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162B1 - 휀스 - Google Patents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162B1
KR101503162B1 KR20130131489A KR20130131489A KR101503162B1 KR 101503162 B1 KR101503162 B1 KR 101503162B1 KR 20130131489 A KR20130131489 A KR 20130131489A KR 20130131489 A KR20130131489 A KR 20130131489A KR 101503162 B1 KR101503162 B1 KR 10150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ence
plate
ventilation hol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이원주
박영남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3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5Fences with pivotable slats for reduced wind resistance or for adjusting vis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휀스가 개시된다. 상기 휀스는 통풍구를 포함하는 휀스강판; 및 상기 휀스강판의 통풍구 내에 설치되는 통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부재는 상기 통풍구 내에서 상기 통풍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90°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휀스{FENCE}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휀스에 부딪히는 풍압에 의한 풍압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EGI 휀스란 건축 공사장에 가설되는 휀스를 말하는 것으로, 건축공사 현장의 소음 방지와 비산 먼지의 방지를 그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더 나아가, 공사현장, 가설담장, 아파트 현장 등의 공사장 가설재와 비산과 먼지 예방용으로 사용하며 보행자의 통행안전을 확보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EGI 휀스가 가설되는 관계로 베이스가 튼튼하지 못하거나 혹은 강풍에 의하여 EGI 휀스가 넘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EGI 휀스는 단순히 건설 현장의 소음 방지와 비산먼지의 방지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EGI 휀스로 인한 안전 사고에는 전혀 시설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풍이 발생할 경우 많은 EGI 휀스의 설치가 가설이 되어 있는 관계로 밑부분의 BASE가 강풍에 의한 휀스의 공기 저항을 이겨내지 못할 정도로 약하게 설치되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이러한 부실한 EGI 휀스의 설치로 인하여 장마철 혹은 태풍 발생시 많은 공사 현장에서 EGI 휀스에 가해지는 강풍에 의하여 EGI 휀스가 쓰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GI 휀스의 크기가 크고 또한 중간에 바람이 통할 수 있는 공간이 없는 관계로 실질적으로 EGI 휀스에 가해지는 바람의 저항은 상당히 큰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하여 EGI 휀스 설치 시 아무리 바람의 저항에 강하게 기초를 설치한다 해도 기존의 제품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휀스에 가해지는 풍압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휀스가 쓰러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풍압하중이 감소된 휀스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통풍구를 포함하는 휀스강판; 및 상기 휀스강판의 통풍구 내에 설치되는 통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부재는 상기 통풍구 내에서 상기 통풍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90°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는, 휀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풍부재는, 상기 통풍구 내에 위치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상기 휀스강판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통풍구를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통풍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를 감싸고 있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판이 상기 통풍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풍부재는, 상기 통풍구 내에 위치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통풍구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는 제1 회전판;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판과 대칭되게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통풍구의 다른 영역을 개폐하는 제2 회전판; 및 상기 통풍구를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을 상기 통풍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회전판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회전판에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휀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풍부재가 통풍구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휀스의 통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풍부재가 통풍구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통풍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휀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휀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휀스는 휀스강판(120); 및 통풍부재(130)를 포함한다.
휀스강판(120)은 휀스의 설치지역에서 휀스에 의해 나뉘는 두 영역을 서로 차단한다. 또한 휀스강판(120)에는 통풍부재(130)의 설치 및 바람이 통과될 수 있는 통풍구(121)가 형성된다. 일 예로, 통풍구(121)는 원형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휀스강판(120)은 통상의 휀스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들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휀스강판(12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서로 이웃하는 두 지주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강판이라면 이용에 제한이 없다.
통풍부재(130)는 휀스비틀림 스프링(141, 142)을 향해 부는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통풍부재(130)는 휀스비틀림 스프링(141, 142)을 향해 바람이 부는 경우 개방되고 바람이 없는 경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휀스비틀림 스프링(141, 142)에 설치된다.
이러한 통풍부재(130)는 통풍구(121) 내에서 통풍구(121)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판(132)을 포함한다.
회전판(132)은 통풍구(121) 내에서 90°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회전판(132)의 90°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통풍구(121)를 향해 바람이 불면 회전판(132)이 지속적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회전판(132)이 통풍구(121)를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하게 되고 통풍구(121)를 향해 부는 바람이 멈추어도 회전판(132)은 통풍구(121)를 폐쇄한 상태로 위치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판(132)은 상기 통풍구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회전판은 일정 각도로만 회전되어 상기 통풍구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풍부재가 통풍구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휀스의 통풍부재(230)는 샤프트(131); 상기 회전판(132); 스톱퍼(133); 및 비틀림 스프링(141, 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31)는 회전판(13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판(132)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축이다. 이러한 샤프트(131)는 통풍구(121)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샤프트(131)는 통풍구(121)의 내측 단부에 양측 단부가 지지되는 형태로 통풍구(121) 내에 위치한다.
