 2003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004-3 through the annular passage 2004-1 and the length passage 2004-2 sequentially, Can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2001-2).

여기서 상기 토출구(2004-3)에서 가진공간(2001-2)으로 토출되는 보강재의 토출방향(D)는 상기 진동판(2020)의 진동방향(V)과 교차 즉, 도 4에서는 수직한 방향이 된다. 이는 가진공간(2001-2)이 상기 길이통로(2004-2)와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배치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상기 가진공간(2001-2)에서 진동을 받은 보강재가 상기 유입통로(2004)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discharge direction 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discharged into the space 2001-2 in the discharge port 2004-3 is perpendicular to the vibration direction V of the diaphragm 2020, . This means that the vibrating space 2001-2 is spaced apart from the length passage 200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is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iffener, which has been vibrated in the vibrating space 2001-2, from flowing back to the inflow passage 2004.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90도 각도로 4개의 길이통로(2004-2)와 토출구(2004-3)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도 4의 단면도에 따르면 2개의 길이통로(2004-2)와 3개의 토출구(2004-3) 만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길이통로(2004-2)와 토출구(2004-3)의 수는 상기 제시한 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재의 유입량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is embodiment, four length passages 2004-2 and a discharge port 2004-3 are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However, according to the sectional view of FIG. 4, two length passages 2004-2 and 3 Only the discharge ports 2004-3 are shown. However, the number of the length passages 2004-2 and the discharge ports 2004-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number, but it is natural that the number of the length passages 2004-2 and the discharge port 2004-3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inflow amount of the reinforcement.

상기 진동봉(2010)은 그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에 의해 왕복 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은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축(211)에 장착된 캠(212) 등에 의해 상기 진동봉(2010)을 승강 왕복 운동하는 힘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캠(212) 구조 외에도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상기 진동봉(2010)의 승강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e end of the vibrating rod 20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10 and is reciproc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210. This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211 by means of a cam 212 or the like which is mounted on the moving rod 2010. [ The structure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210 into the up / down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ibrating rods 2010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the cam 212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상기 진동봉(2010)에 의해 힘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는 상기 진동판(2020)이 상기 진동봉(2010)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거의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진동봉(2010)과 진동판(2020)의 상호 작용에 따라 실질적으로 진동이 부여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진동판(2020)은 상기 진동봉(2010)과의 충돌에 의해 힘을 받아 연속적으로 진동 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diaphragm 202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vibrating plate 2010 can receive a force by the vibrating rod 2010 and is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vibration rod 2010 reciprocates, The vibration is substantially imparted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hat is, the diaphragm 2020 receives the force by the collision with the vibrating bar 2010, and generates vibration energy continuously.

상기 진동판(20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하부 방향으로 굴곡진 굴곡부(2021)를 형성함으로써 진동봉(2010)의 끝단과 접촉 면적을 확장되게 하고 상기 진동봉(2010)의 수직운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동판(2020)은 그 소재에 있어 진동의 발생에 필요한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4, the diaphragm 2020 has a curved portion 2021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in its cross section to enlarge the contact area with the end of the vibration rod 2010, So that exercis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e diaphragm 202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ductility required for generation of vibration in the material.

이에 더하여 상기 진동유닛(200)은 상기 진동판(2020)과 하우징(2000) 내경부 간에는 완충부재(2030)를 장착하여 진동판(2020)에서 발생한 진동이 하우징(20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함으로써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어 소산되지 않고 온전하게 가진공간(2001-2)으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unit 200 mounts a buffer member 2030 between the diaphragm 202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0 to relieve vibrations generated in the diaphragm 20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ousing 2000,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only to the space 2001-2 without being dissipated.

이렇게 진동판(202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는 상기 가진공간(2001-2)에서 작용하게 되는 바, 상기 토출구(2004-3)를 통해 가진공간(2001-2)으로 유입되는 보강재에 가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진동 에너지를 포함하는 보강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강재주입부(30)로 이동하여 미세 균열이나 공동(空洞)에 보다 효율적으로 침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vibration energy generated by the diaphragm 2020 in this way acts in the vibrating space 2001-2 and can be appli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 flowing into the space 2001-2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04-3 The stiffener including the vibration energy moves to the stiffener injection unit 30 to be infiltrated into the microcracks or cavities more efficiently.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판(2020)은 상기 굴곡부(2021)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굴곡부(202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진공간(2001-2)에 장착되는 테두리부(2022)로 구성되되, 상기 가진공간(2001-2)에는 원주방향으로 요홈 형성의 장착홈(2001-3)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2001-3)에는 상기 진동판(2020)의 테두리부(2022)가 상기 완충부재(2030)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2020 is formed at a rim of the bending portion 2021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ending portion 2021, The mounting groove 2001-3 is formed in the vibrating space 200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mounting groove 2001-3 is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2001-3. 2022 are attached by the cushioning member 2030.

