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554B1 - 이동식 안내 표지판 - Google Patents

이동식 안내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54B1
KR101502554B1 KR1020130099388A KR20130099388A KR101502554B1 KR 101502554 B1 KR101502554 B1 KR 101502554B1 KR 1020130099388 A KR1020130099388 A KR 1020130099388A KR 20130099388 A KR20130099388 A KR 20130099388A KR 101502554 B1 KR101502554 B1 KR 10150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haft
support
handl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082A (ko
Inventor
김동하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5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금지나 도로 또는 각종 공사현장 등의 위험요소나 주의상황을 안내하는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반이나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상면에 결합된 중공형 지주 및 이 받침대와 지주를 커버 가능하게 펴고 지주의 중공에 삽입 가능하게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안내용 문구나 기호가 표시된 캐노피를 포함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안내 표지판{Portable sign board}
본 발명은 주차금지나 도로 또는 각종 공사현장 등의 위험요소나 주의상황을 안내하는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이나 보관 시 등에 부피를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처리나 도로공사 또는 검문검색 등 도로상에서의 위험이나 상황발생 시를 비롯하여 각종 건설현장이나 사고위험지역 혹은 주차장 등에는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을 통제하거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주차금지', '공사중' 따위의 알리고자 하는 어떠한 사실이나 사항, 안내 문구나 기호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 표지판을 임시로 세워서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안내하고 있다.
특히 주차금지 안내용 표지판은 최근 차량의 증가로 주차공간이 부족함에 따라 주택가 골목이나 음식점 등의 주차구역 내에 지정 차량 이외의 차량이 무단으로 주정차하는 것을 막기 위해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대부분이 임시로 세워두는 용도적 특성상 표면에 주차금지를 알리는 문구나 기호를 인쇄하거나 붙인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물, 모래, 자갈 등을 내부에 채워넣어 무게 중심을 하부에 집중시킨 마치 오뚝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동식 주차금지 표지판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주차금지 표지판은 그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당한 무게와 부피를 가지도록 제작되거나 내부에 물, 모래, 자갈 등의 중량물이 채워지는 특성상 운반이나 이동이 몹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데다 비사용에 따른 이동이나 보관 시에는 불필요하게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 인해 공간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7637호(2005.06.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298호(2004.06.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1986호(2002.04.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696호(2006.04.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7285호(2010.01.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4652호(2013.03.0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003호(2006.06.0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244호(2010.02.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350호(2003.06.1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475호(2010.03.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5194호(2003.06.0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고려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사용에 따른 안내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단순한 형태로 부피를 축소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용이할 수 있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안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양태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고정된 중공형 지주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지주를 커버 가능하게 펴고 상기 지주의 중공에 삽입 가능하게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안내용 문구나 기호가 표시된 캐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제시한다.
이로써 사용 시에는 사방으로 펼쳐진 상태의 캐노피를 받침대와 지주가 쓰러지지 않도록 받쳐주므로 시인성과 안정감 및 주의력을 높여 더욱 효과적으로 안내나 주의 또는 경고할 수 있고, 비사용 시에는 캐노피를 단순한 형태로 접고 지주에 삽입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 시 등에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공간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양태로, 상기 받침대는 상면에 상기 지주가 고정 형성된 제1받침대와, 상기 제1받침대와 힌지 이음으로 회전 및 포개짐 가능하게 형성된 제2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동 시 편의성과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양태로, 상기 제2받침대의 하부 양측에는 바퀴가 장착됨으로써 한층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양태로, 상기 제1 및 제2받침대는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갖는 탱크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면에 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는 마개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설치의 안정성은 물론 이동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양태로, 상기 지주의 상단에는 이동 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양태로, 상기 캐노피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방사상으로 펴고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된 다수 개의 리브 및 상기 리브 위에 부착되어 그와 동시에 펼쳐지고 접히는 안내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설치의 편의성은 물론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는 설치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아울러 신속한 부피의 최소화로 이동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양태로, 상기 캐노피는, 다각형으로 펼쳐져 상기 받침대와 상기 지주를 커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 및 주의력, 경각심을 높여 안내용 문구나 기호를 더욱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양태는, 상면에 중공형 지지봉이 형성된 받침대과, 하단이 상기 지지봉에 삽입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하부의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된 보스와, 상단이 상기 손잡이의 하단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날개살과, 양단이 상기 보스와 상기 날개살들과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지지살과, 양단이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보스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살들과 상기 지지살들이 상기 샤프트에 대해 접힌 상태를 이루도록 유도하는 인장 코일스프링과, 상기 받침대를 커버 가능하게 펴고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날개살들을 감싸듯이 고정되고 표면에 안내용 문구나 기호가 표시된 표시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제시한다.
