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968B1 -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Google Patents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2968B1 KR101502968B1 KR20140040519A KR20140040519A KR101502968B1 KR 101502968 B1 KR101502968 B1 KR 101502968B1 KR 20140040519 A KR20140040519 A KR 20140040519A KR 20140040519 A KR20140040519 A KR 20140040519A KR 101502968 B1 KR101502968 B1 KR 101502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roller
- clutch body
- elastic
- power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클러치몸체(600); 및,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제2클러치몸체(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롤러(630)가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에 닿으면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회동하여 상기 탄성롤러(730)를 눌러주고 상기 동력전달롤러(630)와 상기 탄성롤러(730) 사이에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서로 맞닿아 압착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의 회전력이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로 전달되고,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출력축으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부하가 전달되면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상기 탄성롤러(730)를 눌러주면서 후퇴하여 상기 동력전달롤러(630)가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을 타고넘는 슬립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롤러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회전축 사이의 회전력 전달이 단속되는 동력전달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동력전달 클러치는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부하)가 작동하는 경우 동력전달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동력전달이 차단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9890호(탄지구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자동회전문의 동력전달구조)가 있는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기술은 과부하 발생시 동력전달 과정에 슬립이 발생되기 위하여 다수의 내부도어(1)(1')가 수직 입설된 회전축(2)의 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2)은 상판(3)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4)에 의해 회전되게 하며, 상기 내부도어(1)(1')의 외주면에는 투명벽체(5)가 형성된 공지의 자동회전문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축(2)의 선단에는 하부에 플랜지(10)가 형성된 스플라인축(11)을 삽입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12)(12')이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축(11)과 슬립되는 별도의 회전링(19)을 결합하며, 상기 회전링(19)의 외주면에는 구동모터(4)의 원동기어(6)와 치합된 피동기어(13)가 장착된 계지원반(14)을 결합하되, 상기 계지원반(14)에는 횡상의 삽입공(18)(18')을 다수 형성하고 그 내부에 스프링(15) 탄지된 볼상의 탄지구(16)를 삽입하여 별도의 마감캡(17)에 의해 개폐되게 하며, 상기 삽입공(18)(18')으로는 상기 탄지구(16)의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한 회전링(19)의 요홈(12)(12')에 안착되게 하며, 상기 스플라인축(11)의 플랜지(10)에는 일방향 클러치(20)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링(19)이 일방향 클러치(20)의 외주면에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슬립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탄지구(16)와 회전링(19) 사이에 지속적인 마찰로 인하여 마찰열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부품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스크류(볼트) 타입의 마감(17)을 사용함으로써 고속 회전체에 적용할 경우 볼트 풀림에 의한 분리 위험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과도한 부하에 의한 슬립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마찰과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동력전달 클러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볼트 결합 방식을 배제하고 핀 결합 방식을 채택하여 고속 회전시에도 볼트 풀림에 의한 부품의 분리 위험이 없는 새로운 구조의 동력전달 클러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탄성체로 이루어진 롤러를 적용한 새로운 구조의 동력전달 클러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단가를 절감하고 내구성과 신뢰도가 높은 새로운 구조의 동력전달 클러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클러치몸체(600); 및,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제2클러치몸체(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클러치몸체(600)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롤러장착부(610);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의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롤러장착부(610)에 장착되는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 및, 상기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에 중심이 관통되어 상기 롤러장착부(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전달롤러(630);로 이루어진다.
제2클러치몸체(700)는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어 내부로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가 수용되고, 외주면 벽체가 일부 영역 절개된 외주면절개부(710); 상기 외주면절개부(710)의 절단면에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탄성롤러결합핀(720); 상기 탄성롤러결합핀(720)에 중심이 관통되어 상기 외주면절개부(7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롤러(730); 상기 외주면절개부(710)의 절단면에 상기 탄성롤러결합핀(7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 및, 상기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에 관통되어 회동하는 판상 형태의 클러치회동편(750);으로 이루어진다.
제1클러치몸체(6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롤러(630)가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에 닿으면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회동하여 상기 탄성롤러(730)를 눌러주고 상기 동력전달롤러(630)와 상기 탄성롤러(730) 사이에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서로 맞닿아 압착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의 회전력이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로 전달되고,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출력축으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부하가 전달되면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상기 탄성롤러(730)를 눌러주면서 후퇴하여 상기 동력전달롤러(630)가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을 타고넘는 슬립 현상이 발생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과도한 부하에 의한 슬립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마찰과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클러치몸체(70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1클러치몸체(600)가 계속적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면 동력전달롤러(630)가 클러치회동편(750)을 탄성롤러(73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클러치회동편(750)이 탄성롤러(730)를 눌러주면서 후퇴하여 동력전달롤러(630)가 클러치회동편(750)을 타고넘는 슬립(slip) 현상이 발생되는데, 동력전달롤러(630)와 탄성롤러(730) 등은 모두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슬립 과정에서 과도한 마찰열이 발생되지 않고 접촉면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볼트 결합 방식을 배제하고 핀 결합 방식을 채택하여 고속 회전시에도 볼트 풀림에 의한 부품의 분리 위험이 없다.