이러한 진동판(2020)의 장착구조에 더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진동판(2020)에서 진동 에너지가 발생함에 있어 진동 에너지가 외부로 소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iaphragm 2020, the present embodiment suggests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dissipation of vibration energy to the outside when the vibration energy is generated in the diaphragm 2020.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2001-3)에는 상, 하면에 요홈 형상의 소산홈(2001-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2030)는 상기 소산홈(2001-4)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진동판(2020)의 테두리부(2022)에 부착되는 몸체(2031) 및 상기 몸체(2031)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소산홈(2001-4)의 끝단부에 삽입되는 장착돌기(2032)가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grooves 2001-3 are formed with grooved grooves 2001-4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and the buffer member 2030 is formed with the grooves 2001 A body 203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2020 and attached to the rim 2022 of the diaphragm 2020 and a body 2031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body 2031 and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dissipating groove 2001-4 A mounting projection 2032 is formed.

즉, 상기 장착홈(2001-3) 상, 하면에 소산홈(2001-4)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소산홈(2001-4)이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하우징(2000)으로부터 가진공간(2001-2)의 결합 면적 다시 말해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진동 에너지가 하우징(200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since the dissipating grooves 2001-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1-3, the space 2001-2 from the housing 2000 due to the space occupied by the dissipating grooves 2001-4, That is, the contact area is minimized so that the vibration energy is not transmitted to the housing 2000.

특히, 상기 완충부재(2030)에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는 그 끝단부의 장착돌기(2032)를 따라 상기 소산홈(2001-4)의 요홈 공간으로 유동하여 진동 에너지가 최종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산홈(2001-4)에서 소산되도록 하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vibration energy transmitted to the cushioning member 2030 flows to the groove space of the dissipating groove 2001-4 along the mounting protrusion 2032 at the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2030, thereby preventing the vibration energy from finally flowing out to the outside And dissipated in the dissipation groove (2001-4).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에너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지는 동시에 상기 가진공간(2001-2)으로만 진동 에너지의 전달을 도모할 수 있는 진동판(2020)의 특징적인 장착 구조를 제시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haracteristic mounting structure of the diaphragm 2020 is provided which can prevent external leakage of vibration energy and transmit vibration energy only to the vibrating space 2001-2.

또한 상기 하우징(2000)은 그 하부에 출구(2005)가 형성되며 상기 가진공간(2001-2)의 하부에서 상기 출구(2005)와 연하는 안내부(2006)가 형성되어 상기 가진공간(2001-2)에서 가진된 보강재는 출구(2005) 측을 연결하는 안내부(2006)에 의해 상기 보강재주입부(30)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보강재가 안내되는 안내 방향(I)은 상기 진동방향(V)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강재에 진동을 가하는 과정에서 보강재의 보강재주입부(30)로의 진행이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The housing 2000 is formed with an outlet 2005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guide portion 2006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ibrating space 2001-2 and adjacent to the outlet 2005, 2 is guided to the stiffener injection portion 30 by the guide portion 2006 connecting the outlet 2005 sid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ing direction I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guided coincides with the vibration direction V. Accordingly, the progress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to the reinforcement material injection portion 30 is not restrict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reinforcement material.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진동유닛(200) 내에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동봉(2010)의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모터(210)는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진동봉(2010)에서 요구되는 승강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212)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21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tion of the vibrating rod 2010 which is movably disposed in the vibration unit 200. The driving motor 210 drives the rotating shaft of the vibrating unit 200, 201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am 212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안정화 유닛(220)은 상기 보강재공급부(10)로부터 가진발생부(20)로 공급되는 보강재에 대한 안정화 공정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stabilizing unit 220 performs a stabilization process on the reinforc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reinforcing material supplying unit 10 to the generating unit 20.

이러한 안정화 유닛(220)은 상기 보강재공급부(10)의 펌프(120)의 미세 진동 발생에 의해 상기 보강재에 포함될 수 있는 불규칙한 진동 에너지를 소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급파이프(100)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큐물레이터(accumulator)를 제시한다.The stabilization unit 220 dissipates irregular vibration energy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stiffener due to the generation of minute vibration of the pump 120 of the stiffener supply unit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at least one accumulator to be mounted.