회전판(132)은 샤프트(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회전판(132)은 회전판(132)의 폭의 중앙 부분에 샤프트(131)와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132c)를 갖는다. 상기 원통의 직경은 샤프트(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결합부(132c)가 샤프트(131)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회전판(132)은 통풍구(1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회전판(132)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스톱퍼(133)는 회전판(132)의 회전 반경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스톱퍼(133)는 샤프트(131)의 일측으로부터 휀스강판(120)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예를 들면, 스톱퍼(133)는 샤프트(131)의 상단부에 근접하도록 샤프트(131)의 외측면으로부터 샤프트(131)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스톱퍼(133)는 회전판(132)의 통풍구(121)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때 스톱퍼(133)가 위치한 지점에서 회전판(132)의 회전이 멈추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판(132)은 90°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비틀림 스프링(141, 142)은 통풍구(121)를 개방하도록 회전된 회전판(132)을 통풍구(121)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비틀림 스프링(141, 142)은 샤프트(131)를 감싸도록 샤프트(131) 상에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141a, 142a) 및 제2 단부(141b, 142a)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부(141a, 142a)는 샤프트(131)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단부(141b, 142b)는 회전판이 상기 통풍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141, 142)은 회전판(132)의 회전 방향에 상관 없이 항상 회전판(132)이 통풍구(121)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느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141)은 일단부, 예를 들면, 제2 단부(141b)가 회전판(132)의 결합부(132c)로부터 연장된 일부 영역(132a)에 지지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142)은 일단부, 예를 들면, 제2 단부(142b)가 회전판(132)의 결합부(132c)로부터 연장된 다른 영역(132b)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비틀림 스프링(141, 142)은 샤프트(131)상에 결합되어 샤프트(131)의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제2 단부(141b, 142b)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에 의하면, 샤프트(131)를 상단부를 평면으로 하여 볼 때, 회전판(132)이 제1 방향(A), 예를 들면, 통풍구(121)를 개방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와 제2 방향(B), 예를 들면, 통풍구(121)를 개방하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모두 회전판(132)이 통풍구(121)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비틀림 스프링(141, 142)의 탄성보다 큰 힘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 회전판(132)은 바람에 의해 통풍구(121)를 개방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바람이 멈추는 경우 비틀림 스프링(141, 142)은 회전판(132)을 복귀시키므로 통풍구(121)가 폐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휀스의 통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풍부재가 통풍구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통풍부재(230)는 샤프트(231); 제1 회전판(232); 제2 회전판(233); 및 스프링(234)을 포함한다.
샤프트(231)는 통풍구(221)의 내벽에 양측 단부가 지지되도록 통풍구(221) 내에 위치한다. 이때, 통풍구(221)는 샤프트(231)를 기준으로 제1 영역(221a) 및 제2 영역(221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회전판(232)은 샤프트(23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샤프트(231)을 기준으로 분할된 통풍구의 일부 영역을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역(221a)을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회전판(232)은 샤프트(231)와 평행한 단부를 포함하고, 샤프트(231)와 평행한 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제1 결합부(232a)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232a)는 샤프트(231)와 결합되고, 이에 의해 제1 회전판(232)은 샤프트(231)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역(221a)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판(232)의 상기 샤프트(231)와 평행한 단부의 반대측은 통풍구(2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통풍구(221)가 원 형상인 경우, 상기 샤프트(231)와 평행한 단부의 반대측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판(233) 역시 샤프트(23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샤프트(231)를 기준으로 분할된 통풍구(221)의 다른 영역을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영역(221b)을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회전판(233)은 샤프트(231)과 평행한 단부를 포함하고, 샤프트(231)와 평행한 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제2 결합부(233a)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233a)는 샤프트(231)와 결합되고, 이때 제2 결합부(233a)는 제1 결합부(232a)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회전판(233)는 샤프트(231)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예를 들면, 상기 제2 영역(221b)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판(233)은 제1 회전판(232)의 형상에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 회전판(232) 및 제2 회전판(233)이 통풍구(221)를 개폐한 형태가 도 5에 잘 나타나 있다.
스프링(234)은 제1 회전판(232) 및 제2 회전판(233)이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개방될 때 인장된 후 바람이 멈추면 복원되어 통풍구(221)가 폐쇄되도록 제1 회전판(232) 및 제2 회전판(233)을 복귀시킨다. 즉, 스프링(234)은 평상시 및 바람이 멈춘 후에는 제1 회전판(232) 및 제2 회전판(233)이 통풍구(22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프링(234)은 바람에 의해 제1 회전판(232) 및 제2 회전판(233)이 쉽게 개방될 수 있고, 바람이 멈춘 경우 통풍구(221) 내로 쉽게 복원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갖는다.
