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514B1 -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 Google Patents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14B1
KR101502514B1 KR1020120133171A KR20120133171A KR101502514B1 KR 101502514 B1 KR101502514 B1 KR 101502514B1 KR 1020120133171 A KR1020120133171 A KR 1020120133171A KR 20120133171 A KR20120133171 A KR 20120133171A KR 101502514 B1 KR101502514 B1 KR 10150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vegetable
omega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1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6002A (en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주)다인내추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인내추럴 filed Critical (주)다인내추럴
Priority to KR102012013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514B1/en
Publication of KR2014006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75-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메가 3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식물성 오메가 3로서,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의 조성물에 인삼 지용성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저하 효능이 더욱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여 혈행 개선 효능이 더욱 증진되며, 따라서 다양한 혈행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활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mprising 75-98% by weight of vegetable omega 3, 0.001-10% by weight of the whole composition of Ginkgo biloba extract and 0.001-15% by weight of vegetable vitamin . The omega-3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getable omega-3 extracted from microalgae and is excellent in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In addition,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in a composition of vegetable omega-3,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has better cholesterol and neutral lipid lowering efficacy.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gested, the amount of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is reduced and the blood circulation improving effect is further enhanced. Therefore, the composition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a health food composition.

Description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blood lipids,

본 발명은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improving blood lipids.

현대인의 건강은 식습관과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해 각종 성인병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성인병 중 하나가 심혈관계 질환인 동맥경화증이며 그 발병빈도는 증가 추세에 있다.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중요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 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식품과 의약품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천연 식의약 소재 개발은 경제 산업적으로 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에 효과가 있는 천연 식의약 소재 개발이 절실히 요구 되고 있다.The health of modern people is threatened by various adult diseases due to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life patterns. One of the representative adult diseases is arteriosclerosis, a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s incidence is increasing. Therefore, there are many studies on foods and medicines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which are important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e development of natural medicinal materials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economic and industrial fields. Especially, development of natural medicinal materials which are effective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lowering cholesterol while having no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is desperately required.

콜레스테롤 수준은 혈행과 관련된 질환인 심혈관 질환, 예컨대, 동맥폐쇄질환, 하지정맥류, 정맥혈전증, 버거씨병, 임파부종, 말초혈관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협심증 또는 뇌졸중의 주요 전조이다. 혈류의 지질에서 발견되는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일부 호르몬 및 조직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혈액에서 높은 수준의 콜레스테롤(고콜레스테롤혈증)은 관상동맥 심장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로서, 심장 마비를 초래한다.Cholesterol levels are a major precurs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rterial occlusive disease, varicose veins, venous thrombosis, Burger's disease, lymphadenopathy, peripheral 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gina pectoris or stroke, The cholesterol found in the lipids of the bloodstream is used to produce cell membranes, some hormones and tissues. High levels of cholesterol in the blood (hypercholesterolemia) are the major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resulting in heart failure.

오메가-3 지방산 오일은 류마티즘성 관절염, 건선,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 질병과 같은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병의 치료; 면역억제 치료; 정상 인간 및 심장 이식 환자의 고혈압 예방; 관상 심장 질환; 고지방혈증; 과트리글리세리드증; 신장 기능의 향상 및 신독성 감소의 향상을 포함하는 수많은 치료적 이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다. 오메가-3 지방산 오일의 용도는 미국 특허 제5,034,415호(당뇨병), 미국 특허 제4,843,095호(류마티스 관절염), 일본 특허 제2253629호(항암), 미국 특허 제4,879,312호(혈관형성 강화), 일본 특허 제 1290625호(대뇌 기능의 향상), 미국 특허 제5,457,130호(악성 종양, 지방분해 활성 저해)및 미국 특허 제5,436,269호(간염)에 개시되어 있다.Omega-3 fatty acid oils ar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and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psoriasis,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Immunosuppressive therapy; Prevention of hypertension in normal human and heart transplant patients; Coronary heart disease; Hyperlipidemia; And triglycerides; Have the property that they can be used for numerous therapeutic advantages including improved kidney function and improved nephrotoxicity reduction. The use of omega-3 fatty acid oil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5,034,415 (diabetes), U.S. Patent No. 4,843,095 (rheumatoid arthritis), Japanese Patent No. 2253629 (anticancer), U.S. Patent No. 4,879,312 1290625 (Enhancement of cerebral function), U.S. Patent No. 5,457,130 (Malignant tumor, inhibition of lipolytic activity) and U.S. Patent No. 5,436,269 (Hepatitis).

상기 오메가 3는 어류에서 추출되는 동물성 오메가 3 및 조류(algae), 들깨, 아마씨 등에서 추출되는 식물성 오메가 3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을 주요 성분으로 이용한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omega-3 can be classified into animal omega-3 extracted from fish and vegetable omega-3 extracted from algae, perilla, flaxseed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blood circulation using vegetable omega-3, ginkgo biloba extract and plant- And a cholesterol-lowering food composition.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Numerous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referenced and cit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disclosures of the cited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e of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자들은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가지는 식품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식물성 오메가 3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혈행 개선 효능이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xtensive efforts to develop a food composition having improved blood circulation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vegetable omega-3 was excellent in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 and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containing vegetable omega 3, ginkgo leaf extract and plant vitamin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improving blood lipi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만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obesity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75-99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75-99% by weight of vegetable omega 3, 0.001-10% by weight of the ginkgo leaf extract, and 0.001-15% by weight of vegetable vitamin And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improving blood lipids.