상기 어큐물레이터는 상기 펌프(120)의 펌핑 불안정한 압력 또는 펌프의 갑작스런 정지에 따른 충격과 진동을 흡수 및 완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어큐물레이터의 구성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인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The accumulator absorbs and mitigates shock and vibration due to unstabl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120 or sudden stop of the pump. The configuration of such accumulators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진발생부(20)에서는 상기 보강재주입부(30)로 진동 에너지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전달함에 따라 암반, 지반 및 콘크리트 구조물 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갈라진 틈이나 공동 등으로 보강재가 효과적으로 주입 및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material containing the vibration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reinforcement material injecting unit 30, so that the reinforcement material is dispersed in the cracks or cavities of the object including the rock,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injected and infiltrated.

특히 상기 가진발생부(20)에서는 상기 보강재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에 대하여 진동을 부여함에 있어 불규칙한 진동을 제거 또는 완화하기 위한 안정화 유닛(220)이 구비됨에 따라 균일한 진동 에너지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보강재주입부(30)로 전달하기 때문에 미세 균열에도 보강재가 보다 효과적으로 주입 및 침투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20, since the stabilizing unit 220 for removing or alleviating the irregular vibration is provided in imparting the vibration to the reinforc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reinforcing material supplying unit 10, Since the reinforcement material is transmitted to the reinforcement material injection unit 30, reinforcement material can be more effectively injected and infiltrated into micro cracks.

한편, 상술한 가진발생부(20)에서 가진된 보강재는 상기 보강재주입부(30)의 주입파이프를 통해 대상체에 주입된다. 상기 가진된 보강재의 미립자들은 진동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 또는 여기 상태(Excited state)가 되며, 보강재의 겉보기 점도는 진동을 가하기 전의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겉보기 점도의 저하에 의해 시멘트류의 현탁액인 보강재도 미세 균열(C)에 효과적으로 주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tiffener excited in the above-described excitation generator 20 is injected into the object through the injection pipe of the stiffener injection unit 30. The excited particulates of the excited stiffener are excited or excited by receiving the vibrational energy and the apparent viscosity of the stiffener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before the vibration is applied. This lowering of the apparent viscosity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inject the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a suspension of the cement flow, into the microcracks (C).

상기 보강재의 주입을 위하여 대상체에는 주입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공(310)에는 주입케이싱(32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케이싱(320) 내에 주입파이프(300)가 삽입되어 주입이 이루어질 때, 주입파이프(300)에 장착되며 고무 소재 등으로 형성되는 팩커(330)는 팽창되어 주입파이프(300)의 선단부에서 분사되는 보강재가 역류하지 않도록 주입케이싱(320)을 밀폐한다.An injection hole 310 is formed in the object to inject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injection casing 32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hole 310. When the injection pipe 30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casing 320 and the injection is performed, the packer 330, which is mounted on the injection pipe 300 and formed of rubber material or the like, Seal the injection casing (320) so that the injected stiffener does not flow backward.

한편, 상기 보강재주입부(30)를 통해 균열(C)로 주입되는 보강재가 주입 효과를 가장 높일 수 있는 진동 주파수 범위를 갖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진발생부(20)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부(40)를 더 포함하는 바, 이러한 통합제어부(40)는 조절 유닛(400)과 주파수 감지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stiffener injected into the crack C through the stiffener injection unit 30 to have a vibration frequency range for maximizing the injection effec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0 and a frequency sensing sensor 410. [

상기 주파수감지센서(410)는 상기 주입파이프(300)에 장착되어 상기 가진발생부(20)에 의해 가진되어 주입파이프(300)를 통해 균열(C)로 주입되는 보강재의 주파수를 감지하도록 한다. 이는 보강재가 상기 가진발생부(20)에서 가진 될 때의 진동 즉, 기설정된 진동에 비하여 주입파이프(300)를 이동하여 균열(C)에 주입되는 도중 보강재의 진동이 감쇄되기 때문에 실제 균열(C)에 주입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측정하고 이러한 비교치에 따라 상기 가진발생부(2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함이다.The frequency sensing sensor 410 is mounted on the injection pipe 300 and detects the frequency of a reinforcement material injected into the crack C through the injection pipe 300 by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20. This is because the vibration of the stiffener during the injec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to the crack C is attenuated by moving the injection pipe 300 compared to the vibration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excited by the generating portion 20, And to selectively control the drive of the excitation generator 2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value.