이로써 사용 시에는 사방으로 펼쳐진 상태의 표시천이 시인성과 안정감 및 주의력을 높여 더욱 효과적으로 안내나 주의 또는 경고할 수 있고, 비사용 시에는 이를 단순한 형태로 접음으로써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 시 등에 용이하고 편리함은 물론 공간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양태로, 상기 손잡이 내부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상기 샤프트에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구멍에 탄력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쇠와, 상기 손잡이에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걸림쇠가 상기 걸림구멍에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는 누름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표시천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양태로,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상기 손잡이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누름판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지지봉의 안쪽 면 둘레와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양태로, 상기 지지봉은 접고 펼쳐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표시천이 시인성과 안정감 및 주의력을 높이도록 더욱 안정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양태로, 상기 날개살들의 하단에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면에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받침대 및 상기 제1받침대와 힌지 이음으로 회전 및 포개짐 가능하게 형성된 제2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동 시 편의성과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휴대나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단순한 형태로 콤팩트하게 접어서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취급의 편리함과 이동의 용이성은 물론 공간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캐노피가 마치 다각형 뿔처럼 펼쳐져 여러 방면으로 안내용 문구나 기호를 표시하므로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시인성 및 주의력, 경각심을 높여 극대화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중심이 하부에 안정감 있게 위치되어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표시천이 반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내 표지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을 펼쳐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안내시트와 바퀴를 제외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캐노피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캐노피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국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캐노피를 접어서 지주의 중공에 넣고 받침대를 포개지게 접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캐노피를 접어서 지주의 중공에 넣고 받침대를 포개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을 펼쳐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표시천과 바퀴를 제외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표시천를 제외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내 표지판 중 받침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국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제1실시 예>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안내 표지판은 크게 받침대(10)와 지주(20) 및 캐노피(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대(10)는 지주(20)와 캐노피(30)의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기능 및 구실을 하며,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도모하도록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제1받침대(11)와 제2받침대(12)로 분할되어 있다.
즉, 제1받침대(11)는 상면에 지주(20)의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제2받침대(12)는 제1받침대(11)와 힌지(17) 이음으로 회전 및 포개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수평한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포개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받침대(11)(12)는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물 등의 유체 저장 공간을 갖는 탱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각각의 상면에는 유체를 내부로 주입하거나 내부의 유체를 빼낼 수 있도록 급수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급수구(13)를 개폐하는 마개(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급수구(13)는 제1 및 제2받침대(11)(12)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빼내는 배수구의 기능 및 구실도 겸할 수 있지만, 이와 별도로 배수구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받침대(11)(12)는 표지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운반 및 보관 시에는 자연스럽게 접철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고, 표지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펼쳐진 상태로 지주(20) 및 캐노피(30)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2받침대(12)의 하부 양측에는 받침대(10)를 포함한 지주(20)와 캐노피(30)를 끌어서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5)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바퀴(15)는 그 회전축이 제2받침대(12)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굴대에 연결 및 지지되어 전진 또는 후진 시 주행 방향을 좌우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받침대(10)와 지주(20)의 하중에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20)는 표지판으로 사용 시 캐노피(30)가 일정 높이로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고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캐노피(30)를 수납하는 기능 및 구실을 하며, 중공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져 하부가 제1받침대(11)의 결합홈(16)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20)의 상단에는 이동 시 쉽게 파지하여 한층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25)가 지주(20)에 대해 펴고 