본 발명자들은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가지는 식품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식물성 오메가 3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혈행 개선 효능이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xtensive efforts to develop a food composition having improved blood circulation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vegetable omega-3 was excellent in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 and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containing vegetable omega 3, ginkgo leaf extract and plant vitamin .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식물성 오메가 3는 대형 조류, 미세조류, 식물체에서 유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켈프, 김(purple laver), 덜스(dulse) 및 파래(울바 락투카(Ulva lactuca)), 다시마 등의 대형조류; 스피루리나(Spirulina), 클로렐라(Chlorella), 스키조키트리움(Schizochytrium) 속 등의 미세조류; 및 아마씨 또는 들깨 등의 식물이 포함된다. 특히, 스키조키트리움 종(Schizochytrium sp.)의 미세조류는 도코사헥사에노산(docosahexaenoic acid, DHA)를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biomass) 또는 바이오연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The vegetable omega-3s us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from large algae, microalgae, and plants, for example, purple laver, dulse and poultry (Ulva lactuca) , Large algae such as kelp; Microalgae such as Spirulina, Chlorella, and Schizochytrium ; And plants such as flaxseed or perilla. In particular, the microalgae of Schizochytrium sp. Contain a large amount of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are used as raw materials for biomass or biofue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식물성 오메가 3는 미세조류(microalgae)로부터 유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및 스키조키트리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미세조류로부터 유래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스키조키트리움으로부터 유래되며,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스키조키트리움 아그레가툼(Schizochytrium aggregatum) 또는 스키조키트리움 미누텀(Schizochytrium minutum)으로부터 유래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ble omega-3 us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microalgae, more preferably from one or more microorganis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irulina, chlorella, And more preferably from Schizochytrium aggregatum or from Schizochytrium minutum , and more preferably from Schizochytrium < RTI ID = 0.0 > minutum . ≪ / RTI >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성 오메가 3는 필수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지만 대사 활동에 있어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오메가 3 지방산에는 알파-리놀렌산(ALA),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 및 도코사헥사에노산(DHA)가 있다. 상기 식물성 오메가 3는 공지된 다양한 오메가 3 지방산 성분을 포함하며 예컨대, 알파-리놀렌산, 헥사데카트리에노산, 옥타데카트리에노산, 옥타데카테트라에노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 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 헤네이코사펜타에노산, 도코사펜타데노산, 도코사헥사에노산, 테트라코사펜타에노산 및 테트라코사헥사에노산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파-리놀렌산(ALA),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 및 도코사헥사에노산(DHA)을 포함한다. The vegetable omega-3 contain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sential unsaturated fatty acid, which is not synthesized in the human body but is essential for metabolism. Omega-3 fatty acids important for nutrition include alpha-linolenic acid (ALA)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The vegetable omega-3s include various omega-3 fatty acid components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for example, alpha-linolenic acid, hexadecatrienoic acid, octadecatrieno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eicosatrienoic acid, Alpha-linolenic acid (ALA), tetracosapentaenoic acid, tetracosapentaenoic acid, and tetracosapentaenoic acid, preferably alpha-linolenic acid (ALA), eicosapentaenoic acid, heneicosapentaenoic acid, docosapentanoic acid, docosahexaenoic acid, ,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noic acid (DHA).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은행잎 추출물은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 예컨대, 열수추출, 유기용매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ginkgo leaf extract us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various known extraction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organic solvent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the like, and further processes such as vacuum distillation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By weight.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식물성 비타민은 과일류, 채소류 또는 조류 등으로부터 추출된 비타민으로서, 비타민 A1(레티놀), 비타민 A2(디하이드로레티놀),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 및 비타민 E(토코페롤)의 지용성 비타민; 및 비타민 B1(티아민), 비타민 B2(리보플라빈), 비타민 B3(니아신), 비타민 B5(펜토텐산), 비타민 B6(피리독신, 바이오틴 및 콜린), 비타민 B12(시아노코발라민),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및 엽산의 수용성 비타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비타민은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B6염산염, 비타민B2, 비타민B1염산염, 엽산 또는 비오틴을 포함한다. The vegetable vitamins us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itamins extracted from fruits, vegetables or algae, such as vitamin A1 (retinol), vitamin A2 (dihydrouretinol), vitamin D2 (ergocalciferol) and vitamin E Tocopherol); And Vitamin B12 (cyanocobalamin), vitamin C (ascorbic acid), vitamin C (ascorbic acid), vitamin C (ascorbic acid) and vitamin B (thiamine), vitamin B2 (riboflavin), vitamin B3 And water-soluble vitamins of folic acid. Preferably, the vegetable vitamin includes niacin, pantothenic acid, vitamin B6 hydrochloride, vitamin B2, vitamin B1 hydrochloride, folic acid or biotin.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75-99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85-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5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10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92-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3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며;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95-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2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3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한다.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75-99% by weight of vegetable omega 3, 0.001-10% by weight of the ginkgo leaf extract, and 0.001-15% by weight of vegetable vitamin to the total composition,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Preferably from 85 to 98% by weight of vegetable omega 3, 0.5 to 5% by weight of the ginkgo leaf extrac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and 0.5 to 10% by weight of the plant vitamin,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Even more preferably, the composition comprises 92-98% by weight vegetable omega 3, 0.5-3% by weight of the ginkgo leaf extract for the total composition, and 0.5-5% by weight vegetable vitamin for the total composition ; Still more preferably 95-98 wt.% Vegetable omega 3, 0.5-2 wt.% Ginkgo leaf extract for the total composition, and 0.5-3 wt.% Vegetable vitamin for the total compos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 이외에 혈행 개선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행 개선 보조제는 오메가-6 계열 지방산, 오메가-7 계열 지방산, 오메가-9 계열 지방산 또는 레시틴이며, 상기 오메가 6 계열 지방산은 예컨대, 옥타데카디에노산, 옥타데카트리에노산, 에이코사디에노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 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 도코사디에노산, 도코사테트라에노산, 도코사펜타에노산, 테트라코사테트라에노산, 테트라코사펜타에노산 및 옥타데카트리에노산을 포함하고, 상기 오메가-7 계열 지방산은 예컨대, 도데세노산, 테트라데세노산, 헥사데세노산, 데세노산, 에이코세노산, 도코세노산 및 테트라코세노산을 포함하며, 상기 오메가-9 계열 지방산은 예컨대, 옥타데세노산, 에이코세노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 도코세노산 및 테트라코세노산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lip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blood circulation improving agent in addition to the vegetable omega-3,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Preferably, the blood circulation improving agent is omega-6 fatty acid, omega-7 fatty acid, omega-9 fatty acid or lecithin, and the omega-6 fatty acid is, for example, octadecadienoic acid, octadecatrienoic acid, Eicosatetraenoic acid, docosadienoic acid, docosatetraenoic acid, docosapentaenoic acid, tetracosatetraenoic acid, tetracosapentaenoic acid, and octadecatrienoic acid are preferable. 7 fatty acids include, for example, dodecenoic acid, tetradecenoic acid, hexadecenoic acid, decenoic acid, eicosanoic acid, docosanoic acid and tetracosenoic acid, and the omega-9 fatty acids include, for example, , Octadecenoic acid, eicosanoic acid, eicosatrienoic acid, docosanoic acid and tetracosenoic acid.

한편, 본 발명의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 이외에 인삼 지용성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지용성 성분은, 상기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삼지용성 성분 0.05-3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2.5 중량부,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3-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blood lip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vegetable omega-3,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Preferably, the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may further comprise 0.05-3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3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blood lipid composition, More preferably from 0.1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even more preferably from 0.3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삼 지용성 성분은 다양한 인삼, 예컨대 백삼, 홍삼, 수삼, 흑삼, 미삼, 원삼, 태극삼, 산삼, 장뇌삼 또는 산양삼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삼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인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려삼(Panax ginseng), 회기삼(P. quiquefolius), 전칠삼(P. notoginseng), 죽절삼(P. japonicus), 삼엽삼(P. trifolium), 히말라야삼(P. pseudoginseng) 및 베트남삼(P. vietnamensis)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from various ginsengs such as white ginseng, ginseng, black ginseng, ginseng, raw ginseng, Taegeuk ginseng, wild ginseng, camellia ginseng or goat ginseng, . Ginse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ployed a known variety of ginseng, goryeosam (Panax ginseng , P. quiquefolius , P. notoginseng , P. japonicus , P. trifolium , P. pseudoginseng , and P. vietnamensis .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삼 지용성 성분은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 예컨대, 열수추출, 유기용매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ginseng lipid-soluble ingredi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various known extraction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organic solvent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the like, and further processed such as by vacuum distillation, freeze drying, spray drying, . ≪ / RTI >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 지용성 성분은 초임계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can be obtained by using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인삼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인삼 지용성 성분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Extracts containing ginseng fat-soluble ingredients include those obtained using supercritical fluids, as well as those obtained by further application of the purification process. For example, a fraction obtained by passing the above extract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and a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The fraction obtained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is also included in the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삼 지용성 성분의 초임계 추출방법을 각각의 단계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f the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each step as follows:

단계 (a): 인삼을 초임계 추출 용기에 넣는 단계 Step (a): Step of putting ginseng in supercritical extraction vessel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우선 인삼을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초임계 추출 용기에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rocessing ginseng into a suitable form and putting it into a supercritical extraction containe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이 가능하며, 건조, 동결 상태 또는 자연 그대로의 재료들을 적절히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ginse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ltivated or marketed, and can be used in a dried, frozen state, or natural raw materials.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용매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인삼을 분쇄 또는 절단하여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is pulverized or cut to an appropriate size 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vent.