상기 주파수감지센서(410)에서 감지되는 보강재의 감쇄 진동 주파수는 조절 유닛(400)의 주파수검출기(401)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주파수검출기(401)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는 제어기(402)를 통해 대비회로(403)로 전달되며, 상기 대비회로(403)는 균열(C)에 대한 보강재의 효과적인 주입을 위해 설정된 기준 진동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감지센서(410)를 통해 검출되는 실제 감쇄 진동 주파수를 대비하게 된다.The frequency of the attenuation vibration of the stiffener sensed by the frequency detection sensor 410 is detected by the frequency detector 401 of the control unit 400. The frequency detected by the frequency detector 401 is transmitted to the contrast circuit 403 via the controller 402 and the contrast circuit 403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vibration frequency And the actual attenuation vibration frequency detected through the frequency detection sensor 410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대비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그 결과에서 차이가 발생하며, 상기 제어기(402)는 그 차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주파수감지센서(410)를 통해 검출되는 감쇄 진동 주파수를 보상하기 위하여 최초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출력을 높여 균열(C)로 주입되는 진동 주파수가 기준 진동 주파수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제어하는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2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210 according to the difference. That is, in order to compensate the attenuation vibration frequency detected through the frequency detection sensor 410, the output is higher than the initially set rotation speed so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injected into the crack C is controll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reference vibration frequency .

그리고 상기 통합제어부(40)는 상기 제어기(402)와 구동모터(210) 사이에 배치되는 증폭기(404)를 포함하는 바, 상기 증폭기(404)는 제어기(402)에서 구동모터(210)로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증폭하도록 한다. The integrated controller 40 includes an amplifier 404 disposed between the controller 402 and the driving motor 210. The amplifier 404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02 to the driving motor 210 Thereby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10)의 경우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형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제어기(40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drive motor 210 can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402 by employing an inverter-type motor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한편 이하 실험예 및 도 5를 통해 대상체의 균열(C)에 대한 보강재의 주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통합제어부(40)에 설정된 기준 진동 주파수의 범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5, the range of the reference vibration frequency set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40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maximize the injection efficiency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crack C of the objec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도 5에는 균열에 대한 보강재의 주입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인공시험체(50)의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공시험체(50)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500, 510)과,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페이서(520)를 포함한다.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ficial test piece 50 for testing the injection performance of a reinforcing material with respect to a crack. Referring to FIG. 5, the artificial test body 50 includes upper and lower plates 500 and 510 and a pair of spacers 520 disposed therebetween.

상기 스페이서(520)에 의해서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500, 510) 사이에 일정 간격, 즉 주입 간격(530)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 간격(530)은 앞서 도 1의 균열(C)에 대응되는 인공적인 공간이다.The spacer 520 forms a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500 and 510, that is, an injection gap 530. The injection interval 530 is an artifici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crack C in FIG.

상기 주입 간격(530)의 일 측, 도면상 우측 단부 측은 주입파이프(300)와 연결된다. 상기 주입파이프(300)는 상기 가진발생부(20)에서 가진된 보강재를 이송 및 주입하는 구성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주입 간격(530)의 일 단부 측에 주입된 보강재는 주입 간격(530)을 따라 진행하여 주입 간격(530)의 다른 단부 측, 도면상 좌측 단부로 배출된다.One side of the injection gap 530, the right end side in the drawing,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300. The injection pipe 300 is configured to transfer and inject the reinforcing material excited by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material injected to one end side of the injection gap 530 proceeds along the injection gap 530 and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injection gap 530,

먼저, 물과 일반시멘트의 배합비가 2:1인 현탁액형 보강재의 가진되는 진동의 주파수 범위에 따른 주입 간격(530)으로의 침투 속도를 알아본다. 여기서, 주입 간격(530)의 길이는 280cm이고, 높이(간격)는 0.1mm이다.First, the penetration velocity into the injection gap 530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nge of excitation of the suspension-type stiffener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water and general cement is 2: 1 is examined. Here, the length of the injection interval 530 is 280 cm, and the height (interval) is 0.1 mm.