접을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20)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관형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구성 및 내강도성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관형체의 단면 형상도 일반적인 원형이나 사각형 외에도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고 경량화를 도모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캐노피(30)는 다각형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여러 방면으로 다양한 안내용 문구나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여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극대화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 및 구실을 하며, 아울러 받침대(10)와 지주(20)를 커버 가능하게 펴거나 지주(20)의 중공에 삽입 가능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캐노피(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31)과, 이 프레임(31)의 상단에 장착되는 커넥터(32)와, 이 커넥터(32)에 방사상으로 펴고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된 다수 개의 리브(33) 및 이 리브(33) 위에 부착 지지되어 그와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히고 표면에 '주차금지', '출입금지', '공사중' 등과 같은 안내용 문구 및 기호가 표시된 안내시트(3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31)과 리브(33)의 길이는 지주(20)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리브(33)는 안내시트(34)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내시트(34)는 마치 삼각형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천이나 직물지 혹은 합성수지 등 낱개의 안내시트를 여러 개 이어 붙이거나 재봉하여 다각형 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캐노피(30)는 안내 표지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운반 및 보관 시에는 마치 우산처럼 프레임(21)에 대해 리브(33)와 안내시트(34)를 접어서 그 부피를 최소화한 채로 지주(20)의 중공 내에 수납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안내 표지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리브(33)와 안내시트(34)를 펼친 상태로 프레임(31)을 지주(20)의 중공에 삽입하고, 리브(33)의 끝단을 가상의 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커넥터(32)는 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안내 표지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프레임(31)을 지주(20)에서 완전히 빼낼 필요 없이 리브(33)와 함께 안내시트(34)를 뒤집어 접은 상태로 바로 지주(20)의 중공 내에 수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32)는 프레임(32)의 가이드에 따라 승강되다가 자석이나 걸고리 등과 같은 별도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 예를 들어 프레임(21)의 최상단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시트(34)는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망사형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야광 소재로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안내 표지판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대(11)와 제2받침대(12)를 가상의 지면과 면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서로 수평하게 펼친 후 캐노피(300)를 펴고 그 캐노피(300)의 프레임(31)을 지주(20)의 중공에 꽂아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방면으로 다양한 안내용 문구나 기호를 동시에 표시하여 안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운반 및 보관 시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300)를 간편하게 뒤집어 접은 후 바로 지주(20)의 중공에 삽입하고 제1받침대(11)와 제2받침대(12)를 포개어 접은 상태로 손잡이(25)를 펼쳐 잡고 바퀴(15)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동할 수도 있고, 또는 캐노피(300)의 프레임(21)을 지주(20)에서 빼내어 분리하고 리브(33)와 안내시트(34)를 동시에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 다음 지주(20)의 중공에 삽입하고 제1받침대(11)와 제2받침대(12)를 포개어 접은 상태로 손잡이(25)를 펼쳐 잡고 바퀴(15)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동할 수도 있고, 캐노피(300)를 지주(20)에서 빼내어 분리하고 순차적으로 지주(20)를 받침대(10)에서 분리하여 전체적인 외형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각각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도 있다.
<제2실시 예>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안내 표지판은 크게 받침대(100), 샤프트(110), 손잡이(120), 보스(130), 날개살(140), 지지살(150), 인장 코일스프링(160), 표시천(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대(100)는 샤프트(110)가 지면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기능 및 구실을 하며, 상면에 샤프트(11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 가능하도록 중공형의 지지봉(10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봉(105)은 날개살(140)들과 표시천(170)의 하단이 지면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면서 더욱 안정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치 로드안테나 혹은 낚싯대와 같이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접고 펼치는 동작에 따라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이 샤프트(110)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을 샤프트(110)에 대해 접을 경우 그 각각의 하단이 받침대(10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완전하게 접을 수 없기 때문에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05)의 길이를 늘임으로써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을 완전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이 샤프트(110)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을 샤프트(110)에 대해 펼칠 경우 지지봉(105)의 길이를 늘인 상태로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을 펼친 후 지지봉(105)의 상단을 가압하여 그 길이를 줄임으로써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을 완전하게 펼쳐져 받침대(100)를 덮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100)는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도모하도록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제1받침대(101)와 제2받침대(102)로 분할되어 있다.