단계 (b): 인삼 지용성 성분의 추출 Step (b): Extraction of fat-soluble components of ginseng

이어, 단계 (a)의 초임계 추출 용기에 초임계유체를 적용시켜 인삼 지용성 성분을 추출한다. Next, supercritical fluid is applied to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vessel of step (a) to extract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초임계 유체”란 임계온도와 압력 이상에서 있는 유체로서, 기존의 일반용매 추출법과 차별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다. 초임계 상태에 처해있는 물질은 그 임계점 부근에서 압력을 변화시키면, 밀도, 점도, 확산계수 및 극성 등 많은 물성이 기체에 가까운 상태에서부터 액체에 가까운 상태로까지 연속적으로 매우 큰 변화를 가져온다. 액체의 이산화탄소를 밀폐된 용기에 넣고 가열하면 기-액의 계면이 온도, 압력이 증가하면서 점점 그 경계가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초임계 유체는 기체처럼 밀폐된 공간을 가득 채우는 묵직한 유체라고 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기술은 높은 용해력, 물질이동 및 열이동이 빠르고, 낮은 점도, 높은 확산계수 그리고 낮은 표면장력으로 인한 미세공으로의 빠른 침투성 등과같은 초임계 유체의 장점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초임계 유체는 액체 용매보다 빨리 매질 속으로 확산되어 들어가, 여전히 가지고 있는 액체 같은 용매력(solvent strength)으로 매질 속에서 구성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초임계 영역의 유체는 온도와 압력의 변화로 물리화학적 특성을 (밀도, 확산계수, 열전도도, 부분 몰부피, 용해도, 수소결합의 세기 등) 기체에서 액체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여 온도만의 변수를 가진 일반 용매 추출보다 강점을 가진다.As used herein, the term " supercritical fluid " refers to a fluid that is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has unique properties that distinguish it from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methods. When a material in a supercritical state changes its pressure near its critical point, many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viscosity, diffusion coefficient, and polarity continuously change greatly from gas close to liquid state. When the liquid carbon dioxide is put into a closed container and heated, the boundary of the gas - liquid gradually disappears as temperature and pressure increase. Supercritical fluid is a heavy fluid that fills an enclosed space like a gas. Supercritical fluid technology is a technique that exploits the advantages of supercritical fluids, such as high solubility, rapid mass transfer and heat transfer, low viscosity, high diffusion coefficient, and fast penetration into micropores due to low surface tension. The supercritical fluid diffuses into the medium faster than the liquid solvent and can extract the constituents from the medium with the solvent strength of the liquid still present. Fluids in the supercritical region can be freely controlled in a wide range of gas-to-liqui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density, diffusion coefficient, thermal conductivity, partial molar volume, solubility, hydrogen bond strength, etc.) And has a stronger point than general solvent extraction with temperature only parameters.

상기 추출과정에서 이용되는 초임계유체는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질소, 산소, 헬륨, SO2,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설퍼 헥사플루오라이드, 니트러스 옥사이드, 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탄, 모노플루오로메탄, 제논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임계유체는 이산화탄소이다.The supercritical fluid is carbon dioxide, ammonia, nitrogen, oxygen, helium, SO 2, ethane, ethylene, propane, propylene, sulfur hexafluoride, knitted Russ oxide, chloro trifluoromethanesulfonyl, monofluorophosphate methane to be used in the extraction process , Xenon, or a combination thereof, preferably the supercritical fluid is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는 대기의 주성분이기 때문에 안전하고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비교적 저가로 구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대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초임계유체와 비교하여 이산화탄소는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이산화산소는 비가연성이고 비폭발성이며, 증발 후 실질적으로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는 온도 및 압력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여 극성 및 비극성의 특성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온도 및 압력을 변화시켜 이산화탄소유체의 용매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단독 용매 시스템으로 여러 성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Because carbon dioxide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atmosphere, it can be obtained safely and easily. In addition, carbon dioxide can be purchased at relatively low cost. Sinc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atmosphere, compared to other supercritical fluids, carbon dioxide is environmentally friendly. In addition, oxygen dioxide is non-flammable and non-explosive and has the advantage of not leaving substantially any residue after evapor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larity of carbon dioxide chang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it can be adjusted to have polarity and non-polarity characteristics b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pressure as needed. By chang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solvent properties of the carbon dioxide fluid can be changed, which allows the separation of various components into a single solvent system.

본 발명의 상기 추출방법은 인삼을 온도 30-70℃ 및 압력 100-400 bar, 초임계 유체의 유속 1-20 ml/분의 조건 하에서 초임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도 35-65℃ 및 압력 220-380 bar, 초임계 유체의 유속 10-20 ml/분의 조건 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추출되는 인삼 지용성 성분은 특히 혈행 개선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The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upercritical extraction of ginseng at a temperature of 30-70 ° C and a pressure of 100-400 bar and a flow rate of supercritical fluid of 1-20 ml / min, more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35- 65 ° C and pressure of 220-380 bar, and supercritical fluid flow rate of 10-20 ml / min. The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s extracted under these conditions are characterized by excellent blood circulation improving effect.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인삼 원료의 사용 부위에 따라 최적의 초임계 추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온도 및 압력 범위에서 인삼 원료의 사용 부위에 따라 최적의 초임계 추출 조건을 선택하여 실시함으로써 우수한 추출 수율을 나타낸다. 상기 인삼 원료의 사용 부위가 인삼 뿌리(root)인 경우 상기 인삼의 초임계 추출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온도 35-65℃, 보다 바람직하게는 35-5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45℃이고; 바람직하게는 압력 200-400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400 bar,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0-400 bar,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20-380 bar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 뿌리의 인삼 지용성 성분 초임계 추출 조건은 온도 40℃ 및 압력 350 bar이다.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mal supercritical extraction condition depending on the use site of the ginseng raw material. Accordingly,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condition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region of the ginseng raw material i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ranges described above,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extraction yield. When the use area of the ginseng raw material is root of ginseng,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condition of the ginseng is preferably 35-65 ° C, more preferably 35-55 ° C, even more preferably 35-45 ° C ego; The pressure is preferably 200-400 bar, more preferably 250-400 bar, even more preferably 300-400 bar, even more preferably 320-380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ernatant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of the ginseng root are 40 ° C. and 350 bar.

상기 인삼 원료의 사용 부위가 인삼 바디(body)인 경우 상기 인삼의 초임계 추출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온도 40-6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65℃이고; 바람직하게는 압력 150-350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300 bar,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300 bar,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20-280 bar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 바디의 인삼 지용성 성분 초임계 추출 조건은 온도 60℃ 및 압력 250 bar이다.When the use area of the ginseng raw material is a ginseng body,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condition of the ginseng is preferably 40-65 ° C, more preferably 50-65 ° C, even more preferably 55-65 ° C ego; The pressure is preferably 150-350 bar, more preferably 150-300 bar, even more preferably 200-300 bar, even more preferably 220-280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ernatant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of the ginseng body are a temperature of 60 ° C and a pressure of 250 bar.

한편, 상기 초임계유체 추출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유체의 유속 1-20 ml/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ml/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18 ml/분의 조건 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flow rate of supercritical fluid of 1-20 ml / min, more preferably 10-20 ml / min, even more preferably 13-18 ml / min .

상기 인삼 지용성 성분을 추출한 다음, 단계 (c)의 적용 전 추출액에 포함된 불순물 제거를 위해 추가적으로 여과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여과기는 원심분리기, 가압여과기 또는 규조토 여과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may be extracted and then subjected to additional filtration to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extract before application of step (c). A centrifuge, a pressure filter or a diatomaceous earth filter may be used as the filter.

본 발명의 추출 방법은 인삼 지용성 성분의 추출 수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용매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초임계유체와 비극성용매 또는 초임계유체와 극성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비극성 용매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헥산, 아세톤, 톨루엔, 클로로포름, DMSO(dimethylsulfoxide), THF(tetrahydrofuran), N,N-디메틸아닐린, 1,4-다이옥산, 다이에틸에테르, N-메틸피롤리돈, 벤젠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헥산이다. 상기 극성 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극성 용매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물, 에틸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포름산,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클로로디프루오로메탄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1-헥사놀, 2-메톡시에탄올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며,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보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유속은 1-10 ml/분의 조건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ml/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ml/분의 조건으로 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use an auxiliary solvent to further improve the extraction yield of the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For example, supercritical fluids and nonpolar solvents or supercritical fluids and polar solvents can be used. The nonpolar solvent includes any nonpolar solv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and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ne, acetone, toluene, chloroform, dimethylsulfoxide (DMSO), tetrahydrofuran (THF), N, Dioxane, diethyl ether, N-methylpyrrolidone, benzene or mixtures thereof, preferably hexane. The polar solvent includes any polar solv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and is preferably an alcohol, water, 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carbonate, formic acid, acetic acid, acetonitrile, chlorodifluoromethane Or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an alcoho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1-hexanol, 2-methoxyethanol and combinations thereof, more preferably methanol or ethanol And even more preferably ethanol. If a co-solvent is used, the flow rate may be 1-10 ml / min, preferably 1-5 ml / min, and more preferably 1-3 ml / min.