다시 말하면, 동력전달롤러(630), 탄성롤러(730) 및 클러치회동편(750)은 각각 핀에 의하여 결합되고 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링이 구비되어 있어 고속 회전이나 진동, 충격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더라도 볼트 풀림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셋째, 탄성체로 이루어진 롤러를 적용한 새로운 구조의 동력전달 클러치를 제공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넷째, 이러한 동력전달 클러치가 회전력 전달 장치에 적용될 경우 화전력 전달과정에서 과도한 부하발생시 슬립에 의한 동력차단이 이루어져 동력체 및 기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슬립형 동력전달 클러치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 클러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 클러치가 조립된 상태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 클러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 클러치가 조립된 상태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체 역할을 하는 제1클러치몸체(600)와 종동체 역할을 하는 제2클러치몸체(700)로 구성된다.
제1클러치몸체(600)는 입력축(도시 생략)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제2클러치몸체(700)는 제1클러치몸체(60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력축(도시 생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클러치몸체(6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장착부(610),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 동력전달롤러(630)로 구성된다.
롤러장착부(610)는 제1클러치몸체(600)의 주된 부분으로서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말하며 동력전달롤러(630)가 장착되는 구조와 공간을 제공한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장착부(610)를 측면에서 보면 웨브와 상하부 플랜지를 구비한 "I" 자 형상을 하고 있는데 상부 플랜지를 관통하여 하부 플랜지에 도달하도록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을 끼우면서 동력전달롤러(630)를 관통하여 동력전달롤러(630)가 상하부 플랜지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롤러장착부(610)의 전방 단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가 구비되고, 제1삽입공(650)은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이 삽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즉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은 제1클러치몸체(600)의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클러치몸체(6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롤러장착부(610)에 장착되고, 동력전달롤러(630)는 이러한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에 중심이 관통되어 롤러장착부(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제1이탈방지링(660)은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에 장착되어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의 삽입된 제1삽입공(650)의 입구를 막아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1지지링(670)은 제1이탈방지링(660)이 장착된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에 장착되어 제1이탈방지링(6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적절한 규격의 베어링 가운데 하나가 선택되어 제1지지링(67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클러치몸체(7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어 내부로 제1클러치몸체(600)가 수용된다. 다시 말하면 제1클러치몸체(600)의 롤러장착부(610) 전체가 제2클러치몸체(700)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된다.
제2클러치몸체(700)의 외주면 벽체는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외주면절개부(710)를 이룬다.
이러한 외주면절개부(710)의 절단면에는 제2클러치몸체(7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롤러결합핀(720)이 장착되는데,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롤러(730)가 탄성롤러결합핀(720)에 중심이 관통되어 외주면절개부(7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외주면절개부(710)의 절단면에는 탄성롤러결합핀(720)과 나란한 방향으로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이 장착되고, 판상 형태의 클러치회동편(750)이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에 관통되어 외주면절개부(710) 내측에 회동하게 결합된다.