즉, 제1받침대(101)는 상면에 샤프트(110)의 하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샤프트(110)의 하단과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지지봉(10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받침대(102)는 제1받침대(101)와 힌지(107) 이음으로 회전 및 포개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와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포개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받침대(101)의 지지봉(105) 주위 상면에는 날개살(14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후크(141)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10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날개살(140)과 지지살(150) 및 표시천(170)을 완전하게 접은 상태에서 걸림후크(141)를 걸림홈(103)에 걸어서 결합함으로써 보관이나 이동 시 등에 한층 안정적으로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받침대(101)(102)는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물 등의 유체 저장 공간을 갖는 탱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각각의 상면에는 유체를 내부로 주입하거나 내부의 유체를 빼낼 수 있도록 급수구(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급수구(108)를 개폐하는 마개(109)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급수구(108)는 제1 및 제2받침대(101)(102)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빼내는 배수구의 기능 및 구실도 겸할 수 있지만, 이와 별도로 배수구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받침대(101)(102)는 안내 표지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운반 및 보관 시에는 자연스럽게 접철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고, 안내 표지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펼쳐진 상태로 샤프트(110)의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2받침대(102)의 하부 양측에는 받침대(100)를 끌어서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06)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바퀴(106)는 그 회전축이 제2받침대(102)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굴대에 연결 및 지지되어 전진 또는 후진 시 주행 방향을 좌우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받침대(100)를 비롯하여 다른 구성요소의 하중에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110)는 하단이 지지봉(105)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어 날개살(140)과 표시천(170)이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며, 그 상단에는 손잡이(12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이탈을 방지하면서 누름 동작이 안정적이면서 수월하도록 유도하는 누름판(115)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지지봉(105)의 안쪽 면 둘레와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체(1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샤프트(110)는 중공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져 하부가 지지봉(105)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부가 손잡이(12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의 안쪽에는 그 중공으로 삽입 및 돌출 가능하면서 스프링(181)의 탄성 작용에 의해 손잡이(12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구멍(122)에 탄력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쇠(18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181)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압축력 및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샤프트(110)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관형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구성 및 내강도성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관형체의 단면 형상도 일반적인 원형이나 사각형 외에도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고 경량화를 도모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손잡이(120)는 샤프트(110)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날개살(140)과 지지살(150) 및 표시천(170) 펼침 동작이 원활하도록 유도하며, 이동 시 등에 간편하게 파지하여 수월하고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의 안쪽에는 샤프트(110)가 통과하는 통과구멍(1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통과구멍(121)의 내부에는 걸림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120)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샤프트(110)의 걸림쇠(180)가 걸림구멍(122)에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는 누름버튼(190)이 손잡이(120)의 안쪽으로 삽입되거나 판스프링(191)의 탄성 작용에 의해 손잡이(120)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191)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는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보스(130)는 손잡이(120) 하부의 샤프트(110) 상에 고정되어 그 상단에는 손잡이(12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이탈을 방지하며, 바깥쪽 면 둘레에 지지살(150)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보스(130)는 손잡이(120)의 승강에 따라 지지살(150)들과 함께 날개살(140)들을 펴고 접는 작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날개살(140)은 상단이 손잡이(120)의 하단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110)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장착되어 있다.
즉, 날개살(140)들은 손잡이(120)에 대한 샤프트(11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샤프트(110)에 대해 각각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여기서, 날개살(140)들의 길이는 샤프트(110)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천(170)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을 갖는 소재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살(150)은 양단이 보스(130)와 날개살(140)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110)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장착되어 있다.
즉, 지지살(150)들은 보스(130)와 날개살(140)과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손잡이(120)에 대한 샤프트(110)의 승강 이동에 따라 보스(130)에 대해 각각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인장 코일스프링(160)은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이 샤프트(110)에 대해 자연스럽고 수월하게 접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양단이 손잡이(120)와 보스(130)에 고정되어 있다.