단계 (c): 인삼 지용성 성분의 수득 Step (c): Obtaining ginseng fat-soluble component

상기 단계 (b)의 추출 결과물로부터 인삼 지용성 성분을 수득한다.A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is obtained from the extraction result of step (b).

상기 단계 (c)의 인삼 지용성 성분 추출물은 수분함량 20% 내지 50%로 농축될 수 있으며, 이 농축액은 동결건조분말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감압농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농축액 및 동결건조분말은 초고압살균과정을 거쳐 최종제품 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The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extract of step (c) may be concentrated to a water content of 20% to 50%, and the concentrate may be prepared as a lyophilized powder. The concentration may be carried out by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by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The concentrate and the lyophilized powder may be used in the final product production through an ultra-high pressure sterilization proces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지용성 성분”은 당질, 단백질 등과 함께 생체를 구성하는 유기물군으로서, 지질(예컨대, 지방산, 정유, 식물스테롤 및 유기산) 및 페놀계 화합물(폴리아세틸렌 및 테르페노이드)을 포함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 lipophilic component " includes organisms such as carbohydrates, proteins and the like that constitute the living body and include lipids (e.g. fatty acids, essential oils, plant sterols and organic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polyacetylenes and terpenoids) .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지방산(fatty acid)”은 긴 지방족 체인(aliphatic chain)을 포함하는 카르복실산으로서,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포화 지방산은 탄소-탄소의 이중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지방산으로서, CH3(CH2)nCOOH (n은 1 내지 34)의 일반식을 가지는 지방산을 의미하며,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분자 내에 1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지방산으로서 예컨대, n3 불포화 지방산, n6 불포화 지방산, n7 불포화 지방산, n9 불포화 지방산, 및 기타 2-피리딘프로파노산, 3-노넨산, 사이클로프로필메틸포스핀산 및 사이클로프로판옥탄산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fatty acid " refers to a carboxylic acid containing a long aliphatic chain, which includes both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The saturated fatty acid means a fatty acid which does not contain a carbon-carbon double bond and refers to a fatty acid having a general formula of CH 3 (CH 2 ) n COOH (n is 1 to 34),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 has 1 or more Examples of the fatty acid containing a carbon-carbon double bond and a carboxyl group include n3 unsaturated fatty acid, n6 unsaturated fatty acid, n7 unsaturated fatty acid, n9 unsaturated fatty acid, and other 2-pyridinopropanoic acid, 3-nonenoic acid, cyclopropylmethylphosphinic acid, Cyclopropanecanoic acid.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용성 성분은 포화 지방산, n3 불포화 지방산, n6 불포화 지방산, n7 불포화 지방산 또는 n9 불포화 지방산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soluble component is saturated fatty acid, n3 unsaturated fatty acid, n6 unsaturated fatty acid, n7 unsaturated fatty acid or n9 unsaturated fatty acid.

상기 n3 불포화 지방산은 헥사데카트리에노산, 옥타데카트리에노산, 옥타데카테트라에노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 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 헤네이코사펜타에노산, 도코사펜타데노산, 도코사헥사에노산, 테트라코사펜타에노산 및 테트라코사헥사에노산을 포함하고, 상기 n6 불포화 지방산은 옥타데카디에노산, 옥타데카트리에노산, 에이코사디에노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 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 도코사디에노산, 도코사테트라에노산, 도코사펜타에노산, 테트라코사테트라에노산, 테트라코사펜타에노산 및 옥타데카트리에노산을 포함하며, 상기 n7 불포화 지방산은 도데세노산, 테트라데세노산, 헥사데세노산, 데세노산, 에이코세노산, 도코세노산 및 테트라코세노산을 포함하고, 상기 n9 불포화 지방산은 옥타데세노산, 에이코세노산, 에이코사트리에노산, 도코세노산 및 테트라코세노산을 포함한다.The n3 unsaturated fatty aci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decatrienoic acid, octadecatrieno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eicosatrienoic acid, eicosatetr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heneicosapentaenoic acid, Tetradecosapentaenoic acid, tetracosapentaenoic acid and tetracohexaenoic acid, and the n6 unsaturated fatty ac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ctadecadienoic acid, octadecatrienoic acid, eicosadienoic acid, eicosatri Wherein the nano-unsaturated fatty ac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no-acid, eicosatetraenoic acid, docosadienoic acid, docosatetraenoic acid, docosapentaenoic acid, tetracosatetraenoic acid, tetracosapentaenoic acid and octadecatrienoic acid, Dodecanoic acid, decodecanoic acid, hexadecenoic acid, decenoic acid, eicosanoic acid, docosanoic acid, and tetracosenoic acid, and the n9 unsaturated fatty acid includes octadecenoic acid, And the acid, eicosyl four tree including acids, acid and tetra Toko three kose acid.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화지방산은 도코사노산, 에이코사노산, 헤네이코사노산, 도데카노산, 헵타데카노산, 헥사데카노산, 옥타데카노산, 옥타노산, 펜타데카노산, 테트라데카노산, 트리코사노산, 노나데카노산, 헥사노산, 데카노산, 프로판산, 운데카노산 및 11,14-에이코사노산이고,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11-에이코세노산, 11,13-에이코사디에노산, 13-도코세노산, 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산, 9,12-옥타데카디에노산, 9-헥사데세노산, 9-옥타데세노산, 11-옥타데세노산, 8,11-옥타데카디에노산, 7,10-헥사데카디에노산, 13-옥타데세노산, 6,9,12-옥타데카트리에노산, 9,15-옥타데카디에노산, 에이코세노산, 10-운데세노산, 7-헥사데세노산, 8,10-옥타데세노산, 10,13-옥타데카디이노산 및 9-도데세노산이다. More preferably, the saturated fatty ac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cosanoic acid, eicosanoic acid, heneicosanoic acid, dodecanoic acid, heptadecanoic acid, hexadecanoic acid, octadecanoic acid, octanoic acid, pentadecanoic acid, Succinic acid, nonadecanoic acid, hexanoic acid, decanoic acid, propanoic acid, undecanoic acid and 11,14-eicosanoic acid,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s are 11-eicosanoic acid, 11,13-eicosanoic acid, Hexadecenoic acid, 9-octadecenoic acid, 11-octadecenoic acid, 8,11-octadecadienoic acid, 9,12-octadecadienoic acid, Octadecadienoic acid, 9,15-octadecadienoic acid, eicosanoic acid, 10-undecenoic acid, 7-octadecanoic acid, 7- Hexadecenoic acid, 8,10-octadecenoic acid, 10,13-octadecadienoic acid and 9-dodecenoic acid.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화지방산은 도코사노산, 에이코사노산, 헤네이코사노산, 도데카노산, 헵타데카노산, 헥사데카노산, 옥타데카노산, 옥타노산, 펜타데카노산, 테트라데카노산 및 트리코사노산이고,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11-에이코세노산, 11,13-에이코사디에노산, 13-도코세노산, 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산, 9,12-옥타데카디에노산, 9-헥사데세노산 및 9-옥타데세노산이다. More preferably, the saturated fatty ac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cosanoic acid, eicosanoic acid, heneicosanoic acid, dodecanoic acid, heptadecanoic acid, hexadecanoic acid, octadecanoic acid, octanoic acid, pentadecanoic acid, Wherein the unsaturated fatty aci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1-eicosanoic acid, 11,13-eicosanoic acid, 13-docosanoic acid, 9,12,15-octadecatrienoic acid, 9,12-octadecadienoic acid, 9-hexadecenoic acid and 9-octadecenoic acid.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기산”은 산의 성질을 가진 유기화합물(예컨대, 아미노산)을 총칭하며, 용어 “폴리아세틸렌”은 아세틸렌계 탄화수소로 다가의 불포화 알코올이며, 용어 “테르페노이드(terpenoid)”는 탄소수가 5의 배수인 유기 화합물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 organic acid " refers collectively to organic compounds (e.g., amino acids) having acidic character, the term " polyacetylene " is an acetylenic hydrocarbon, polyunsaturated alcohol, and the term " terpenoid " Is an organic compound having a carbon number in multiples of 5.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75-99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75-99 wt% vegetable omega 3, 0.001-10 wt% of Ginkgo biloba extract per total composition, and 0.001-15 wt% botanical vitam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The food composition for obesity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vegetable omega-3, ginkgo biloba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contained in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lipi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ntent common to both of them is excessive In order to avoid complexity,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식품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85-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5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10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92-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3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95-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2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3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mposition for obesity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85-98% by weight of vegetable omega 3, 0.5-5% by weight of Ginkgo biloba extract of the whole composition and 0.5 - 10% by weight of vegetable vitamins; More preferably, the composition comprises 92-98% by weight vegetable omega 3, 0.5-3% by weight of the ginkgo leaf extrac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and 0.5-5% by weight vegetable vitamin with respect to the total composition; More preferably 95-98 wt.% Vegetable omega 3, 0.5-2 wt.% Ginkgo leaf extract for the total composition, and 0.5-3 wt.% Vegetable vitamin for the total compos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삼지용성 성분 0.05-3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2.5 중량부,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3-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mposition for obesity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0.05-3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3 parts by weight, of the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More preferably from 0.1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even more preferably from 0.3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인삼의 추출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파우더, 캅셀, 연질캅셀, 정제, 껌 및 점착 타입 액제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하여 섭취할 수도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및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forms such as functional food, nutritional supplement, health food and food additives. Food compositions of this type may be prepared in a variety of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s a health food, an extract of ginseng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tea, juice and drink, and then it can be ingested, granulated, encapsulated and powdered, and powdered, capsules, soft capsules, tablets, Or may be prepared by ingestion in the form of a liquid type composition. The functional foods may include beverages (including alcoholic beverages), fruits and processed foods thereof (such as canned fruits, bottles, jam, maal malt, etc.), fish, meat and processed foods such as ham, sausage, ), Breads and noodles (eg udon noodles, buckwheat noodles, ramen noodles, spaghetti, macaroni, etc.), fruit juice, various drinks, cookies, sugar, dairy products such as butter, cheese, edible vegetable oil, margarine, vegetable protein, The ginse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foods, frozen foods and various kinds of seasonings (e.g., miso, soy sauce, sauce, etc.).