제2클러치몸체(700)의 전방 단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가 구비되고, 제2삽입공(770)은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탄성롤러결합핀(720) 및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이 삽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제2이탈방지링(780)은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에 장착되어 탄성롤러결합핀(720) 및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이 삽입된 제2삽입공(770)의 입구를 막아 탄성롤러결합핀(720) 및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2지지링(790)은 제2이탈방지링(780)이 장착된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에 장착되어 제2이탈방지링(780)을 지지하는데, 적절한 규격의 베어링 가운데 하나가 선택되어 제2지지링(79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클러치몸체(600)와 제2클러치몸체(700)는 결합되어 도3에 도시된 외형을 갖추게 되는데, 첨부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할 수 있도록 입력축이나 출력축을 지지하는 구조, 또는 제1클러치몸체(600)와 제2클러치몸체(700)을 수용하는 적절한 형태의 하우징이 구비되어야 한다. 아울러 도3에는 제1클러치몸체(600)의 후방면에 입력축과 결합되는 홈부가 구비되고 제2클러치몸체(700)에 전방면에 출력축과 결합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4에는 제1클러치몸체(600)와 제2클러치몸체(70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클러치몸체(600)가 회전함에 따라 동력전달롤러(630)가 클러치회동편(750)에 닿으면 클러치회동편(750)이 회동하여 탄성롤러(730)를 눌러주고 동력전달롤러(630)와 탄성롤러(730) 사이에 클러치회동편(750)이 서로 맞닿아 압착된 상태가 되면서 제1클러치몸체(600)의 회전력이 제2클러치몸체(700)로 전달된다. 즉 동력전달롤러(630), 클러치회동편(750) 및 탄성롤러(730)가 서로 맞닿아 압착된 상태로 하나가 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출력축에 소정 크기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제2클러치몸체(700)가 정지하게 되는데, 제2클러치몸체(700)가 정지한 상태에서 제1클러치몸체(600)는 입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계속적으로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2클러치몸체(70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1클러치몸체(600)가 계속적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면 동력전달롤러(630)가 클러치회동편(750)을 탄성롤러(73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클러치회동편(750)이 탄성롤러(730)를 눌러주면서 후퇴하여 동력전달롤러(630)가 클러치회동편(750)을 타고넘는 슬립(slip) 현상이 발생된다.
여기서 클러치회동편(750)이 탄성롤러(730)를 눌러주면서 후퇴할 수 있는 이유는 탄성롤러(730) 자체가 탄성체로 제작되어 소정의 크기 이상의 힘으로 눌러주면 탄성변형(압축변형)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슬립 현상은 제2클러치몸체(700)로 전달된 회전력보다 외력(부하)가 더 큰 경우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 동력전달롤러(630)와 탄성롤러(730) 등은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슬립 과정에서 과도한 마찰열이 발생되지 않고 접촉면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러치몸체(60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은 2개가 서로 180도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고, 제2클러치몸체(700)에 구비되는 외주면절개부(710)는 2개가 서로 180도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고, 외주면절개부(710) 각각에는 2개의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 사이에 2개의 탄성롤러결합핀(720)이 배치되어 대칭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제1클러치몸체(6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관 없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부하)이 작용하면 제1클러치몸체(600)와 제2클러치몸체(700) 사이에 슬립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클러치 회동편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절개부(710)의 단부에 맞닿아 제2클러치몸체(700) 중심을 향한 회동이 소정의 각도를 넘지않도록 제한되어 제2클러치몸체(700)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롤러장착부(6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600:제1클러치몸체
610:롤러장착부
620:동력전달롤러결합핀
630:동력전달롤러
640:제1이탈방지링결합부
650:제1삽입공
660:제1이탈방지링
670:제1지지링
700:제2클러치몸체
710:외주면절개부
720:탄성롤러결합핀
730:탄성롤러
740:클러치회동편결합핀
750:클러치회동편
760:제2이탈방지링결합부
770:제2삽입공
780:제2이탈방지링
790:제2지지링
610:롤러장착부
620:동력전달롤러결합핀
630:동력전달롤러
640:제1이탈방지링결합부
650:제1삽입공
660:제1이탈방지링
670:제1지지링
700:제2클러치몸체
710:외주면절개부
720:탄성롤러결합핀
730:탄성롤러
740:클러치회동편결합핀
750:클러치회동편
760:제2이탈방지링결합부
770:제2삽입공
780:제2이탈방지링
790:제2지지링
Claims (7)
-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클러치몸체(600); 및,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제2클러치몸체(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롤러장착부(610);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의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롤러장착부(610)에 장착되는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 및,
상기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에 중심이 관통되어 상기 롤러장착부(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전달롤러(63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는,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어 내부로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가 수용되고, 외주면 벽체가 일부 영역 절개된 외주면절개부(710);
상기 외주면절개부(710)의 절단면에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탄성롤러결합핀(720);
상기 탄성롤러결합핀(720)에 중심이 관통되어 상기 외주면절개부(7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롤러(730);
상기 외주면절개부(710)의 절단면에 상기 탄성롤러결합핀(7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 및,