즉, 인장 코일스프링(160)의 상단은 손잡이(120)와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보스(130)와 고정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손잡이(120)와 보스(130)의 간격이 멀어지면 탄성 복원력을 작용하여 그 원래의 간격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인장 코일스프링(160)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장력 및 복원력을 발생하는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표시천(170)은 날개살(140)들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고, 아울러 받침대(100)를 커버 가능하게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안내용 문구나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즉, 표시천(170)은 날개살(140)들에 의해 마치 사각뿔대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와 동시에 접히고 표면의 여러 방면으로 '주차금지', '출입금지', '공사중' 등과 같은 다양한 안내용 문구나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여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극대화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 및 구실을 하며, 이동이나 보관 시 등에는 마치 우산처럼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천(170)은 마치 삼각형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천이나 직물지 혹은 합성수지 등 낱개의 천조각을 여러 개 이어 붙이거나 재봉하여 다각형 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천(170)은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망사형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야광 소재로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천(170)은 안내 표지판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운반 및 보관 시에는 마치 우산처럼 샤프트(110)에 대해 날개살(140)과 지지살(150) 및 표시천(170)을 접어서 그 부피를 최소화한 채로 이동 및 보관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안내 표지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날개살(140)과 지지살(150) 및 표시천(170)를 펼친 상태로 샤프트(110)의 하단을 지지봉(105)의 중공에 삽입하고, 날개살(140)들의 하단을 가상의 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안내 표지판은 제1받침대(101)와 제2받침대(102)를 가상의 지면과 면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서로 수평하게 펼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12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샤프트(110)의 누름판(115)을 가압하면 샤프트(110)에 고정된 보스(130)가 하강하면서 지지살(150)들을 샤프트(110)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펼치고, 이와 동시에 날개살(140)들이 펼쳐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걸림쇠(180)가 샤프트(110)의 하강으로 인해 손잡이(120) 내부의 걸림구멍(122) 상에 위치되면 스프링(181)의 탄성 작용에 의해 상호 걸림 상태를 유지하므로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날개살(140)들과 지지살(150)들 및 표시천(170)이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인장 코일스프링(160)은 인장된 상태로 변형되면서 샤프트(110)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려는 힘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110)의 하단을 지지봉(105)의 중공에 꽂아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방면으로 다양한 안내용 문구나 기호를 동시에 표시하여 안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안내 표지판을 운반 및 보관 시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90)을 누르면 걸림쇠(180)가 걸림구멍(122)에서 이탈되고, 이렇게 되면 인장 코일스프링(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110)와 보스(130)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면서 지지살(150)들과 날개살(140)들을 샤프트(110)의 축선에 대해 접게 된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살(150)들과 날개살(140)들을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 형태로 샤프트(110)의 하단에 형성된 탄성체(117)를 받침대(100)의 지지봉(105) 중공에 삽입하고 제1받침대(101)와 제2받침대(102)를 포개어 접은 상태로 손잡이(120)를 잡고 바퀴(106)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는 샤프트(110)를 받침대(100)와 분리하여 전체적인 외형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각각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받침대 11: 제1받침대
12: 제2받침대 13: 급수구
14: 마개 15: 바퀴
16: 결합홈 17: 힌지
20: 지주 25: 손잡이
30: 캐노피 31: 프레임
32: 커넥터 33: 리브
34: 안내시트
100: 받침대 101: 제1받침대
102: 제2받침대 103: 걸림홈
105: 지지봉 106: 바퀴
110: 샤프트 115: 누름판
117: 탄성체 120: 손잡이
121: 통과구멍 122: 걸림구멍
130: 보스 140: 날개살
141: 걸림후크 150: 지지살
160: 인장 코일스프링 170: 표시천
180: 걸림쇠 190: 누름버튼
191: 판스프링

Claims (13)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결합된 중공형 지주; 및
    상기 받침대와 상기 지주를 커버 가능하게 펴고 상기 지주의 중공에 삽입 가능하게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안내용 문구나 기호가 표시된 캐노피;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면에 상기 지주의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제1받침대 및 상기 제1받침대와 힌지 이음으로 회전 및 포개짐 가능하게 형성된 제2받침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방사상으로 펴고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된 다수 개의 리브; 및
    상기 리브 위에 부착되어 그와 동시에 펼쳐지고 접히는 안내시트;
    를 포함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식 안내 표지판.