본 발명의 혈행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주요성분 이외에도 미네랄 함유 화합물(Ca, Mg, Zn 등), 인지질(레시틴 등), 말톨, 올리고당 및 아미노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2 내지 3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생체 활성효과를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circ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neral compound (Ca, Mg, Zn, etc.), phospholipid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can reinforce the bioactive effect.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우기 위하여 매실,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Flovonoid) 등의 천연색소, 감미 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 및 산미제인 구연산, 구연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natural additives such as natural flavors such as plum, lemon flavor, pineapple flavor or herb flavor, natural fruit juice, natural pigments such as Chlorophyllin and Flovonoid in order to enhance the taste as a known additive, , Honey, sugar alcohol, sugar, citric acid, and sodium citrate.

상기 외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ing agent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nd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In additio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a) 본 발명은 특정 중량비의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improving blood lipid comprising vegetable omega-3,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at a specific weight ratio.

(b)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메가 3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식물성 오메가 3로서,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우수하다.(b) The omega-3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getable omega-3 extracted from microalgae and is excellent in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c) 또한,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의 조성물에 인삼 지용성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저하 효능이 더욱 우수하다.(c) In addition,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in a composition of vegetable omega-3,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is more excellent in cholesterol and neutral lipid lowering efficacy.

(d)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여 혈행 개선 효능이 더욱 증진되며, 따라서 다양한 혈행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활용가능하다.
(d)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gested, the amount of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is de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blood circulation improving effect, and thus it can be utiliz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various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인 비보 실험으로서, PT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1: 일반식이군, 2: 고지방식이군(HFD 45%), 3: 식물성 오메가 3 투여군, 4: 식물성 오메가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 5: 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인 비보 실험으로서, APTT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인 비보 실험으로서, 총 콜레스테롤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인 비보 실험으로서, 중성 지질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인 비보 실험으로서, HDL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인 비보 실험으로서, LDL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인 비보 실험에서, 실험에 사용된 래트의 체중 증가량 및 체중 증가 경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인 그룹 G2에 비해 그룹 G3(식물성 오메가 3 투여군)는 0.22% 감소, 그룹 G5(식물성 오메가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는 1.14% 감소, 그룹 6(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 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은 4.02% 정도 체중 증가량이 감소되었다(y축 단위: g).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PT analysis as an in vivo test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vegetable Omega 3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group, 5: vegetable Omega 3 + ginseng lipid soluble ingredient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administration group.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PTT analysis as an in vivo test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otal cholesterol analysis as an in vivo test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neutral lipid analysis as an in vivo test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HDL analysis as an in vivo test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LDL analysis as an in vivo test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graphs showing weight gain and weight gain tendency of the rats used in the in vivo test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group G3 (vegetable omega-3 treated group) and group G5 (vegetable omega 3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treated group) decreased by 1.14%, group 6 (vegetable omega 3 + Extract + vegetable vitamin) decreased by 4.02% (y-axis unit: g).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인삼 지용성 성분 추출Example 1. Extraction of lipid-soluble components of ginseng

시중에서 구입한 6 년근 인삼을 온수로 가볍게 씻은 후 인삼 바디 및 뿌리를 분쇄하여, 이산화탄소 초임계추출방법을 사용한 인삼 지용성 성분의 추출을 실시하였다(초임계유체 추출장치: CO2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일신오토클레이브). 초임계 상태의 CO2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으며, 사용 후 다시 기체 상태로 환원시켜 전량 회수하였다. The 6-year-old ginseng purchased from the market was lightly washed with warm water, and then the ginseng body and roots were pulverized to extract a lipid-soluble component of ginseng using a carbon dioxid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pparatus: CO 2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utoclave). The supercritical CO 2 was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and the total amount was recovered by reducing it to the gaseous state after use.

인삼 시료는 바디(body) 와 뿌리(root)의 2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용매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분쇄 후 초임계 유체 추출기의 주입구에 넣어 지용성 물질을 추출하였다. 인삼 뿌리 부분은 압력 350 bar, 온도 40℃ 에서 수율 1.49% 및 250 bar, 온도 60℃에서 수율 1.30%로 다른 조건에 비해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인삼 바디 부분은 압력 250 bar, 온도 60℃에서 수율 0.86% 및 350 bar, 온도 50℃에서 수율 0.80 %로 다른 여러 조건 중 비교적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인삼의 뿌리 및 바디 추출물 중 수율이 높은 위의 4 가지 물질을 후보물질로 선정하였다. 이상의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시료별, 조건별 추출 수율을 정리하여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인삼뿌리 부분이 인삼바디 부분보다는 비교적 수율이 높게 나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인삼뿌리 및 인삼 바디의 지용성 성분 추출 수율은 1% 정도로 대량 생산의 기초 조건을 확립하였다. Two kinds of ginseng samples were used: body and root. 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vent, liposoluble materials were extracted from the injection port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or after grinding. The ginseng roots showed higher yields than the other conditions at a pressure of 350 bar and a temperature of 40 ℃ and a yield of 1.49% and 250 bar and a yield of 1.30% at 60 ℃. The ginseng body part exhibited a relatively high yield among various other conditions at a pressure of 250 bar at a temperature of 60 ° C and a yield of 0.86% and 350 bar and a yield of 0.80% at a temperature of 50 ° C. Four substances were selected as candidates for the ginseng roots and body extracts obtain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Table 1 and Table 2 summarize the extraction yields of each sample and condition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method described abov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ots of ginseng showed relatively higher yield than that of the ginseng body, and the extraction yield of lipophilic components of the ginseng root and ginseng body was about 1%, establishing the basic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시료별/조건별 추출 수율(인삼 뿌리)Extraction Yiel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Method by Specimen / Condition (Ginseng Root) 번호number 온도(℃)Temperature (℃) 압력(bar)Pressure (bar) 시간(min)Time (min) 추출 수율(%)Extraction yield (%) 1One 3030 100100 120120 0.800.80 22 150150 120120 0.820.82 33 200200 120120 0.810.81 44 250250 120120 0.840.84 55 300300 120120 0.830.83 66 350350 120120 0.850.85 77 4040 100100 120120 0.900.90 88 150150 120120 0.950.95 99 200200 120120 0.920.92 1010 250250 120120 0.960.96 1111 300300 120120 1.001.00 1212 350350 120120 1.491.49 1313 5050 100100 120120 0.980.98 1414 150150 120120 1.161.16 1515 200200 120120 1.121.12 1616 250250 120120 1.131.13 1717 300300 120120 1.141.14 1818 350350 120120 1.151.15 1919 6060 100100 120120 1.001.00 2020 150150 120120 1.021.02 2121 200200 120120 1.081.08 2222 250250 120120 1.301.30 2323 300300 120120 1.251.25 2424 350350 120120 1.241.24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시료별/조건별 추출 수율(인삼 바디)Extraction Yield by Samples / Conditions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Method (Ginseng Body) 번호number 온도(℃)Temperature (℃) 압력(bar)Pressure (bar) 시간(min)Time (min) 추출 수율(%)Extraction yield (%) 2525 3030 100100 120120 0.500.50 2626 150150 120120 0.570.57 2727 200200 120120 0.540.54 2828 250250 120120 0.550.55 2929 300300 120120 0.560.56 3030 350350 120120 0.520.52 3131 4040 100100 120120 0.600.60 3232 150150 120120 0.620.62 3333 200200 120120 0.660.66 3434 250250 120120 0.730.73 3535 300300 120120 0.730.73 3636 350350 120120 0.770.77 3737 5050 100100 120120 0.700.70 3838 150150 120120 0.730.73 3939 200200 120120 0.750.75 4040 250250 120120 0.790.79 4141 300300 120120 0.790.79 4242 350350 120120 0.800.80 4343 6060 100100 120120 0.710.71 4444 150150 120120 0.730.73 4545 200200 120120 0.750.75 4646 250250 120120 0.860.86 4747 300300 120120 0.780.78 4848 350350 120120 0.650.65