상기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에 관통되어 회동하는 판상 형태의 클러치회동편(75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롤러(630)가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에 닿으면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회동하여 상기 탄성롤러(730)를 눌러주고 상기 동력전달롤러(630)와 상기 탄성롤러(730) 사이에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서로 맞닿아 압착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몸체(600)의 회전력이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로 전달되고,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출력축으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부하가 전달되면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이 상기 탄성롤러(730)를 눌러주면서 후퇴하여 상기 동력전달롤러(630)가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을 타고넘는 슬립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제1항에서,
상기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은 2개가 서로 180도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주면절개부(710)는 2개가 서로 180도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주면절개부(710) 각각에는 2개의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 사이에 2개의 탄성롤러결합핀(72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제1항에서,
상기 클러치회동편(750)은 상기 외주면절개부(710)의 단부에 맞닿아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 중심을 향한 회동이 소정의 각도를 넘지않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롤러장착부(610)에는,
전방 단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 및,
상기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이 통과하는 제1삽입공(650);
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롤러결합핀(620)의 삽입된 상기 제1삽입공(650)의 입구를 덮는 제1이탈방지링(66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제4항에서,
상기 제2클러치몸체(700)에는,
전방 단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 및,
상기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탄성롤러결합핀(720) 및 상기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이 통과하는 제2삽입공(770);
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롤러결합핀(720) 및 상기 클러치회동편결합핀(740)이 삽입된 상기 제2삽입공(770)의 입구를 덮는 제2이탈방지링(78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제5항에서,
상기 제1이탈방지링(660)이 장착된 제1이탈방지링결합부(64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이탈방지링(660)을 지지하는 제1지지링(670); 및,
상기 제2이탈방지링(780)이 장착된 제2이탈방지링결합부(780)에 장착되어 상기 제2이탈방지링(780)을 지지하는 제2지지링(79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제6항에서,
상기 제1지지링(670) 또는 상기 제2지지링(790)은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40519A KR101502968B1 (ko) | 2014-04-04 | 2014-04-04 |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40519A KR101502968B1 (ko) | 2014-04-04 | 2014-04-04 |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2968B1 true KR101502968B1 (ko) | 2015-03-16 |
Family
ID=5302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40519A KR101502968B1 (ko) | 2014-04-04 | 2014-04-04 |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296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182B1 (ko) * | 2014-04-04 | 2015-06-01 | (주)중우엠텍 | 클러치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
CN113977624A (zh) * | 2020-07-27 | 2022-01-2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舵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45833A (ja) * | 1993-11-24 | 1995-06-06 | Kazuyoshi Ueichi | ワンウエイクラッチ装置 |
JP2006029558A (ja) | 2004-07-21 | 2006-02-02 | Ntn Corp | 一方向クラッチ |
KR200440112Y1 (ko) | 2006-12-28 | 2008-05-26 | 주식회사 바낙스 | 낚시용 릴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
-
2014
- 2014-04-04 KR KR20140040519A patent/KR1015029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45833A (ja) * | 1993-11-24 | 1995-06-06 | Kazuyoshi Ueichi | ワンウエイクラッチ装置 |
JP2006029558A (ja) | 2004-07-21 | 2006-02-02 | Ntn Corp | 一方向クラッチ |
KR200440112Y1 (ko) | 2006-12-28 | 2008-05-26 | 주식회사 바낙스 | 낚시용 릴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182B1 (ko) * | 2014-04-04 | 2015-06-01 | (주)중우엠텍 | 클러치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
CN113977624A (zh) * | 2020-07-27 | 2022-01-2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舵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92956B1 (en) | Wrench | |
CN107923492B (zh) | 动力工具 | |
AU2003272618A1 (en) | Bi-directional overrunning clutch for a primary drive axle | |
CN108302136B (zh) | 离合器、驱动传递装置和成像设备 | |
KR101502968B1 (ko) | 탄성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
US20140033882A1 (en) | Power screwdriver overload prevention means | |
JP2015145721A5 (ko) | ||
JP2001027263A (ja) | 過負荷クラッチ | |
KR101451318B1 (ko) | 스프링을 이용한 동력전달 클러치 | |
US4460078A (en) | Torque release clutch | |
KR20130071654A (ko) | 스핀들 록킹장치 | |
KR200482143Y1 (ko) | 마찰 클러치가 구비된 도어락 모터조립체 | |
CN108775347B (zh) | 一种组合式离合器 | |
US9541187B2 (en) | Transmission, in particular for drive systems of construction machines and mining machines | |
JP2006112524A (ja) | 逆入力遮断クラッチ | |
JPH0979293A (ja) | 過負荷保護機構 | |
JP2009078598A (ja) |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力伝達装置 | |
JP6178283B2 (ja) | 過負荷保護装置 | |
JP2006057688A (ja) | 逆入力遮断装置 | |
JP6182709B2 (ja) | 軸力起因型トルク伝達装置 | |
JP6582215B2 (ja) | クラッチ機構 | |
GB2237078A (en) | Freewheel clutch | |
KR101524182B1 (ko) | 클러치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 |
JP2006057802A (ja) | 逆入力遮断装置 | |
JP2006057804A (ja) | 逆入力遮断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