일 예로, 스프링(234)이 제1 회전판(232) 및 제2 회전판(233)과 연결되기 위해, 제1 결합부(232a)에는 샤프트(23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스프링연결부(232b)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233a)에는 제1 스프링연결부(232b)와 평행한 제2 스프링연결부(2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프링연결부(232b) 및 제2 스프링연결부(233b)는 샤프트(231)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프링(234)의 일단부는 제1 스프링연결부(232b)에 체결되고 스프링(234)의 타단부는 제2 스프링연결부(233b)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234)은 샤프트(231)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스프링(234)의 설치구조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휀스는 조립식 림(2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림(235)은 통풍구(221)에 결합이 가능한 얇은 고리 모양의 부분으로서, 조립식 림(235)의 둘레를 따라 홈(235a)이 형성되어 있고, 홈(235a)을 통풍구(221)의 내벽에 끼워서 조립식 림(235)을 통풍구(221)에 결합이 가능하다. 조립식 림(235)은 통풍구(221)와의 결합을 위해 통풍구(2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조립식 림(235)이 구비되는 경우, 앞서 언급된 샤프트(231), 제1 회전판(232), 제2 회전판(233) 및 스프링(234)은 조립식 림(235)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조립식 림(235)을 통풍구(221)에 결합하면 통풍부재(230)가 통풍구(22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풍부재(230)를 조립식 림(235) 내에 구성하여 독립적인 통풍부재(230)의 제작이 가능하고, 통풍부재(230)를 휀스강판(220)의 통풍구(221) 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통풍부재(230)가 파손되는 경우 신규의 통풍부재(230)로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휀스를 이용하면, 휀스강판(220)을 향해 바람이 부는 경우, 바람에 의해 휀스강판(220)의 일부 영역이 개방되게 되고, 이에 의해 바람은 휀스강판(220)을 관통하여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휀스강판(220)에 가해지는 풍압하중이 감소되고, 이러한 작용에 따라 휀스가 쓰러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Claims (4)

  1. 통풍구를 포함하는 휀스강판; 및
    상기 휀스강판의 통풍구 내에 설치되는 통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부재는,
    상기 휀스강판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통풍구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한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는 회전판;
    상기 통풍구를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통풍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스톱퍼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스톱퍼에 의해 회전 반경이 제한되어 90°이상으로 회전되지 않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를 감싸고 있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판이 상기 통풍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2. 삭제
  3. 삭제
  4. 통풍구를 포함하는 휀스강판; 및
    상기 휀스강판의 통풍구 내에 설치되는 통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부재는,
    상기 휀스강판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통풍구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한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통풍구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는 제1 회전판;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판과 대칭되게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통풍구의 다른 영역을 개폐하는 제2 회전판; 및
    상기 통풍구를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기 제1 회전판 및 상기 제2 회전판을 상기 통풍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회전판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회전판에 연결되는,
    휀스.
KR20130131489A 2013-10-31 2013-10-31 휀스 KR10150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1489A KR101503162B1 (ko) 2013-10-31 2013-10-31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1489A KR101503162B1 (ko) 2013-10-31 2013-10-31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162B1 true KR101503162B1 (ko) 2015-03-16

Family

ID=5302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1489A KR101503162B1 (ko) 2013-10-31 2013-10-31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1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81U (ko) * 2007-02-08 2008-08-13 박재홍 통풍부재를 구비한 egi 휀스
KR101333997B1 (ko) * 2011-10-25 2013-11-27 한국도로공사 통풍형 방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81U (ko) * 2007-02-08 2008-08-13 박재홍 통풍부재를 구비한 egi 휀스
KR101333997B1 (ko) * 2011-10-25 2013-11-27 한국도로공사 통풍형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6119244A (ru) Респиратор с некруглым клапаном выдоха, установленным в центре масс
US8308396B2 (en) Flood vent
CA2666704C (en) Cylinder lock hav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coupled to an outer rose disc
US20070172310A1 (en) Rotary spindle structure
US8622675B2 (en) Screw structure
ES2339942T3 (es) Cierre temporal.
US20150252570A1 (en) Swivel connector
KR101503162B1 (ko) 휀스
US9803761B1 (en) Flapper check valve bumper
KR102105120B1 (ko)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KR101993687B1 (ko) 바람 저항을 줄이는 돌출 간판
US7111358B1 (en) Tensioned pivot assembly
US20110154615A1 (en) Hinge
KR200403829Y1 (ko) 소음방지장치가 구비된 배수파이프
US8024840B2 (en) Hinge
KR101898690B1 (ko) 유지보수가 쉬운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US20130038191A1 (en) Hinge and portable device with the same
KR101014387B1 (ko) 굴절형 차단벽을 위한 풍압력 완화장치
IT202000024208A1 (it) Parzializzatore e modulo ventola di raffreddamento che ne è provvisto
KR101353409B1 (ko) 절단이 어려운 방범창
KR100561088B1 (ko) 자성체를 이용한 회전식 방음판의 한계강도 잠금장치
KR101987254B1 (ko) 창호용 이탈방지구
KR100881824B1 (ko) 안전 도어
KR20190043497A (ko) 텐트 폴을 위한 회전 허브
KR200278696Y1 (ko) 외부 표시기가 설치된 원통형 방화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