실시예Example 2:  2: 초임계Supercritical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분석 Analysis of Ginseng Extracts Using Carbon Dioxide

상기 실시예 1의 인삼 뿌리 및 바디에서 수득한 인삼 뿌리 추출물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의 추출 조건은 100-350 bar, 30-60℃이며, 표 4의 추출 조건은 100-350 bar, 30-60℃이다.The ginseng roots obtained in Example 1 and the ginseng root extracts obtained in the body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3 and 4 below. The extraction conditions in Table 3 are 100-350 bar, 30-60 ° C, and the extraction conditions in Table 4 are 100-350 bar, 30-60 ° C.

분석 결과, 인삼뿌리 부분에서는 총 30 가지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인삼바디 부분에서는 총 36 가지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실시예 1에서 추출 수율이 높았던 인삼뿌리보다는 인삼바디에서 더 많은 성분이 검출되었다.A total of 30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roots of ginseng, 36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ginseng body, and more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ginseng body than the ginseng roots in Example 1.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인삼 뿌리 추출물의 분석Analysis of Ginseng Root Extract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번호number 지방산fatty acid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One 11-에이코세노산11-eicos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22 11,13-에이코사디에노산11,13-Eiko Sadieno oo oo oo oo oo oo 33 13-도코세노산13-docos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44 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산9,12,15-octadecatrie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55 9,12-옥타데카디에노산9,12-octadecadie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66 9-헥사데세노산9-hexadece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77 9-옥타데세노산9-octadece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88 도코사노산Tokosano Mountain oo oo oo oo oo oo oo 99 에이코사노산Eikosano oo oo oo oo oo oo oo 1010 헤네이코사노산Haneikosano oo oo oo oo 1111 도데카노산Dodecanoic acid oo oo oo 1212 헵타데카노산Hept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1313 헥사데카노산Hex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1414 옥타데카노산Oct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1515 옥타노산Octanoic acid oo oo oo oo oo oo 1616 펜타데카노산Pent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1717 테트라데카노산Tetr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1818 트리코사노산Tricosanoic acid oo oo oo oo oo 1919 노나데카노산Nonadecano oo oo oo 2020 11-옥타데세노산11-octadecenoic acid oo 2121 헥사노산Hexanoic acid oo 2222 8,11-옥타데카디에노산8,11-octadecadienoic acid oo 2323 7,10-헥사데카디에노산7,10-hexadecadienoic acid oo oo 2424 데카노산Decanoic acid oo oo oo 2525 13-옥타데세노산13-octadecenoic acid oo 2626 6,9,12-옥타데카트리에노산6,9,12-octadecatrienoic acid 2727 9,15-옥타데카디에노산9,15-octadecadienoic acid oo 2828 에이코세노산Eicosanoic acid oo 2929 프로판산Propanoic acid oo 3030 10-운데세노산10-undecenoic acid 3131 2-피리딘프로파노산2-pyridinepropanoic acid 3232 7-헥사데세노산7-hexadecenoic acid 3333 운데카노산Undecano 3434 8,10-옥타데세노산8,10-octadecenoic acid 3535 11,14-에이코사노산11,14-eicosanoic acid 3636 10,13-옥타데카디이노산(Octadecadiynoic acid)Octadecadiynoic acid (10,13-octadecadienoic acid) 3737 3-노넨산3-nonenoic acid 3838 9-도데세노산9-dodecenoic acid 3939 숙시남산Suishi Nanshan 4040 사이클로프로필메틸포스핀산Cyclopropylmethylphosphinic acid oo oo 4141 사이클로프로판옥탄산Cyclopropanecotanoic acid oo oo oo oo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인삼 바디 추출물의 분석Analysis of Ginseng Body Extract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번호number 지방산fatty acid 1010 1111 1212 1313 1414 1515 1616 1717 1818 1One 11-에이코세노산11-eicos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22 11,13-에이코사디에노산11,13-Eiko Sadieno oo oo oo oo oo oo 33 13-도코세노산13-docos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44 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산9,12,15-octadecatrie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oo 55 9,12-옥타데카디에노산9,12-octadecadienoic acid oo oo oo oo oo oo 66 9-헥사데세노산9-hexadece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oo 77 9-옥타데세노산9-octadece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88 도코사노산Tokosano Mountain oo oo oo oo oo oo oo oo 99 에이코사노산Eikosano oo oo oo oo oo oo oo oo 1010 헤네이코사노산Haneikosano oo oo oo oo 1111 도데카노산Dodecanoic acid oo oo oo oo oo 1212 헵타데카노산Hept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1313 헥사데카노산Hex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1414 옥타데카노산Oct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oo 1515 옥타노산Oct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oo oo 1616 펜타데카노산Pent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1717 테트라데카노산Tetradecanoic acid oo oo oo oo oo oo oo 1818 트리코사노산Tricosanoic acid oo oo oo oo oo oo 1919 노나데카노산Nonadecano oo oo 2020 11-옥타데세노산11-octadecenoic acid oo 2121 헥사노산Hexanoic acid 2222 8,11-옥타데카디에노산8,11-octadecadienoic acid oo oo 2323 7,10-헥사데카디에노산7,10-hexadecadienoic acid oo oo 2424 데카노산Decanoic acid 2525 13-옥타데세노산13-octadecenoic acid oo 2626 6,9,12-옥타데카트리에노산6,9,12-octadecatrienoic acid oo 2727 9,15-옥타데카디에노산9,15-octadecadienoic acid 2828 에이코세노산Eicosanoic acid 2929 프로판산Propanoic acid oo oo 3030 10-운데세노산10-undecenoic acid oo 3131 2-피리딘프로파노산2-pyridinepropanoic acid oo 3232 7-헥사데세노산7-hexadecenoic acid oo 3333 운데카노산Undecano oo oo 3434 8,10-옥타데세노산8,10-octadecenoic acid oo 3535 11,14-에이코사노산11,14-eicosanoic acid oo 3636 10,13-옥타데카디이노산(Octadecadiynoic acid)Octadecadiynoic acid (10,13-octadecadienoic acid) oo oo oo oo 3737 3-노넨산3-nonenoic acid oo 3838 9-도데세노산9-dodecenoic acid oo 3939 숙시남산Suishi Nanshan oo 4040 사이클로프로필메틸포스핀산Cyclopropylmethylphosphinic acid 4141 사이클로프로판옥탄산Cyclopropanecotanoic acid oo oo oo oo oo oo