주파수(Hz)Frequency (Hz) 00 55 7.57.5 1010 12.512.5 1515 17.517.5 2020 최초통과
속도(cm/sec)
First pass
Speed (cm / sec)
11.6611.66 15.5615.56 21.5421.54 18.6718.67 20.0020.00 17.5017.50 18.6718.67 17.5017.50
100(ml)100 (ml) 2.982.98 4.524.52 8.758.75 7.007.00 6.516.51 5.385.38 5.285.28 5.005.00 200(ml)200 (ml) 1.531.53 2.462.46 4.524.52 3.643.64 3.463.46 2.892.89 2.752.75 2.432.43 300(ml)300 (ml) 1.001.00 1.631.63 3.083.08 2.222.22 2.242.24 1.871.87 1.771.77 1.561.56 400(ml)400 (ml) 0.750.75 1.201.20 2.282.28 1.651.65 1.631.63 1.361.36 1.291.29 1.131.13 500(ml)500 (ml) 0.590.59 0.960.96 1.781.78 1.321.32 1.291.29 1.061.06 0.980.98 0.890.89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7.5 정도의 주파수를 가한 경우 주입량 100이 전부 주입 간격(530)을 통과하는 동안의 평균적인 통과 또는 침투 속도는 8.75이다. 이는 주파수가 0인 경우(진동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침투 속도 2.98의 3배에 상당하는 속도이다. 이러한 결과는 보강재의 주입량의 변화에 무관하다. 다시 말해서, 주파수 7.5로 가진된 보강재의 주입 간격(530)에 대한 침투 속도는 주파수가 0인 경우(진동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대략 3배가 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Referring to Table 1 above, when the frequency of 7.5 is applied, the average passage or penetration velocity during the injection amount 100 passes through the injection interval 530 is 8.75. This is equivalent to three times the penetration velocity 2.98 when the frequency is zero (when no vibration is applied). This result is irrelevant to the change of the injection amount of the stiffener.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filtration rate for the excitation interval 530 of the excited stiffener at a frequency of 7.5 is approximately three times that of a frequency of zero (when no vibration is applied).

나아가, 주입량이 100인 경우에 주파수 범위가 6 ~ 13.5라면, 보강재의 침투 속도는 최소 6이다. 침투 속도 6은 가진이 없는 경우의 침투 속도 2.98의 2배에 이르는 값이다.Furthermore, if the frequency range is 6 to 13.5 for an injection volume of 100, the infiltration rate of the stiffener is at least 6. Penetration rate 6 is twice the infiltration rate 2.98 in the absence of an exciter.

결과적으로, 보강재를 가진하기 위한 진동 주파수는 7.5인 것이 최고의 침투속도를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As a result,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for holding the stiffener is 7.5 because the maximum penetration velocity can be obtained.

그러나, 주파수가 0인 경우(진동을 가하지 않은 경우)와 대비하여 최소의 진동 주파수가 부여되는 경우,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3Hz 이상의 주파수가 부여된 경우에도 그 침투 효과가 인정되는 바, 본 발명에 실시에 따라 부여되는 진동 주파수는 3Hz 내지 20Hz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a minimum vibration frequency is given in comparison with a case where the frequency is 0 (no vibration is applied), for example, even if a frequency of 3 Hz or more is given, though not shown in [Table 1]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giv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in the range of 3 Hz to 20 Hz.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다음으로, 물과 초미립자(마이크로)시멘트의 배합비가 1:1인 현탁액형 보강재의 가진되는 진동의 주파수 범위에 따른 주입 간격(530)으로의 침투 속도를 알아본다. 여기서도, 주입 간격(530)의 길이는 280cm이고, 높이(간격)는 0.1mm로 상기 실험예1과 동일하다.Next, the penetration velocity into the injection gap 530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nge of excitation of the suspension-type stiffener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water and ultrafine particle (micro) cement is 1: 1 is examined. Here, the length of the injection interval 530 is 280 cm, and the height (interval) is 0.1 mm, which is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주파수(Hz)Frequency (Hz) 00 55 7.57.5 1010 12.512.5 1515 17.517.5 2020 100(ml)100 (ml) 1.941.94 2.562.56 5.005.00 4.304.30 3.113.11 3.183.18 3.413.41 2.712.71 200(ml)200 (ml) 0.970.97 1.411.41 2.202.20 2.132.13 1.621.62 1.761.76 1.641.64 1.511.51 300(ml)300 (ml) 0.660.66 0.960.96 1.371.37 1.311.31 1.101.10 1.121.12 1.101.10 1.031.03 400(ml)400 (ml) 0.490.49 0.710.71 0.980.98 0.950.95 0.840.84 0.850.85 0.830.83 0.780.78 500(ml)500 (ml) 0.380.38 0.560.56 0.760.76 0.730.73 0.670.67 0.670.67 0.660.66 0.640.64