  6. 삭제
  7. 상면에 중공형 지지봉이 형성된 받침대;
    하단이 상기 지지봉에 삽입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 하부의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된 보스;
    상단이 상기 손잡이의 하단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날개살;
    양단이 상기 보스와 상기 날개살들과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지지살;
    양단이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보스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살들과 상기 지지살들이 상기 샤프트에 대해 접힌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인장 코일스프링;
    상기 받침대를 커버 가능하게 펴고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날개살들을 둘러 감싸듯이 고정되고 표면에 안내용 문구나 기호가 표시된 표시천;
    을 포함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내부에 형성된 걸림구멍;
    상기 샤프트에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구멍에 탄력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쇠;
    상기 손잡이에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걸림쇠가 상기 걸림구멍에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는 누름버튼;
    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상기 손잡이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누름판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지지봉의 안쪽 면 둘레와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된 이동식 안내 표지판.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접고 펼쳐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동식 안내 표지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살들의 하단에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면에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받침대; 및
    상기 제1받침대와 힌지 이음으로 회전 및 포개짐 가능하게 형성된 제2받침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대는, 하부 양측에 바퀴가 장착된 이동식 안내 표지판.
  13. 제1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받침대는, 내부에 유체 저장 공간을 갖는 탱크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면에 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는 마개로 개폐되는 이동식 안내 표지판.
KR1020130099388A 2013-08-22 2013-08-22 이동식 안내 표지판 KR10150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88A KR101502554B1 (ko) 2013-08-22 2013-08-22 이동식 안내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388A KR101502554B1 (ko) 2013-08-22 2013-08-22 이동식 안내 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82A KR20150022082A (ko) 2015-03-04
KR101502554B1 true KR101502554B1 (ko) 2015-03-16

Family

ID=5302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388A KR101502554B1 (ko) 2013-08-22 2013-08-22 이동식 안내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78Y1 (ko) 2016-11-15 2017-09-26 심상형 위험지역 알림표지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064Y1 (ko) * 2021-11-16 2023-07-19 한국도로공사 도로의 차선 안내를 위한 이동형 표지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017U (ja) * 1991-07-08 1993-05-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折り畳み式カラーコーン
KR200167130Y1 (ko) * 1996-09-05 2000-04-01 강석호 공사안내 표시대
KR200307815Y1 (ko) 2002-12-28 2003-03-17 한전기공주식회사 이동식 안전 시설물 지지대
KR20130015595A (ko) * 2011-08-04 2013-02-14 송원호 공사장용 안전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017U (ja) * 1991-07-08 1993-05-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折り畳み式カラーコーン
KR200167130Y1 (ko) * 1996-09-05 2000-04-01 강석호 공사안내 표시대
KR200307815Y1 (ko) 2002-12-28 2003-03-17 한전기공주식회사 이동식 안전 시설물 지지대
KR20130015595A (ko) * 2011-08-04 2013-02-14 송원호 공사장용 안전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78Y1 (ko) 2016-11-15 2017-09-26 심상형 위험지역 알림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82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693B2 (en) Condensed retractable safety marker
US20070241255A1 (en) Traffic ballast system
KR101502554B1 (ko) 이동식 안내 표지판
JP3769076B2 (ja) 折り畳み式標識具
CN205152830U (zh) 一种折叠路锥
CN201328444Y (zh)
CN203846413U (zh) 伞架结构汽车警示标牌
CN206446627U (zh) 便携式体育器械移动装置
AU2011201148A1 (en) A Portable Pedestal Pan
CN205243148U (zh) 一种雨伞式自动帐篷
CN107476645A (zh) 一种自动撑开帐篷支架
CN205348049U (zh) 桥梁用双向车道分隔路桩
GB2274478A (en) Self-errecting road safety marker
CN107202282A (zh) 一种具有自动雨伞的路灯的折叠伞架
KR101528622B1 (ko) 안전표지장치
CN204288734U (zh) 多标志面机动车用三角警告牌
JP3636812B2 (ja) 標識具
TWM446192U (zh) 傘型警示錐
CN211285365U (zh) 安全停车三角架
KR20080005333A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절첩식 안전휀스
TWM628561U (zh) 一種伸縮收合使用之交通警示錐
JP3180181U (ja) 折畳みフレーム
KR102052277B1 (ko) 파라솔 안전 장치
CN207296585U (zh) 一种自动撑开帐篷支架
TW201402983A (zh) 可收合之旗桿座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