실시예Example 3. 경구 투여 통한 혈행 개선 효능 평가 3. Assessment of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by oral administration

6 주령 래트(스프라그 다우리, 오리엔트바이오)를 1주일 간 사육 후, 7 주령부터 6 주간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HFD 45%), 및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인삼 뿌리의 지용성 성분 및 식물성 비타민을 투여한 HFD 45% 식이군의 혈행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식물성 오메가 3는 미세조류인 스키조키트리움(Schizochytrium sp.)으로부터 추출되었다. 식물성 비타민은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B6염산염, 비타민B2, 비타민B1염산염, 엽산 및 비오틴이 포함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After 6 weeks old rats (Sprague Dawyer, Orient Bio) were fed for 1 week, they were fed a diet of high fat diet (HFD 45%), omega 3, ginkgo leaf extract, ginseng roots And 45% dietary HFD group supplemented with vegetable vitamins. The plant omega-3 was extracted from the microalgae, Schizochytrium sp. The plant vitamins used were niacin, pantothenic acid, vitamin B6 hydrochloride, vitamin B2, vitamin B1 hydrochloride, folic acid and biotin.

일반 식이 및 HFD 45% 식이 조성표General Diet and HFD 45% Dietary Composition Table 조성Furtherance AIN-76AAIN-76A HFD 45%calHFD 45% cal gm%gm% kcal%kcal% gm%gm% kcal%kcal% 단백질protein 2020 2121 2424 2020 탄수화물carbohydrate 6666 6868 4141 3535 지방Fat 55 1212 2424 4545 kcal/kgkcal / kg 3,9023,902 -- 4,7764,776 -- 성분ingredient gg kcalkcal gg kcalkcal 카제인(우유)Casein (milk) 200200 800800 200200 800800 옥수수전분Corn starch 150150 600600 155.036155.036 620620 수크로스Sucrose 500500 2,0002,000 5050 200200 덱스트로스Dextrose 00 00 132132 528528 셀룰로오스cellulose 5050 00 5050 00 콩기름Soybean oil 00 00 2525 225225 라드(Lard)Lard 00 00 175175 1,5751,575 미네랄혼합물Mineral mixture 3535 00 3535 00 비타민혼합물Vitamin mixture 1010 4040 1010 4040 3차부틸하이드로퀴논(TBHQ)Tertiary butyl hydroquinone (TBHQ) 00 00 0.0140.014 00 L-시스테인L-cysteine 00 00 33 1212 타타르산수소콜린Tartaric acid choline 22 00 2.52.5 00 합계Sum 1,0001,000 3,9023,902 837.6 837.6 4,0004,000

실험군의 설계는 다음과 같다: The design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as follows:

시험군Test group 식이Diet 투여물질Dosing substance 투여량(mg/kg)Dose (mg / kg) G1G1 일반식이A normal diet -- 00 G2G2 HFD 45% HFD 45% -- 00 G3G3 HFD 45% HFD 45% 식물성 오메가3Vegetable omega 3 210210 G4G4 HFD 45% HFD 45% 식물성 오메가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Vegetable Omega 3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210 + 2 + 4210 + 2 + 4 G5G5 HFD 45%HFD 45% 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Vegetable Omega-3 + Ginseng Oil-soluble component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210 + 1 + 2 + 4210 + 1 + 2 + 4

표 5의 식이 조성물로 래트를 사육하였으며, 표 6의 조성물을 6주 동안 1회/1일 경구 투여하였다. 첫 투여일을 ‘day 0’으로 하였다. 투여액량은 투여 전 가장 최근 측정한 체중을 근거로 210 mg/kg으로 산출하여 투여하였다. 투여 후 63일 째 래트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경정맥에서 전혈을 채혈하였다. 각각의 혈액 시료에서 혈액응고 검사인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 및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SD 래트에게 HFD 45%만 섭취시킨 그룹 2(대조군)에 비해 모든 그룹에서 PT값이 증가하였다(표 7 및 도 1). 즉, G2(대조군) 대비 G3 그룹은 54.4%, G4 그룹은 52.3%, G5 그룹은 53.1% 혈액 응고 시간이 지연되었다. 이는 식물성 오메가3, 인삼지용성 성분,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의 조성물이 혈액응고의 외인계 인자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The rats were fed with the dietary composition of Table 5 and the composition of Table 6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 day for 6 weeks. The first day of administration was defined as day 0. The dose was calculated as 210 mg / kg based on the most recently measured body weight before administration. On the 63rd day after administration, rats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and whole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Prothrombin time (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were measured in each blood sample. As a result, PT ratios were increased in all groups compared to Group 2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only 45% HFD in SD rats (Table 7 and Fig. 1). That is, 54.4% of the G3 group, 52.3% of the G4 group, and 53.1% of the G5 group were delayed compared to G2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composition of vegetable omega 3,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affect the external factor of blood coagulation.

PT 및 APTT의 측정결과Measurement results of PT and APTT 그룹group G1G1 G2G2 G3G3 G4G4 G5G5 PT (초)PT (sec) 22.9022.90 16.6616.66 25.7225.72 25.3825.38 25.5025.50 APTT (초)APTT (sec) 19.4519.45 16.3316.33 18.0018.00 19.0119.01 20.0220.02 마우스 수Number of mice 77 77 77 77 77

한편, APTT 값은 HFD 45%만 섭취시킨 그룹 2(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그룹에서 약간의 응고시간이 지연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표 7 및 도 2). 즉, 즉, G2(대조군) 대비 G3 그룹은 10.2%, G4 그룹은 16.4%, G5 그룹은 22.5% 혈액 응고 시간이 지연되었다. 이는 식물성 오메가3, 인삼지용성 성분,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의 조성물이 혈액응고의 내인계 인자에 다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a slight coagulation time was delayed in all groups compared to group 2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only 45% of HFD,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Table 7 and FIG. 2). That is, the blood clotting time was delayed by 10.2% for the G3 group, 16.4% for the G4 group, and 22.5% for the G5 group compared to G2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composition of vegetable omega-3, ginseng lipid-soluble component,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slightly affects the intracellular factor of blood coagulation.

상기 결과에서 정상군(그룹 1)과 다른 투여 그룹(그룹 3 내지 그룹 5)의 차이가 없는 점은 HFD 45%의 영향인 것으로 예측되나, 오메가 3, 인삼오일,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의 혈행개선 여지는 어느 정도 있다고 보여 진다.
In the above results, it is predic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Group 1) and the other administration group (Group 3 to Group 5) is the effect of HFD 45%, but the omega 3, ginseng oil,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There seems to be some room.

실시예Example 4.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수치분석 4. Neutral lipid and cholesterol analysis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실험 설계로 혈중 총 콜레스테롤(Tc), 중성지질(TG),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는 인 비보 실험을 수행 하였다.An in vivo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in the same experimental design as in Example 3 above.

경구투여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 LDL 분석결과(단위: (㎎/dℓ)Result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LDL analysis by oral administration (unit: (mg / dl) 그룹group G1G1 G2G2 G3G3 G4G4 G5G5 Tc Tc 59.5059.50 88.8388.83 75.6375.63 73.7573.75 71.6371.63 TGTG 122.67122.67 355.80355.80 232.50232.50 222.13222.13 168.13168.13 HDLHDL 30.0030.00 34.0034.00 38.2938.29 39.7539.75 40.8340.83 LDLLDL 8.678.67 9.889.88 8.258.25 7.257.25 7.017.01

표 8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실험군(G3-G5) 그룹에서는 대조군(그룹 G2)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조군에 비해 그룹 G3(식물성 오메가 3 투여군)는 15.0%, 그룹 G4(식물성 오메가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는 17.0%, 그룹 G5(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 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은 약 20% 정도 총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As can be seen in Table 8 and FIG. 3, the total cholesterol level was lower in all experimental groups (G3-G5) than in the control group (group G2). In particular, the group G3 (vegetable omega-3-treated group) and the group G4 (vegetable omega-3 + ginkgo leaf extract + vegetable vitamin-treated group) received 17.0% Vitamins) showed about 20% total cholesterol reduction effect.