표 2를 참조하면, 7.5 정도의 주파수를 가한 경우 주입량 100이 전부 주입 간격(530)을 통과하는 동안의 통과 또는 침투 속도는 5.00이다. 이는 주파수가 0인 경우(진동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침투 속도 1.94의 2.5배에 상당하는 속도이다. 이러한 결과는 앞선 일반시멘트 현탁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강재의 주입량의 변화에 거의 무관하다. 다시 말해서, 주파수 7.5로 가진된 보강재의 주입 간격(530)에 대한 침투 속도는 주파수가 0인 경우(진동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대략 2.5배가 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Referring to Table 2, when the frequency of 7.5 is applied, the passing or penetration velocity is 5.00 while the injection amount 100 i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injection interval 530. This is a speed equivalent to 2.5 times the penetration speed of 1.94 when the frequency is zero (when no vibration is applied). These results are almost irrelevant to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reinforcement injected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cement suspension.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enetration velocity of the excited stiffener at the frequency of 7.5 to the injection gap 530 is approximately 2.5 times that of the frequency of 0 (when no vibration is applied).

나아가, 주입량이 100인 경우에 주파수 범위가 5.5 ~ 15라면, 보강재의 침투 속도는 최소 3.2이다. 침투 속도 3.2는 가진이 없는 경우의 침투 속도 1.94의 약 1.65배에 이르는 값이다.Further, if the frequency range is 5.5 to 15 when the injection amount is 100, the infiltration rate of the stiffener is at least 3.2. The infiltration rate 3.2 is about 1.65 times the infiltration rate 1.94 in the absence of the excitation.

결과적으로, 보강재를 가진하기 위한 진동 주파수는 7.5인 것이 최고의 침투속도를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험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주파수가 0인 경우(진동을 가하지 않은 경우)와 대비하여 최소의 진동 주파수가 부여되는 경우,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3Hz 이상의 주파수가 부여된 경우에도 그 침투 효과가 인정되는 바, 본 발명에 실시에 따라 부여되는 진동 주파수 범위는 3Hz 내지 20Hz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As a result,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for holding the stiffener is 7.5 because the maximum penetration velocity can be obtained. However, in this experiment example, when the minimum vibration frequency is given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frequency is 0 (when no vibration is applied), for example, even though not shown in Table 1, It is natural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range given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in the range of 3 Hz to 20 Hz.

이와 같이 상기 실험예 1 및 2에 따르면, 일반시멘트 현탁액 및 마이크로시멘트 현탁액에 대한 실험 결과로부터 보강재에 대한 최적의 진동 주파수는 7.5Hz인 것임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결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파수가 0인(진동을 가하지 않은 경우)와 대비하여 보강재에 대한 침투효과가 인정되는 3Hz 내지 20Hz 범위 이내에서 선택적으로 진동 주파수가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general cement suspension and the micro cement suspension that the optimum vibration frequency for the reinforcing material is 7.5 Hz,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esults,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frequency can be selectively applied within a range of 3 Hz to 20 Hz in which penetration effect on the stiffener is recognized in comparison with a frequency of 0 (when no vibration is applied).

여기서, 상기 범위 이내의 진동 주파수를 설정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토사층 또는 암반층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진동 주파수를 선택하여 부여하도록 한다.Here, in setting the vibration frequency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vibration frequency suitable for the type and shape of the soil layer or the rock layer is selected and given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성토, 사질토, 사력층, 전석층 등을 포함하는 토사층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풍화암, 연암, 보통암, 경암 등을 포함하는 암반층 등 대상체의 종류는 물론 각각의 토질 조건 내지 투수계수 등 대상체의 특성에 최적화된 적정 주파수를 부여하도록 제시하고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3, the soil layer including the clayey soil, the sandy soil, the sandstone layer, the oily layer, and the rock layer including weathered rock, soft rock,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frequencies optim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such as the soil condition an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are given as well as the type of object.

토질Soil 토질 조건
Soil condition
투수계수
k(cm/sec)
Permeability coefficient
k (cm / sec)
적정주파수
(Hz)
Proper frequency
(Hz)
비고Remarks
점성토Clayey soil 점토, 모래Clay, sand 느슨Loose 3.20×10-4 3.20 × 10 -4 55 중간middle 1.08×10-4 1.08 × 10 -4 55 조밀Dense 6.85×10-5 6.85 × 10 -5 55 사질토Sandy soil 가는 모래Thin sand 느슨Loose 6.50×10-2 6.50 x 10 -2 5 ~ 105 to 10 일부 저투수층 협재부분 할렬Some of the low permeability layer 중간middle 3.20×10-2 3.20 x 10 -2 5 ~ 105 to 10 조밀Dense 8.90×10-3 8.90 × 10 -3 5 ~ 7.55 to 7.5 굵은 모래Coarse sand 느슨Loose 3.00×10-1 3.00 x 10 -1 10 ~ 1510 to 15 토질의 다짐 형태에 따라 조정 가능Adjustable according to soil compaction type 중간middle 1.04×10-1 1.04 x 10 -1 10 ~ 1510 to 15 조밀Dense 8.15×10-2 8.15 x 10 -2 10 ~ 1510 to 15 사력층Gravity layer 모래, 자갈Sand, gravel 중간middle 10-1cm/sec10 -1 cm / sec 5 ~ 105 to 10 자갈 및 전석 혼재율에 따라 조정 가능Adjustabl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gravel and all seats 전석층All seats 전석 혼재Mixed all seats 중간middle 10-0cm/sec10 -0 cm / sec 5 ~ 105 to 10

지반Ground 투수계수
k(cm/sec)
Permeability coefficient
k (cm / sec)
적정주파수
(Hz)
Proper frequency
(Hz)
개구 조건Opening condition
풍화암
연암
보통암
경암
Weathered rock
Soft stone
Common cancer
Carcass
10-1 10 -1 7.5 ~ 12.57.5 to 12.5 점토, 미립자 일부 협재Clay, Particulate Part Coordination
10-2 10 -2 7.5 ~ 12.57.5 to 12.5 10-3 10 -3 7.5 ~ 157.5 to 15 점토, 미립자 일부 협재Clay, Particulate Part Coordination 10-4 10 -4 12.5 ~ 1512.5 to 15 10-5 10 -5 12.5 ~ 1512.5 to 15 마이크로시멘트
주입가
Micro cement
Injecto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제시되는 진동 주파수는 3Hz 내지 20Hz 범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 주파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체의 종류 내지 특성에 따른 적정 주파수를 선택하여 부여될 수 있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frequency sugge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ined in the range of 3 Hz to 20 Hz,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is controlled so as to be given by selecting an appropriate frequency according to the type or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will b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보강재공급부 20 : 가진발생부
30 : 보강재주입부 40 : 통합제어부
100 : 공급파이프 110 : 저장탱크
120 : 펌프 200 : 진동유닛
210 : 구동모터 220 : 안정화유닛
10: Stiffener supply part 20:
30: reinforcement material injection part 40: integrated control part
100: supply pipe 110: storage tank
120: pump 200: vibration unit
210: drive motor 220: stabilization unit

Claims (8)

유입되는 보강재를 수용하며 구동모터로부터 부여되는 동력에 의해 보강재에 포함된 입자가 여기 상태(excited state)가 되도록 상기 보강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가진발생부;
상기 가진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부;
상기 가진발생부의 입구 측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보강재를 상기 가진발생부로 공급하는 보강재공급부; 및
상기 가진발생부의 출구 측과 연통되어 가진된 보강재를 전달받고 이를 보강할 대상체에 주입하는 보강재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승강 왕복 운동하는 진동봉과; 상기 진동봉에 의해 힘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진동봉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보강재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진동봉이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공간 및 상기 진동판 하측의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보강재가 상기 진동판의 충격에 의해 가진되는 가진공간를 포함하는 내부공간과, 상기 가진공간에서 가진된 보강재를 배출하는 출구 및 상기 승강공간에서 상기 진동봉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판은 그 단면이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진공간에 장착되는 테두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진공간에는 원주방향으로 요홈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부가 완충부재에 의해 부착되되 장착홈의 상, 하면에 는 요홈 형상의 소산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소산홈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진동판의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소산홈의 끝단부에 삽입되는 장착돌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 발생장치.
A vibration generating unit including a vibrating unit for receiving the inflowing stiffener and applying vibration to the stiffener so that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stiffener are excited by the power applied from the drive motor;
An integrat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xcitation generator;
A reinforcing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side of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and supplying a stiffener to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And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je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side of the excitation generating unit to receive the excited stiffener and inject it into a target object to be reinforced,
The vibration unit includes:
A vibrating rod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A diaphragm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scillating bar reciprocates at a position where the oscillating rod can receive a force; An inner spac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flows, an elevating and lowering space arranged to be reciproca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scillating bar, and an excitation space excited by the impact of the diaphragm introduced into the space below the diaphragm, An outlet for discharging an excited stiffener in the excitation space, and at least one oilless bearing configur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scillating bar in the elevation space,
Wherein the diaphragm comprises a bend portion having a cross section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rim portion formed in a rim of the bend portion and mounted in the vibrating space,
The mounting groove has a rim of the diaphragm attached to the mounting space by a cushioning member, and grooves of a concave shape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unting groove, respectively. Wherein the buffer member comprises a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sipating groove and attached to a rim of the diaphragm, and a mounting protrusion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an end of the dissipat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발생부는,
상기 보강재공급부와 가진발생부 사이에 게재되어 보강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에 포함될 수 있는 불규칙한 진동 에너지를 소산하기 위한 안정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citation generator comprises:
And a stabiliz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generating unit and the stiffener supply unit for dissipating irregular vibration energy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tiffener supplied from the stiffener supply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공급부는,
상기 가진발생부의 입구 측과 연통하는 공급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안정화 유닛은,
상기 공급파이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큐물레이터(accumul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 발생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iffener-
And a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side of the generating section is provided,
The stabilizing unit includes:
And at least one accumulator mounted on said supply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천공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에 상기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진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가진된 보강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 발생장치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공법.
Piercing; And
And injecting an excited reinforcement material into the perforation by using the generator of any one of claims 1, 4, and 5. The grouting method using the exciter generator of claim 1,
KR1020140093210A 2014-07-23 2014-07-23 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KR101503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210A KR101503259B1 (en) 2014-07-23 2014-07-23 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210A KR101503259B1 (en) 2014-07-23 2014-07-23 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259B1 true KR101503259B1 (en) 2015-03-24