한편, 표 8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그룹 G2)에 비해 모든 투여군에서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조군에 비해 그룹 그룹 G3(식물성 오메가 3 투여군)는 34.7%, 그룹 G4(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는 37.8%, 그룹 G5(식물성 오메가 3 + 인삼지용성 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은 약 53% 정도 중성지질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그룹 중 그룹 G5에서 가장 현저한 중성지질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Table 8 and FIG. 4, it was found that the total cholesterol level was lower in all the administration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group G2). In particula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4.7% of the group G3 (plant-derived omega 3-treated group), group G4 (planted omega 3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treated group) received 37.8%, group G5 (vegetable omega 3 + Vegetable vitamins) showed about 53% reduction of neutral quality. In addition, the group G5 of the above group showed the most remarkable neutral lipid-lowering effect.

또한, 그룹 G4(식물성 오메가 3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과 그룹 G5(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를 비교해 보았을 때 두 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TG의 수치는 크게 감소되었으며, 특허 인삼지용성 성분이 포함된 군의 중성 지질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인삼지용성 성분의 시너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When compared to group G4 (plant Omega 3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group) and group G5 (vegetable Omega 3 + ginseng lipid soluble component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group), TG levels in both groups were higher And the synergistic effect of vegetable Omega 3, Ginkgo biloba extract and ginseng lipid soluble ingredient was found to be large, considering that the group containing the patented ginseng lipid soluble ingredient had a large effect of reducing the neutral lipid.

표 8 및 도 5에서는, 대조군(G2)과 비교하여 HDL-콜레스테롤의 수치는 그룹 G3(식물성 오메가 3 투여군)는 12.6%, 그룹 G4(식물성 오메가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는 16.9%, 그룹 G5(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은 20.1% 정도 HDL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In Table 8 and FIG. 5,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12.6% in the group G3 (vegetable omega 3-treated group), 16.9% in the group G4 (plant omega 3 + ginkgo leaf extract + vegetable vitamin-treated group) Group G5 (vegetable omega 3 + lipid soluble component of ginseng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showed 20.1% increase of HDL.

표 8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DL 수치의 경우 대조군(그룹 2)에 비해 모든 군의 수치가 낮았으며, 특히 대조군과 비교한 LDL-콜레스테롤의 수치는 그룹 G3(식물성 오메가 3 투여군)는 16.5%, 그룹 G4(식물성 오메가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는 26.6%, 그룹 G5(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은 약 29.0% 정도 LDL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As can be seen in Table 8 and FIG. 6, LDL levels were lower in al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group 2), and LDL-cholesterol level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were lower in group G3 (vegetable omega 3 group) (Glycosylation of Ginseng)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showed about 29.0% reduction of LDL in group G5 (16.5%), Group G4 (Plant Omega 3 + Ginkgo biloba extract + .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중증가량의 경우 대조군(그룹 2)에 비해 모든 군의 수치가 낮았으며, 특히 대조군과 비교한 체중증가량의 수치는 그룹 G3(식물성 오메가 3 투여군)는 0.22%, 그룹 G4(식물성 오메가3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 투여군)는 1.14%, 그룹 G5(식물성 오메가3 + 인삼지용성성분 + 은행잎 추출물 + 식물성 비타민)은 약 4.02% 정도 체중증가량이 저하되었다.
As shown in FIG. 7, the weight gain was lower in al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group 2), and the weight gain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was 0.22% in the group G3 (vegetable omega 3 group) Group G4 (vegetable omega 3 + Ginkgo biloba extract + vegetable vitamin group) and group G5 (vegetable omega 3 + ginseng lipid soluble extract + ginkgo leaf extract + vegetable vitamin) showed a decrease in weight gain by about 4.02%.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2)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75-99 중량%의 미세조류(microalgae) 유래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1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 및 상기 식물성 오메가 3, 은행잎 추출물 및 식물성 비타민의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삼지용성 성분 0.05-3 중량부를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A vegetable omega-3 derived from microalgae in an amount of 75-99% by weight, a ginkgo leaf extract in an amount of 0.001-10% by weight based on the whole composition, a vegetable vitamin in an amount of 0.001-15%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whole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mprising 0.05-3 parts by weight of a ginseng fat-soluble compon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a mixed composition of omega-3, ginkgo leaf extract and vegetable vitami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microalgae)는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또는 스키조키트리움(Schizochytrium) 속(gen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microalgae is Spirulina, Chlorella or Schizochytrium gen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행 개선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The food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blood circulation improving adjuva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혈행 개선 보조제는 오메가-6 계열 지방산, 오메가-7 계열 지방산, 오메가-9 계열 지방산 또는 레시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lood circulation improving agent is omega-6 fatty acid, omega-7 fatty acid, omega-9 fatty acid or lecith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85-98 중량%의 식물성 오메가 3,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5-3 중량%의 은행잎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5-5 중량%의 식물성 비타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85-98% by weight of vegetable omega 3, 0.05-3%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of Ginkgo biloba extract, and 0.05-5% by weight of vegetable vitamin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33171A 2012-11-22 2012-11-22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KR1015025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71A KR101502514B1 (en) 2012-11-22 2012-11-22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71A KR101502514B1 (en) 2012-11-22 2012-11-22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002A KR20140066002A (en) 2014-05-30
KR101502514B1 true KR101502514B1 (en) 2015-03-13

Family

ID=5089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171A KR101502514B1 (en) 2012-11-22 2012-11-22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5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496B1 (en) * 2015-08-13 2016-02-18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Fuctional Food Compositions for Antioxidativity and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omprising Natokinase
CN105725112A (en) * 2016-03-09 2016-07-06 云南绿A生物工程有限公司 System for dewatering and drying spirulina powder and process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22B1 (en) * 1992-12-01 1996-08-06 유유산업 주식회사 Method of extraction and purification for active substances from ginko herb
JPH0930962A (en) * 1995-07-21 1997-02-04 Nisshin Oil Mills Ltd:The Medical oil and fat-containing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22B1 (en) * 1992-12-01 1996-08-06 유유산업 주식회사 Method of extraction and purification for active substances from ginko herb
JPH0930962A (en) * 1995-07-21 1997-02-04 Nisshin Oil Mills Ltd:The Medical oil and fat-contain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002A (en)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1673B2 (en) Oil composition
KR101262686B1 (en) Composition for body fat reduction
JP4685355B2 (en) Process for producing oil and fat composition containing licorice hydrophobic component
KR101173289B1 (en) Method for producing omega fatty acid-containing extract from plant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AU2011342117B2 (en) Hops oxidation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for
JP2009161459A (en) Endurance-improving agent
JP2013202005A (en) Curcumin-containing oil and fa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263257A (en) Agent for preventing and/or improving fatty liver
KR101259499B1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mprising fat-soluble ingredients of ginseng
JP6042800B2 (en) Tomatoside A extraction method
KR101502514B1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blood-lipids
JP2016199491A (en) Mood state improver
EP2285242B1 (en) Plant extract and pufa combinations
US20160354421A1 (en) Shelf-stable olive extract-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29745B1 (en) functional fish oil composition using natural materials and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N105828623B (en) Composition rich in sesamin
WO2010113631A1 (en) Agent for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KR102552207B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onion peel extraction increased lipid-soluble components
KR102183916B1 (en)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s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yslipidemia
KR102183915B1 (en)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US2022029666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ing de-flavored peppercorn
KR10220026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llium senescens and Sanguisorba officinalis 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induced from obesity and obesity comprising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370668B1 (en) Composition for health foods for memory enhancement and learning capabilities
WO2004064830A1 (en) Processed fat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festyle-related diseases
KR20210062952A (en)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Angelica gigas, extract of Cynanchum wilfordii and extract of Ginko biloba leaves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