Family

ID=5302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210A KR101503259B1 (en) 2014-07-23 2014-07-23 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25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926A (en) * 2018-11-19 2019-03-29 吴广义 A kind of waterproofing and leakage-stopping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area
KR102206297B1 (en) 2020-07-10 2021-01-22 주식회사 지에스이 Method for constructing a ground using top-bit and vibration packer employing a impact apparatus
KR102224119B1 (en) 2020-12-08 2021-03-08 이승호 Multiple Pulsation Inducing Grouting injection device
KR102224114B1 (en) 2020-12-08 2021-03-08 이승호 Pulsation Inducing Grouting injec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512A (en) * 2008-08-29 2010-03-10 최영준 Vibration unit and grouting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KR20120042364A (en) * 2010-10-25 2012-05-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ynamic injection and grouting apparatus with rotary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512A (en) * 2008-08-29 2010-03-10 최영준 Vibration unit and grouting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KR20120042364A (en) * 2010-10-25 2012-05-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ynamic injection and grouting apparatus with rotary valv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926A (en) * 2018-11-19 2019-03-29 吴广义 A kind of waterproofing and leakage-stopping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area
CN109537926B (en) * 2018-11-19 2021-04-06 吴广义 Waterproof and leaking stoppage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area
KR102206297B1 (en) 2020-07-10 2021-01-22 주식회사 지에스이 Method for constructing a ground using top-bit and vibration packer employing a impact apparatus
KR102224119B1 (en) 2020-12-08 2021-03-08 이승호 Multiple Pulsation Inducing Grouting injection device
KR102224114B1 (en) 2020-12-08 2021-03-08 이승호 Pulsation Inducing Grouting inj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259B1 (en) Cement Grouting by Vibrating Method
US31305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load
CN102182468A (en) Method and device for solidifying water-filling cracking surrounding rocks of tunnel by adopting high-pressure air water-dispelling grouting
US9903170B2 (en) Method employing pressure transients in hydrocarbon recovery operations
JP2010112110A (en) Grout injecting method and grout injector
US20170081820A1 (en) Soil Dens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989585B1 (en) Vibration unit and grouting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KR101469766B1 (en) Impact injection grouting device
KR10174665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pile for reinforce of mine hole
CN110206018A (en) A kind of induction type grouting construction method
JPH10114938A (en) Execution method and device of grouting in rock bed
KR101585198B1 (en) Grouting apparatus
JP5055974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ground excavation equipment
KR101561214B1 (en) Underground filling apparatus
JPH07317052A (en) Method of dynamic injection construction for foundation improvement
RU2643396C1 (en) Method of lifting and leveling of buildings/constructions
JP5016947B2 (en) Solidification material vibration inj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343515A (en) Foundation improvement method
KR101524247B1 (en) Compaction equipment for base mound of ruble stone for constructing harbor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869566B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crack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0072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reinforcing material in near-vibrating manner
CN206990551U (en) Acoustic frequency vibration creeps into slip casting analogue experiment installation
KR101750862B1 (en) Grout Pretreatment Apparatus Using Soundwave
KR102459426B1 (en) Automatic injection grouting method based on vibration generation
JP3709505B2 (en) Ground liquefaction preven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